KR101978070B1 -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70B1
KR101978070B1 KR1020170164042A KR20170164042A KR101978070B1 KR 101978070 B1 KR101978070 B1 KR 101978070B1 KR 1020170164042 A KR1020170164042 A KR 1020170164042A KR 20170164042 A KR20170164042 A KR 20170164042A KR 101978070 B1 KR101978070 B1 KR 10197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arm
mandibl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국
김선두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6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41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겸자에 의해 하악골을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 제1 겸자, 제2 겸자, 조인트 메커니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은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는 제1 조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1 아암과, 제2 조를 갖는 제2 아암이 박스 록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 메커니즘은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아암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와,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각각에 양단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중앙이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조인트 바를 구비한다. 제1 플레이트는 제1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으며, 제2 플레이트는 제2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다. 본 스크루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겸자에 의해 하악골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붙잡을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겸자의 아암을 본 고정 시스템과 같은 플레이트와 본 스크루에 의해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심골편의 원래 위치를 확인하여 정확하게 정복시킬 수 있으므로, 최상의 수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MANDIBLE REDUCTION FORCEPS DEVICE}
본 발명은 정복 겸자 장치(Reduction forceps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겸자에 의해 하악골(Mandible, 하악, 아래턱)을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교정 수술(Orthognathic surgery, 턱교정 수술), 하악골의 골절 치료(Fracture surgery) 등은 골절편(Fracture fragment, 골절 조각) 또는 골편(Bone fragment, 뼛조각)의 해부학적인 위치 회복과 정확한 교합 및 하악 기능의 회복이 중요하다. 악교정 수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하악 수술은 하악상행지시상분할술(SSRO: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에 의해 하악골을 근심골편(Proximal segment)(턱관절을 포함한 하악 상행지(Mandibular ascending ramus) 골편)과 원심골편(Distal segment)(치아를 포함한 하악 몸체부(Mandibular body))으로 분리하고, 원심골편을 계획된 정상적인 교합 위치로 이동한 후에 근심골편을 수술 전의 위치로 바르게 위치시켜 주어야 수술 후 저작근에 의한 회귀현상이 최소화 할 수 있고, 악관절 장애의 발생도 막을 수 있다.
한편, 골절편들은 본 고정 시스템(Bone fixation system) 또는 본 플레이트 시스템(Bone plate system)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본 고정 시스템은 본 플레이트와 본 스크루(Bone screw)를 포함한다. 본 고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절편들의 고정 시 골절편들의 변이를 야기하지 않고 골절편들에 본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 골절편을 잡고 유지시킬 수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또는 골 정복 겸자(Bone reduction forceps)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악골 정복 겸자는 골절편을 골절 부위에 정복, 즉 맞추면서 골절면을 서로 밀착시켜 골절면의 접합면을 넓혀주는 작용을 하므로, 골절편에 안정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골절편의 빠른 회복에 상당히 중용한 영향을 미친다.
하악골 정복 겸자에 대한 기술은 미국 출원 공개 US 2004/0006371 A1호 " 하악골 우각부의 골절 정복 시 사용되는 겸자(Method for reducing mandibular angle fractures and forceps used for the method)"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의 겸자는 한 쌍의 아암(Arm)이 힌지(Hinge)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아암들의 팁(Tip)은 하악골의 골편들에 형성되는 작은 구멍(Hele)에 끼워지거나 압박 지점(Pressing point)에 지지되어 골편들을 고정하게 된다.
