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96B1 -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96B1
KR101976496B1 KR1020130064235A KR20130064235A KR101976496B1 KR 101976496 B1 KR101976496 B1 KR 101976496B1 KR 1020130064235 A KR1020130064235 A KR 1020130064235A KR 20130064235 A KR20130064235 A KR 20130064235A KR 101976496 B1 KR101976496 B1 KR 10197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vehicle
support
link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805A (ko
Inventor
박희상
장용수
이중철
김재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프라코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프라코,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9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는 필러 패널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이 상기 필러 패널로부터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필러 트림과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는 측정유닛; 상기 측정유닛이 상기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유닛을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동작하는 위치제어유닛; 및 상기 위치제어유닛과 연결되고, 차량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TESTING APPARATUS FOR PILLAR SEPARATION STRENGTH}
본 발명은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A필러, B필러, C필러 위치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이 노출될 수 있는 필러의 탈거 한계점을 확인하기 위한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와 같은 차량의 도어 상부와 루프의 하부 사이에는 루프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차량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런트 필러 및 리어 필러와, 상기한 프런트 필러 및 리어 필러의 사이에 센터 필러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필러는 치수 및 형상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차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품간의 정확한 결합이 불가능하여 차량의 주행특성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차량의 완성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치수 및 형상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상의 차량 생산 공정에는 필러의 제작 완료 후, 상기한 필러의 결합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병행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제작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필러와 루프 사이에 승차자의 안전을 위한 커튼 에어백이 설치된다.
상기한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측면이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필러 트림이 필러로부터 분리되면서 펼쳐짐으로써, 승차자의 부상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필러와 필러 트림 사이에는 상호간의 연결부위의 연결력을 설정된 충격까지 유지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필러에 대한 필러 트림의 연결부 탈거력이 어느 정도인지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이 거의 없었고, 그에 따른 연구 개발 또한 미미한 실정이었다.
또한, 차량의 내부 조건을 고려하여 필러의 탈거력을 확인할 경우, 차량 내부의 상태 및 상황에 따른 변수가 많아 정확한 필러의 탈거력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필러 패널을 감싸는 필러 트림이 차량의 외부충격에 의해 탈거되어 커튼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상태가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커튼 에어백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가벼운 외부충격에도 필러 트림이 탈거되면서 커튼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어 승차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570388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필러 패널에서 필러 트림이 탈거되어 커튼 에어백이 노출될 수 있는 탈거 한계점을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각의 차량마다 필러 패널에 결합되는 필러 트림의 결합력을 외부충격에 의해 해제하기 위한 설정된 탈거 한계점을 설정하여 커튼 에어백의 전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이 받게 되는 가벼운 외부충격으로 인해 커튼 에어백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필러 패널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이 상기 필러 패널로부터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필러 트림과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는 측정유닛; 상기 측정유닛이 상기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유닛을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동작하는 위치제어유닛; 및 상기 위치제어유닛과 연결되고, 차량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한 푸시 풀 게이지;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상기 필러 트림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뭉치; 상기 지지뭉치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상기 필러 트림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지그몸체; 및 상기 지그몸체의 하부와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몸체가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봉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지지뭉치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서 상기 지지뭉치가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루 축; 상기 스크루 축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뭉치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뭉치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봉; 및 상기 스크루 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 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필러 트림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에 선단이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말단이 상기 푸시 풀 게이지에 연결되도록 상기 푸시 풀 게이지에 설치되는 인장고리; 및 상기 지지뭉치의 상면에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의 수평 배치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 게이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ㄴ'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필러 트림의 수직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몸체의 선단에 고정되는 도르레판; 상기 도르레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감아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상기 도르레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직 상 방향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필러 트림과 상기 도르레판이 수직상태를 확인하고,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수직 레이저 센서; 및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필러 트림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푸시 풀 게이지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수평 레이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르레판은 상기 지그몸체에 대하여 상기 도르레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레축; 상기 도르레판이 상기 지그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도르레판과 지그몸체를 체결하는 고정볼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뭉치; 상기 승하강 뭉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진입 링크; 상기 진입 링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길이방향 링크; 및 상기 길이방향 링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3축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폭방향 링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뭉치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홀이 반원을 그리며 배치되고, 상기 진입 링크에는 상기 제1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고정홀; 상기 길이방향 링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2 