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124B1 -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124B1
KR101976124B1 KR1020177033104A KR20177033104A KR101976124B1 KR 101976124 B1 KR101976124 B1 KR 101976124B1 KR 1020177033104 A KR1020177033104 A KR 1020177033104A KR 20177033104 A KR20177033104 A KR 20177033104A KR 101976124 B1 KR101976124 B1 KR 10197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network
small
communication dat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690A (ko
Inventor
카를-하인츠 네너
악셀 크라트
Original Assignee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0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28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Routing of multiclas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기지국 엔티티와 모바일 가입자들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하고, 방법은, 기지국 엔티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0001]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small and infrequent)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0002] 게다가,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및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0003] 추가로,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에 적합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0004] 게다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따른, 통신 서비스들을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에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0005] 사물 인터넷의 경우, 모든 종류의 "사물들"(센서들, 산업 시스템들, 자동차들, 계량기들 등)이 인터넷에 연결될 것이거나 또는 연결할 것이며, 서로 통신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10 년의 초까지 200 억 개가 넘는 디바이스들이 IoT(Internet of Things)에서 무선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심지어 일부 분석가들은 이러한 연결된 디바이스들(또는 라디오 디바이스들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의 수가 이러한 10 년의 말까지 수백억 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한다.
[0006] 사물 인터넷의 사용 사례들 중 많은 사례들은, "사물", 즉,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의 스포래딕(sporadic) 또는 노마딕(nomadic) 연결 거동, 즉, 특히,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서로를 향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향하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한 반대 방향으로 송신되도록 요구되는 작고 드문 데이터를 초래하는 것을 묵시한다. 이 연결들 동안, 단지 매우 제한적인 양의 사용자 데이터가 통상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가 관련된 현안이다. 유선 연결은 이러한 사용 사례들을 만족시킬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사물들"(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연결하기를 원하는 때 및 원하는 장소에서 이용가능하다고 가정될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무선 시스템들이 사용될 것이 예상된다.
[0007] 그러므로, 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많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무선 시스템들을 사용할 것이며, 소형 배터리로 수년 동안 동작할 수 있는 저-비용/저-에너지 라디오 디바이스들(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허용하는 모바일/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0008] 이것은 사물 인터넷의 셀룰러 변형이 수행되게 되는 경우이다 ― 상이한 라디오 기술들을 사용하는 오늘날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의 형태로 이용가능한 가상의 글로벌 무선 네트워크가 이미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은,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대부분의 실현가능한 솔루션이 ― 특히,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보다는 광역 네트워크들에 관해 ― 사물 인터넷을 필요로 하므로, 셀룰러 사물 인터넷 또는 CIoT의 개념으로 이어졌다.
[0009] 그러나, 오늘날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들(예컨대, GSM), 또는 고속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들(예컨대, UMTS/HSPA, LTE/LTE-A)에 집중되고 있다. 이 특정 설계 집중은 "드문 작은 데이터 송신들"을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의 예상되는 요건에 잘 맞지 않는다. 또한, 오늘날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은 오늘날(스마트-) 폰들의 수보다 1000배 초과만큼 클 수 있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의 수를 핸들링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추가로, 그러한 기술들은 통신 디바이스들의 전력 소비에 관해 고도로 최적화되지 않지만, 특히,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소형 배터리들로 적어도 1 년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수년을 실행하기 위해 초저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0010]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예상되는 셀룰러 사물 인터넷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한 다수의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 최적화된 시그널링: 통상적으로,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로 구현되고 사용자 장비들(이를테면, 스마트폰들)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시그널링 프로시저들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많은 CIoT 사용 사례들에서 간략화될 수 있다;
-- 제어 평면을 통한 데이터 통신: (연결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 사용자 평면 자원들의 초기 셋업을 비롯하여 ―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정상 시그널링을 적용하지만, (사물-인터넷 사용 사례의) (페이로드) 데이터 송신은 실제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제어 평면 상에서 일어나므로, 임의의 추가적 사용자 평면 자원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 단지 제어-평면: 이 변형에서, CIoT 디바이스는 임의의 사용자 평면 자원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것이고; 단지 제어 채널만이 설정되며, 그 다음 사물-인터넷 사용 사례의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 클린-슬레이트(clean-slate) 라디오 제안들: 이 솔루션들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즉, GSM, UMTS/HSPA, 또는 LTE/LTE-A)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표준화된 종류의 네트워크 액세스에 따라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물-인터넷 "경량" 라디오 기술의 통합을 포함한다.
