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35B1 -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35B1
KR101977035B1 KR1020120059756A KR20120059756A KR101977035B1 KR 101977035 B1 KR101977035 B1 KR 101977035B1 KR 1020120059756 A KR1020120059756 A KR 1020120059756A KR 20120059756 A KR20120059756 A KR 20120059756A KR 101977035 B1 KR101977035 B1 KR 10197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guide
lid
dehumidifi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152A (ko
Inventor
홍현진
박찬정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습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 및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물이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물가이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는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개구 위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가이드부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가이드부의 몸체부 외면을 타고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의 머리부는 상기 물가이드부 결합부에 형성된 제2 개구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된 물이 수조의 바닥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STRUCTURE OF NOISE PREVENTION IN WATER TANK AND DE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된 물이 수조로 낙하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습장치는 제습 방식에 따라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 타입과,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펠티어 효과 이용 타입과, 데시칸트를 이용하는 제습로터 타입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습장치의 하측에는 공기 중의 수분으로부터 제습된 물이 낙하해서 저장되는 수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제습장치에 설치된 수조(10)의 경우, 낙하하는 물이 수조(10) 내부에 직접 떨어지는 구조이므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수조(10)의 바닥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야간에는 낮보다 주변이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또한, 차가워진 공기에 의해 소리가 지면으로 향하게 되므로, 조그만 소리도 크게 들리는 데, 야간에 제습된 물이 수조로 떨어지는 경우, 낙하하는 물로부터 야기되는 소음으로 인해 수면 방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제습장치에 설치된 수조(10)의 경우, 손잡이(30)가 수조(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조(10)의 덮개(20)를 분리하기 위해 우선 손잡이(30)를 제거해야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제습된 물이 수조로 낙하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수조의 바닥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손잡이부를 제거하지 않고도 덮개부를 분리할 수 있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는, 제습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 및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물이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물가이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는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개구 위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가이드부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가이드부의 몸체부 외면을 타고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의 머리부는 상기 물가이드부 결합부에 형성된 제2 개구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에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길이방향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에서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는 측면이 제1개구보다 높게 위치하여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개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에서 제습된 물이 상기 덮개부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에서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에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물저장부에 착탈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물저장부의 측면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외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습부 및 상기 제습부로부터 제습된 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수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낙하하는 물이 물가이드부를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제습된 물이 수조의 바닥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손잡이부가 물저장부의 측면 외측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제거하지 않고도 덮개부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습장치에 설치된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된 수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된 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된 수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 중 도 2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된 수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6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제습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물저장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상기 물저장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110)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물이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120)에 결합되는 물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습장치에는 제습만 가능한 장치뿐만 아니라 공기 청정 기능이 부가된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혀 둔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저장부(110)는 제습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장치(600)의 상부에서 제습된 물이 하부로 내려온 후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물저장부(110)는 물통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물저장부(1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저장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부(1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부레(111)와 센서(112)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물저장부(110) 내부에 부레(111)가 설치되어 상기 물저장부(110) 내부의 수위에 따라 부레(111)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부레(111)의 이동을 감지하여 수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112)가 상기 물저장부(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저장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600)의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습장치(6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덮개부(120)는 상기 물저장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물저장부(1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2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음 방지를 위한 물가이드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가이드부(130)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110)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물이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120)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물가이드부(130)는 길이방향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2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부착력 등을 통해 상기 물가이드부(130)의 일측에 부착된 후, 상기 물가이드부(130)를 따라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된 물이 상기 수조(100)의 바닥에 직접 떨어지지 않으므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수조(100)의 바닥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20)에는 상기 물가이드부(130)가 결합되는 물가이드부결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가이드부(130)는 상기 덮개부(120) 중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덮개부(120) 중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 일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물가이드부(130)가 상기 덮개부(12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에는 제습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1개구(141)와 상기 물가이드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제2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의 일측에는 제1개구(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개구(142)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물가이드부(130)의 상측에는 결합돌기(131)가 연결되어 상기 결합돌기(131)는 상기 제2개구(142)에 결합되고, 상기 물가이드부(130)는 상기 제1개구(14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에 형성된 제2개구(142)의 경우, 상기 물가이드부(130)를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에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가이드부(130)에 형성된 결합돌기(131)가 상기 제2개구(14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에 형성된 제1개구(141)의 경우, 상기 물가이드부(130)가 삽입되며, 상기 제1개구(141)를 통해 유입되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가이드부(130)를 따라 타고 흘러내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는 측면(143)이 제1개구(141)보다 높게 위치하여 측면(143)으로부터 상기 제1개구(141)로 물이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의 측면(143)으로부터 상기 제1개구(141) 측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의 측면(143)이 상기 제1개구(141)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140)로 떨어진 물이 낮은 지점에 위치한 제1개구(141)로 모이게 되므로, 제습된 물이 제1개구(141)로 유입되어 상기 물가이드부(130)를 따라 타고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20)에는 오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홈(121)은 제습되어 상기 덮개부(120)로 떨러진 물이 상기 덮개부(120)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의 상부에서 제습된 물은 하부에 설치된 수조(100) 중 상기 덮개부(120)의 다양한 위치에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가 평면형상이거나 볼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라면, 상기 덮개부(120)에 떨어진 물이 상기 덮개부(120)의 외부로 흘러 내려서 상기 제습장치(600)의 다른 부분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습장치(600) 내부를 부식시키거나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20)에는 오목홈(121)이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떨어진 물이 상기 덮개부(120)의 오목홈(121)에 저수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120)에 일시적으로 저수된 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50)는 상기 물저장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물저장부(110)에 착탈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50)는 상기 물저장부(110)의 측면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종래 제습장치(600)에 설치된 수조의 경우, 손잡이가 수조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조의 덮개를 분리하기 위해 우선 손잡이를 제거한 후 수조의 덮개를 분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의 경우, 수조(100)에서 손잡이부(150)가 상기 물저장부(110)의 측면 외측에 결합되어 구동되므로, 상기 손잡이부(15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물저장부(110)에 상기 덮개부(12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150)가 상부로 소정 범위만큼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20)를 상기 물저장부(11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50)가 상부로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20)를 상기 물저장부(110)에 결합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150)를 내리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50)가 상기 물저장부(1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덮개부(120)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하,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600)에 대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600)는 하우징(30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된 상기 송풍부(500)의 작동에 의해 외기를 하우징(300)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설치되는 제습부(200)는 상기 송풍부(500)에 의해 상기 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습부(200)는 수조(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부(200)에는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사이클 타입,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펠티어 효과 이용 타입, 데시칸트를 이용하는 제습로터 타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습부(200)로부터 제습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되는 수조(100)가 상기 제습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습부(200)로부터 제습된 물은 하부에 배치된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되는 수조(100)에 의해 상기 물가이드부(130)를 따라 타고 흘러 내리며, 이에 의해, 상기 제습장치(600)는 물소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는 공기 청정을 위한 필터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수조 110 : 물저장부
111 : 부레 112 : 센서
120 : 덮개부 121 : 오목홈
130 : 물가이드부 131 : 결합돌기
140 : 물가이드부결합부 141 : 제1개구
142 : 제2개구 143 : 물가이드부결합부 측면
150 : 손잡이부 200 : 제습부
300 : 하우징 400 : 필터부
500 : 송풍부 600 : 제습장치

