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960B1 -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960B1
KR101977960B1 KR1020180167359A KR20180167359A KR101977960B1 KR 101977960 B1 KR101977960 B1 KR 101977960B1 KR 1020180167359 A KR1020180167359 A KR 1020180167359A KR 20180167359 A KR20180167359 A KR 20180167359A KR 101977960 B1 KR101977960 B1 KR 10197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backwash
filtration
back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청야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야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야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8Cleaning 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우수유입 저류조, 침전조, 여과조, 역세수조, 우수 방류조 및 정체수 저장조를 포함하되 역세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역세수조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여과조 외부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초기 우수발생시 초기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여과조와 침전조 등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도록 작동시켜 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수시키면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having reverse-washing}
본 발명은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유입 저류조, 침전조, 여과조, 역세수조, 우수 방류조 및 정체수 저장조를 포함하되 역세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역세수조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여과조 외부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초기 우수발생시 초기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여과조와 침전조 등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도록 작동시켜 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수시키면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
이 중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에 쓸려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은 공공 수역으로 유입되어 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한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정화 및 정수 과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초기우수에 내포된 비점오염원을 여과시켜 저감시키는 것으로, 대략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장치형 등 다양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등이 있으며, 이들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각각 장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 저류형은 설비면적이 크게 요구되는 점에서 도심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어, 도심지역에 적용되고 있는 초기우수 처리장치로서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와류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며, 이들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 초기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의 처리효율은 각 처리장치마다 일정한 효율을 가지나, 유량 및 농도 변화가 큰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에 대해 탄력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와류방식은 침전물질은 제거가 가능하나 부유물질의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강우로 인해 반응조 내조 초기 우수가 유입될 경우 그동안의 강우로 인해 축척된 침전물이 와류를 통해 재부상하여 반응조를 빠져나감에 따라 이로 인한 비점오염원을 내포하는 초기우수에 대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과방식은 와류방식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급속침전이 어렵기 때문에 장치의 소요용량이 크고, 초기우수가 유입될 때 기존의 침전물이 재부상하는 문제점이 여전하므로 이로 인해 비점오염원을 내포하는 초기우수에 대한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275호 2013.03.05.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로서,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제 1여과층을 역세하기 위한 역세관이 구비되어 있으나 제 1여과층을 구성하는 여재들이 서로 밀집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역세척 효과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여과조 등의 내부에 정체되는 여과층 상에 여과된 부유물질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이 내포된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여과조 등의 내부에 정체되는 여과층 상에 여과된 부유물질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이 내포된 정체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나 폐수저장조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역세척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275호 2013.03.05.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931호 2017.01.23.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7296호 2018.01.04.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유입 저류조, 침전조, 여과조, 역세수조, 우수 방류조 및 정체수 저장조를 포함하되 역세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역세수조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여과조 외부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역세척펌프와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되어,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우수발생시 초기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여과조와 침전조 등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도록 작동시켜 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수시키면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 저류조;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에 저류된 우수가 일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의 하단 일 측에 연통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와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는 초기우수유입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침전조 타 측 하부와 대향되는 일 측 하부에 여과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침전조로부터 이송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면서 상향 일정수위로 차오르게 하며,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일정거리에 걸쳐 우수가 차오르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사층이 구비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역세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며, 상기 역세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조로부터 여과처리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수위로 차오르는 역세수조; 상기 역세수조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역세수조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방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어, 상기 방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며,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바이패스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 방류조; 상기 침전조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 내부로부터 정체수이송배관이 연통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조의 정체수가 유입되며, 내부 일 측에 차량이송배관이 상향 연장설치되어 차량이송배관을 통해 차량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정체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체수 저장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역세척수를 상기 여과조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척수에 의한 상기 여과조와 침전조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를 상기 여과조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상기 여과조와 침전조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하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역세척수단은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침전조 내의 침전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이송배관을 거쳐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침전정체수 배수펌프와, 상기 침전조의 바닥 일 측에 하향 함몰되는 배수홈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홈 일 측으로부터 상기 여과조의 일 측 하단을 연통연결하는 여과정체수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정체수이송배관의 상기 침전조 측 단부에 형성된 체크밸브의 개방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여과조로부터 침전조 측으로 이송되는 여과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정체수 배수펌프와, 상기 침전조의 배수홈 내에 배치되며, 침전정체수와 여과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되도록 상기 침전조의 배수홈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가 작동되도록 하는 침전조수위센서와, 상기 침전조의 