[0011] 그러나, 모든 이러한 접근법들이, CIoT 사용 사례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 기존 시스템들로부터 특정한 불필요한 기능을 단지 제거하거나, 또는
- 클린-슬레이트 라디오 기술 외에 3GPP-유사 코어 네트워크 통신의 일부 변형을 추가한다면, 위에서 제안된 솔루션들 중 어떠한 솔루션도 최적화된 CIoT 네트워크를 초래하지 않는다.
[0012] 본 발명의 목적은, ― 한편으로 ―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존 인프라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 다른 한편으로 ― 셀룰러 사물 인터넷의 사용 사례들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존 인프라구조의 사용에 의해 야기되거나 또는 단지 이와 관련된 어떤 부담(통상적으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킴)으로부터 가능한 한 많이 벗어나도록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0013]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또는 교환)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특히,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교적(comparably)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기지국 엔티티와 모바일 가입자들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방법은, 기지국 엔티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4]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근본적으로 새로운 접근법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모바일 네트워크 사이의 라디오 링크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하여 사용되는데 전용되는, 새로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는 것에 의한 클린 슬레이트(clean slate) 라디오 접근법) 사물-인터넷 관련된 데이터 송신 엔드 투 엔드를 달성하는 것에 있어서의 개선들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15] 이론적으로, 모든 제안되는 클린-슬레이트 라디오 기술들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종래의 셀룰러 코어 네트워크(GPRS 코어, UMTS 코어 또는 LTE용 EPC)에 적응될 수 있지만, 이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의 프로토콜들은 초저-비용 및 효율적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단순성과 조화되지 않는다.
[0016] 본 발명에 따라,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고, 즉, 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2개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즉, 2개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도,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0017]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한다.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한다.
[0018]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업링크 방향으로, 즉,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라, 다른 데이터이지만 또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즉, 다운링크 방향으로), 즉,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를 향하는(또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의) 방향으로 송신될 수 있다.
[0019] 본 발명에 따라,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 (유니타리 데이터 송신, 즉, "한 번"과 관련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가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도록 송신될 데이터에 대응한다. 물론, 더 긴 시간 인터벌(이를테면, 하루 또는 한 주 또는 한 달 또는 한 해) 동안,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복수의 유니타리 데이터 송신들을 수반하여, (10 킬로바이트와 비교하여) 더 많은 양의 페이로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0020] 사물-인터넷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및 따라서, 전형적으로, 기지국 엔티티들)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특히,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교적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정상적")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기지국 엔티티와 모바일 가입자들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에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한다.
[0021]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 엔티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이로써,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합시키는데 비교적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이 가능하다.
[0022] 본 발명에 따라,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자기 신호들은,
--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상이하고, 그리고/또는
--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 적어도 부분적으로 ― 오버랩핑하고,
-- 전자기 스펙트럼의 비면허(unlicenced) 부분에 있거나 또는,
-- 전자기 스펙트럼의 면허(licenced) 부분에 있는 주파수 또는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3] 본 발명에 따라,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자기 신호들은,
--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과, 예컨대,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 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상이하고, 그리고/또는
--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과 ― 예컨대,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 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 오버랩핑하고,
-- 전자기 스펙트럼의 비면허 부분에 있거나 또는,
-- 전자기 스펙트럼의 면허 부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4] 이로써,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가 (또는,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서빙되는 라디오 셀 내에서는, 기지국 엔티티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교환을 제공하는 것, 및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가입자들 또는 사용자 장비들에 제공하는 것 둘 다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모바일 가입자들 또는 사용자 장비들에 제공되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은 통상적으로, 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을 수반한다. 그러나, 비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은 또한, 특히, LTE 또는 LTE 어드밴스드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사용할 때, 이 모바일 가입자들 또는 사용자 장비들을 서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은 종종, 비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이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비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이 제1 그룹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이 (아마도 제1 그룹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동일한 라디오 셀 내의) 제2 그룹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 심지어 구상가능하다.
