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07B1 -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 Google Patents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07B1
KR101976607B1 KR1020170161046A KR20170161046A KR101976607B1 KR 101976607 B1 KR101976607 B1 KR 101976607B1 KR 1020170161046 A KR1020170161046 A KR 1020170161046A KR 20170161046 A KR20170161046 A KR 20170161046A KR 101976607 B1 KR101976607 B1 KR 10197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vator main
air tube
elevato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영
이병호
강찬우
이용찬
이상윤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The impact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comprises: an elevator main body;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elevator main body and detecting a horizontal value or a falling speed value of the elevator main body; a first impact absorbing unit installed on the elevator main body to be possible to expand a volume; a controller comparing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predetermined valu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impact absorbing unit. When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perate the first impact absorbing unit to prevent direct body contact with the elevator main body so as to reduce impact on a body.

Description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본체가 추락할 경우, 승강기 본체 내측공간에서 에어백 모듈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승강기 본체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방지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module for an airbag module which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an airbag module in an inner space of an elevator main body when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thereby preventing direct body contact with the elevator main body, To a shock absorber.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승강기(Elevator)가 설치된다.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by residential and commercial roads for smooth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passengers searching for the buildings.

이러한 승강기는 인원 탑승 및 물건 적재를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지(Cage)를 권양기(Winch)의 모터 구동에 따른 로프 견인에 의해 승강시키게 되므로, 모터의 고장이나 로프의 파손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케이지의 추락에 노출될 위험이 있게 된다.Since the elevator lifts and raises the cage having the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for the purpose of boarding the passengers and the goods by pulling the rope by driving the motor of the winch, There is a risk of exposure to the fall of the vehicle.

예컨대, 승강기에 많은 사람이 탑승하거나, 고중량의 화물을 실어 올리게 되면서 와이어에 높은 인장응력이 작용할 경우, 오랫동안 사용하여 와이어가 노후되었을 경우 등등의 이유로 승강기의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권양기로부터 풀어져 케이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ride on an elevator, a high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a wire due to a heavy load, and the wire is aged for a long time, etc., the wire of the elevator is broken or loosened from the hoist, An accident may occur.

특히, 건축현장에 임시로 가설되는 승강기는 건물이 완공되면 철거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그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건물의 외측에 철골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 철골 구조물에 케이지가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가이드 레일을 부착하며, 건물의 상측에 케이지를 승강시킬 수 있는 권양기를 설치하는 정도로만 구성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Especially, since the elevator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site needs to be demolished when the building is completed, a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guide rail And a hoisting machine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cag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즉, 건축현장에 가설되어 있는 승강기는 일반건물에 시공되어 있는 승강기에 비하여 안전시설이 미비하게 갖추어져 있으므로, 과적재(過積載)에 의한 추락사고가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elevator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site has less safety facilities than the elevator installed in the general building, a fall accident caused by overloading occurs more frequentl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8258호(발명의 명칭: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8258 (entitled Lift / Lift Car with Lif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승강기 본체가 추락할 경우, 승강기 본체 내측공간에서 에어백 모듈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승강기 본체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방지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ag modul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the airbag module in a space inside the elevator main body when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An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improves safety that can reduce an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또한, 에어백 모듈이 승강기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2중으로 설치된 구성을 통해 신체가 하단부의 에어백 모듈에 의해 튀어오르면서 승강기 본체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부딪힐 우려까지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airbag module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airbag module can be prevented from bumping directly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by raising the body by the airbag module at the lower en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vehicle.

또한, 승강기 본체의 외측과 내측에서 탄성작용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을 더 설치하여 보다 향상된 완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improves the safety of achieving an improved shock absorbing effect by additionally providing an additional shock absorbing structure by utilizing an elastic action 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elevator main body. The purpo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는,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승강기 본체에 부피팽창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충격흡수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having improved safety, comprising: an elevator main body;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elevator main body and sensing a horizontal value or a descending speed value of the elevator main body;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bulky and expandable to the elevator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by comparing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with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이 기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기 본체가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부피가 팽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when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nd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volum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have.

