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834B1 -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834B1
KR101977834B1 KR1020170115075A KR20170115075A KR101977834B1 KR 101977834 B1 KR101977834 B1 KR 101977834B1 KR 1020170115075 A KR1020170115075 A KR 1020170115075A KR 20170115075 A KR20170115075 A KR 20170115075A KR 101977834 B1 KR101977834 B1 KR 101977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mmand
battery
input
imag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414A (ko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8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Abstract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은, 엑스선 촬영 시 충전기로부터 생성되는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가능 한 본체에 장착되는 엑스선 소스; 엑스선 소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및 엑스선 조사 시,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대상체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 장치이다.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검출기가 일정 공간에 고정되어 있어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해 환자가 엑스선 영상 장치가 위치하는 검사실로 이동하고, 장치에 맞게 몸을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이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 장치로 촬영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mobile x-ray imaging apparatus)가 개발되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는 이동 가능한 본체에 엑스선 소스가 장착되고, 휴대용 엑스선 검출기(portable x-ray detec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환자를 직접 찾아가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시 충전기로부터 생성되는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가능 한 본체에 장착되는 엑스선 소스; 엑스선 소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및 엑스선 조사 시,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전원의 공급경로와 충전전원의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형성할 수 있다.
충전전원의 공급경로 상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충전기를 대기모드로 변환시켜,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충전기는 대기모드에서 충전전원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준비(ready)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받으면,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본체, 본체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에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 시, 엑스선을 조사할 것인지 결정하고, 상기 엑스선을 조사할 경우, 배터리에 충전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동작전원의 공급경로와 충전전원의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형성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충전전원의 공급경로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에 충전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에 충전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충전기를 대기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대기모드에서 충전전원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을 조사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입력부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ready)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결정할 수 있다.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엑스선 촬영 시 충전기로부터 생성되는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충전기의 과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고, 도 1b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다.
도 2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d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6c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8b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9c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고, 도 1b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도이다.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11)와 엑스선 검출기(13)가 일정 공간 상에 고정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소스(11)는 검사실의 천정에 장착된 암(12)에 연결되고, 엑스선 검출기(13)는 검사실의 바닥에 고정된 하우징(15)에 연결된다. 엑스선 소스(11)에 연결된 암(12)이 연장 가능하게 구현되어 엑스선 소스(11)는 지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엑스선 검출기(13) 역시 하우징(15)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10)는 엑스선 소스(11)와 엑스선 검출기(13)가 미리 정해진 일정 공간 내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는 엑스선 소스(111)와 엑스선 검출기(30)가 모두 3차원의 임의의 공간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엑스선 소스(111)는 이동 가능한 본체(110)에 지지 암(111a)을 통해 장착되고, 지지 암(111a)은 지지 프레임(111b)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111b)은 본체(11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암(111a)은 회전이 가능하고 기울기를 바꿀 수 있어, 엑스선 소스(111)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에는 휴대용 엑스선 검출기(30)가 사용되므로, 엑스선 검출기(30) 역시 3차원 공간 상의 임의의 위치에 꿀일 수 있다.
