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77B1 -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77B1
KR102481977B1 KR1020220033025A KR20220033025A KR102481977B1 KR 102481977 B1 KR102481977 B1 KR 102481977B1 KR 1020220033025 A KR1020220033025 A KR 1020220033025A KR 20220033025 A KR20220033025 A KR 20220033025A KR 102481977 B1 KR102481977 B1 KR 10248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level sensor
water level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3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30Devices providing a sequential discharge in sewer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우감지센서;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량계; 원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조 유입구, 정체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저면에 이격설치되고 원수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스크린,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거친 전처리수를 여과조로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전처리조 배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1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되는 전처리수가 여과수단 위로 월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벽,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전처리수가 상향류로 관류하여 내부에 충진된 여재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여과수단, 및 역세척을 위해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공기세척부 및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수세척부를 포함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를 거친 처리수를 수세척부로 공급하는 수중펌프,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2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처리수조; 및 상기 강우감지센서, 강우량계, 제1수위센서 및 제2수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체수의 수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ING APPARATUS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비점오염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세척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의 배출원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의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은 유출지점이 명확하여 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오폐수처리시설과 같이 관거 및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관계로 오염물질의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의 염려가 없으나, 반면에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발생원인이 인위적 및 자연적이고 배출지점이 불특정, 불명확하며, 희석 및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고,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곤란하며, 수집이 어렵고 처리효율이 일정치 않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
비점오염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 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월류되는 오수, 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과 아울러 생태계의 파괴를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수질오염원중 비점오염원이 42 ~ 6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65 ~ 7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수질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로는 강우유출수를 저류하여 침전시키는 저류시설과 지하로 침투시켜 토양의 여과, 흡착작용을 이용하는 침투시설 등의 자연형 시설이 있고, 여과재를 통하여 걸러내어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여과형 시설과 중앙의 와류형성으로 협잡물과 부유성 물질을 분리시키는 와류형 시설, 망의 여과·분리작용으로 비점오염물질을 줄이는 스크린형 시설과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등의 장치형 시설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의 시설은 자연형 시설의 경우 처리시설의 부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큰 관계로 토지매입에 있어 비용적인 면이나 구입에 어려운 점이 있고, 종래의 일반 장치형 시설은 초기우수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협잡물,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구와 여재를 코킹(cocking)하는 현상이 빈번하여 처리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이를 사전에 모니터링하는 것이 어려워 실제 코킹이 발생하는 경우 원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세척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강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우감지센서;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량계;
원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조 유입구, 정체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저면에 이격설치되고 원수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스크린,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거친 전처리수를 여과조로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전처리조 배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1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되는 전처리수가 여과수단 위로 월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벽,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전처리수가 상향류로 관류하여 내부에 충진된 여재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여과수단, 및 역세척을 위해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공기세척부 및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수세척부를 포함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를 거친 처리수를 수세척부로 공급하는 수중펌프,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2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처리수조; 및
상기 강우감지센서, 강우량계, 제1수위센서 및 제2수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체수의 수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는 격벽의 하단에 역지변이 형성되고,
상기 역세척 과정은 1단계로, 강우량계의 누적강우량이 5~15mm 감지되고, 제2수위센서가 "H(High)"로 감지되며, 강우감지센서에 의해 강우가 감지되지 않고 강우종료 후 48시간 경과한 것으로 모니터링제어부가 판단한 경우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제2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수위센서"M(Middle)" 까지 배수하되, 역지변을 통해 여과조의 수위를 "M"인 여재부 상단 5cm까지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4) 상기 (3)에 있어서,
제3단계로 모니터링제어부에 장착된 타이머 가동에 따라 공기세척부를 가동하여 공기세척을 실시하고, 제4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제1수위센서 "L(Low)" 까지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5) 상기 (4)에 있어서,