관통홀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1 회전판;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진입 링크를 고정하는 제1 고정핀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 링크는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링크에는 상기 제2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2 고정홀; 상기 폭방향 링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3 관통홀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2 회전판; 상기 제2 관통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 링크를 고정하는 제2 고정핀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링크는 상기 제2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방향 링크에는 상기 제3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제3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3 고정홀; 상기 제3 관통홀과 상기 제3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폭방향 링크를 고정하는 제3 고정핀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방향 링크는 상기 제3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 링크와 상기 길이방향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길이방향 링크와 상기 폭방향 링크의 일단 사이 또는 상기 폭방향 링크의 타단 하부에는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는 지면 또는 차량 내부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절봉; 상기 관절봉 들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스크루 볼트를 통해 상기 관절봉을 늘리거나 줄이는 길이 조절구; 및 상기 관절봉 들의 최상단과 상기 폭방향 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절봉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편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은 지면에 지지되는 판 형태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서 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위치제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어유닛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제어하는 승하강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체는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수직 스크루 축; 상기 수직 스크루 축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수직 안내봉; 및 상기 수직 스크루 축에서 연결되어 상기 수직 스크루 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하강 손잡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과 직접 닿도록 형성되는 바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이송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몸체를 사선으로 연결하여 지지몸체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필러 패널에서 필러 트림이 탈거 되는 탈거 한계점을 확인하여 커튼 에어백이 노출될 수 있는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를 정확하게 인지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경미한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이 오작동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신뢰성 확보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수평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필러 트림과 측정유닛의 상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수직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필러 트림과 측정유닛의 상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승하강 지지유닛 및 위치제어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에는 충돌 또는 추돌시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측면에도 커튼 에어백이 설치된다.
즉,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필러와 루프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측면에 노출된다.
이를 위해, 외부 충격에 의해 필러 골조를 이루는 필러 패널(10)로부터 상기 필러 패널(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30)이 탈거되어 분리된다.
상기 필러 트림(30)은 상기 필러 패널(10)에 볼트 또는 고정체를 통해 결합되는데, 상기 필러 패널(10)과 상기 필러 트림(30)은 차량마다 상호 결합력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필러 패널(10)과 상기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력을 일정한 범위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커튼 에어백의 원활한 전개를 유도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상기 필러 트림(30)이 탈거되는 인장력을 측정하여 커튼 에어백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는 필러의 골조를 이루는 필러 패널(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필러 트림(30)과 연결되는 측정유닛(1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기 필러 트림(30)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유닛(100)이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30)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동작하는 위치제어유닛(200)을 갖는다.
먼저, 상기 측정유닛(100)은 차량의 내부에 진입되어 상기 필러 트림(30)과 수평선상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잡아당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한계수치를 확인하는 수평인장시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을 수직선상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한계수치를 확인하는 수직인장시험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은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평균 한계수치를 통해 차량의 제작 시, 표준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필러 트림(30)을 탈거하는 시험과정에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측정유닛(100)은 작동력이 정 수직 또는 정 수평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시험에 임해야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정확한 한계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한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뭉치(130)와, 상기 지지뭉치(1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지그몸체(14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140)의 하부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몸체(140)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봉(150)을 포함한다.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지지뭉치(130)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서 상기 지지뭉치(130)가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루 축(14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스크루 축(14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뭉치(130)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뭉치(1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봉(144)과, 상기 스크루 축(142)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 축(142)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손잡이(146)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회전손잡이(146)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루 축(142)이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루 축(142) 상에 연결된 상기 지지뭉치(130)가 슬라이딩 유동된다.
즉, 상기 와이어(120)가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 축(142)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뭉치(130)가 상기 필러 트림(30)과 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120)에는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 장력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지지뭉치(130)는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이 탈거될 때까지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동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뭉치(130)의 유동은 상기 스크루 축(1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이루어진다.