도 2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얇은 화살표는 제어의 흐름이고, 굵은 화살표는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는 엑스선 소스(111), 제어부(112) 및 배터리(113)를 포함하는 본체(110), 엑스선 검출기(30), 충전기(120) 및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1)는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얻기 위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 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1)는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며,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기(30)는 엑스선 소스(111)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기(30)는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발생한 신호를 서로 송수신 할 수도 있으나, 케이블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엑스선 디텍터는 필름 방식 카세트(cassette), cr(Computed Radiography) 방식 카세트, DR(Digital Radiography) 방식 카세트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12)는 본체(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엑스선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 엑스선 소스(111)를 제어할 수 있고, 엑스선 검출기(3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이 유입되지 않도록  배터리(113)의 충전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배터리(113)는 본체(110), 특히 엑스선 소스(111)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동작전원이란 배터리(113)가 생성하는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와 달리, 원하는 곳으로 장치를 이동시켜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는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위해 배터리(113)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배터리(113)는 리튬 폴리머 전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113)는 본체(11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본체(110)의 외부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113)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충전기(120)는 배터리(113)가 충전되도록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충전전원은 충전기(120)가 생성하는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충전기(120)는 전원공급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전달받은 전원을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장치 내부의 연산에 따라 제어하여 배터리(113)에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를 이용하여 대상체(3)의 진단을 수행하는 자로서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를 사용하는 자이면 모두 사용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충전기(12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장치 내부 연산에 따라 충전모드와 대기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충전모드 시 충전기(120)는 배터리(113)가 충전되도록 충전전원을 본체(1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대기모드 시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본체(110)로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3)가 방전된 경우 사용자는 충전기(120)를 충전모드로 설정하여 배터리(113)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113)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하여 더 이상 충전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와 같이 배터리(113)와 충전기(120)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의 경우, 배터리(113)의 충전 중 엑스선 촬영을 진행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3b 는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되지 않을 때 엑스선을 조사하는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에 사용되는 배터리(113) 용량은 288V7Ah로, 이는 288V-7A를 일정하게 사용할 때 1시간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일반적인 엑스선 소스(111)는 32KW의 소비전력을 가진다.
32KW의 소비전력을 가지는 엑스선 소스(111)에 288V7Ah 용량의 배터리(113)로부터 288V의 전압이 공급되면, 엑스선 소스(111)에는 최대 111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b와 같이 배터리(113)가 공급하는 동작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흐르는 경로를 동작전원 공급경로라 한다.
도 3a는 엑스선을 조사하지 않을 때 배터리의 충전 중인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288V7Ah 배터리(113)의 충전을 위해 288VDC를 출력하는 충전기(120)는 일정하게 1.7A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충전기(120)는 충전모드와 대기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충전모드 시 288VDC의 전압과 1.7A의 전류를 일정하게 공급하고, 대기모드 시에는 충전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와 같이 충전기(120)가 공급하는 충전전원이 배터리(113)로 흐르는 경로를 충전전원 공급경로라 한다.
도 3c는 배터리의 충전 중 엑스선을 조사하는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도 3a와 3b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동작전원과 충전전원은 별개의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된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는 동작전원 공급경로와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동일한 노드(node)상에 존재하게 된다. 즉, 도 3c와 같이 동작전원의 공급경로와 충전전원의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충전과 동시에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전원 공급경로와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를 형성하므로, 동작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고, 충전전원이 동작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흐를 수도 있다. 이 때, 엑스선 소스(111)가 엑스선을 조사하고자 하면 동작전원의 공급이 요구되는데, 충전기(120)의 전압이 배터리(113)의 전압보다 높아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충전기(120)에서 발생한 충전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진행하다 노드에서 동작전원 공급경로로 진행방향을 바꾸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배터리(113)를 충전할 때 충전기(120)가 출력하는 충전전류가 1.7A인데 비해, 엑스선 소스(111)가 엑스선을 조사할 때 필요한 최대 동작전류는 111A이다. 즉, 충전전류보다 엑스선 소스(111)에 흐르는 최대 동작전류는 약 65배 더 크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시에는 충전기(120)가 평소보다 약 65배 더 큰 충전전류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충전기(12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충전 중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여, 엑스선 소스(111)가 배터리(113)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제어부(112)는 충전기(120)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충전기(120)는 충전모드와 대기모드를 가지는데, 이를 이용하면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는 엑스선 조사 시와 그렇지 않을 때를 구분하여 충전기(120)의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스선을 조사하기 전 배터리(113)를 충전하기 위해서,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충전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기 전 엑스선을 조사하고자 하면, 제어부(112)는 먼저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가 종료되면, 다시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충전모드로 변환하여 배터리(113)를 재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12)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30)가 입력받는 명령으로는 엑스선 조사 준비(ready)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엑스선 영상 장치의 촬영을 위해 입력부(130)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촬영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하여 엑스선 소스(111)가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스위치, 키보드, 트랙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 페달(foot pedal)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엄지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핸드 스위치(hand switch)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30)는 위의 나열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130)가 핸드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는 핸드 스위치를 통해 준비 명령 및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와 같이 입력부(130)는 파지부(131)와 버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핸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원기둥 형상의 파지부(131)와 그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부(131)를 통해 입력부(130)를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부(131)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30)를 파지하면,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버튼부(132)에 압력을 가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사용자는 버튼부(132)에 제 1 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제 1 명령이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사용자는 버튼부(132)에 제 2 임계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미리 정해진 제 2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제 2 명령이란 엑스선 조사 명령일 수 있다.