내부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되며,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시 상기 침전조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침전조 내의 역세척수 유입시 초과물량을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세척수위센서와, 상기 역세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조의 여과사층 하부에 구비되는 역세척수공급배관 측으로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연통연결되는 역세척수이송배관을 거쳐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 측으로 역세척을 위한 역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상기 여과조의 여과사층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 상측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가 공급되어 공급된 공기가 기포타입으로 상기 여과조의 여과사층 하부로부터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상향 부유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과,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역세송풍공기에 의해 상기 여과조의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되는 부유물질이 상기 여과조로부터 상기 침전조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단이 상기 여과조의 여과사층 상부 일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침전조의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며, 타 측의 단부에 선택적인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여과조로부터 침전조 측으로 부유물질이 안내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역세 부유물이송배관과, 상기 여과조와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과 에어이송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에어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 측으로 선택적인 역세송풍공기를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 및 상기 역세송풍기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수위센서와 역세척수위센서의 감지된 수위를 기준으로, 상기 역세송풍기, 역세척펌프, 여과정체수 배수펌프, 침전정체수 배수펌프, 역세 부유물이송배관의 체크밸브, 여과정체수이송배관의 체크밸브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은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에어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기와 연결되는 메인공급관 및 상기 메인공급관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통연결되어, 상기 역세송풍기의 구동시 상향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통한 여과처리과정은 강우시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로 유입된 우수가 초기우수유입배관을 거쳐 침전조로 이동하고, 상기 침전조로 이동된 우수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여과조이송배관을 거쳐 여과조로 이동하며, 상기 여과조로 이동된 우수는 여과사층을 거치면서 여과처리되어 역세수조이송배관을 거쳐 역세수조로 이동하고, 상기 역세수조로 이동된 우수는 방류조이송배관을 거쳐 우수 방류조로 이동하며, 우수 방류조로 유입된 침전 및 여과처리가 완료된 우수는 외부로 방류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은 상기 여과조와 침전조 내의 여과정체수와 침전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정체수 배출단계 및 역세수조의 역세척펌프 구동을 통한 역세척수를 이용하면서 역세척하여 역세척된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와, 역세송풍기의 구동을 통한 역세척송풍공기를 이용하면서 공기세척을 통해 역세척하여 역세척되면서 여과사층에 여과처리된 부유물질을 내포하는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로 이루어진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정체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침전조수위센서의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침전정체수 배수펌프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가 동시에 가동되되, 침전조수위센서의 최하지점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가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정지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여과조정체수이송배관의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여과조로부터 여과정체수가 침전조 측으로 자연 이송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의 제어를 통해 역세척펌프가 가동되어 역세척수의 공급을 5분에 걸쳐 실시된 후 역세척펌프가 정지되도록 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역세척수위센서에 의한 침전조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를 가동시켜 침전조 내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로 초과되는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역세송풍기가 가동되어 역세송풍기의 가동을 통해 5분간 역세송풍공기를 통한 공기세척이 실시된 후 역세송풍기가 정지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침전정체수 배수펌프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가 가동되어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과정 및 컨트롤박스의 전원이 오프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 저류조;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에 저류된 우수가 일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의 하단 일 측에 연통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와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는 초기우수유입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침전조 타 측 하부와 대향되는 일 측 하부에 여과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이송배을 통해 상기 침전조로부터 이송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면서 상향 일정수위로 차오르게 하며,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일정거리에 걸쳐 우수가 차오르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사층이 구비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역세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며, 상기 역세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조로부터 여과처리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수위로 차오르는 역세수조; 상기 역세수조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역세수조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방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어, 상기 방류조이송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며, 바이패스배관을 통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바이패스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 방류조; 상기 침전조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 내부로부터 이송배관이 연통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조의 정체수를 유입시킨 후 유입되는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하·폐수관거; 및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역세척수를 상기 여과조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척수에 의한 상기 여과조와 침전조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를 상기 여과조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상기 여과조와 침전조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하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유입 저류조, 침전조, 여과조, 역세수조, 우수 방류조 및 정체수 저장조를 포함하되 역세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역세수조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여과조 외부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역세척펌프와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되어,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우수발생시 초기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여과조와 침전조 등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도록 작동시켜 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수시키면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여과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역세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요부인 여과수조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여과처리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역세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요부인 여과수조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구성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강우시 초기우수를 유입시켜 침전과 여과처리 과정을 거쳐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되 초기우수의 처리 후에 정체수 및 기기에 대한 역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우수유입 저류조(100), 침전조(200), 여과조(300), 역세수조(400), 우수 방류조(500), 정체수 저장조(600) 및 역세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는 초기우수에 대한 내포된 비점오염원을 침전 및 여과처리할 수 있도록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조(200)는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에 저류된 우수가 일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의 하단 일 측에 연통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와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는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300)는 