반대로, 상기 회전손잡이(146)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뭉치(130)가 반대로 슬라이딩 유동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도 상기 필러 트림(30)과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지지뭉치(130)는 상기 스크루 축(142)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수평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측정유닛(100)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에 지지된 채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하는데, 상기 측정유닛(100)과 위치제어유닛(200)은 승하강 지지유닛(300)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서 지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연결되고, 차량의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지면에 지지되는 판 형태의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에서 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지지하는 지지몸체(3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지지몸체(320)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제어하는 승하강체(330)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수평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필러 트림(30)과 측정유닛(100)의 상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사고 등으로 차량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탑승자의 전면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탑승자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튼 에어백이 전개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를 외부 충격 및 차량 내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때,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튼 에어백은 필러의 골조를 이루는 필러 패널(10)과 상기 필러 패널(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30)이 상호 분리되면서 상기 필러 패널(10)과 차량의 루프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커튼 에어백이 차량 내부로 전개된다.
즉, 차량의 외부 충격 중에, 차량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필러의 골조를 이루는 필러 패널(10)로부터 상기 필러 패널(1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30)이 탈거되어 분리된다.
이때, 상기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력은 차량의 외부충격에 의한 커튼 에어백 전개작동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즉, 차량의 제작 시, 상기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력을 확인한 후, 차량의 외부 충격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었을 때, 커튼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한 측정유닛(100)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력을 일정한 범위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커튼 에어백의 원활한 전개를 유도한다.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패널(10)과 필러 트림(30)의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잡아당기되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필러 트림(30)이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유닛(100)은 위치제어유닛(200)에 의해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30)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차량의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위치제어유닛(2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유닛(300)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하여,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수평인장시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하여,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수직인장시험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한 푸쉬 풀 게이지(110)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뭉치(130)와, 상기 지지뭉치(1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지그몸체(14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지그몸체(140)의 하부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몸체(140)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봉(15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는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와이어(1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 시, 상기 필러 트림(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필러 트림(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상면에 형성된 표시창(112)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20)와 연결되는 연결고리(160)와, 상기 연결고리(160)에 선단이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120)의 말단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연결되도록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설치되는 인장고리(17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지지뭉치(130)의 상면에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수평배치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 게이지(180)를 갖는다.
먼저,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을 통해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가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와 상호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와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설정거리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뭉치(130) 상부의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 인근에는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수평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레이저 센서(143)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 레이저 센서(143)는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연결되어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수평 이격거리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상기 표시창(112)을 통해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수평 유동을 통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와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의 상호 수평 위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인장고리(170)와 상기 연결고리(160) 간에 상기 와이어(1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120)에는 장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기 필러 트림(30)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와이어(120)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하여,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수평인장시험을 진행한다.
이러한 수평인장시험의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가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와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상기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창(112)에 장력 수치가 실시간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지지뭉치(130)를 관통하면서 연결된 스크루 축(142)의 회전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스크루 축(14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평 안내봉(144)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상기 스크루 축(142)은 일단에 연결된 회전손잡이(146)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손잡이(146)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는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동된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146)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루 축(142)이 일 방향 회전되고,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뭉치(130)가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상기 스크루 축(1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안내봉(144)은 상기 지그몸체(140)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와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에 연결된 와이어(120)는 상기 지지뭉치(130)의 유동으로 장력이 형성되면서 상기 필러 트림(30)을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한다.
여기서, 상기 필러 트림(30)이 한계점에서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 된 후에 상기 지지뭉치(130)는 상기 회전손잡이(146)를 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필러 트림(30)을 탈거하는 과정에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표시창(112)에는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는 시점에 상기 필러 트림(30)에 작용된 인장력이 표시된다.
이로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는 정확한 수평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왕복 유동되는 상기 지지뭉치(130)는 상기 회전손잡이(146)에 의한 스크루 축(142)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력을 얻게 된다.
그렇지만, 이는 실시 예일 뿐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상기 필러 트림(30)이 탈거되는데 필요한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120)와 연결되는 지지뭉치(130)의 왕복운동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가 수직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필러 트림(30)과 측정유닛(100)의 상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와이어(120)를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며, 여,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수직인장시험을 할 수 있다.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되는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기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30)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위치제어유닛(200)이 사용된다.
또한, 차량의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위치제어유닛(2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유닛(300)이 사용된다.