제5단계로, 수중펌프를 가동하여 제2수위센서가 "L"에 이르기까지 세척수를 여과조에 공급하여 수세척을 수행하고, 제6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제1수위센서가 "L(Low)" 까지 배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여재로 직경 3cm~5cm 규격의 구형 섬유볼이 채워지며, 상기 여재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비중 1.35~1.37, 겉보기 밀도 0.2~0.3g/㎤, 인장강도 0.2~0.3N/tex, 신도 47.0~47.5, 단위용적질량 60~65 kg/㎥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점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저감을 달성하면서, 역세척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비점오염저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비점오염저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역지변의 일 실시예로서 동작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와 연결된 모니터링제어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비점오염저감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역세척 과정의 절차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점오염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처리조(100), 여과조(200) 및 처리수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조(100)는 전처리조 유입부(110), 배수펌프(120), 스크린(130), 및 전처리수 배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조(100)에서는 원수 혹은 우수가 유입되어 1차적으로 비교적 큰 오염물질들이 사이즈 배제를 통해 제거되어지고 전처리수로 후단의 여과조(200)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펌프(120)는 전처리조(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정체된 원수를 정체수 배출관(P)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개의 경우 원수의 유입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여과조로의 흐름이 원활하여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으나, 스크린 혹은 전처리조 배출부가 막혀 있는 경우 혹은 다량의 원수가 일시에 유입되는 경우, 혹은 역세척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120)를 작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유입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수위센서(16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위센서(160)를 통해 전처리조의 원수 수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신호가 검출되면 배수펌프(120)를 작동시켜 원수를 배수부(121)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130)은 금속재질 혹은 합성수지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된 망목구조를 갖는 경사판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사이즈가 비교적 큰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상기 스크린(130)은 지지부재(131)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이상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전면, 혹은 측면에 형성된 스크린 유입구(132)를 통해 원수 혹은 우수가 유입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130)은 상부가 잘린 사각뿔의 형태로 4방향으로 전처리수가 경사판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공을 통과한 전처리수는 전처리수 공간부(140)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처리수 공간부(140)는 상판(141)에 의해 폐쇄되어 전처리수가 전처리조(100)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처리수가 여과조(200)의 상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처리수가 여과조(200)로 유입되도록 전처리수 배출부(142)가 격벽(19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처리수 배출부(142)가 스크린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해 배제된 오염물질이 후단의 여과조(200)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처리효율이 높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41)의 중앙에는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질을 함유한 원수 혹은 우수가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관통공(145)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관통공(145)은 전처리조(100)내에 유입된 원수가 스크린(130)의 아래에서 상방향으로 흐름을 만들거나, 혹은 그 반대로 위에서 하방으로 흐름을 만들어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상하관통공의 외주면에는 필터(143)가 둘러싸는 방식으로 더 장착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조(100)를 통과한 전처리수는 여과조(200)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각종 비점오염물질(유기물, 모래, 유지류, 각종 부유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차단벽(210)은 유입된 전처리수가 여과수단을 통과하지 않은 채 후단의 처리수조(3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210)은 후속하는 여과수단(220) 보다는 높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여과수단(220)은 판형상의 하부망(221)과 상부망(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여재로 직경 3cm~5cm 규격의 구형 섬유볼(223)이 채워진다. 상기 여재(223)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비중 1.35~1.37, 겉보기 밀도 0.2~0.3g/㎤, 인장강도 0.2~0.3N/tex, 신도 47.0~47.5, 단위용적질량 60~65 kg/㎥의 것으로 한다. 이러한 섬유볼은 경량, 고강도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변경가능한 미세기공이 많고 높은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여재(223)는 하부망(221)과 상부망(222) 사이의 여과공간을 전처리수가 유입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재(223)는 여과공간의 높이 50~100% 정도까지 충진되어진다.
상기 하부망(221)과 상부망(222)은 금속재질(예로, SUS) 혹은 합성수지의 망상 형태이며, 전처리수는 아래에서 위로 상향류 식으로 관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과수단(220)에서 코킹현상이 발생되거나 전처리수의 관통이 원활하지 않게 된 경우를 위해 이를 역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여과수단(220)의 하부에 공기세척부(230)를 두고, 상부에 수세척부(240)를 설치한다.
공기세척부(230)는 미세공기를 산기관(231) 및 노즐(232)을 통해 블로워(180)를 통해 분사하여, 하부망(221)을 막는 오염물질 내지 부상여재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1차적으로 공기세척을 수행한 후, 2차적으로 수세척을 수행한다. 역세척 실시 이전단계로, 준비단계를 두며, 바람직하게는 여재부 상단 5cm까지 정체수를 배수한다.
이와 함께 수세척부(240)는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부망(222)에 부착되어 막힌 오염물질을 하방으로 제거한다. 수세척부(240)는 수공급관(241) 및 노즐(2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세척부(240)에서 사용되는 물은 수중펌프(310)를 이용하여 처리수조(300)에 유입된 처리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처리조(100)와 여과조(200)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190)의 하단에 역지변(역류방지캡)(191)을 설치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지변(191)은 전처리조(100)의 수압이 여과조(200)의 수압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전처리조(100)의 수압이 낮을 경우 (b)와 같이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강우시에는 전처리조(100)의 수압이 여과조(200)보다 크므로 역지변(191)은 닫힘상태가 되고, 역세척과정에서는 전처리조의 수압이 작게 되어 여과조의 높은 수압에 의해 역지변이 개방되도록 하여 퇴적물의 준설 내지 정체수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여과조(200)를 통과한 처리수는 처리수조(300)로 유입되어 처리수 유출부(32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세척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처리수를 여과조(200)로 보내기 위해 수중펌프(310)를 처리수조(300)의 저면에 설치하고, 수중펌프(310)는 처리수를 수세척부(2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조(300)내에 처리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수위센서(33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 높은 역세척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역세척은 바람직하게는 강우종료 48시간 이후 내지 누적강우량 10mm 이상일 경우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역세척에 소요되는 시간은 30~40분 정도이며, 1회 실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를 구성하는 모니터링제어부(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우감지센서(410) 및 강우량계(42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수위센서(160) 및 제2수위센서(330) 역시 모니터링제어부(400)에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역세척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계로, 강우량계(420)의 누적강우량이 10mm 감지되고, 제2수위센서(330)가 "H(High)"로 감지되며, 또한 강우감지센서(410)에 의해 강우가 감지되지 않고 강우종료 후 48시간 경과한 것으로 모니터링제어부(400)가 판단한 경우 개시된다.