골 정복 겸자에 대한 기술은 미국 출원 공개 US 2011/0106183 A1호 "판 홀딩 뼈 겸자 및 사용 방법(Plate holding bone forceps and method of use)"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은 한 쌍의 아암에 결합되어 있는 연장 부재(Extension member)와, 본 플레이트의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 부재에 체결되는 세트 스크루(Set screw)를 구비한다. 시술자는 아암들에 의해 뼈를 붙잡은 후, 연장 부재를 통해 세트 스크루를 체결하여 뼈에 배치되어 있는 본 플레이트를 임시로 고정시키게 된다. 위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악골 또는 골 정복 겸자는 고정력이 약해 하악 수술에서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어 있는 원심골편의 원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워 하악 수술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정복 겸자로 붙잡고 있던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이 틀어지는 경우 재정복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시술자가 정복 겸자로 인한 골절편의 올바른 정복이 이루어 졌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시술자의 숙련도와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정복 겸자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심골편이 전후방 또는 측방으로 잘못 재위치 되면, 하악전돌증(주걱턱) 환자의 경우 저작근의 길이 증가로 수술 후에 하악골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회귀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악후퇴증(무턱) 환자의 경우 턱관절의 위치변화로 수술 후에 턱관절장애와 하악과두 흡수등의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심골편을 수술 전의 위치로 올바로 설정해 주는 것이 악교정 수술에서 합병증을 줄이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악 수술 시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원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는,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는 제1 조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1 아암과, 제2 조를 갖는 제2 아암이 박스 록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겸자와; 제1 겸자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는 제1 조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1 아암과, 제2 조를 갖는 제2 아암이 박스 록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겸자와;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아암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와,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각각에 양단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중앙이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조인트 바를 구비하는 조인트 메커니즘과; 제1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고, 본 스크루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으며, 본 스크루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은 손잡이와,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생크와, 제1 및 제2 아암 각각의 위쪽을 향해 제1 생크로부터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고 박스 록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조 각각이 연장되어 있는 제2 생크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 각각은 제1 아암의 제1 생크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는, 제1 및 제2 겸자에 의해 하악골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붙잡을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겸자의 아암을 본 고정 시스템과 같은 플레이트와 본 스크루에 의해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심골편의 원래 위치를 확인하여 정확하게 정복시킬 수 있으므로, 최상의 수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겸자를 서로 연결하는 조인트 메커니즘이 악교정 수술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다른 외과기구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수술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가 악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서 조인트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서 제1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서 제2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는 제1 겸자(110A)와 제2 겸자(110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는 하악골(10)을 붙잡을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겸자(110A)는 하악골(10)의 근심골편(12)을 붙잡는데 유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겸자(110B)는 하악골(10)의 원심골편(14)을 붙잡는데 유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악골(10)의 골절편(16)은 본 고정 시스템(20)의 본 플레이트(22)와 본 스크루(24)에 의해 근심 및 원심골편(12, 14)에 고정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각각의 제1 아암(112)과 제2 아암(114)은 박스 록(Box lock: 11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암(112, 114) 각각은 손잡이(Handle: 118, 120)와, 손잡이(118, 12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생크(First shank: 122, 124)와, 제1 생크(122, 124)로부터 절곡되어 있으며 박스 록(116)에 의해 "X"자 형태로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생크(126, 128)와, 