즉, 도 6에서는 상기 수직인장시험을 하기 위해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측정유닛(100)의 상호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한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뭉치(130)와, 상기 지지뭉치(13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상기 필러 트림(30)을 연결하는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지그몸체(14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지그몸체(140)의 하부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몸체(140)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봉(15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는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와이어(1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에서 탈거 시, 상기 필러 트림(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필러 트림(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은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상면에 형성된 표시창(112)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필러 트림(30)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20)와 연결되는 연결고리(160)와, 상기 연결고리(160)에 선단이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120)의 말단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연결되도록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설치되는 인장고리(17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측정유닛(100)은 상기 지지뭉치(130)의 상면에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수평배치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 게이지(18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지지뭉치(130)를 관통하면서 연결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서 상기 지지뭉치(130)가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루 축(142)을 갖는다.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스크루 축(14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평 안내봉(144)을 통하여 지지뭉치(1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스크루 축(142)은 일단에 형성된 회전손잡이(146)를 통하여 회전된다.
특히, 수직인장시험을 위한 상기 지그몸체(140)는 상기 와이어(120)가 '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필러 트림(30)의 수직 하부에 대응하여 도르레판(148)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도르레판(148)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120)를 감아 방향을 전환해주는 도르레(149)와, 상기 도르레(149)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직 상 방향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발사하여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도르레판(148)이 수직을 이루는지 확인하고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수직 레이저 센서(141)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수직 레이저 센서(141)는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에 설치되는 상기 표시창(112)을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도르레판(148)의 수직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르레판(148)은 상기 필러 트림(30)의 수평 탈거력 측정 시, 상기 도르레판(148)이 회전되도록 도르레축(145)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르레판(148)은 지그몸체(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47)를 포함한다.
즉,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의 수평 인장력을 시험할 경우에는, 상기 도르레판(148)이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그몸체(140)의 하부로 회전되어 와이어(120)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를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의 수직 인장력을 시험할 경우에는, 상기 도르레판(148)이 상기 지그몸체(140) 상에서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그몸체(140)의 상부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필러 트림(30)과 푸시 풀 게이지(110)를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120)는 'ㄴ' 형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와이어(120)는 상기 필러 트림(30)과 푸시 풀 게이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르레(149)에 의해 'ㄴ'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는 승하강 지지유닛(300)을 통해 상기 측정유닛(10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인장고리(170)가 상기 도르레판(148)과 수직하게 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가 상기 도르레판(148)과 상호 수직으로 마주보는 이격거리는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도르레판(148)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직 레이저 센서(141)를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도르레판(148)의 수직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레이저 센서(141)는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와 연결되어 상기 필러 트림(30)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수직 이격거리를 측정한 정보를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상기 표시창(112)을 통해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수평 유동을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의 연결고리(160)와 상기 도르레판(148)이 상호 수직 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인장고리(170)와 상기 연결고리(160) 사이에 와이어(1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120)에는 장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측정유닛(100)을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 상태로 와이어(120)를 통하여 상기 필러 트림(30)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하며,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는 수직인장시험이 진행된다.(도 7참조)
이러한 수직인장시험은 상기의 수평인장시험과 유사하지만,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가 상기 필러 트림(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120)는, 'ㄴ'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수직인장시험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가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동되면서 상기 인장고리(170)와 연결고리(160)를 연결하는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된다.
상기 와이어(120)에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창(112)에는 장력수치가 실시간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뭉치(130)는 스크루 축(142)의 회전에 의해 수평 안내봉(144)을 따라 수평 왕복운동한다.
이때, 상기 스크루 축(142)의 회전은 회전손잡이(146)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146)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는 필러 트림(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동된다.
그러면, 상기 인장고리(170)와 연결고리(160)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120)는 도르레(149)에 의해 'ㄴ' 형태로 배치되어 장력이 유지되면서 상기 필러 트림(30)이 한계점에서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한다.
즉, 상기 필러 트림(30)이 한계점에서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 시, 상기 푸시 풀 게이지(110)의 표시창(112)에는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는 시점에 상기 필러 트림(30)에 적용된 인장력이 표시된다.
이로써, 상기 필러 트림(3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탈거되는 정확한 수직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뭉치(130)의 유동은 상기 회전손잡이(146)의 회전을 통해 동력을 얻어 상기 스크루 축(142)이 회전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이는 실시 예일 뿐 상기 필러 트림(30)으로부터 상기 필러 트림(30)이 탈거되는데 필요한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120)와 연결되는 상기 지지뭉치(130)의 왕복운동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승하강 지지유닛 및 위치제어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뭉치(2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상기 승하강 뭉치(2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축(212)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제1축(212)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진입 링크(22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상기 진입 링크(22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축(22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축(222)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길이방향 링크(23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축(23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3축(232)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폭방향 링크(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 뭉치(210)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홀(214)이 반원을 그리며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입 링크(220)에는 상기 제1축(212)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관통되어 상기 제1 관통홀(214)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제1 고정홀(225)이 형성된다.