또한,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 에어튜브; 및 상기 제1 에어튜브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에어튜브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제1 에어튜브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1 인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may include: a first air tu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a first inflator connected to the first air tube and the controller to expand the volume of the first air tube while supplying gas to the first air tub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 에어튜브; 및 상기 제2 에어튜브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에어튜브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제2 에어튜브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2 인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air tu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a second inf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tube and the controller to expand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tube while supplying gas to the second air tub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승강기 본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승강기 본체의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는 제2 충격흡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hock absorber installed in the elevator main body to reduce an impact due to the fall of the elevator main body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이격패널; 및 상기 승강기 본체와 상기 이격패널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추락 시에, 상기 승강기 본체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추락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may include a spacing panel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an elastic support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ator main body and the spacing panel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or main body when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and absorbs the impact due to the falling of the elevator main body.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pad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는, 승강기 본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과, 승강기 본체의 내측공간을 일부 차지하도록 부피가 팽창하는 제1 충격흡수유닛과,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제1 충격흡수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승강기 본체가 추락할 경우, 제1 충격흡수유닛을 자동 작동시켜 승강기 본체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방지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main body,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for expanding the volume so as to partially occupy the inside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When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through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prevent direct body contact with the elevator main body, .

또한, 제1 충격흡수유닛이 승강기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2중으로 설치된 구성을 통해 신체가 하단부의 제1 에어튜브에 의해 튀어오르면서 승강기 본체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부딪힐 우려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is dou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umping directly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by the first air tube at the lower end It is effective.

또한, 승강기 본체의 외측과 내측에서 탄성작용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흡수유닛을 더 설치하여 보다 향상된 완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urther shock absorbing unit which absorbs impact additionally by using an elastic action o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elevator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thereby achieving an improved buffer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제1,2 충격흡수유닛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4는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er for the elevator.
3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ock absorbing units of the elevator shock absorbing device.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의 제1,2 충격흡수유닛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er for the elevator,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100)는 승강기 본체(110), 센서유닛(120), 제1 충격흡수유닛(130), 컨트롤러(140), 제2 충격흡수유닛(150) 및 구획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to 4, an elevator shock absorber 100 having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main body 110, a sensor unit 120,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140, a second shock absorbing unit 150, and a partition unit 160. [

상기 승강기 본체(110)는 인원의 탑승 또는 사물의 적재를 위해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지(cage)로서, 다양한 건물의 설정된 승강통로(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고, 와이어, 권양기, 승강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승강통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or main body 110 is a cag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for boarding passengers or for loading objects, and may b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elevation passage (not shown) of various buildings. The elevator main body 110 may include a wire, And can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passage by a known elevating unit including the elevating unit.

이러한 상기 승강기 본체(110)는 사각기둥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승강기의 공지구성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the elevator main body 11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known shap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상기 센서유닛(120)은 전술한 승강기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수평정도와 상기 승강기 본체(110)가 하강되는 속력의 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121)와 제2 센서(12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to sense the level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the degree of the descending speed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 first sensor 121, and a second sensor 122.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122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상기 제1 센서(121)는 승강기 본체(110)의 수평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손잡이 본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수평감지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수평계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21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110 which is horizontal with the ground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leveling systems can be appl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센서(122)는 승강기 본체(110)가 하강되는 속력의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공지의 속도센서(speed sensor)가 취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cond sensor 122 is a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the descent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The second sensor 122 preferably includes various known speed sensors using a Doppler effect such as ultrasonic wave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은 승강기 본체(110)가 추락하는 비상시에, 상기 승강기 본체(110)로부터 신체에 가해질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설치되어 후술될 컨트롤러(14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has a structure for preparing for an impact to be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an emergency in which the elevator main body 110 falls, The controll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40 so that the volume thereof is expand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

이러한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은 공지의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이 적용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에어튜브(131), 제1 인플레이터(132), 제2 에어튜브(133) 및 제2 인플레이터(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may be a known air bag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a first air tube 131, a first inflator 132, a second air tube 133, and a second inflator 134. [

상기 제1 에어튜브(131)는 후술되는 제1 인플레이터(132)에 의한 가스(공기)공급으로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하측 일부를 차지하도록 부피가 팽창하면서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기주머니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하단부 측면에 수축된 상태에서 설정된 형태로 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ir tube 131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body while expanding in volume to occupy a low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by supplying gas (air) by a first inflator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ag for absorbing the impact is preferably folded on the lower end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a contracted state.

