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43B1 - Rotary cooker - Google Patents

Rotary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43B1
KR101976643B1 KR1020180122764A KR20180122764A KR101976643B1 KR 101976643 B1 KR101976643 B1 KR 101976643B1 KR 1020180122764 A KR1020180122764 A KR 1020180122764A KR 20180122764 A KR20180122764 A KR 20180122764A KR 101976643 B1 KR101976643 B1 KR 10197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ooking
cooking container
cooking vess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8012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tary cooker comprises: a base fram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heat source, and having a through-hole vertically penetrating to upwardly transfer heat of the heat source; a driving roller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rotated on an upper surface of a driving region of the base frame with respect to a first vertical rotary shaft;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separately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rotated on an upper surface of a support region of the base frame with respect to a second vertical rotary shaft; a cylindrical cooking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ich can be upwardly opened and closed, and having a side surface forming the circumference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be closely attached to be rotated to side surfaces of a driving roller and support rollers; and a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 a state of being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to rotate the cooking container at a set speed. The base frame is formed to have a lower surface upwardly inclined to the front, and allows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to be downwardly inclined to the front when being seated on the heat source.

Description

회전식 조리기{ROTARY COOKER}Rotary Cooker {ROTARY COOKER}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aratus which can continuously rotate a bottom surface of a cooking vessel in an inclined state,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s such as mixing and turning food pie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cooker capable of uniformly cooking outer surfaces of foods.

일반적으로, 조기용기는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기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Generally, the early container is for cooking various foods, a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cooking containers.

이러한 조리용기 중에는, 내부에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등으로 구비된다.The cooking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ood-receiving space therein, a handl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lid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종래의 조리용기는, 본체를 열원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본체의 하부에 열을 가하는 가열 구조를 갖는데, 종래의 조리용기는 일반 요리용과 구이용(고기 등) 등으로 구분된다.Conventional cooking vessels have a heating structure that applies hea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a state that the main body is placed on top of a heat source. Conventional cooking vessels are classified into general cooking and roasting (meat, etc.).

그런데, 종래의 조리용기는 열이 전달되는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무는 경우, 음식물의 일부분만 타고 반대면은 덜 익는 등 음식물의 여러 면을 균일하게 익히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주기적으로 뒤집어주거나 섞어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번거로웠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ooking vessels, when food stays for a long time in a portion where heat is transferre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grind various surfaces of food such as a portion of food and a lesser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inverting or mixing.

또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음식물에서 발생한 유출액(기름 등)이 바닥면에 잔존하게 되어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을 떨어트릴 염려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oking container, the effluent (oil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food remains on the floor surface, which may deteriorate the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44820호(2009년 06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조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No. 20-0444820 (Jun. 03, 2009), which discloses a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method which can prevent inconvenience such as mixing and turning foods or the like becaus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s continuously rotated in an inclined state, And to provide a rotary cook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의 열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cooker that can heat efficiently because the heat of the hea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n a large area.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유출액(기름 등)이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ood or beverage in which the effluent (oil or the like) of a food or dri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o provide a rotary cooker capable of prevent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는, 열원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열원의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1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제2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구동롤러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에 안착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frame which is seated on a heat sourc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so as to pass upwardly so that heat of the heat source is transmitted upwardly, A plurality of supporting roller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on the basis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axis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upwardly openable and closable, A cylindrical cooking cavity in which a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is rotatab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supporting rollers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driving unit which rotates the cooking vessel at a predetermined speed, This surface is formed obliquely upward to the front, and characterized by downwardly inclined positio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mounted on the heat source in a forward direction.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2안착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eating part may be protrud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second seating part may protrude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roller. In the cooking contain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구동롤러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Further, a ring-shaped friction member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ller so as to surround the side, and the friction member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는 다수의 종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에는 상기 종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구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en teeth may be formed along the lateral sides of the cooking vessel, and a plurality of driven teeth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drive roller so as to be meshed with the driven teeth and the male teeth. .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guide member position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the guide member may be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ontainer, The food can be mixed in the receptive spac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guide member may have a length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lower bod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and an upper body bent perpendicularly from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줄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auxiliary guide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guide members are position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 The f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mixed while being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auxiliary guide member may have a length toward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방측에 낙하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의 유출액을 상기 낙하홀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rame may be formed with a drop hole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is eccentrically position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ontainer,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effluent of the food through the drop hole downward can b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낙하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drop hole may have a length in a curv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수용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름 배출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상기 수용홈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Furth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may be eccentrically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vessel, and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having a length alo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ooking vessel,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located on the rotational direction side of the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낙하홀의 하부에는 수거용기가 더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하다.Further, a collection container may be further disposed under the drop hole,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is removable through the front of the base frame.