상기 진입 링크(220)는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2 관통홀(224)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1 회전판(226)과, 상기 제1 관통홀(214)과 상기 제1 고정홀(225)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진입 링크(220)를 고정하는 제1 고정핀(228)이 포함된다.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에는 상기 제2축(222)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제2 관통홀(224)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고정홀(2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에는 상기 폭방향 링크(240)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3 관통홀(234)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2 회전판(236)과, 상기 제2 관통홀(234)과 상기 제2 고정홀(235)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를 고정하는 제2 고정핀(238)이 포함된다.
상기 폭방향 링크(240)에는 상기 제3축(232)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제3 관통홀(234)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할 수 있는 제3 고정홀(2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폭방향 링크(240)에는 상기 제3 관통홀(234)과 상기 제3 고정홀(245)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폭방향 링크(240)를 고정하는 제3 고정핀(248)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진입 링크(220)는 상기 제1축(212)을 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는 상기 제2축(222)을 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폭방향 링크(240)는 상기 제3축(232)을 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위치제어유닛(200) 및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측정유닛(100)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측정유닛(100)이 차량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필러 트림(30)에 인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입 링크(220)는 상기 측정유닛(100)이 차량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는 상기 차량 내에 진입된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기 차량(5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폭방향 링크(240)는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를 통해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측정유닛(100)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도 유동되어 상기 필러 트림(30)의 인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진입 링크(220)와 길이방향 링크(230) 및 폭방향 링크(240)는 각각 상기 측정유닛(100)의 상기 차량의 내부로 진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측정유닛(100)이 원활하게 상기 필러 트림(3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입 링크(220)와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의 사이, 또는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와 상기 폭방향 링크(240)의 일단 사이 및 상기 폭방향 링크(240)의 타단 하부 등에는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다리(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다리(250)는 상기 필러 트림(30)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측정유닛(100)이 상기 필러 패널(10)로부터 필러 트림(30)을 탈거하는 시험 시,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다리(250)는 지면 또는 차량 내부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52)와, 상기 밀착부(252)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절봉(25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250)는 상기 관절봉(254)들 사이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지지다리(25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스크루 볼트(256)를 통해 상기 관절봉(254)을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구(258)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250)는 상기 관절봉(254)의 최상단과 상기 폭방향 링크(2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절봉(254)이 접히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편(2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다리(250)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진입 링크(220)와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의 사이와, 상기 길이방향 링크(230)와 상기 폭방향 링크(240)의 일단 사이 및 상기 폭방향 링크(240)의 타단 하부에서 분리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다리(250)는 상기 필러 트림(30)에 제공되는 인장력에도 상기 측정유닛(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의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연결되고, 차량의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지지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상승 또는 하강 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에 지지되는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지면에 지지되는 판 형태의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에서 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지지되는 지지몸체(3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300)은 상기 지지몸체(320)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승하강체(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지지몸체(320)가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지면에 직접 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지지몸체(320)가 지면에 대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몸체(320)는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닛(100)을 통해 상기 필러 트림(30)의 탈거력 측정 시험 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체(330)는 상기 지지몸체(32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의 상기 승하강 뭉치(210)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이 상기 지지몸체(320) 상에서 원활하게 상승 또는 하강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체(330)는 상기 승하강 뭉치(210)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3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을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수직 스크루 축(33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체(330)는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승하강 뭉치(210)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 뭉치(2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수직 안내봉(334)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승하강체(330)는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에서 연결되어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승하강 손잡이(3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은 상기 승하강 손잡이(336)의 회전을 통해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에 연결되는 상기 승하강 뭉치(210)가 상승 또는 하강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승하강 손잡이(336)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 또한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승하강 뭉치(210)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손잡이(336)를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직 스크루 축(332) 또한 일 방향과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승하강 뭉치(210)가 하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측정유닛(10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필러 트림(30)과 인접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지지판(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과 직접 닿도록 형성되는 바퀴(312)를 갖는다.