도 4b와 도 4c를 참조하면, 제 1 임계 압력은 제 2 임계 압력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1 명령의 입력이 필수적일 수 있다. 제 2 임계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려면 먼저 제 1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입력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제 1 명령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고 제 2 명령이 엑스선 조사 명령이라면, 엑스선 조사 명령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의 입력 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엑스선의 조사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 뿐만 아니라, 충전기(120)의 모드를 변환하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명령이 엑스선 조사 명령일 뿐만 아니라 충전기(120)의 대기모드 변환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5d의 좌측은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5d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도 5a부터 5d는 발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임을 전제로 이하 설명한다.
도 5a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아무런 명령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113)의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13)의 충전이 진행중이므로 충전기(120)는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a의 좌측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으며, 압력을 가하지 않았다는 것은 제 1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무런 입력이 없이 배터리(113)의 충전이 진행 중이므로, 충전기(120)는 충전모드 상태에 있으며, 도 5a의 우측과 같이 충전기(120)로부터 충전전원이 배터리(113)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경로가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된다.
도 5b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충전전류의 제어없이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경우, 도 3b의 경우처럼 충전전류가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될 수 있고, 이 때 과전류가 흘러 충전기(12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전에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충전전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5b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제 1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 1 명령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일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은 엑스선의 조사 전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가 엑스선을 조사하는데 최적의 조건이 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2)는 이러한 명령에 따라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충전기(120)는 충전모드에서 충전전원을 생성하고, 대기모드에서 충전전원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하면, 도 5b의 우측과 같이 충전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아직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동작전원도 공급되지 않는다.
실제로 엑스선 소스(111)가 동작하지 않지만,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면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될 것에 대비하여 제어부(112)는 사전에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전환시키고 충전기(120)의 과부하를 막게 된다.
도 5c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c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제 2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제 1 명령을 먼저 입력해야만 하므로, 도 5b의 상태에서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엑스선이 조사될 때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113)가 동작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동작전원은, 도 5c와 같이, 배터리(113)로부터 엑스선 소스(111)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동작전원이 이동하는 경로가 동작전원 공급경로일 수 있다.
도 5c의 우측을 참조하면, 충전기(120)는 대기모드이므로 충전전원을 생성하지 않는다.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될 때 충전기(120)의 과부하가 문제되나, 충전기(120)가 충전전원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d는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을 조사한 후, 다시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d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더 이상 압력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더 이상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엑스선 소스(111)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배터리(113)를 충전하기위해 충전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충전기(120)에 과부하가 걸릴 위험이 없다.
따라서, 도 5d의 우측과 같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다시 배터리(113)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충전전원은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배터리(113)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를 일련의 과정으로 보았을 때, 사용자가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압력을 가하였다가 압력을 제거함에 따라 충전기(120)가 충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환되었다가 다시 충전모드로 변환되게 된다.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하는 것은 엑스선 조사시에 엑스선 소스(111)로 충전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엑스선 조사 전단계인 엑스선 촬영 준비 단계에서 미리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이처럼,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어 충전기(120)가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추후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만으로 충전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배터리(113) 충전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6c의 좌측은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6c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도 6a부터 6c는 발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임을 전제로 이하 설명한다.
도 6a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충전 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에 대하여, 도 6a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제 1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 1 명령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일 수 있다.
도 6a의 우측을 참조하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에 따라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대기모드로 변환된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의 생성을 중단하여 더 이상 배터리(113)를 충전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 엑스선을 조사하지 않음에도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이유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면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2)는 다시 배터리(113)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120)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6b는 충전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대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흐른 후를 예시하고 있다.