또한, 상기 통과홀의 중심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편심 위치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may be eccentrically positioned forward of the base fram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utensil.

또한, 상기 제1수직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구동롤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에 종동기어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driven gear may be coupl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housing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 motor installed in the housing, A driving gear coupled to a driving shaft of the motor and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하우징은 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by a fastening unit.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체결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핀과 이격 위치되는 록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핀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상기 록킹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may include a fastening pin vertically protruded from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lock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fastening pin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the fastening pin is vertically inserted and the other side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pin can be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또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the out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locking projection or an engagement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or a locking groove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cking projection or the locking groove of the horizontal portion by male and female.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2수직 회전축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으로 길이를 갖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홀과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hole may be formed in the base frame such that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has a length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t both lower ends of the base fram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exerts a tensile force.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롤러는 수평 회전중심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ating roll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base frame,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ating roller is fixed to the base frame, and an upper e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o rotate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s continuously rotated in an inclined stat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discomfort such as mixing and turning food, and it is possible to uniformly cook the outer surface of food or beverage Effect.

그리고, 열원의 열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유출액(기름 등)이 수용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의 맛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heat of the hea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n a large area, the heat efficiency can be improved due to the low heat loss, and the effluent (oil or the like) of the f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 The effluent which has been transferr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does not overflow into the upper region,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또한, 구동롤러의 외면에 마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의 회전력이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롤러가 조리용기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조리용기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by providing the friction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roller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ooking container, so that the driving force loss can be minimized, and the supporting roller is closely conta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가이드홈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안착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oking container is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oking vessel is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a cooking container of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hole and a receiving groove are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hole and a receiving groove are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and an auxiliary guide member are formed together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and an auxiliary guide member are formed together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e type driving unit of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12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eparated driving unit of the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FIG.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separate drive unit of the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are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where a seating roller is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조리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oking container is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otary cooker,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installed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a cooking container of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hole and a receiving groove are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cooking cavit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배출홀과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ischarge hole and a receiving groove are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formed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rotary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and an auxiliary guide member are formed together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설치된 조리용기에 가이드부재와 보조 가이드부재가 함께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1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and an auxiliary guide member are formed together in a cooking container provid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a separate driving unit of the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12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eparated driving unit of the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의 분리형 구동유닛이 설치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가이드홈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에 안착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separate drive unit of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where a guide groove and an elastic member are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ing roller is installed in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구동롤러(200)와, 다수의 지지롤러(300)와, 조리용기(400) 및, 구동유닛(500)을 포함한다.1 to 15, a rotary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0, a driving roller 200, a plurality of supporting rollers 300, a cooking container 400, and a driving unit 500).

먼저,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3과 7에서처럼 열원(1, 가스 레인지 등)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후술 될 조리용기(400)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First, the base frame 100 is seated on top of a heat source 1 (such as a gas range) as shown in FIGS. 3 and 7, and a cooking contain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은 조리용기(4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일정 넓이를 가지며, 열원(1)의 열에 견딜 수 있는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metal or the like) having a horizontal and constant width so that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seated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heat of the heat source 1.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 4, 8, 10에서처럼 원판 형상으로 도시 하였으나, 베이스 프레임(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Although the base frame 100 is shown as a disk in FIGS. 4, 8 and 10, the shape of the base frame 1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조리용기(400)의 하면으로 열원(1)의 열이 전달되도록 통과홀(1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A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the base frame 100 so that the heat of the heat source 1 is transmit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통과홀(110)은, 도 4, 8, 10에서처럼 원 형상으로 관통 형성시킬 수 있으나, 통과홀(11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through hole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S. 4, 8, and 10, but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10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여기서, 통과홀(110)의 중심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편심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110 may be positioned eccentrically to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ference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즉, 통과홀(11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일측에 위치되므로, 열원(1)의 열이 조리용기(400)의 일측 하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through hole 11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cooking vessel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heat of the heat source 1 can locally heat one side of the cooking vessel 400.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면에는 열원(1)의 상부에 경사지게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경사부(120)가 형성된다.An inclined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as to be incl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1. [

경사부(120)는, 도 3과 7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을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inclined portion 120 is formed to be sloped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0 when the base frame 100 is horizontally positioned as shown in Figs.

