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142B1 -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142B1
KR101977142B1 KR1020180164642A KR20180164642A KR101977142B1 KR 101977142 B1 KR101977142 B1 KR 101977142B1 KR 1020180164642 A KR1020180164642 A KR 1020180164642A KR 20180164642 A KR20180164642 A KR 20180164642A KR 101977142 B1 KR101977142 B1 KR 10197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plate
head
tray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홍승현
Original Assignee
김기종
홍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종, 홍승현 filed Critical 김기종
Priority to KR102018016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Landscapes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 검사 유닛을 이용하여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비전 검사에 따라 제1순의 마킹 대상체 상의 마킹 영역에 마킹 헤드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순의 마킹 대상체의 마킹을 시작으로 해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에 순차적으로 마킹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 유닛 상에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제품에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MARKING DEVICES FOR INDUSTRIAL PRODUCTS}
본 발명은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및 각종 전자부품 표면의 마킹 영역을 인식해서 해당 마킹 영역에 시리얼 넘버 등을 자동으로 마킹하는 산업용 마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 등을 종이 위에 인쇄하는 일반 프린터와 비교하여 산업용 프린팅은 프린팅 대상, 프린팅 내용, 프린팅 면적 등이 일반 프린터에 의한 프린팅과 구별된다. 산업용 프린터는 주로 제품의 표면, 라벨, 영수증, 직물 등과 같은 대상체에 비교적 좁은 범위의 시리얼 넘버, 바코드, 큐알코드 등을 프린트하거나, 직물 또는 전사 용지와 같이 프린팅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산업용으로 생산되는 제품 표면에 시리얼 번호 등을 인쇄 또는 마킹하기 위하여, 핸디형 프린터가 주로 사용되었다. 즉 사람이 핸디형 프린터를 손에 들고 마킹 부위에 접촉 또는 비접촉해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에 따른 마킹 작업의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직접 마킹이 어려운 경우에는 라벨을 인쇄해서 해당 부위에 접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는데, 높은 열이 가해질 수 있는 부위에는 라벨 손상이 우려되어 라벨 접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은 해결되기 힘들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마킹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 상에 제품 정렬, 비전 검사에 기반한 영상 분석을 기초로 yaw축 회전각을 판단하여 헤드의 출력 및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정렬 또는 정렬되지 않은 전자부품, 배터리 및 반도체와 같은 전기 전자 부품의 표면에 시리얼 넘버 등을 자동으로 마킹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는, 상기 살펴본 종래기술과 구별되고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838호(2005.1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레이 상에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제품에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비전 검사에 기초한 영상 분석을 통해서 방향성 없이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영상 분석을 기초로 yaw축 회전각을 판단하여 헤드의 출력 및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은, 비전 검사 유닛을 이용하여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비전 검사에 따라 제1순의 마킹 대상체 상의 마킹 영역에 마킹 헤드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순의 마킹 대상체의 마킹을 시작으로 해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에 순차적으로 마킹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킹 대상체가 탑재된 트레이 유닛을 비전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Yaw축 회전각이 0도인 마킹 대상체의 샘플 이미지와 비교를 통해 상기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킹 헤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판단된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마킹 영역 상에서 마킹 시작 지점에 헤드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순차적으로 마킹을 하는 단계는, 상기 마킹 헤드를 다음 마킹 시작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X축 및 Y축 방향의 상기 마킹 헤드 제어를 통해 상기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형태의 마크를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킹 대상체 상의 마크에 비전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비전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마킹의 결과의 리포팅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비전 검사 유닛; 비전 검사에 따라 제1순의 마킹 대상체 상의 마킹 영역에 마킹 헤드를 위치시키는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 상기 제1순의 마킹 대상체의 마킹을 시작으로 해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에 순차적으로 마킹을 하는 마킹 유닛; 및 상기 마킹 대상체의 위치 판단, 상기 헤드 이동 및 마킹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는,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킹 대상체가 탑재된 트레이 유닛을 비전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Yaw축 회전각이 0도인 마킹 대상체의 샘플 이미지와 비교 