상기 침전조(200)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침전조(200) 타 측 하부와 대향되는 일 측 하부에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통해 상기 침전조(200)로부터 이송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면서 상향 일정수위로 차오르게 하며,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일정거리에 걸쳐 우수가 차오르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사층(310)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세수조(400)는 상기 여과조(300)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300)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며, 상기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통해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여과처리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수위로 차오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우수 방류조(500)는 상기 역세수조(400)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역세수조(400)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어, 상기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통해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며, 바이패스배관(100a)을 통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바이패스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체수 저장조(600)는 상기 침전조(200)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200) 내부로부터 정체수이송배관(600a)이 연통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조(200)의 정체수가 유입되며, 내부 일 측에 차량이송배관(610)이 상향 연장설치되어 차량이송배관(610)을 통해 차량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정체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역세척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역세척수를 상기 여과조(300)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척수에 의한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를 상기 여과조(300)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 특히 상기 역세척수단은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와, 침전조수위센서(730)와, 역세척수위센서(740)와, 역세척펌프(750)와,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과, 역세 부유물이송배관(820)과, 역세송풍기(830) 및 컨트롤박스(8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는 상기 침전조(200)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침전조(200) 내의 침전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이송배관(600a)을 거쳐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는 상기 침전조(200)의 바닥 일 측에 단이 지게 하향 함몰되는 배수홈(2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홈(21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여과조(300)의 일 측 하단을 연통연결하는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을 통해 상기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의 상기 침전조(200) 측 단부에 형성된 체크밸브(722)의 개방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침전조(200) 측으로 이송되는 여과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수위센서(730)는 상기 침전조(200)의 배수홈(210) 내부로부터 배수홈(210) 상부에 걸쳐 배치되며, 침전정체수와 여과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침전조(200)의 배수홈(210)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침전조수위센서(730)는 통상의 수위센서와 같이 감지된 수위를 후술될 컨트롤박스(840)로 전달하는 감지부(미부호) 및 상기 감지부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치되어 수위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부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침전조수위센서(730)는 센서부(미부호) 중 최하단에 배치된 센서부(미부호)에 의해 감지될 경우에 최하지점 감지를 인식하여 상기 컨트롤박스(840)로 감지된 상태를 상기 감지부(미부호)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역세척수위센서(740)는 상기 침전조(200)의 내부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되며,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시 상기 침전조(200)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침전조(200) 내의 역세척수 유입시 초과물량을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역세척수위센서(740)는 상기 침전조수위센서(730)와 마찬가지로서 통상의 수위센서와 같이 감지된 수위를 후술될 컨트롤박스(840)로 전달하는 감지부(미부호) 및 상기 감지부와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치되어 수위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상기 역세척수위센서(740)는 감지부(미부호) 및 단일의 센서부(미부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일의 센서부(미부호)는 침전조(200)의 내부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침전조(200)의 내부 수위에 대하여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센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역세척펌프(750)는 상기 역세수조(4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에 구비되는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측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연통연결되는 역세척수이송배관(751)을 거쳐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300) 측으로 역세척을 위한 역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역세척펌프(750)는 1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척수의 펌핑 용량을 고려하여 2개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은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상측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가 공급되어 공급된 공기가 기포타입으로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로부터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사층(310)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상향 부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역세 부유물이송배관(820)은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을 통해 공급된 역세송풍공기에 의해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상부로 부유되는 부유물질이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상기 침전조(200)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단이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상부 일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침전조(200)의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며, 타 측의 단부에 선택적인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여과조(300)로부터 침전조(200) 측으로 부유물질이 안내되도록 하는 체크밸브(82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세송풍기(830)는 상기 여과조(300)와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과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 측으로 선택적인 역세송풍공기를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840)는 상기 역세송풍기(830)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수위센서(730)와 역세척수위센서(740)의 감지된 수위를 기준으로, 상기 역세송풍기(830), 역세척펌프(750),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 역세 부유물이송배관(820)의 체크밸브(821),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의 체크밸브(722)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40)는 역세척수단에 대한 전체적인 역세척 작업을 진행시키기 위하여 제어를 하는 구성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역세척수단 중 하나의 구성인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은 특히, 메인공급관(811) 및 산기관(8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관(811)은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기(830)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산기관(812)은 상기 메인공급관(81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통연결되어, 상기 역세송풍기(830)의 구동시 상향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통한 여과처리과정은 먼저, 강우시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로 유입된 우수가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거쳐 침전조(200)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침전조(200)로 이동된 우수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거쳐 여과조(300)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된 우수는 여과사층(310)을 거치면서 여과처리되어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거쳐 역세수조(400)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역세수조(400)로 이동된 우수는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거쳐 우수 방류조(500)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우수 방류조(500)로 유입된 침전 및 여과처리가 완료된 우수는 외부로 방류된다.