즉, 베이스 프레임(100)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base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 source 1,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clined downward forward have.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수용공간(410)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음식물(10)의 유출액(11, 기름 등)을 하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낙하홀(13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A drop hole 130 (shown in FIG. 1) for passing the effluent (oil, etc.) of the food 10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receiving space 410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re vertically formed.

낙하홀(13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낙하홀(130)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배출홀(440)과 상하에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drop hole 130 may have a length in a curved shape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op hole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440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s shown in Fig.

아울러, 낙하홀(130)의 하부에는 수거용기(140)가 더 위치될 수 있으며, 수거용기(14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a collection container 140 may be further disposed under the drop hole 130,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140 may be removably installed through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0.

수거용기(140)는,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수거용기(140)의 내부에는 낙하홀(130)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유출액(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The collection container 14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metal or the like and a space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the effluent 11 falling down through the drop hole 130 is form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140 .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 하면에는 수거용기(140)의 양측 상단을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미도시)가 더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guide structure (not shown) for guiding both upper ends of the collection container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100.

또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15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안착롤러(150)는 수평 회전중심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seating roller 15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0. The seating roller 150 is fixed to the base frame 100 with its horizontal rotation center,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otatably supported.

이때, 안착롤러(150)는 수지 계열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거나, 외면에 수지 계열(고무 등)의 소재를 피복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roller 15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resin-based material or a resin-based material (e.g., rubbe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이와 같이, 안착롤러(150)에 의해 조리용기(4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조리용기(40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oking vessel 40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ating roller 150,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rotated more easily.

구동롤러(200)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측면과 밀착되는 구동영역에 설치된다.The driving roller 200 i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a side surface of a cooking vessel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riving roller 200 is installed in a driving region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롤러(200)는 제1수직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roller 200 i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frame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spect to the first vertical rotating shaft 210.

제1수직 회전축(210)은, 상단에 구동롤러(200)의 중심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로 관통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driving roller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210 may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이때,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에는 후술 될 구동기어(530)와 수평하게 맞물림 결합시키기 위한 종동기어(240)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driven gear 240 for horizontally engaging with a driving gear 5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210 in a horizontal rotatable manner.

종동기어(240)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수직한 중심 축 선에 제1수직 회전축(210)의 하단이 함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을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다.The driven gear 240 has a disk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210 is rotatably coupled to a vertical central axis line, and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그리고, 구동롤러(200)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220)가 돌출되는데, 제1안착부(220)의 상부에는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가장자리측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The first seating part 220 protrudes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roller 200.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art 220 is rotatably se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do.

또한, 구동롤러(200)의 외주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230)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되며, 마찰부재(230)는 외주면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동롤러(200)와 함께 회전된다.A ring-shaped friction member 230 is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roller 200 while the friction member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200.

마찰부재(230)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링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구동롤러(200)의 외주면에는 마찰부재(230)의 내주면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홈(미도시)이 측방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friction member 230 can be formed into a ring shape by us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and an installa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e roller 20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iction member 230 inserted therein As shown in FIG.

한편, 구동롤러(200)의 측면에는 다수의 구동측 톱니(미도시)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는 구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종동측 톱니(미도시)가 측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side teeth (not shown) may be formed along the lateral sides of the driving roller 200. A plurality of driving side teeth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Not shown) may be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이 경우, 구동롤러(200)와 후술 될 조리용기(400)가 맞물림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구동롤러(200)의 회전력을 조리용기(40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미끄러짐이 방지되므로 회전력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roller 200 and the cooking containe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rotated in the engaged stat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200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ooking container 400, Do not occur.