과정의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은, 판단된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마킹 영역 상에서 마킹 시작 지점에 헤드를 위치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모듈;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 이동모듈은, 제어명령 생성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마킹 헤드를 다음 마킹 시작 지점으로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모듈은, 상기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마크를 마킹하도록 상기 헤드의 이동 및 마킹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전 검사 유닛은, 상기 마킹 대상체 상의 마크에 비전 검사를 수행하고, 비전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마킹의 결과의 리포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마킹 전에 마킹을 기다리는 로드 트레이 유닛; 마킹이 수행될 마킹 트레이 유닛; 및 마킹이 완성된 언로드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언로드 트레이 유닛은, 각 모서리의 하측이 탄성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 유닛 상에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제품에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또한, 비전 검사에 기초한 영상 분석을 통해서 방향성 없이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을 기초로 yaw축 회전각을 판단하여 헤드의 출력 및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실시 예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유닛의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 영역 판단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에 따른 마킹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언로드 트레이 유닛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산업용 마킹 방법 및 마킹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실시 예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일종의 출력 장치에 해당한다. 사무실의 레이저 프린터가 컴퓨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컴퓨터를 통해 작성 또는 입력된 전자 문서를 출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전기 전자 부품 등의 표면에 직접 시리얼 넘버 등을 마킹하는 출력장치이다. 다만, 산업용으로 이용되므로 컴퓨터 없이도 자체적으로 입력 및 제어를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컴퓨터(200)와 병렬 또는 직렬 버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시리얼 넘버를 입력 받아 산업용으로 제조된 제품의 표면에 마킹한다(B).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다수의 컴퓨터(200)가 입력하는 시리얼 넘버를 전송 받아 산업용으로 제조된 제품, 예를 들면 반도체 IC, FFC, FPCB의 표면에 마킹한다(C).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및 엑스트라넷(extranet), 그리고 모바일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3G, LTE, WiFi 네트워크, 애드혹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일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정면 및 측면이 묘사되어 있다.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책상 형태의 작업대 위에 본체가 구비되고, 본체는 투명 아크릴 재질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에는 입력 및 제어장치에 해당하는 컴퓨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특이 사항으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출력 작업 중에 비전 검사를 통해 제대로 마크되지 않은 불량 제품을 감지하여, 불량의 종류에 따라 3색의 LED 빛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요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110), 트레이 이동 유닛(120), 비전 검사 유닛(130), 마킹 유닛(140), 트레이 유닛(150), 센서(160) 및 제어 유닛(170)을 포함한다. 트레이 유닛(150)은 로드 트레이 유닛(151), 마킹 트레이 유닛(152), 및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을 포함한다.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110) 및 트레이 이동 유닛(120)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카메라/헤드 및 트레이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이다.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 헤드는 X축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공급되는 종이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경우에는, 3축 방향으로 카메라/헤드 및 트레이 유닛(150)이 움직인다. 예를 들어, 카메라/헤드가 X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고, 트레이 유닛(150)이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 밖에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110)에는 모터, 밸트, 레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헤드는 카메라(131)과 마킹 헤드(141)의 복합체를 말한다. 카메라/헤드는 복합체로서 함께 이동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샘플 이미지의 비교 결과에 따라 마킹 헤드(141)의 이동이 제어된다. 카메라(131)는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마킹 헤드(141)의 이동 방향의 앞과 후에 카메라가 각각 위치해서 앞에 위치한 카메라(131)는 마킹 영역을 판단하고, 뒤에 위치한 카메라(131)는 비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비전 검사 유닛(130)은 마킹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카메라(131)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비전 검사 유닛(130)에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라이트(132)가 포함된다.