물론,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로 우수의 유입시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배관(100a)을 통해 우수유입 저류조(100)로부터 일정수위 이상에 해당하는 우수에 대하여 상기 우수 방류조(500)로 바이패스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통한 여과처리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서의, 요부인 상기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은 크게 정체수 배출단계 및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체수 배출단계는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 내의 여과정체수와 침전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역세수조(400)의 역세척펌프(750) 구동을 통한 역세척수를 이용하면서 역세척하여 역세척된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와, 역세송풍기(830)의 구동을 통한 역세척송풍공기를 이용하면서 공기세척을 통해 역세척하여 역세척되면서 여과사층(310)에 여과처리된 부유물질을 내포하는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들로 이루어진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에서, 특히 상기 정체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침전조수위센서(730)의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동시에 가동되되, 침전조수위센서(730)의 최하지점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정지되는 과정 및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여과조정체수이송배관(721)의 체크밸브(722)가 개방되어 여과조(300)로부터 여과정체수가 침전조(200) 측으로 자연 이송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들로 이루어진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에서의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 중 우선적으로 진행되는 상기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역세척펌프(750)가 가동되어 역세척수의 공급을 5분에 걸쳐 실시된 후 역세척펌프(750)가 정지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다.
더욱이, 상기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역세척수위센서(740)에 의한 침전조(200)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를 가동시켜 침전조(200) 내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로 초과되는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에서의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 중 후 순위로 진행되는 상기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먼저, 첫 번째 과정으로,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역세송풍기(830)가 가동되어 역세송풍기(830)의 가동을 통해 5분간 역세송풍공기를 통한 공기세척이 실시된 후 역세송풍기(830)가 정지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두 번째 과정으로,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가동되어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세 번째인 마지막 과정으로, 컨트롤박스(840)의 전원이 오프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의하면, 우수유입 저류조, 침전조, 여과조, 역세수조, 우수 방류조 및 정체수 저장조를 포함하되 역세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역세수조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와, 여과조 외부로부터 여과조 내부의 여과사층 하측에 역세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역세척펌프와 역세송풍기를 포함하는 역세척수단이 적용되어, 역세척펌프의 역세척수에 의한 여과조, 침전조를 거친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역세송풍기의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여과조의 여과사층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여과사층 상부로 부유시켜 침전조를 거쳐 여과정체수 및 침전정체수와 함께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역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우수발생시 초기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여과조와 침전조 등에 대한 역세 처리가 되도록 작동시켜 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 측으로 배수시키면서 정체수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역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정체수 저장조(600) 대신에 하·폐수관거(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정체수 저장조(600) 대신에 하·폐수관거(미도시)가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폐수관거(미도시)는 침전조(200)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200) 내부로부터 이송배관(미도시)이 연통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조(200)의 정체수를 유입시킨 후 유입되는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와 같은 하·폐수관거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정체수 저장조(600)가 적용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정체수 저장조(600)에 유입되는 정체수에 대하여 차량이송배관(510)을 통해 차량으로 이송시켜 차량을 통해 슬러지 위탁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우수유입 저류조 100a: 바이패스배관
200: 침전조 210: 배수홈
200a: 초기우수유입배관 300: 여과조
310: 여과사층 300a: 여과조이송배관
400: 역세수조 400a: 역세수조이송배관
500: 우수 방류조 500a: 방류조이송배관
600: 정체수 저장조 600a: 정체수이송배관
610: 차량이송배관 710: 침전정체수 배수펌프
720: 여과정체수 배수펌프 721: 여과정체수이송배관
722: 체크밸브 730: 침전조수위센서
740: 역세척수위센서 750: 역세척펌프
751: 역세척수이송배관 753: 역세척수공급배관
810: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 811: 메인공급관
812: 산기관 820: 역세 부유물이송배관
821: 체크밸브 830: 역세송풍기
831: 에어이송배관 840: 컨트롤박스

Claims (9)

  1.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 저류조(100);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에 저류된 우수가 일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의 하단 일 측에 연통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와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는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200); 상기 침전조(200)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침전조(200) 타 측 하부와 대향되는 일 측 하부에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고, 상기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통해 상기 침전조(200)로부터 이송되는 우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면서 상향 일정수위로 차오르게 하며,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향 일정거리에 걸쳐 우수가 차오르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여과사층(310)이 구비되는 여과조(300); 상기 