Claims (10)

  1. 제습된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덮개부; 및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물이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덮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저장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물가이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는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물가이드결합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1개구 위로 노출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물가이드부는 제습된 물이 상기 물가이드부의 몸체부 외면을 타고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가이드부의 머리부는 상기 물가이드부 결합부에 형성된 제2 개구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는 길이방향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가이드부결합부는 측면이 상기 제1개구보다 높게 위치하여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개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제습된 물이 상기 덮개부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물저장부에 착탈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물저장부의 측면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10. 외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습부; 및
    상기 제습부로부터 제습된 물을 저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제1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를 포함하는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KR1020120059756A 2012-06-04 2012-06-04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KR10197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56A KR101977035B1 (ko) 2012-06-04 2012-06-04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56A KR101977035B1 (ko) 2012-06-04 2012-06-04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152A KR20130136152A (ko) 2013-12-12
KR101977035B1 true KR101977035B1 (ko) 2019-05-10

Family

ID=4998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756A KR101977035B1 (ko) 2012-06-04 2012-06-04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22B1 (ko) * 1994-09-12 2002-10-25 엘지전자주식회사 제습및가습장치
JP2003028469A (ja) * 2001-07-18 2003-01-29 Matsushita Seiko Co Ltd 水落下音低減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200596A (ja) * 2007-02-20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950U (ko) * 1997-05-30 1998-12-05 윤종용 가습기의 분무안내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522B1 (ko) * 1994-09-12 2002-10-25 엘지전자주식회사 제습및가습장치
JP2003028469A (ja) * 2001-07-18 2003-01-29 Matsushita Seiko Co Ltd 水落下音低減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200596A (ja) * 2007-02-20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152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US6413141B1 (en) Noise activated mobile
US20150276241A1 (en) Dehumidifier
JP5156802B2 (ja) 加湿器
US20170089596A1 (en) Floating type humidifier
KR101597038B1 (ko) 제습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US20170252768A1 (en) Container structure for floating type humidifier
KR20130099807A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JP4662280B2 (ja) 電気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用ルーバー
JP2016194394A (ja) 加湿装置
TWI682134B (zh) 加濕裝置
KR101977035B1 (ko) 수조에서의 소음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제습장치
KR20130107535A (ko) 가습기
KR101610704B1 (ko) 가습기
JP2013106558A (ja) ペット用水飲み器
JP2012225572A (ja) 空気調和機
JP5946013B2 (ja) 電子機器
US20180194519A1 (en) Bath Toy Holder and Storage Unit
JP6706753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313639B1 (ko) 가습장치
KR20160092702A (ko) 우산보관장치
CN213818088U (zh) 一种具有防尘除湿功能的智能音响
TWM485381U (zh) 除濕機無聲蓄水裝置
JP6700879B2 (ja) 脱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