마킹 유닛(140)은 마킹 대상체에 시리얼 넘버 등에 마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마킹 유닛(140)은 마킹 헤드(141)을 포함하고, 마킹 헤드(141)는 마킹 방식에 따라, 레이저 발생자치 또는 잉크젯 헤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잉크젯 방식의 마킹 유닛(140)에는 잉크 및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트레이 유닛(150)은 3종류로 분류된다. 마킹 전에 마킹을 기다리는 로드 트레이 유닛(151), 마킹이 수행될 마킹 트레이 유닛(152), 및 마킹이 완성된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이 그 종류로서 트레이 유닛에 포함된다. 로드 트레이 유닛(151)이 마킹 트레이 유닛(152)이 있는 위치로 옮겨지고, 마킹을 마친 후에는 마킹 트레이 유닛(152)이 언로드 트레인 유닛(153)이 있는 위치로 옮겨진다.
센서(160)는 모터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 마킹 헤드와 트레이 유닛(15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거리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유닛(170)은 시리얼 넘버 등을 입력 받아 전자 부품 표면에 이를 출력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종이가 피드되고 헤드의 1차원 이동을 통해 인쇄하는 일반적인 프린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형 마킹 장치(100)는 고정된 트레이 유닛(150) 상에 배치된 전자 부품 표면에 마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유닛(170)은 입력모듈(171)), 영상 분석모듈(172), 위치 판단모듈(173), 제어명령 생성모듈(174), 저장모듈(175), 헤드 이동모듈(176), 및 감지모듈(177)을 포함한다. 제어유닛(15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 유닛의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 유닛(150)이 묘사되어 있다. 트레이 유닛(150)은 일정 간격으로 행과 열을 지어 배치된 파티션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파티션에는 전자 부품이 위치한다. 도 4 (A)에는 FPCB 부품이 트레이 유닛(150)에 배치되어 있다. FPCB의 특징으로 모양이 직사각형처럼 정형화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도 4 (B)에는 반도체 IC가 행과 열을 맞추어 트레이 유닛(150)에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 IC의 특징으로 모양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므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놓이는 방향에 따라 4가지의 배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트레이 유닛(150)의 각 파티션에 놓인 전자 부품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전자 부품이 놓인 위치를 판단해서, 해당 마킹 영역에 시리얼 넘버를 마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 묘사된 구성요소들이 블록으로 처리되어 묘사되어 있다. 이하, 제어 유닛(170)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제어 유닛(170)은 입력모듈(171), 영상 분석모듈(172), 위치 판단모듈(173), 제어명령 생성모듈(174), 저장모듈(175), 헤드 이동모듈(176), 및 감지모듈(177)을 포함한다.
입력모듈(17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마킹 대상체에 마킹할 시리얼 넘버 등을 입력 받는다. 또한, 입력모듈(171)은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샘플 영상을 입력 받는다.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입력된 샘플 이미지에 기반하여 트레이 유닛 상에 놓인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 및 마킹 영역을 판단한다.
영상 분석모듈(172)은 샘플 이미지와 트레이 유닛(150) 상에 놓인 마킹 대상체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이용하여 시리얼 넘버가 마크될 마킹 영역을 탐색한다.
특히, 영상 분석모듈(172)은 샘플 이미지와 트레이 유닛(150) 상에 놓인 마킹 대상체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마킹 대상체가 yaw축에 대해서 회전한 각도를 분석한다. 마킹 대상체, 예를 들어 FPCB의 외형 엣지 중에서 평행선을 회전각 판단의 기초로 삼아, 샘플 이미지에서의 회전각을 0도로 가정하면, 카메라(131)를 통해 촬영된 FPCB의 평행선이 몇도 회전했는지를 분석해서 회전각이 판단될 수 있다.
위치 판단모듈(173)은 영상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마킹 영역 및 회전각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그 값을 출력한다.
제어명령 생성모듈(174)은 위치 판단 모듈(173)이 출력한 위치 판단 값을 이용하여 마킹 헤드의 이동에 관한 제어명령과 마키 헤드의 출력에 관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저장모듈(175)은 제어명령 생성모듈(174)이 생성한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저장된 제어명령들을 마킹 헤드 및 헤드 이동모듈에 전송한다. 헤드는 제어명령에 따라 레이저 빔 또는 잉크를 출력한다.
헤드 이동모듈(176)은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제어명령에 따라 헤드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헤드 이동모듈(175)은 스태핑 모터의 전류 및 전압을 제어하여 헤드를 이동시킨다.