상기 바퀴(312)는 상기 지지판(310)이 원활하게 장소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바퀴(312)에는 상기 지지판(310)이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 시, 상기 바퀴(312)에 의해 상기 지지판(310)이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편(313)이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판(310)은 이동 후,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고정편(313)을 통해 상기 바퀴(312)의 작동이 멈추어 상기 지지판(310)을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0)은 그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10)을 이송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14)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314)는 상기 지지판(310)의 이동시에 사용자가 이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310)을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10)은 지지몸체(320)와 사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몸체(320)가 상기 승하강체(330)의 지지를 보조하도록 보강하는 보강리브(31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보강리브(316)는 상기 지지판(310)의 상부에 세워진 상기 지지몸체(320)가 상기 승하강체(3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리브(316)는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몸체(320)를 상호 연결하며 배치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필러 패널(10)에서 필러 트림(30)이 탈거되는 탈거 한계점을 정확하게 확인하여 필러 트림(30)의 탈거 한계를 인지 및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경미한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이 오작동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신뢰성 확보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필러 패널 30 : 필러 트림
100: 측정유닛 110: 푸시 풀 게이지
112: 표시창 120 : 와이어
130: 지지뭉치 140: 지그몸체
141: 수직 레이저 센서 142: 스크루 축
143: 수평 레이저 센서 144: 수평 안내봉
145: 도르레축 146: 회전손잡이
147: 고정볼트 148: 도르레판
149: 도르레 150: 회전봉
160: 연결고리 170: 인장고리
180: 수평 게이지 200: 위치제어유닛
210: 승하강 뭉치 212: 제1축
214: 제1 관통홀 220: 진입 링크
222: 제2축 224: 제2 관통홀
225: 제1 고정홀 226: 제1 회전판
228: 제1 고정핀 230: 길이방향 링크
232: 제3축 234: 제3 관통홀
235: 제2 고정홀 236: 제2 회전판
238: 제2 고정핀 240: 폭방향 링크
245: 제3 고정홀 248: 제3 고정핀
250: 지지다리 251: 회전편
252: 밀착부 254: 관절봉
256: 스크루 볼트 258: 길이 조절구
300: 승하강 지지유닛 310: 지지판
312: 바퀴 313: 고정편
314: 손잡이 316: 보강리브
320: 지지몸체 330: 승하강체
332: 수직 스크루 축 334: 수직 안내봉
336: 승하강 손잡이

Claims (18)

  1. 필러 패널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필러 트림이 상기 필러 패널로부터 탈거되는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필러 트림과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는 측정유닛;
    상기 측정유닛이 상기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유닛을 차량 내부의 상기 필러 트림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동작하는 위치제어유닛; 및
    상기 위치제어유닛과 연결되고, 차량 외부의 지면에 고정 배치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면서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은 지면에 지지되는 판 형태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위치제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제어유닛이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제어하는 승하강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필러 트림의 탈거 한계점을 측정하기 위한 푸시 풀 게이지;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상기 필러 트림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뭉치;
    상기 지지뭉치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상기 필러 트림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지그몸체; 및
    상기 지그몸체의 하부와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그몸체가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봉;
    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지지뭉치를 관통하면서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서 상기 지지뭉치가 수평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루 축;
    상기 스크루 축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뭉치를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뭉치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봉; 및
    상기 스크루 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루 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손잡이;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필러 트림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에 선단이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말단이 상기 푸시 풀 게이지에 연결되도록 상기 푸시 풀 게이지에 설치되는 인장고리; 및
    상기 지지뭉치의 상면에서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 풀 게이지의 수평 배치 상태를 측정하는 수평 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몸체는
    상기 와이어가 'ㄴ' 형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필러 트림의 수직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그몸체의 선단에 고정되는 도르레판;
    상기 도르레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감아 방향을 전환하는 도르레;
    상기 도르레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직 상 방향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필러 트림과 상기 도르레판이 수직상태를 확인하고,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수직 레이저 센서; 및
    상기 푸시 풀 게이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필러 트림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푸시 풀 게이지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수평 레이저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판은
    상기 지그몸체에 대하여 상기 도르레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도르레축;
    상기 도르레판이 상기 지그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도르레판과 지그몸체를 체결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지지유닛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뭉치;
    상기 승하강 뭉치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진입 링크;