하악골(10)을 붙잡을 수 있도록 제2 생크(126, 128)의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조(Jaw: 130, 132)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18, 120)는 손가락을 끼워 잡을 수 있는 링 형상(Ring shape)의 손가락 고리(Finger loop: 118a, 120a)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생크(122)는 제1 아암(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 122a)과 가이드 슬롯(Guide slot: 122b)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생크(122, 124)와 제2 생크(126, 128)는 제1 및 제2 아암(112, 114)의 위쪽을 향해 둔각(Obtuse angle)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제1 아암(112)의 제1 생크(122)와 제2 생크(126) 사이의 굽힘 각도(Bending angle: θ1)는 130~150도(Degree)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140도로 형성될 수 있다. 130도 미만의 굽힘 각도(θ1)는 손잡이(118)가 하악골(10)에 너무 가깝게 배치되어 하악 수술에 지장을 줄 수 있다. 150도를 초과하는 굽힘 각도(θ1)는 손잡이(118)가 하악골(10)로부터 너무 멀게 배치되어 하악골(10)을 붙잡는데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제2 아암(114)의 제1 생크(124)와 제2 생크(128) 사이의 굽힘 각도(θ2)는 145~165도(Degree)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155~1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140도 미만의 굽힘 각도(θ2)는 제2 아암(114)의 손잡이(120)가 제1 아암(112)의 손잡이(118)에 너무 가깝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의 조작에 지장을 줄 수 있다. 165도를 초과하는 굽힘 각도(θ2)는 제2 아암(114)의 손잡이(120)가 제1 아암(112)의 손잡이(118)로부터 너무 멀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의 조작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모두 참조하면, 박스 록(116) 또는 박스 조인트(Box joint), 조인트(Joint)는 "X"자 형태로 서로 교차되어 있는 제2 생크(126, 128)에 결합되어 있는 피봇(Pivot: 116a) 또는 힌지 핀(Hinge pin)을 가지며, 제1 및 제2 아암(112, 114)의 열림 각도(Opening angle)를 제한한다. 복수의 스파이크(Spike: 134)가 하악골(10)을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제2 조(132)의 팁(132a)에 형성되어 있다. 인터록(Inter lock: 136) 또는 래칫 핏(Ratchet fit)이 제1 및 제2 아암(112, 114)을 서로에 대해 고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118, 120)에 이웃하는 제1 생크(122, 124)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인터록(136)은 제1 생크(122, 124)의 외면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래칫(136a, 13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는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조인트 메커니즘(Joint mechanism: 140)을 구비한다. 조인트 메커니즘(140)은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Slider assembly: 150)을 갖는다. 슬라이더 어셈블리(150)들 각각은 어퍼 슬라이더(Upper slider: 152), 로워 슬라이더(Lower slider: 154)와 볼트(156)로 구성되어 있다. 어퍼 및 로워 슬라이더(152, 15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어퍼 및 로워 슬라이더(152, 154)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퍼 슬라이더(152)는 가이드 레일(12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122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 구멍(Bolt hole: 152a)이 어퍼 슬라이더(152)의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 152b)가 어퍼 슬라이더(152)의 아랫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워 슬라이더(154)는 가이드 슬롯(12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122b)에 끼워져 있다. 암나사(154a)가 볼트 구멍(152a)과 정렬되도록 로워 슬라이더(154)의 중앙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그루브(154b)가 가이드 레일(122a)을 따라 로워 슬라이더(154)를 슬라이딩(Sliding)시킬 수 있도록 로워 슬라이더(154)의 윗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156)는 볼트 구멍(152a)을 통해 암나사(154b)에 체결되어 어퍼 슬라이더(152)와 로워 슬라이더(154)를 결합해 주게 된다. 어퍼 슬라이더(152)와 로워 슬라이더(154)는 볼트(156)의 조임력(Clamping force)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122a)에 고정된다. 볼트(156)의 체결이 풀리면, 로워 슬라이더(154)는 가이드 슬롯(122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볼트(156)의 체결이 풀린 상태에서 슬라이더 어셈블리(150)들 각각은 가이드 레일(122b)에 대해 수직하게 교차하는 볼트(56)의 중심축선(L1)을 중심으로 180도(Degree)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가이드 그루브(152b)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와셔(Washer: 158)가 가이드 레일(122a)과 로워 슬라이더(154) 사이에 더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그루브(154b)에 끼워져 있는 가이드 레일(122a)의 윗면은 와셔(158)의 아랫면에 접촉되고, 가이드 그루브(152b)에 끼워져 있는 조인트 바(160)의 아랫면은 와셔(158)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어퍼 및 로워 슬라이더(152, 154)의 슬라이딩을 원활해져 가이드 레일(122a)과 조인트 바(16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조인트 메커니즘(140)은 슬라이더 어셈블리(150)들에 연결되어 있는 조인트 바(Joint bar: 160)를 구비한다. 