감지모듈(177)은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센서(160)에 의한 센싱 값을 입력 받아 이를 해석해서 제어명령 생성모듈(174)에 전송하고, 제어명령 생성모듈(174)는 전송 받은 센싱 값을 기반으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감지모듈(177)은 스태핑 모터의 회전각 센싱 값을 이용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모듈(177)은 마킹 헤드의 노즐 단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노즐 단과 마킹 표면의 접근을 감지한다.
도 3에 묘사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제어 유닛(170)의 171 내지 177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의 연합 형태로 또는 통합하여 하나의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각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S100)에 관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명령어 셋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유닛(170)의 구성요소 중에서 입력모듈(171), 영상 분석모듈(172), 위치 판단모듈(173) 및 제어명령 생성모듈(174)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컴퓨터(200), 이의 파일을 관리 및 운영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컴퓨터(200)의 파일 시스템, 각종 인터페이스를 관리 및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운영 프로그램이다.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운영 체제는 그 예로서, 유선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 예를 들어 MS 윈도우, MS 서버, 유닉스, 리눅스, XOS, 안드로이드, iOS 운영 체제를 포함하고,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제어 유닛(170)의 171 내지 174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 상에 로드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성요소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를 마킹 애플리케이션 모듈(1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 유닛(170)의 175 내지 177의 구성요소들은 마더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의 171 내지 174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는 컴퓨터(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S10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코드화된 마킹 애플리케이션 모듈(10)이 포함된 파일을 저장,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컴퓨터(200)의 하드웨어 플랫폼은 개인용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톱 디바이스,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프로그램 가전제품, 및 이상의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예컨대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시스템을 비롯한 많은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20), 메모리(231), 저장장치(232), 전원 장치(240), 프로세서(2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260), 무선통신 장치(270) 및 버스(28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식거래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31) 및 저장 장치(232)에 저장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에 관한 마킹 애플리케이션 모듈(10)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명령어 셋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31)와 저장 장치(2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2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2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S100)은 그 구성요소로서 S110 내지 S142 단계들을 포함한다. 산업용 마킹 방법(S100)은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이전에,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킹 대상체가 탑재된 트레이 유닛(150)을 비전 검사 위치로 이동시킨다(S110).
다음으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비전 검사 유닛(130)을 이용하여 트레이 유닛(150)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한다(S120).
여기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20)는, Yaw축 회전각이 0도인 마킹 대상체의 샘플 이미지와 비교를 통해 상기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을 판단하는 단계(S121)를 포함한다.
비전 검사에 따라 제1순의 마킹 대상체 상의 마킹 영역에 마킹 헤드를 위치시킨다(S130).
여기서, 판단된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마킹 영역 상에서 마킹 시작 지점에 헤드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순의 마킹 대상체의 마킹을 시작으로 해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에 순차적으로 마킹을 한다(S140).
여기서, S140 단계는 상기 마킹 헤드를 다음 마킹 시작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141); 및 X축 및 Y축 방향의 상기 마킹 헤드 제어를 통해 상기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형태의 마크를 마킹하는 단계(S14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마킹 대상체 상의 마크에 비전 검사를 수행한다(S150).
마지막으로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100)는 비전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마킹의 결과의 리포팅을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 영역 판단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킹 대상체로서 FPCB 샘플 이미지가 묘사되어 있다(A). 그리고 FPCB를 대략적인 모형과 시리얼 넘버가 마크된 마킹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B). 그리고 실제 트레이 유닛(150) 상에 놓인 FPCB의 촬영된 이미지가 묘사되어 있다(C).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에 따른 마킹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묘사된 샘플 이미지의 FPCB가 묘사되어 있다(A). 이 경우 FPCB의 회전각은 0도이고, 마킹 헤드는 정상적인 제어명령에 따라 시리얼 넘버를 FPCB의 마킹 영역에 마킹한다.
도 8에 묘사된 샘플 이미지와 비교하여 회전각이 시계방향으로 90도인 FPCB가 묘사되어 있다(B). 이 경우 마킹 헤드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형태의 시리얼 넘버를 FPCB의 마킹 영역에 마킹한다.