상기 제1 인플레이터(132)는 제1 에어튜브(131)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에어튜브(131)와 컨트롤러(140)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에어튜브(131)로 고압의 전개가스를 분출시켜 상기 제1 에어튜브(131)의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폴딩되어 있던 제1 에어튜브(131)가 전개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하측 일부를 차지하도록 한다.The first inflator 132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tube 131 and the controller 140 to supply the gas to the first air tube 1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tube 131 is expanded by discharging a high pressure expansion gas to the first air tube 131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air tube 131. As a result, So as to occupy a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

상기 제2 에어튜브(133)는 후술되는 제2 인플레이터(134)에 의한 가스(공기)공급으로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상측 일부를 차지하도록 부피가 팽창하면서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기주머니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상단부 측면에 수축된 상태에서 설정된 형태로 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air tube 133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body while expanding in volume so as to occupy an upp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by supplying gas (air) by a second inflator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ag for absorbing the impact is preferably fold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a contracted state.

상기 제2 인플레이터(134)는 제2 에어튜브(133)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에어튜브(133)와 컨트롤러(140)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에어튜브(133)로 고압의 전개가스를 분출시켜 상기 제2 에어튜브(133)의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폴딩되어 있던 제2 에어튜브(133)가 전개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상측 일부를 차지하도록 한다.The second inflator 134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tube 133 and the controller 140 to supply the gas to the second air tube 1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e expanded gas is blown out to the second air tube 133 by the control of the second air tube 133 so that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tube 133 is expanded, So as to occupy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

이러한 상기 제1,2 인플레이터(132, 134)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다양한 공지의 가스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inflator 132 and 134 are generally known in the art, various known gas supply devices can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컨트롤러(140)는 센서유닛(120)의 센서값(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유닛(120) 및 제1 충격흡수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onitors the stat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using the sensor value (horizontal value or falling speed value) of the sensor unit 120,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20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센서유닛(120)에서 감지된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추락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의 제1,2 인플레이터(132, 134)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elevator main body 110 has fallen by comparing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with a preset valu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flator 132,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140)는 제1 센서(121)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수평 값 또는 상기 제2 센서(122)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하강속도 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S10), 상기 수평값 또는 하강속도 값이 기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기 본체(110)가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여(S20),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의 제1,2 에어튜브(131, 134) 부피가 팽창되도록 제어(S3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horizontal valu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sensed through the first sensor 121 or the horizontal valu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sensed through the second sensor 122 (S10). If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main body 110 is going to fall (S20), and the first shock absorption unit (S30) so that the volum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131 and 134 is expanded.

상기 제2 충격흡수유닛(150)은 승강기 본체(110)의 내측과 외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과 함께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이격패널(151), 탄성지지체(152) 및 완충패드(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150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elevator main body 110 to reduce the impact caused by the fall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The resilient supporting member 152 and the buffer pad 153. The elastic pad 152 and the buffer pad 15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이격패널(151)은 승강기 본체(110)의 추락 시에, 승강통로의 최하측에 위치한 구조물 또는 지면 등에 우선적으로 접촉하면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균형적인 충격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판형의 부재로서,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ing panel 151 is a plate-shaped member for inducing a balanced impact dispersion in a larger area while preferentially contacting a structure or a ground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elevating passage at the time of falling of the elevating main body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이러한 상기 이격패널(151)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100)는 후술될 탄성지지체(152)만을 구성하여 적용시킬 경우보다 넓은 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적인 충격흡수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100 for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chieving a balanced and stable shock absorbing function over a larger area than that of the elastic supporting body 152, do.

상기 탄성지지체(152)는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추락 시에, 승강기 본체(110)를 상기 이격패널(151)로부터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추락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기 본체(110)와 이격패널(151)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supporter 152 is configured to absorb the shock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while the elevator main body 110 elastically supports the elevator main body 110 from the spacing panel 151 at the time of the fall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between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the spacing panel 151.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체(152)는 탄성을 갖도록 제작된 금속 스프링이 취급될 수 있으나, 공기, 오일 등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유압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공지의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support 152 may be a metal spring manufactured to have elasticity, but a hydraulic spring using a fluid pressure such as air or oil may be appl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variety of known elastic members can be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완충패드(153)는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기능의 패드로서, 상기 승강기 본체(153)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질의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 PVC,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등 연질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지의 탄성소재가 취급될 수 있다.The cushioning pad 153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body 153 to absorb impact by using elasticity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in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may be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but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elastic materials made of synthetic resin, PVC, polyurethane, styrofoam, or the like can be handled.