도 6b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버튼부(132)에 지속적으로 제 1 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제 1 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하는 것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지속적으로 대기모드로 변환하여 충전전원의 생성을 차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이상 충전기(120)를 대기모드로 유지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통상적으로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하거나 장치 내부의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b의 우측을 참조하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후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대기모드에서 충전모드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 결과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배터리(113)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3)의 충전을 재시작 할 수 있다.
도 6c는 충전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제거한 후를 예시하고 있다.
도 6c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하지 않고,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는 순간, 제어부(112)는 충전기(120)를 대기모드에서 충전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b에서 이미 충전기(120)는 충전모드로 전환되어 배터리(113)를 재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더라도 충전기(120)의 모드가 변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c의 우측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는 것과 무관하게, 제어부(112)는 충전기(120)의 모드를 변환하지 않는다. 도 6b의 단계에서 이미 제어부(112)가 충전기(120)를 대기모드에서 충전모드로 변환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충전기(120)의 모드를 변환함이 없이 현재의 충전모드를 유지시켜, 충전기(120)가 배터리(113)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와는 달리,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에서 얇은 화살표는 제어의 흐름이고, 굵은 화살표는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엑스선 소스(111), 제어부(112) 및 배터리(113)를 포함하는 본체(110), 엑스선 검출기(30), 입력부(130) 및 충전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치(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엑스선 영상장치의 구성에서 스위치(114)가 더 포함된 형태이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어부(112)가 스위치(114)를 제어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치(114)는 충전기(120)에서 생성된 충전전원이 배터리(113)로 공급되는 충전전원 공급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충전전원 공급경로 중에서 충전기(120)와 충전기(120)로부터 가장 인접한 노드 사이에 스위치(114)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되지 않도록 스위치(114)가 마련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도 7에서는 스위치(114)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충전기(120)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스위치(114)가 충전전원 공급경로 상에 마련된다면,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스위치(114)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스위치(114)가 온 상태에서는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연결 할 수 있고, 오프 상태에서는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단절 시킬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단절 시키기 위해, 스위치(114)는 물리적인 연결을 단절시키거나 전자적인 제어를 통해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스위치(114)가 오프 상태에서 충전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통해 배터리(113) 및 엑스선 소스(111)로 전달되지 않으면 충분하다.
제어부(112)는 충전시에는 스위치(114)를 온(ON)시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연결시키고, 엑스선 조사시에는 스위치(114)를 오프(OFF)시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8b를 참조하여,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이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8b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8d의 좌측은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8d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도 8a부터 8d는 발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임을 전제로 이하 설명한다.
도 8a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아무런 명령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13)의 충전이 진행중이므로 충전기(120)는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a의 좌측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으며, 압력을 가하지 않았다는 것은 제 1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온 시켜, 충전기(120)에서 생성되는 충전전원이 배터리(11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온 시킴으로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전원 공급경로란 충전전원이 공급되는 경로로 도 8a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을 의미한다.
스위치(114)를 통해 연결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충전기(120)로부터 발생된 충전전원은 배터리(113)로 전달될 수 있다.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태이므로 충전모드일 수 있다.
도 8b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충전전류의 제어없이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경우, 충전기(12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전에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입력에 따라 충전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도 8b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제 1 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8b의 우측과 같이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차단되고, 따라서 배터리(113)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아직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동작전원도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5a 내지 5d와는 달리,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충전기(120)의 과부하를 막는 경우에는 충전기(120)의 모드를 제어할 필요가 없다. 도 8b와 같이, 충전기(120)가 충전모드여서 충전전원이 생성되더라도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엑스선 소스(111)가 동작하지는 않지만, 추후 엑스선을 조사할 개연성이 높으므로,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면 스위치(114)를 오프시키게 되며, 도 5b의 경우와 목적이 같다.
도 8c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c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기 위해서는 먼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어야 하므로, 도 8b의 상태에서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8c의 우측을 참조하면, 충전기(120)는 충전모드이므로 충전전원을 계속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114)가 오프상태에 있으므로,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단절되어 충전전류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한다.