    상기 진입 링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길이방향 링크; 및
    상기 길이방향 링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3축을 기준으로 수평 상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폭방향 링크;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뭉치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홀이 반원을 그리며 배치되고,
    상기 진입 링크에는
    상기 제1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고정홀;
    상기 길이방향 링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2 관통홀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1 회전판;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진입 링크를 고정하는 제1 고정핀;
    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링크는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180°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링크에는
    상기 제2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2 고정홀;
    상기 폭방향 링크와 연결되는 부위에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 부위에 다수개의 제3 관통홀이 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제2 회전판;
    상기 제2 관통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길이방향 링크를 고정하는 제2 고정핀;
    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링크는
    상기 제2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링크에는
    상기 제3축과 연결되는 부위에 수직 관통되어 상기 제3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는 제3 고정홀;
    상기 제3 관통홀과 상기 제3 고정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폭방향 링크를 고정하는 제3 고정핀;
    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링크는
    상기 제3축을 축으로 수평방향으로 300˚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링크와 상기 길이방향 링크의 사이, 또는 상기 길이방향 링크와 상기 폭방향 링크의 일단 사이 또는 상기 폭방향 링크의 타단 하부에는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지면 또는 차량 내부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절봉;
    상기 관절봉 들 사이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스크루 볼트를 통해 상기 관절봉을 늘리거나 줄이는 길이 조절구; 및
    상기 관절봉 들의 최상단과 상기 폭방향 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관절봉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편;
    을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체는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수직 스크루 축;
    상기 수직 스크루 축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타측에 상하로 관통된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수직 안내봉; 및
    상기 수직 스크루 축에서 연결되어 상기 수직 스크루 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하강 손잡이;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과 직접 닿도록 형성되는 바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이송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지지몸체를 사선으로 연결하여 지지몸체를 보강하는 보강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KR1020130064235A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KR10197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35A KR101976496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35A KR101976496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05A KR20140142805A (ko) 2014-12-15
KR101976496B1 true KR101976496B1 (ko) 2019-05-13

Family

ID=5246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35A KR101976496B1 (ko) 2013-06-04 2013-06-04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059B1 (ko) * 2007-07-11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스너 체결력 측정을 위한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639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연료 필러 도어 내구성 시험장비
KR19990053392A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버스의 바디 필러 피로시험 장치
KR100461135B1 (ko) * 2002-07-03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드필러 도어의 변형량 측정장치
KR100570388B1 (ko) 2003-12-09 200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식 에어백 전개성 확보를 위한 필러트림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059B1 (ko) * 2007-07-11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패스너 체결력 측정을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805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9934B2 (ja) 機械製品の撓み試験機
KR101013462B1 (ko) 대용량 와이어 로프용 인장 시험장치
KR101976496B1 (ko) 차량용 필러의 탈거력 시험장치
KR101253733B1 (ko) 카시트 검사기용 실하중 인가장치
CN109060563B (zh) 一种头盔耐穿透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5026677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このエレベータを備えた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729420B1 (ko) 타이어용 반제품의 점착력 측정 장치
KR20110135063A (ko) 롤러코스터 휠 시험장치
KR100880265B1 (ko) 시설물 천장 슬래브 및 보결함 안전진단장치
KR200434165Y1 (ko) 에스컬레이터 이동식 핸드레일 인장측정용 지그
KR101812069B1 (ko) 안전벨트 조립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조립 검사방법
CN111854854B (zh) 一种汽车天窗遮阳帘综合检具
KR101804021B1 (ko) 장경간 교량의 동(動) 하중 시험장치
KR101790596B1 (ko) 자동 교정이 가능한 사각 바디라이너
KR20160135949A (ko) 궤도형 작업 이동대차 장치
JPH06271245A (ja) 工事用昇降装置の搬器
CN114324016A (zh) 门板强度试验装置
EP1538122A1 (en) Device for securing cage of elevator
KR102314104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1062475B1 (ko) 차량용 에어백 소프트 인패널의 테어라인 패턴 두께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364060Y1 (ko) 터널 내부 천정 이동식 안전진단 기구 시스템
KR101057528B1 (ko) 스태빌라이저 바용 클램프의 밀림력 측정장치
KR101623193B1 (ko) 팬터그래프 고정장치
KR102176557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1954831B1 (ko) 파이프형 곤돌라 브라켓의 면외굽힘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