상기 구획유닛(160)은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 및 컨트롤러(140)를 수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격벽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부공간 일측을 연직방향으로 구획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기 본체(110)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통해 설정된 수용공간(S)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artition unit 160 has a separat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and the controller 140 among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The partition unit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wall, The accommodating space S is formed through a space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구획유닛(160)은 철 또는 금속 등 다양한 공지의 강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목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partition unit 160 is preferably made of various known rigid materials such as iron or met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woo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획유닛(16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S)은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 및 컨트롤러(140)를 수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130) 및 컨트롤러(140)가 상기 승강기 본체(110) 내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신체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함은 물론, 탑승자의 시선에서의 외관미가 보다 깔끔하게 느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by the partitioning unit 160 can accommodate the first shock absorption unit 130 and the controller 140, 130 and the controller 140 are not disturbed by the body of the passenger boarding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the appearance of the passenger can be felt more neatly.

한편, 상기 제1,2 에어튜브(131, 133)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구획유닛(160)의 일부분에는 상기 제1,2 에어튜브(131, 133)를 탑승자 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테어라인(161)이 형성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partition unit 16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131 and 133 are installed is provided with a tear line for discharging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131 and 133 in the direction of the occupant. (161) may be formed.

이러한 상기 테어라인(161)은 제1,2 에어튜브(131, 133)가 전개될 경우, 상기 제1,2 에어튜브(131, 133)의 가압에 따라 찢어지면서 상기 제1,2 에어튜브(131, 133)가 구획유닛(160)을 통과하여 탑승자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131 and 133 are deployed, the tear line 161 is torn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131 and 133, 131, and 133 to pass through the partition unit 160 and be discharged toward the passenger,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상기 테어라인(161)이 형성되는 상기 구획유닛(160)의 일부분은 절개되기 용이하도록 천과 같은 원단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고무,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 다양한 공지의 유연성(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part of the partitioning unit 160 in which the tear line 161 is formed is preferably made of a cloth material such as cloth to facilitate cutting. In addition, various known flexible materials such as rubber, silicone resin, )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100)는, 승강기 본체(11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20)과, 승강기 본체(110)의 내측공간을 일부 차지하도록 부피가 팽창하는 제1 충격흡수유닛(130)과, 센서유닛(120)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제1 충격흡수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를 통해 승강기 본체(110)가 추락할 경우, 제1 충격흡수유닛(130)을 자동 작동시켜 승강기 본체(110)와의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방지하면서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hock absorber 100 for an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20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And a controller 14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expands,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0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to prevent direct body contact with the elevator main body 110 while reducing the impact on the body.

또한, 제1 충격흡수유닛(130)이 승강기 본체(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2중으로 설치된 구성을 통해 신체가 하단부의 제1 에어튜브(131)에 의해 튀어오르면서 승강기 본체(110)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부딪힐 우려까지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shock absorber 13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in a duplex manner so that the body is protruded by the first air tube 131 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even the possibility of directly colliding with the upper surface.

더불어, 승강기 본체(110)의 외측과 내측에서 탄성작용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충격흡수유닛(150)을 더 설치하여 보다 향상된 완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150, which absorbs additional shock by utilizing the elastic action at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elevator main body 110, can be further provided to achieve a further improved shock absorbing effec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110 : 승강기 본체
120 : 센서유닛 121 : 제1 센서
122 : 제2 센서 130 : 제1 충격흡수유닛
131 : 제1 에어튜브 132 : 제1 인플레이터
133 : 제2 에어튜브 134 : 제2 인플레이터
140 : 컨트롤러 150 : 제2 충격흡수유닛
151 : 이격패널 152 : 탄성지지체
153 : 완충패드 160 : 구획유닛
161 : 테어라인 S : 수용공간
100: shock absorber for elevator 110: elevator main body
120: sensor unit 121: first sensor
122: second sensor 130: first shock absorbing unit
131: first air tube 132: first inflator
133: second air tube 134: second inflator
140: Controller 150: Second shock absorption unit
151: spacing panel 152: elastic support
153: buffer pad 160: partition unit
161: Tear Line S: Capacity space

Claims (7)