이와 같은 구동롤러(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구동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roller 200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regions of the base frame 100. The driving roller 2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can be arranged to be offset toward the front side.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사선을 이루는 구동롤러(200)의 회전중심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나란하게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base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 source 1,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200, which is oblique, is formed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지지롤러(300)들은,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측면과 밀착되는 지지영역에 각각 설치된다.The support rollers 300 are for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to be described later in a rotatable manner and the support rollers 3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support reg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롤러(300)들은 제2수직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rollers 300 are horizontal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side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제2수직 회전축(310)은,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수직 회전축(310)의 상단에는 지지롤러(300)의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and the center of the support roller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이와 다른 형태로, 제2수직 회전축(310)의 하단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may be horizontally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그리고, 지지롤러(300)의 외주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330)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찰부재(330)는 외주면이 후술 될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롤러(300)와 함께 회전된다.A ring-shaped friction member 33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roller 300 so as to surround the lateral sides of the support roller 300. The friction member 330 may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upport roller 300 in the state of FIG.

지지롤러(300)의 마찰부재(330)는, 고무 등의 소재를 이용해 링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지지롤러(300)의 외주면에는 마찰부재(330)의 내주면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홈(미도시)이 측방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friction member 330 of the support roller 30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us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iction member 3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roller 300, (Not shown) may be formed concavely along the lateral direction.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사선을 이루는 지지롤러(300)들의 회전중심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나란하게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base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 source 1,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oblique support rollers 300 is formed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와 같은 지지롤러(300)들은, 도 8과 10에서처럼 3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 하였으나, 지지롤러(300)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8 and 10,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upport rollers 3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예를 들어, 지지롤러(300)를 2개로 적용하는 경우, 1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구동롤러(200)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support rollers 300 are used, one support roller 300 is mounted on the base frame 100 (see FIG. 1) corresponding to the drive roller 200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s shown in Fig.

반면, 다른 1 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one support roller 300 may be positioned to be offset to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때, 2개의 지지롤러(300)들과 1개의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wo support rollers 300 and the one drive roller 200 can be equidistant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와 다르게, 지지롤러(300)를 3개로 적용하는 경우, 1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구동롤러(200)와 대응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support rollers 300 may be mounted on the base frame 100 corresponding to the drive roller 200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반면, 다른 2 개의 지지롤러(3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two support rollers 300 can b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10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때, 3개의 지지롤러(300)들과 1개의 구동롤러(20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ee support rollers 300 and the one drive roller 200 may be equidistant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와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구동롤러(200)의 외부와 지지롤러(300)의 외부를 덮기 위한 커버(7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700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driving roller 200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roller 30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커버(700)는, 구동롤러(200) 및 지지롤러(300)와 조리용기(400)가 접촉되는 일측이 수평하게 개방될 수 있고, 커버(700)의 하단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ver 700 where the driving roller 200 and the support roller 300 are in contact with the cooking container 400 can be horizontally opened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700 is fixed to the base frame 30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Not shown).

조리용기(400)는, 음식물(10)을 조리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용기(400)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금속 소재를 이용해 원통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The cooking vessel 400 is used to cook the food 10, and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using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side surface is circumferential.

여기서, 조리용기(400)의 측면은 전술한 구동롤러(200)와 지지롤러(300)들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조리용기(400)의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has a diameter tha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driving roller 200 and the supporting rollers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formed horizontally.

그리고, 조리용기(400)의 내부에는 음식물(10)을 수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4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상부에는 덮개(401)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storage space 410 is formed in the cooking container 400 to accommodate the food 10 and a lid 401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이와 같은 조리용기(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구동롤러(200)와 지지롤러(300)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된다.In the state where the cooking container 4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the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driving roller 200 and the supporting roller 300.

또한, 조리용기(400)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제1안착부(220)와 제2안착부(320)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edge-side lower surface thereof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20, respectively.

이때, 조리용기(400)의 하면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므로, 조리용기(400)가 베이스 프레임(100)과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the cooking vessel 400 can be rota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ase frame 100.

이와 같은 조리용기(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열원(1)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은 경사진 각도로 사선을 이룬다.When the base frame 10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1, the cooking container 400 is positione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base frame 100, ) Obliquely angles at an oblique angle.

아울러, 수용공간(410)의 바닥면에는 도 8과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420)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8 and 10, the guide member 42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0 with the guide member 420 position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

가이드부재(420)는, 도 8과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수용공간(410)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guide member 420 may have a length toward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0 as shown in Figs.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부재(420)는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하부 몸체(421) 및, 하부 몸체(421)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조리용기(4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422)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member 420 includes a lower body 421 horizontal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and a cooking vessel 400 And an upper body 422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422.