여과조(300)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조(300)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며, 상기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통해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여과처리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수위로 차오르는 역세수조(400); 상기 역세수조(400)의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역세수조(400)의 타 측 중앙부분과 대향되는 일 측 중앙부분에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통해 상호 연통연결되어, 상기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통해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유입되는 여과처리된 우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며, 바이패스배관(100a)을 통해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바이패스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 방류조(500); 상기 침전조(200)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200) 내부로부터 정체수이송배관(600a)이 연통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조(200)의 정체수가 유입되며, 내부 일 측에 차량이송배관(610)이 상향 연장설치되어 차량이송배관(610)을 통해 차량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정체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체수 저장조(600); 및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역세척수를 상기 여과조(300)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척수에 의한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를 상기 여과조(300) 내부 하측으로 공급시켜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의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하는 역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역세척수단은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되도록 한 후에 역세송풍공기에 의한 역세척이 시행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200)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침전조(200) 내의 침전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이송배관(600a)을 거쳐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상기 침전조(200)의 바닥 일 측에 하향 함몰되는 배수홈(2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홈(21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여과조(300)의 일 측 하단을 연통연결하는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을 통해 상기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의 상기 침전조(200) 측 단부에 형성된 체크밸브(722)의 개방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침전조(200) 측으로 이송되는 여과정체수를 펌핑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와,
    상기 침전조(200)의 배수홈(210) 내에 배치되며, 침전정체수와 여과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침전조(200)의 배수홈(210)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선택적으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작동되도록 하는 침전조수위센서(730)와,
    상기 침전조(200)의 내부 상하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되며, 역세척수에 의한 역세척시 상기 침전조(200)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상기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침전조(200) 내의 역세척수 유입시 초과물량을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세척수위센서(740)와,
    상기 역세수조(4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에 구비되는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측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연통연결되는 역세척수이송배관(751)을 거쳐 선택적으로 상기 역세수조(400)로부터 펌핑하여 상기 여과조(300) 측으로 역세척을 위한 역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역세척펌프(750)와,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상측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외부로부터 역세송풍공기가 공급되어 공급된 공기가 기포타입으로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하부로부터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여과사층(310)에 여과된 부유물질을 상향 부유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과,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을 통해 공급된 역세송풍공기에 의해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상부로 부유되는 부유물질이 상기 여과조(300)로부터 상기 침전조(200)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단이 상기 여과조(300)의 여과사층(310) 상부 일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침전조(200)의 일 측 중앙부분에 연통연결되며, 타 측의 단부에 선택적인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여과조(300)로부터 침전조(200) 측으로 부유물질이 안내되도록 하는 체크밸브(821)가 구비되는 역세 부유물이송배관(820)과,
    상기 여과조(300)와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며,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과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 측으로 선택적인 역세송풍공기를 이송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역세송풍기(830) 및
    상기 역세송풍기(830)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수위센서(730)와 역세척수위센서(740)의 감지된 수위를 기준으로, 상기 역세송풍기(830), 역세척펌프(750),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 역세 부유물이송배관(820)의 체크밸브(821), 여과정체수이송배관(721)의 체크밸브(722)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송풍공기공급배관(810)은 상기 역세척수공급배관(753)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에어이송배관(831)을 통해 상기 역세송풍기(830)와 연결되는 메인공급관(811) 및
    상기 메인공급관(81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연통연결되어, 상기 역세송풍기(830)의 구동시 상향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산기관(8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통한 여과처리과정은 강우시 상기 우수유입 저류조(100)로 유입된 우수가 초기우수유입배관(200a)을 거쳐 침전조(200)로 이동하고, 상기 침전조(200)로 이동된 우수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여과조이송배관(300a)을 거쳐 여과조(300)로 이동하며,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된 우수는 여과사층(310)을 거치면서 여과처리되어 역세수조이송배관(400a)을 거쳐 역세수조(400)로 이동하고, 상기 역세수조(400)로 이동된 우수는 방류조이송배관(500a)을 거쳐 우수 방류조(500)로 이동하며, 우수 방류조(500)로 유입된 침전 및 여과처리가 완료된 우수는 외부로 방류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수단을 통한 역세처리과정은 상기 여과조(300)와 침전조(200) 내의 여과정체수와 침전정체수를 정체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정체수 배출단계 및