조인트 바(160)의 양단 부분은 어퍼 슬라이더(152)의 가이드 그루브(152b)를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그루브(152b)에 끼워져 있으며, 와셔(158)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바(160)의 양단 부분은 어퍼 슬라이더(152)의 가이드 그루브(152b)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 바(160)의 중앙은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조인트 바(160)의 굽힘 각도(θ3)는 140~160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15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바(160)의 굽힘 각도(θ3)가 140~160도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사이의 공간 확보가 가능해져 하악 수술 시 본 고정 시스템(20) 및 다른 외과기구 등을 간섭 없이 하악골(10)에 쉽게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가이드 그루브(152b)에 끼워져 있는 조인트 바(160)를 회전시켜 넓은 시야를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 쌍의 스냅 링(Snap ring: 162)이 조인트 바(160)의 양단 부분에 결합되어 가이드 그루브(152b)로부터 조인트 바(160)의 양단 부분이 빠지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을 모두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는 하악골(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각각의 제2 아암(114)에 구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 각각은 제2 조(132)의 팁(132a)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 각각은 제2 조(132)의 앞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 형상의 헤드 플레이트(Head plate)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는 제2 조(132)와 "T"자, "L"자 형상 등을 이루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는 팁(132a)과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용접, 나사 체결이나 장부맞춤 등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멍(Hole or Aperture: 172a, 172b, 182a, 182b) 각각이 복수의 본 스크루(190)를 하악골(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스크루(190)들은 수나사(External thread)가 헤드(Head)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 스크루(Locking screw)와 수나사가 헤드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논로킹 스크루(Non-locking screw)가 있다. 구멍(172a, 172b, 182a, 182b)들은 로킹 스크루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Internal thread)가 형성되어 있는 로킹 구멍(Locking hole)과 논로킹 스크루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압박 구멍(Compression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파이크(174, 184)가 하악골(10)을 안정적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의 하면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겸자(110A)의 제2 아암(114)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준축선(L2)과 구멍(172a, 172b)들의 중심(C1, C2)들을 잇는 중심축선(L3) 사이의 각도(θ4)는 55~65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55~65도의 각도(θ4)는 제1 플레이트(170)를 본 스크루(190)들의 체결에 의해 근심골편(12)의 뒤쪽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부분에 고정시키는 것이 근심골편(12)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다. 각도(θ4)가 55도 미만이거나 65도를 초과하게 되면, 본 스크루(190)들을 근심골편(12)에 체결하는데 지장을 받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겸자(110B)의 제2 아암(114)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준축선(L4)과 구멍(182a, 182b)들의 중심(C3, C4)들을 잇는 중심축선(L5) 사이의 각도(θ5)는 90~10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90~100도의 각도(θ5)는 제2 플레이트(180)를 본 스크루(190)들의 체결에 의해 원심골편(14)에 고정시키는 것이 원심골편(14)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다. 각도(θ5)가 90도 미만이거나 100도를 초과하게 되면, 본 스크루(190)들을 원심골편(14)에 체결하는데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시술자는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사이의 간격을 조인트 메커니즘(140)에 의해 조정한다. 시술자는 어퍼 슬라이더(152)의 가이드 그루브(152b)에 끼워져 있는 조인트 바(160)를 따라 어퍼 슬라이더(152)를 이동시키면서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조인트 바(160)는 본 플레이트 시스템(20)이나 수술 도구를 하악골(10)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는 공간과 시야의 확보를 위해 가이드 그루브(152b)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시술자는 가이드 그루브(154b)에 끼워져 있는 가이드 레일(122a)을 따라 로워 슬라이더(154)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볼트(156)를 풀고, 제1 아암(112)의 가이드 레일(122a)과 가이드 슬롯(122b)을 따라 어퍼 가이더(152)와 로워 가이더(154)를 이동시켜 하악 수술에 적합하도록 조인트 메커니즘(140)을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볼트(156)가 로워 가이더(154)의 암나사(154a)에 체결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150)들은 제1 아암(1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시술자는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의 제1 및 제2 조(130, 132)에 의해 하악골(10), 즉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을 붙잡아 준다. 하악골(10)은 서로 대향되어 있는 스파이크(134, 184)들에 의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다. 인터록(136)의 래칫(136a, 136b)은 서로 맞물려 제1 및 제2 아암(112, 114)을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게 된다.