예를 들어, 조리용기(400)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가이드부재(4)가 편심 회전되면서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을 상부영역으로 쓸어 올려준다.For example, when the cooking vessel 400 is rotated in an inclined state, the guide member 4 is eccentrically rotated and sweeps the food 10, which has mov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into the upper region.

이후, 가이드부재(410)가 바닥면의 상부영역으로 회전될 때, 가이드부재(410)의 회전 방향측 일면에 위치된 음식물(10)이 자중에 의해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낙하한다.Then, when the guide member 410 is rota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the food 1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side of the guide member 410 falls to the low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by its own weight.

이 과정에서, 가이드부재(410)로부터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낙하된 음식물(10)은 조리되는 자세가 반복적으로 변경되므로, 음식물(10)의 여러 면이 균일하게 익혀진다.In this process, the food 10 dropped from the guide member 410 to the low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is repeatedly changed in the posture to be cooked, so that the various surfaces of the food 10 are uniformly cooked.

또한, 수용공간(410)의 바닥면에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430)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guide member 43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410 with one side of 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position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가이드부재(4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과 수용공간(410)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guide member 420 and 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may have a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0, Lt; / RTI >

이와 같은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수용공간(410)에 수용된 음식물(10)을 섞어준다.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rotat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mixes the food 10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10.

그리고, 보조 가이드부재(430)는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수용공간(410)의 바닥부 하부영역에 위치된 음식물(10)을 들어올리거나 뒤집으면서 통과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has a low height, the food 10 positioned in the bottom area of the receiving space 410 can be lifted or reversed.

즉, 보조 가이드부재(430)와 가이드부재(420)의 2중 뒤집기 동작이 가능하므로, 음식물(10)의 여러 면을 보다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That is, since the auxiliary guide member 430 and the guide member 420 can be double-flipped, various surfaces of the food 10 can be more uniformly woven.

한편,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는 도 6 내지 10에서처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출홀(440)이 편심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hole 440 may be eccentrical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with reference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s shown in FIGS.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를 구이(고기, 생선 등)용으로 사용할 때 형성시키는 것으로,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의 하부로 관통 형성된다.The discharge hole 440 is formed when the cooking container 400 is used for grilling (meat, fish, etc.), and the discharge hole 440 is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이와 같은 배출홀(440)은, 수용공간(410)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의 유출액(11)을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홀(440)은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에 회동 위치될 때 바닥면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을 하부로 배출시킨다.The discharge hole 440 is for discharging the effluent 11 of the food 10 moved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0. The discharge hole 440 is formed in a lower reg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discharged to the bottom.

이때, 배출홀(44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유출액(11)은 낙하홀(130)을 통해 수거용기(14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되어 일정량으로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ffluent 11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40 may be dropp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140 through the drop hole 130 and be received in a predetermined amount.

이와 함께,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는 도 6 내지 10에서처럼 수용홈(45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수용홈(45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된다.6 to 1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The receiving groove 45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Respectively.

여기서, 수용홈(45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출홀(440)은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수용홈(450)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groove 450 has a length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and the discharge hole 440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450 located on the rotating direction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Lt; RTI ID = 0.0 > a < / RTI >

예를 들어, 조리용기(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음식물(10)의 유출액(11)이 수용홈(450)에 일정 량으로 수용된다.For example, when the cooking vessel 400 is rotated clockwise, the effluent 11 of the food 10 mov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41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450 in a certain amount.

이후, 수용홈(450)이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에 위치될 때, 수용홈(450)에 수용된 유출액(11)이 배출홀(44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Then, when the receiving groove 450 is positioned in the lower area of the receiving space 410, the effluent 11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50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through the discharging hole 440.

즉, 수용홈(450)은 일정 깊이를 갖고, 조리용기(400)의 회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므로,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은 상부영역으로 이동되지 않고 수용홈(450)의 내부에 머물게 된다.That is, since the receiving groove 450 has a certain depth and has a length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ooking vessel 400, the outlet 11 mov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410 is not moved to the upper area, And remains inside the groove 450.