대신, 엑스선 소스(111)가 동작할 수 있도록 배터리(113)에서 동작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다. 동작전원은 도 8c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을 따라 진행하여 엑스선 소스(111)에 공급되며, 이 경로는 동작전원 공급경로일 수 있다.
충전기(120)가 생성하는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에 공급될 때 충전기(120)의 과부하가 발생하므로,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단절시킴으로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d는 엑스선 소스가 엑스선을 조사한 후, 다시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d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더 이상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도 8d의 우측과 같이,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다시 배터리(113)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충전전원은 도 8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배터리(113)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를 일련의 과정으로 보았을 때, 사용자가 입력부(130)의 버튼부(132)에 압력을 가하였다가 압력을 제거함에 따라 스위치(114)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가 되었다가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된다. 스위치(114)를 오프시키면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단절되어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엑스선 소스(111)가 엑스선을 조사할 때만, 스위치(114)를 오프시켜 충전전원이 엑스선 소스(11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도 5a 내지 5d와는 달리, 스위치(114)를 이용할 경우에는 충전기(120)의 모드제어가 필요없다. 충전기(120)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IO 핀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114)를 설치할 경우, 충전기(120)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단순히 충전전원 공급경로 상에 스위치(114)를 설치하여, 제어부(112)가 스위치(114)를 온/오프 시킬수만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엑스선 소스(111)에 충전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경우에도, 제어부(112)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배터리(113)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일련의 제어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9c의 좌측은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9c의 우측에서 빗금 친 영역은 전원의 공급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도 9a부터 9c는 발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임을 전제로 이하 설명한다.
도 9a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충전 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대하여, 도 9a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9a의 우측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에 따라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오프시킬 수 있다. 스위치(114)가 오프되면,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차단될 수 있고, 그 결과 충전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충전전원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충전전원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배터리(113)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9b는 충전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대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흐른 후를 예시하고 있다.
도 9b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제어부(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위치(114)를 오프시켜야 한다. 그러나,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이상 충전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 통상적으로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하거나 장치 내부의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9b의 우측을 참조하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후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온 시켜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다시 연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충전기(120)로부터 생성된 충전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배터리(113)에 공급됨으로써 배터리(113)의 충전을 재시작 할 수 있다.
도 9c는 충전중의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제거한 후를 예시하고 있다.
도 9c의 좌측과 같이,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하지 않고,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는 순간,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하지만 도 9b에서 이미 스위치(114)는 온 상태로 변환되었으므로,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더라도 스위치(114)의 상태는 변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c의 우측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제거하는 것과 무관하게, 제어부(112)는 스위치(114)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단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기(120)에서 생성된 충전전원이 안정적으로 배터리(113)에 공급되어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의 흐름도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전제로 한다.
먼저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한다.(3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충전기(120)를 충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충전기(120)는 충전모드에서 충전전원을 생성하므로, 충전기(120)로부터 충전전원이 배터리(113)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113)의 충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310)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면, 뒤이어 엑스선이 조사될 개연성이 높으므로 충전기(120)의 과부하를 차단할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충전기의 과부하를 차단하기위해 충전기를 대기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320) 충전기(120)에서 지속적으로 충전전원이 생성될 경우, 추후 엑스선 조사시 엑스선 소스(111)로 충전전원이 유입될 수 있고, 그 결과 충전기(120)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전기(120)를 충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환하여 충전전원의 생성을 중지시킬 수 있다.
충전기가 대기모드로 변환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t0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330)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스위치(114)를 오프 시키는 것은, 추후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될 것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이후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t0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면, 엑스선 소스(111)는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340) 엑스선을 더 조사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여,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면 반복하여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t0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거나, 엑스선을 충분히 조사하였다고 판단(350)되면, 충전기를 다시 충전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360) 충전기(120)의 과부하는 엑스선 조사시에 발생하므로, 엑스선 조사가 종료되었거나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 배터리(113)의 충전을 진행하여도 엑스선의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충전기가 충전모드로 변환되면, 충전기는 다시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 할 수 있다.(370) 배터리(113)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배터리(113)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120)는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충전전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의 흐름도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전제로 한다.