도 8에 묘사된 샘플 이미지와 비교하여 회전각이 시계방향으로30도인 FPCB가 묘사되어 있다(C). 이 경우 마킹 헤드는 시계방향으로 30도 회전된 형태의 시리얼 넘버를 FPCB의 마킹 영역에 마킹한다.
상기 도면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마킹 방법(S100)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이 가능한 명령어 셋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레이 유닛 상에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다수의 제품에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또한, 비전 검사에 기초한 영상 분석을 통해서 방향성 없이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을 기초로 yaw축 회전각을 판단하여 헤드의 출력 및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정렬되지 않은 다수의 제품에서 마킹 영역을 찾아 자동으로 시리얼 번호 등을 마킹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언로드 트레이 유닛의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은, 각 모서리의 하측이 탄성 지지부(300-1, 300-2)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300-1, 300-2)는, 지탱부(310), 다수 개의 진동 흡수부(320), 다수 개의 연결 플레이트(330), 다수 개의 연장 플레이트(340), 4 개의 회동부(350) 및 두 개의 지지 바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탱부(310)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311),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 및 제4플레이트(3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311),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 및 제4플레이트(3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각각의 공간에 진동 흡수부(320)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320)는, 지탱부(310)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32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330)는, 제1플레이트(3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3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3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3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3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3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3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11),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 및 제4플레이트(3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330)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330)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311),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와 제4플레이트(3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330)가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330)는, 제1플레이트(311),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와 제4플레이트(3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40)는, 제1플레이트(3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3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3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3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회동부(350)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40)는, 회동부(350)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40)는, 제2 상부 체결홈(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도 12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부(350)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340)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서로 대향하는 지지 바아(360)의 각 내측면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지지 바아(360)은, 회동부(35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설치되며,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동부(35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300)의 각각의 구성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300)는,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동 등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언로드 트레이 유닛(153)의 공정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은 도 11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11)는, 플레이트 본체(3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112), 제2 상부 체결홈(3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112) 및 제2 상부 체결홈(3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3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0)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3113)은, 제1 상부 체결홈(3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40)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3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0)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3115)은, 제1 전단 체결홈(3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40)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40)는, 제2 상부 체결홈(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30)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340)의 슬라이딩 홈(3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3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 또는 제4플레이트(3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312), 제3플레이트(313) 또는 제4플레이트(3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110: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
120: 트레이 이동 유닛
130: 비전 검사 유닛
140: 마킹 유닛
150: 트레이 유닛
151: 로드 트레이 유닛
152: 마킹 트레이 유닛
153: 언로드 트레이 유닛
160: 센서
170: 제어 유닛
171: 입력모듈
172: 영상 분석모듈
173: 위치 판단모듈
174: 제어명령 생성모듈
175: 저장모듈
176: 헤드 이동모듈
177: 감지모듈
200: 컴퓨터
300: 탄성 지지부
310: 지탱부
320: 흡수부
330: 연결 플레이트
340: 연장 플레이트
350: 회동부
360: 지지 바아
51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52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531: 메모리
532: 저장장치
540: 전원 장치
550: 프로세서
5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570: 무선통신 장치