구동유닛(500)은, 도 1, 2, 4, 8, 10 및 도 12 내지 14에서처럼 구동롤러(200)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조리용기(400)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킨다.The driving unit 500 rotates the cooking vessel 400 at a set speed by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 a state of being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200 as shown in Figs. 1, 2, 4, 8, 10 and 12 to 14 .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유닛(500)은 하우징(510)과, 모터(520)와, 구동기어(530)와, 전원 공급부(540) 및, 제어부(550)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e unit 500 may include a housing 510, a motor 520, a drive gear 530, a power supply unit 540, and a control unit 550.

상기 하우징(510)은, 도 1, 2, 4, 8, 10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51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51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as shown in FIGS. 1, 2, 4, 8 and 10, and a certain spac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510.

이와 다른 형태로, 하우징(510)은 도 11 내지 13에서처럼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유닛에 의해 착탈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using 510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a fasten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as shown in FIGS.

체결유닛은, 체결핀(610) 및, 록킹부재(620)로 구비될 수 있는데, 체결핀(6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으며, 록킹부재(6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체결핀(610)과 이격 위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in 610 and a locking member 620. The fastening pin 610 may vertically protrude from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in 610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in 6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여기서, 록킹부재(6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621)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620 is horizontally bent from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frame 100 to the upper side a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base frame 100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621 or A horizontal portion in which the latching groove is formed can be formed.

이와 함께, 하우징(510)의 일측에는 도 13에서처럼 체결핀(610)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511)이 상하로 형성되고, 체결핀(610)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록킹부재(620)에 결합될 수 있다.A coupling hole 5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510 to vertically insert the coupling pin 610 as shown in FIG. 13,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510, which is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in 610, May be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620.

또한, 하우징(510)의 상면에는 도 11 내지 13에서처럼 수평부의 걸림돌기(621)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or a locking groove 512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621 of the horizontal portion or the locking protrusion as shown in FIGS.

모터(520)는, 하우징(510)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520)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5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otor 520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510 and the driving gear 5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520.

구동기어(530)는, 전술한 종동기어(240)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기어(53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510)의 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driving gear 530 is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240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gear 530 has a disk shape and can be horizontally rotatably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10.

여기서, 구동기어(530)의 측면을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구동기어(530)의 톱니가 종동기어(240)의 톱니와 맞물림 결합된 상태로 회전된다.Here,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driving gear 530, and the teeth of the driving gear 530 are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driven gear 240.

물론, 구동기어(530)는 미도시 하였으나 종동기어(240)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평하게 위치되거나, 그 밖에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driving gear 530 is not shown, but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n gear 240 and the base frame 100, or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at other positions.

전원 공급부(540)는, 모터(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54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520, and the power supply unit 540 may use a replaceable battery.

이를 위해, 하우징(510)의 일부분에는 개폐 커버(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는 충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n opening / closing cover (not shown)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a part of the housing 510,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to be chargeable.

이 경우, 하우징(510)의 외부에는 전원 공급부(540)와 연결된 충전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충전 단자에는 충전용 케이블의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4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510, and a terminal of the charging cable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제어부(550)는, 전원 공급부(540)의 동작(전원 온/오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부(540)의 제어를 통해 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5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540 (power on / off, etc.) and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520 through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unit 540.

여기서, 제어부(550)는 전원 공급부(540)의 전압 조절을 통해 모터(520)의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 unit 550 may variabl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520 through the voltag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unit 540.

한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도 14에서처럼 제2수직 회전축(310)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8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14, a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0 and a guide hole 80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may be further formed have.

이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양단이 제2수직 회전축(310)의 하단과 조리용기(400)의 회전중심(C)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900, 코일 스프링 등)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0,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to provide an elastic member 900, Etc.) can be further provided.

즉, 제2수직 회전축(310)이 가이드홀(8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조리용기(400)의 직경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900)의 인장력에 지지롤러(300)가 조리용기(400)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800,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30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므로, 음식물(10)을 섞어나 뒤집어주는 등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가열 부분에 음식물(10)이 오래 머물지 않아 음식물(10)의 외면을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is continuously rotated in an inclined stat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discomfort such as mixing and inverting the food 10, The outer surface of the food 10 can be uniformly cooked without staying long.