2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120)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수위센서(160) "M(Middle)" 까지 배수한다. 이때, 역지변(191)을 통해 여과조(200)의 수위를 "M"인 여재부 상단 5cm까지 배수한다.
3단계로 모니터링제어부(400)에 장착된 타이머 가동에 따라 공기세척부(230)를 가동하여 공기세척을 실시한다.
4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120)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수위센서 "L(Low)" 까지 배수한다.
5단계로, 수중펌프(310)를 가동하여 제2수위센서가 "L"에 이르기까지 세척수를 여과조(200)에 공급하여 수세척을 수행한다.
6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120)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수위센서(160) "L(Low)" 까지 배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링제어부(400)는 강우감지센서(410)로부터 역세척 수행 중 강우가 감지되면 역세척 과정은 중지되고, 강우량계(420)로부터 누적강우량이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역세척 과정을 개시하여 불필요한 역세척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저감을 달성하면서, 역세척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처리조
110: 전처리조 유입구
120: 배수펌프
130: 스크린
140: 전처리조 배출구
180: 블로워
190: 격벽
191: 역지변
200: 여과조
210: 차단벽
220: 여과수단
230: 공기세척부
240: 수세척부
300: 처리수조
310: 수중펌프
320: 처리수 유출부
400: 모니터링제어부
500: 모니터링서버

Claims (6)

  1. 강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우감지센서;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량계;
    원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조 유입구, 정체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저면에 이격설치되고 원수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스크린,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거친 전처리수를 여과조로 가이드하여 배출하는 전처리조 배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1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되는 전처리수가 여과수단 위로 월류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벽,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전처리수가 상향류로 관류하여 내부에 충진된 여재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여과수단, 및 역세척을 위해 상기 여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공기세척부 및 상기 여과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여재를 세척하는 수세척부를 포함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를 거친 처리수를 수세척부로 공급하는 수중펌프,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부, 및 수위제어를 위한 제2수위센서를 포함하는 처리수조; 및
    상기 강우감지센서, 강우량계, 제1수위센서 및 제2수위센서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체수의 수위를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처리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는 격벽의 하단에 역지변이 형성되고,
    상기 역세척 과정은 1단계로, 강우량계의 누적강우량이 5~15mm 감지되고, 제2수위센서가 "H(High)"로 감지되며, 강우감지센서에 의해 강우가 감지되지 않고 강우종료 후 48시간 경과한 것으로 모니터링제어부가 판단한 경우 개시되며,
    제2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제1수위센서"M(Middle)" 까지 배수하고, 역지변을 통해 여과조의 수위를 "M"인 여재부 상단 5cm까지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3단계로 모니터링제어부에 장착된 타이머 가동에 따라 공기세척부를 가동하여 공기세척을 실시하고, 제4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제1수위센서 "L(Low)" 까지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제5단계로, 수중펌프를 가동하여 제2수위센서가 "L"에 이르기까지 세척수를 여과조에 공급하여 수세척을 수행하고, 제6단계로 전처리조 정체수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정체수를 배수하되, 제1수위센서가 "L(Low)" 까지 배수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로 직경 3cm~5cm 규격의 구형 섬유볼이 채워지며, 상기 여재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비중 1.35~1.37, 겉보기 밀도 0.2~0.3g/㎤, 인장강도 0.2~0.3N/tex, 신도 47.0~47.5, 단위용적질량 60~65 kg/㎥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20220033025A 2022-03-16 2022-03-16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248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025A KR102481977B1 (ko) 2022-03-16 2022-03-16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025A KR102481977B1 (ko) 2022-03-16 2022-03-16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77B1 true KR102481977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025A KR102481977B1 (ko) 2022-03-16 2022-03-16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75B1 (ko) * 2014-09-29 2015-03-02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653780B1 (ko) * 2016-01-26 2016-09-06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977960B1 (ko) * 2018-12-21 2019-05-15 청야환경산업 주식회사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093077B1 (ko) * 2019-10-20 2020-03-24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처리효율이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75B1 (ko) * 2014-09-29 2015-03-02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653780B1 (ko) * 2016-01-26 2016-09-06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977960B1 (ko) * 2018-12-21 2019-05-15 청야환경산업 주식회사 역세척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093077B1 (ko) * 2019-10-20 2020-03-24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처리효율이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US6315897B1 (en) Rain water run-off filtering system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2248461B1 (ko) 자동 역세척 시스템을 갖는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2227443B1 (ko) 관형필터를 이용한 십자류여과방식의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2093077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942685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906937B1 (ko) 비점 오염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20160028071A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2481977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비점오염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