    역세수조(400)의 역세척펌프(750) 구동을 통한 역세척수를 이용하면서 역세척하여 역세척된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와, 역세송풍기(830)의 구동을 통한 역세척송풍공기를 이용하면서 공기세척을 통해 역세척하여 역세척되면서 여과사층(310)에 여과처리된 부유물질을 내포하는 역세척 세척수를 배출하는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로 이루어진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침전조수위센서(730)의 최하지점 감지시까지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동시에 가동되되, 침전조수위센서(730)의 최하지점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정지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여과조정체수이송배관(721)의 체크밸브(722)가 개방되어 여과조(300)로부터 여과정체수가 침전조(200) 측으로 자연 이송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제1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를 통해 역세척펌프(750)가 가동되어 역세척수의 공급을 5분에 걸쳐 실시된 후 역세척펌프(750)가 정지되도록 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역세척수위센서(740)에 의한 침전조(200)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 감지시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를 가동시켜 침전조(200) 내의 중앙부분 이상의 수위로 초과되는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의 제2 역세척 세척수 배출단계는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역세송풍기(830)가 가동되어 역세송풍기(830)의 가동을 통해 5분간 역세송풍공기를 통한 공기세척이 실시된 후 역세송풍기(830)가 정지되는 과정과,
    컨트롤박스(840)의 제어에 의해 침전정체수 배수펌프(710)와 여과정체수 배수펌프(720)가 가동되어 역세척 세척수에 대하여 정체수 저장조(600)로 이송시키는 과정 및
    컨트롤박스(840)의 전원이 오프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9. 삭제
KR1020180167359A 2018-12-21 2018-12-21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97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9A KR101977960B1 (ko) 2018-12-21 2018-12-21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9A KR101977960B1 (ko) 2018-12-21 2018-12-21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960B1 true KR101977960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59A KR101977960B1 (ko) 2018-12-21 2018-12-21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91B1 (ko) 2019-10-15 2020-04-01 주식회사 고려산업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2397456B1 (ko) * 2021-04-07 2022-05-13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비점오염원 처리용 여과부 역세 방법
KR102481977B1 (ko) * 2022-03-16 2022-12-27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01B1 (ko) * 2005-12-29 2007-04-09 에레드 주식회사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42275B1 (ko) 2012-11-27 2013-03-11 (주)이앤씨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8043B1 (ko) * 2014-03-14 2016-04-01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700931B1 (ko)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725047B1 (ko) * 2016-10-14 2017-04-12 주식회사 기수환경테크놀로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1817296B1 (ko) 2017-08-11 2018-01-10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회전세척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01B1 (ko) * 2005-12-29 2007-04-09 에레드 주식회사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42275B1 (ko) 2012-11-27 2013-03-11 (주)이앤씨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8043B1 (ko) * 2014-03-14 2016-04-01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700931B1 (ko) 2015-12-15 2017-01-31 조성범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725047B1 (ko) * 2016-10-14 2017-04-12 주식회사 기수환경테크놀로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1817296B1 (ko) 2017-08-11 2018-01-10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회전세척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91B1 (ko) 2019-10-15 2020-04-01 주식회사 고려산업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2397456B1 (ko) * 2021-04-07 2022-05-13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비점오염원 처리용 여과부 역세 방법
KR102481977B1 (ko) * 2022-03-16 2022-12-27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960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9908067B2 (en) Floatables and scum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EP2929942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ables and scum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JPH0349607B2 (ko)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126049B1 (ko) 전처리 및 배출수 처리가 효율적인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막여과 시스템
KR102253591B1 (ko)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US20150182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backwash to clean a bar rack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KR102222106B1 (ko) 역세척 장치를 포함한 오염원처리장치
KR100635485B1 (ko)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75410B1 (ko)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KR10124839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
KR100869158B1 (ko)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102375964B1 (ko) 전처리 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원처리장치
KR20110043346A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US5302295A (en) Method of sludge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