그리고, 열원(1)의 열이 조리용기(400)의 바닥면에 넓은 면적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적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10)의 유출액(11, 기름 등)이 수용홈(4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용공간(410)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된 유출액(11)이 상부영역으로 넘치지 않아 음식물(10)의 맛이나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heat of the heat source 1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400 in a large area, the heat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heat loss is small, and the effluent 11 (oil, etc.) Since the effluent 11 mov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410 does not overflow into the upper region and the taste and texture of the food 10 ar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

또한, 구동롤러(200)의 외면에 마찰부재(230)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롤러(200)의 회전력이 조리용기(400)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구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롤러(300)가 조리용기(40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조리용기(400)의 유동이 방지된다.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200 is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ooking container 400 by providing the friction member 23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200, the driving force loss can be minimized, And is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400, so that the flow of the cooking vessel 400 is prevent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회전식 조리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열원 10: 음식물
11: 유출액 100: 베이스 프레임
110: 통과홀 120: 경사부
130: 낙하홀 140: 수거용기
150: 안착롤러 200: 구동롤러
210: 제1수직 회전축 220: 제1안착부
230: 마찰부재 240: 종동기어
300: 지지롤러 310: 제2수직 회전축
320: 제2안착부 400: 조리용기
401: 덮개 410: 수용공간
420: 가이드부재 421: 하부 몸체
422: 상부 몸체 430: 보조 가이드부재
440: 배출홀 450: 수용홈
500: 구동유닛 510: 하우징
511: 체결홀 512: 걸림홈
520: 모터 530: 구동기어
540: 전원 공급부 550: 제어부
610: 체결핀 620: 록킹부재
621: 걸림돌기 700: 커버
800: 가이드홀 900: 탄성부재
C: 회전중심
1: heat source 10: food
11: effluent 100: base frame
110: through hole 120: inclined portion
130: Drop hole 140: Collection container
150: seat roller 200: driving roller
210: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220: first seat portion
230: friction member 240: driven gear
300: Support roller 310: Second vertical rotation shaft
320: second seat part 400: cooking container
401: cover 410: accommodation space
420: guide member 421: lower body
422: upper body 430: auxiliary guide member
440: exhaust hole 450: receiving groove
500: drive unit 510: housing
511: fastening hole 512: fastening groove
520: motor 530: drive gear
540: Power supply unit 550: Control unit
610: fastening pin 620:
621: locking protrusion 700: cover
800: guide hole 900: elastic member
C: center of rotation

Claims (20)

열원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열원의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제1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구동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제2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영역측 상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주를 이루는 측면이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조리용기 및, 상기 구동롤러에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설정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열원에 안착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키며,
상기 구동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1안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롤러의 하단에는 측면을 따라 제2안착부가 돌출되며, 상기 조리용기는 가장자리측 하면이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A base frame which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so as to vertically pass through the heat source so as to transfer the heat of the heat sour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horizont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on the basis of the second vertical rotation axis, and a receiving space upwardly openable and closable, A cylindrical cooking cavity in which a circumferential side surface is rotatab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supporting rollers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driving roller and a rot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roll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The base frame having a lower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And, it sikimyeo downwardly inclined position when seated on the heat sou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in the forwar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seating portion is protruded along a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protruded along a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roller and the edge side bottom fac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rollers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외부에는,
링 형상의 마찰부재가 측방을 감싸는 상태로 더 결합되며,
상기 마찰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side of the drive roller,
A ring-shaped friction member is further engaged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side,
The friction member include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측면에는,
다수의 종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의 측면에는,
상기 종동측 톱니와 암수로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다수의 구동측 톱니가 측방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A plurality of driven side teeth are formed along the side,
On the side surface of the drive roller,
And a plurality of driving-side teeth are form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meshedly engaged with the driven-side teeth and the male-like tee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guide member is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cooking cavity in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avity,
The guide member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vessel to mix food and drink contained in the cooking cavit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member
And has a length toward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길이 방향측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부 몸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member
A lower bod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And an upper body folded vertically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and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가 일측에 편심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을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auxiliary guide members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oking cavity in an eccen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avity,
The auxiliary guide member
Wherein the guide member has a lower height than the guide member and mixes the f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being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ontai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과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을 향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auxiliary guide member
And has a length toward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방측에 낙하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이동된 음식물의 유출액을 상기 낙하홀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rame includes:
A drop hole is vert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And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effluent of the food moved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downward through the drop hole is vertically formed so as to be eccentrically position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Cook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낙하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op hole
Wherein the cooking cavity has a length alo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ooking cavit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편심 위치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길이를 갖는 수용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 방향측에 위치된 상기 수용홈의 길이 방향측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vessel,
A receiving groove having a length in a curve along a rotating direc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is further formed in one side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container,
The discharge hole
Wherein the cooking cavity is locat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낙하홀의 하부에는,
수거용기가 더 위치되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을 통해 삽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p hole,
The collection container is further positioned,
Wherein the collection container comprises:
Wherein the base is removable through the front of the base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의 중심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으로 편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of the through-
And is eccentrically positioned forward of the base frame with respect to a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vess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회전축은,
상단에 상기 구동롤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에 종동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ertical rotation shaft
The driving roller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the driven gea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driving unit includes:
A housing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 motor provided in the housing,
A drive gear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meshed with the driven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housing includes:
Wherein the fastening unit is detach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체결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체결핀과 이격 위치되는 록킹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핀이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일측에 체결홀이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되는 타측이 상기 록킹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pin projecting vertically from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locking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pin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The housing includes:
Wherein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fastening pin is vertically inserted, and the other side eccentric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pin is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며, 하면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평부의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과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on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horizontal portion bent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o an out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locking projection or an engagement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protrusion or an engagement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or the locking recess of the horizontal portion by male and fema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2수직 회전축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으로 길이를 갖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양단이 상기 가이드홀과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중심 방향에 각각 연결되어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e frame,
A guide hole having a length having a length at a rotation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Wherein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respectively, so as to exert a tensile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롤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착롤러는,
수평 회전중심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하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e frame,
At least one settling roller is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seating roller comprises:
Wherein a center of horizontal rotation is fixed to the base frame and an upper end protrudes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o rotatab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container.
KR1020180122764A 2018-10-15 2018-10-15 Rotary cooker KR101976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en) 2018-10-15 2018-10-15 Rotary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en) 2018-10-15 2018-10-15 Rotary coo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43B1 true KR101976643B1 (en) 2019-05-10