승강기 본체;
상기 승강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승강기 본체에 부피팽창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충격흡수유닛;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을 기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승강기 본체의 내부공간 일측을 연직방향으로 구획하여 상기 승강기 본체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 및 컨트롤러를 수용시키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 에어튜브;
상기 제1 에어튜브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에어튜브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제1 에어튜브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1 인플레이터;
상기 승강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 에어튜브; 및
상기 제2 에어튜브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에어튜브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제2 에어튜브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제2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유닛은,
상기 제1 에어튜브 및 제2 에어튜브가 각각 설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일부분에 테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테어라인은,
상기 제1 에어튜브 및 제2 에어튜브의 전개에 따른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해당 제1 에어튜브 및 제2 에어튜브를 탑승자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An elevator main body;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elevator main body and sensing a horizontal value or a descending speed value of the elevator main body;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bulky and expandable to the elevator main body;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by comparing a horizontal value or a falling speed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with a preset value; And
And a partitioning unit partitioning one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and the controller among internal spaces of the elevator main body,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includes:
A first air tub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 first inflator connected to the first air tube and the controller to expand the volume of the first air tube while supplying gas to the first air tub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second air tu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And a second inf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tube and the controller fo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econd air tube while supplying gas to the second air tub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partitioning unit includes:
A tear line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air tube and the second air tube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tear line,
And the first air tube and the second air tube are torn in the direction of the occupant while being torn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tube and the second air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수평 값 또는 하강속도 값이 기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기 본체가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충격흡수유닛의 부피가 팽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rein when the horizontal value or the falling speed valu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vator main body falls and the volum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is expanded. Shock absorber for ele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본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승강기 본체의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는 제2 충격흡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hock absorbing unit installed on the elevator main body to reduce an impact due to a fall of the elevator main body while providing an elastic for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승강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이격패널; 및
상기 승강기 본체와 상기 이격패널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본체의 추락 시에, 상기 승강기 본체를 탄성지지하면서 상기 추락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includes:
A spacing panel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elevator main body; And
And an elastic support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ator main body and the spacing panel to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or main body when the elevator main body collapses, and absorbs the impact due to the falling of the elevator main body. Shock absorbers for lift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승강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강기용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cushioning pad provid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main body.
KR1020170161046A 2017-11-28 2017-11-28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KR101976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46A KR101976607B1 (en) 2017-11-28 2017-11-28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46A KR101976607B1 (en) 2017-11-28 2017-11-28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07B1 true KR101976607B1 (en) 2019-05-09

Family

ID=6654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46A KR101976607B1 (en) 2017-11-28 2017-11-28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856A (en) * 2001-01-11 200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Buffer device for elevator
JP2006219219A (en) * 2005-02-08 2006-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buffer
KR100638258B1 (en) 2005-04-26 2006-10-30 수림엘리베이터(주) Elevator cage with function of full protection device
KR20170043763A (en)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Safety-enhanced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856A (en) * 2001-01-11 200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Buffer device for elevator
JP2006219219A (en) * 2005-02-08 2006-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buffer
KR100638258B1 (en) 2005-04-26 2006-10-30 수림엘리베이터(주) Elevator cage with function of full protection device
KR20170043763A (en) * 2015-10-14 2017-04-24 김민영 Safety-enhanced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082A (en) Integrated active seat suspension and seat lockup device
US5181697A (en) Impact member with multiple concentric gas cushions inflated in sequence
CN100562479C (en) Lift car with reducible car top
CN102530669B (en) Elevator apparatus
CA2638210A1 (en) Protection system
JP2006219219A (en) Elevator buffer
KR101933198B1 (en) Cushion System for Elevator Crash
KR102317959B1 (en) Ground test system for multicopter
CN105712164A (en) Device for improving safety of people in car
KR101976607B1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with improved safety
KR102039508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narrowness of high-place workbench
CN107662863B (en) Elevator anti-falling method
KR101727479B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train
WO2020238079A1 (en) Elevator fault rescue system and elevator
CN116553331A (en) Multistage deceleration buffering and damping mechanism of elevator and method thereof
CN211712379U (en) Car anti-falling device capable of being controlled at car
CN107628506A (en) A kind of anticollision device, collision-prevention device surprisingly to land for elevator
JP4698845B2 (en) Elevator shock absorber
KR101250358B1 (en) A Middle Side Airbag which is stuck with pressure friction to a roof and an arm-rest
JPH09315720A (en) Elevator safety device
CN212245803U (en) Villa elevator with safety airbag
JP4444055B2 (en) Boarding bridge system
CN216155246U (en) Elevator with safety device
JP2000095455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CN112678648A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