도 10과 같이, 먼저 배터리의 충전을 시작한다.(400) 구체적으로 충전기(120)로부터 생성된 충전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배터리(113)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113)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410)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엑스선 조사가 예상되므로, 충전기(120)의 과부하를 차단할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충전기의 과부하를 차단하기위해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420) 이 때, 스위치(114)는 충전전원 공급경로상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충전전원 공급경로 중에서 충전기(120)와 충전기(120)로부터 가장 인접한 노드 사이에 스위치(114)가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114)가 오프되면 충전전원 공급경로는 단절된다. 그 결과 충전기(120)로부터 생성된 충전전원이 충전전원 공급경로를 따라 진행하지 못하고, 배터리(113)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스위치가 오프 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t0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430)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배터리(113)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것이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미리 정해진 시간 t0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면, 엑스선 소스는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440) 엑스선을 더 조사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여,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면 반복하여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t0 내에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거나, 엑스선을 충분히 조사하였다고 판단(450)되면, 스위치를 다시 온 시킬 수 있다.(460) 엑스선 조사가 종료되었거나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 배터리(113)의 충전을 진행하여도 엑스선의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위치가 다시 온 되어 충전전원 공급경로가 연결되면, 충전기는 다시 충전전원을 생성하여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 할 수 있다.(470) 배터리(113)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기(120)는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배터리(113)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120)는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충전전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음은 도 10과 동일하다.
110 : 본체
111 : 엑스선 소스
112 : 제어부
113 : 배터리
114 : 스위치
120 : 충전기
130 : 입력부

Claims (18)

  1. 제 1 명령, 및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된 후 입력 가능한 제 2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충전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고,
    상기 제 2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엑스선 소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경로와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형성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원이 상기 노드를 거쳐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 상에 마련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를 차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대기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충전기; 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대기모드로 설정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충전모드로 설정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 2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10. 제 1 명령, 및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된 후 입력 가능한 제 2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충전전원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명령이 입력되면,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엑스선 소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경로와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가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형성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원이 상기 노드를 거쳐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 상에 마련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상기 충전전원의 공급경로를 차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충전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고, 대기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충전기; 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대기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충전기를 충전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령이 입력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 2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충전을 재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15075A 2017-09-08 2017-09-08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75A KR101977834B1 (ko) 2017-09-08 2017-09-08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75A KR101977834B1 (ko) 2017-09-08 2017-09-08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96A Division KR101780478B1 (ko) 2013-10-25 2013-10-25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14A KR20170107414A (ko) 2017-09-25
KR101977834B1 true KR101977834B1 (ko) 2019-08-28

Family

ID=6003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75A KR101977834B1 (ko) 2017-09-08 2017-09-08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914B1 (ko) * 2018-07-23 2020-12-04 박현민 엑스선(x-선) 조사부와 디스플레이장치 및 운영체제를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일체로 형성된 포터블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912A (ja)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10170102A (ja) * 2008-12-26 2010-08-05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14196959A (ja) 2013-03-29 2014-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907A (en) * 1987-08-07 1989-01-10 Diasonics Inc. Battery enhanced power generation for mobile X-ray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912A (ja)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10170102A (ja) * 2008-12-26 2010-08-05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14196959A (ja) 2013-03-29 2014-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14A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586B2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609863B2 (ja) 放射線画像検出システム
US20160345920A1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assette
JP2002336227A (ja) X線装置
JP2016028628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2029889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US20170215832A1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KR101977834B1 (ko)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14035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KR101833339B1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264000A (ja) 放射線画像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170081882A (ko) 실시간 정보 제공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촬영 장치
US20210227675A1 (en) X-ray apparatus
JP6794637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584555B2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19661A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画像検出システム
JP5728897B2 (ja) 充電システム
JP7444326B1 (ja) 移動型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6378524B2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39431B2 (ja) 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方法、移動式放射線発生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JP5665406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23084544A (ja) 医用画像診断装置、x線ct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4022712A1 (en) Mobile radiography apparatus having multiple power supplies
EP2659836A1 (en) Solar powered wireless control device for medical imaging system
JP2023087712A (ja)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