도 1,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에 의해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을 붙잡은 후,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의 구멍(172a, 172b, 182a, 182b)들을 통해 본 스크루(190)들을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에 각각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시술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를 고정시킨 후, 본 고정 시스템(20)에 의해 골절편(16)을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겸자(110A, 110B) 각각의 제2 아암(114)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170, 180)에 의해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하악 수술 시 근심골편(12)과 원심골편(14)의 변동을 방지하고, 원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악 수술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최상의 수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A)와 앞에서 설명한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A)가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100)와 다른 점은 제1 및 제2 본 플레이트(270, 280)에 있다. 제1 및 제2 본 플레이트(270, 280) 각각은 본 스크루(190)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구멍(272, 282)을 갖는다. 구멍(272, 282)을 통해 하악골에 본 스크루(190)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 본 플레이트(270, 280)를 하악골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하악 수술 시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의 변동을 방지하고, 원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100A: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110A: 제1 겸자
110B: 제2 겸자 112: 제1 아암
114: 제2 아암 116: 박스 록
122, 124: 제1 생크 126, 128: 제2 생크
130: 제1 조 132: 제2 조
134: 스파이크 136: 인터록
140: 조인트 메커니즘 150: 슬라이더 어셈블리
152: 어퍼 슬라이더 154: 로워 슬라이더
156: 볼트 158: 와셔
160: 조인트 바 170: 제1 플레이트
172: 구멍 174: 스파이크
180: 제2 플레이트 182: 구멍
184: 스파이크 190: 본 스크루

Claims (8)

  1.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는 제1 조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1 아암과, 제2 조를 갖는 제2 아암이 박스 록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1 겸자와;
    상기 제1 겸자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는 제1 조와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1 아암과, 제2 조를 갖는 제2 아암이 박스 록에 의해 여닫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제2 겸자와;
    상기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아암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각각에 양단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중앙이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는 조인트를 구비하는 조인트 메커니즘과;
    상기 제1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고, 본 스크루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겸자의 제2 조에 구성되어 있으며, 본 스크루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조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하악골을 붙잡을 수 있도록 복수의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겸자 각각의 제1 및 제2 아암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생크와;
    상기 제1 및 제2 아암 각각의 위쪽을 향해 상기 제1 생크로부터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고, 상기 박스 록에 의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조 각각이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생크를 구비하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슬롯 각각은 상기 제1 아암의 제1 생크에 형성되어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바의 양단 부분을 끼울 수 있도록 아랫면에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어퍼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끼워져 있고, 상기 볼트 구멍과 정렬되도록 중앙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윗면에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로워 슬라이더와;
    상기 어퍼 및 로워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트 구멍을 통해 상기 로워 슬라이더의 암나사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구비하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조인트 바 각각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로워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와셔를 더 구비하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구멍은 복수이고,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겸자의 제1 아암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준축선과 상기 복수의 구멍의 중심을 잇는 중심축선 사이의 각도가 55~65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구멍은 복수이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 겸자의 제1 아암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기준축선과 상기 복수의 구멍의 중심을 잇는 중심축선 사이의 각도가 90~100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KR1020170164042A 2017-12-01 2017-12-01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KR10197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42A KR101978070B1 (ko) 2017-12-01 2017-12-01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42A KR101978070B1 (ko) 2017-12-01 2017-12-01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070B1 true KR101978070B1 (ko) 2019-05-13

Family

ID=6658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42A KR101978070B1 (ko) 2017-12-01 2017-12-01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548A (en) * 1996-02-15 1997-07-08 Augsburger; Samuel F. Osteotomy frame
JP2002526197A (ja) * 1998-09-17 2002-08-20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骨折部を固定するための整復器具
JP2014155634A (ja) * 2013-02-18 2014-08-28 Toho Univ Foundation 下顎枝矢状分割術における下顎骨近位骨片の位置決め装置
KR101681177B1 (ko) * 2015-07-10 2016-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정복 겸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548A (en) * 1996-02-15 1997-07-08 Augsburger; Samuel F. Osteotomy frame
JP2002526197A (ja) * 1998-09-17 2002-08-20 ジンテ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クール 骨折部を固定するための整復器具
JP2014155634A (ja) * 2013-02-18 2014-08-28 Toho Univ Foundation 下顎枝矢状分割術における下顎骨近位骨片の位置決め装置
KR101681177B1 (ko) * 2015-07-10 2016-1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정복 겸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5722B2 (ja) 骨折整復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471842B1 (en) External fixation system
EP2397091B1 (en) Elbow fracture fixation system
US4475544A (en) Bone gripping forceps
US8979866B2 (en) Surgical tool
JP4162380B2 (ja) 骨固定装置導入器
US8915918B2 (en) Bone plate system for bone restor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689737B1 (en) Surgical reduction clamp
US20110098706A1 (en) Method and clamping apparatus for external fixation and stabilization
US20090318923A1 (en) Latarjet instrumentation and method
US20050245939A1 (en) Device and methods for placing external fixation elements
US20120303067A1 (en) Elbow Compression Instrument
US20170071648A1 (en) Grooved Crimp with a Set Screw
US8777953B1 (en) Rocker mechanism
JP7214371B2 (ja) 髄内釘挿入ハンドル
KR101978070B1 (ko) 하악골 정복 겸자 장치
US10869680B2 (en) Positioning bracket for multiple bone tunnel drill guides
WO2023154279A1 (en) Medical fixation mechanisms,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