Family

ID=6658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64A KR101976643B1 (en) 2018-10-15 2018-10-15 Rotary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4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49B2 (en) * 1988-08-23 1995-11-01 株式会社あじかん Continuous cooking machine for food
JPH0849B2 (en) * 1992-06-10 1996-01-10 株式会社トーファー Fried dough feeding device
KR20140139289A (en) * 2013-05-27 2014-12-05 신영교 The direct steamed and baked dish apparatus use cast iron plate
CN204336623U (en) * 2014-12-31 2015-05-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Electric cooker
JP7100049B2 (en) * 2017-02-28 2022-07-12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Systric processor system for optical rang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49B2 (en) * 1988-08-23 1995-11-01 株式会社あじかん Continuous cooking machine for food
JPH0849B2 (en) * 1992-06-10 1996-01-10 株式会社トーファー Fried dough feeding device
KR20140139289A (en) * 2013-05-27 2014-12-05 신영교 The direct steamed and baked dish apparatus use cast iron plate
CN204336623U (en) * 2014-12-31 2015-05-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Electric cooker
JP7100049B2 (en) * 2017-02-28 2022-07-12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Systric processor system for optical rang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5372422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irring food during cooking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US812281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JP5436536B2 (en) Improved stand-type mixer configuration
KR101964554B1 (en) A lid for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JP2018057912A (en) Drum-type cooker
KR101601832B1 (en) A roast cook automatic roast Apparatus
US20100012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rizontal axis based food stirring
US20120138716A1 (en) Automatic bread making machine
CN111050608A (en) Cooking pot cover with stirring function
RU2750451C2 (en) Cooking machine
US20120174800A1 (en) Independent stirring cooking receptacle
KR101976643B1 (en) Rotary cooker
KR101958620B1 (en) cooking utensils with rotary type oven
KR101468474B1 (en) Caldron apparatus
US20140290499A1 (en) Preparing foodstuff
JP2009060932A (en) Automatic bread maker
JP2013090890A (en) Cooking utensil with stirring device and the stirring device
GB2434082A (en) Food cooking and stirring device
JP2016168154A (en) Drum type cooker
US9975097B2 (en) Food preparation device with stirring system
JP2008183179A (en) Cookware in cooking electric heater
JP2013165822A (en) Rice cooker
KR20060095245A (en) A pan to roast a g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