580: 버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카메라를 이용하여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판단하는 비전 검사 유닛;
    비전 검사에 따라 제1순의 마킹 대상체 상의 마킹 영역에 마킹 헤드를 위치시키는 카메라/헤드 이동 유닛;
    상기 제1순의 마킹 대상체의 마킹을 시작으로 해서 상기 트레이 유닛에 탑재된 마킹 대상체에 순차적으로 마킹을 하는 마킹 유닛; 및
    상기 마킹 대상체의 위치 판단, 상기 헤드 이동 및 마킹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마킹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킹 대상체가 탑재된 트레이 유닛을 비전 검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Yaw축 회전각이 0도인 마킹 대상체의 샘플 이미지와 비교 과정의 영상분석을 통해 상기 마킹 대상체의 회전각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판단된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마킹 영역 상에서 마킹 시작 지점에 헤드를 위치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명령 생성모듈;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이동모듈은,
    제어명령 생성모듈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마킹 헤드를 다음 마킹 시작 지점으로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명령 생성모듈은,
    상기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마크를 마킹하도록 상기 헤드의 이동 및 마킹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전 검사 유닛은,
    상기 마킹 대상체 상의 마크에 비전 검사를 수행하고,
    비전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 마킹의 결과의 리포팅을 표시하고,
    상기 트레이 유닛은,
    마킹 전에 마킹을 기다리는 로드 트레이 유닛;
    마킹이 수행될 마킹 트레이 유닛; 및
    마킹이 완성된 언로드 트레이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언로드 트레이 유닛은, 각 모서리의 하측이 탄성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두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4. 삭제
KR1020180164642A 2018-12-18 2018-12-18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KR10197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42A KR101977142B1 (ko) 2018-12-18 2018-12-18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42A KR101977142B1 (ko) 2018-12-18 2018-12-18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142B1 true KR101977142B1 (ko) 2019-05-10

Family

ID=6658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42A KR101977142B1 (ko) 2018-12-18 2018-12-18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45B1 (ko) 2019-06-12 2020-05-04 장영환 엘이디 전구용 자동 마킹 인쇄장치
KR102439148B1 (ko) * 2022-05-16 2022-08-31 이용갑 볼트 헤드 마킹 장치 및 그 마킹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210A (ko) * 2002-01-19 2003-07-31 (주)미토스 마킹 검사용 프로그램 모듈들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이를이용한 검사방법
KR20050097838A (ko) 2004-04-02 2005-10-10 최원진 비접촉 분사방식의 마커
KR100520899B1 (ko) * 2003-02-17 2005-10-2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마킹시스템의 마킹 보정방법
KR100628459B1 (ko) * 2004-11-16 2006-09-26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마킹시스템의 마킹방법
KR101215516B1 (ko) * 2010-12-23 2012-12-26 주식회사 한광옵토 마킹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210A (ko) * 2002-01-19 2003-07-31 (주)미토스 마킹 검사용 프로그램 모듈들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이를이용한 검사방법
KR100520899B1 (ko) * 2003-02-17 2005-10-28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마킹시스템의 마킹 보정방법
KR20050097838A (ko) 2004-04-02 2005-10-10 최원진 비접촉 분사방식의 마커
KR100628459B1 (ko) * 2004-11-16 2006-09-26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마킹시스템의 마킹방법
KR101215516B1 (ko) * 2010-12-23 2012-12-26 주식회사 한광옵토 마킹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45B1 (ko) 2019-06-12 2020-05-04 장영환 엘이디 전구용 자동 마킹 인쇄장치
KR102439148B1 (ko) * 2022-05-16 2022-08-31 이용갑 볼트 헤드 마킹 장치 및 그 마킹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78879B (zh) 评价图像
KR101977142B1 (ko) 산업용 제품의 마킹 장치
US9440452B2 (en) Printer, printing system, and method of printing
US20170118355A1 (en) Media width sensing
US10744787B2 (en) Liquid droplet discharging apparatus, liquid droplet dischar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352598B2 (en) Printer, method of printing,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9940559B2 (en) Label printing control device which includes a cut mark extraction section and an apex finding secti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label printing control program, and a label printing control method
JP3084807B2 (ja) 印字装置
US885159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90347053A1 (en) Print controll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control program and print control method
US9116592B2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input data to be used for printing, printer including the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data processing program
CN100530223C (zh) 校正打印机设备输出的方法与装置
JP2017010271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
JP2009109646A (ja) 監視設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JP6402585B2 (ja) 印刷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30012A1 (en)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CN103253014A (zh) 控制装置、控制装置的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JP6507865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
JP2009160808A (ja) プリンタ装置
JP4302742B2 (ja) 像を印刷し、さらなる工程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02860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513188B2 (en) Load estimation apparatus, laser light irradiation system, and load estimation method
JP202214519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02821A1 (en) Printing system
JP5651569B2 (ja) スキャナ付プリンタおよびスキャナ付プリンタ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