-- 주어진 모바일 가입자 또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을 수반하는 통신 서비스가 사용되고, 그리고
-- 주어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비면허 라디오 스펙트럼을 수반하여 교환되는 경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수신하는 전자기 신호들이, 예컨대, (모바일 가입자들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디오 채널과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 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상이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 심지어 동일한 라디오 셀에서 ― 적어도 다른 모바일 가입자에 관해 또는 적어도 다른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관해, 전자기 신호들이, 이 전자기 신호들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과 ― 예컨대,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 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 오버랩핑하도록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 구상가능하다.
[0025]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은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고,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는 특히,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고유하다.
[0026] 이로써,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효과적이고 간단한(straightforward) 방식으로 식별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를 암호화함에 의해,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의 송신이 보호된다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게다가, 이 디바이스 식별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라디오 셀 사이의 라디오 링크 상에서 링크-계층 식별자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27]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를 향해 전송된 IP 패킷들의 목적지 어드레스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의 피스(piece)들에 의존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목적지 어드레스는 특히:
-- 각각이 코어 네트워크 내에 또는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로케이팅되지만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또는 중간 또는 서비스 노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른 기지국 엔티티,
-- 기지국 엔티티 그 자체의 어드레스 중 하나에 대응하고, 선택적으로, 목적지 어드레스에 추가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의 어드레스가 정의되고,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는 IP 패킷의 다음의 후속 목적지에 대응한다.
[0028] 이로써, 선택적으로 또한, 바람직하게, IP 패킷 페이로드 또는 IP 패킷 헤더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로서, IP 패킷의 다음의 후속 목적지의 다음-홉 어드레스를 표시하면서, 기지국 엔티티가 IP 패킷을 목적지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된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29] 본 발명에 따라, 게다가, 방법은 ― 특히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 프록시 IP 어드레스는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를 향해 전송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IP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로서 사용되고, 특히, 프록시 IP 어드레스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경우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003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 엔티티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에 대해, 목적지 어드레스 및 선택적으로 다음-홉 어드레스 및/또는 프록시 IP 어드레스가 데이터베이스에 또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도록 룩업 테이블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이로써, 목적지 어드레스, 및 선택적으로, 다음-홉 어드레스 및/또는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코어 네트워크로/로부터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전송된 또는 수신된 각각의 IP 패킷으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3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 엔티티가, 이름 분석 메커니즘으로의 입력 파라미터로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의 적어도 부분들을 사용하여, 이름 분석 메커니즘에 의해 목적지 어드레스 및/또는 다음-홉 어드레스 및/또는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리트리브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32]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할당함에 의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에 소스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가 동일한 라디오 셀 내에 로컬라이징된(localized) 채로 유지되면(또는 다른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임의의 이동성이 추적되고, 대응하는 어드레싱이 업데이트되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가 프록시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심지어 가능하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가 네이티브(native) IP 연결을 가지지 않으므로, 이것은, 기지국 엔티티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및 IP 연결의 링크-계층 식별자 및/또는 특정 디바이스 식별자 사이의 상호연동(interworking)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의존한다.
[0033] 본 발명에 따라, 게다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활성 모드에서 그리고/또는 유휴 모드에서 그리고/또는 슬립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활성 모드에 그리고/또는 유휴 모드에 그리고/또는 슬립 모드에 있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의 시간 인터벌들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기지국 엔티티 사이에서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되거나, 또는 기지국 엔티티에 알려지고, 그리고 특히, 데이터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에 송신될 경우 기지국 엔티티에 버퍼링된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4]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이 매우 낮은-에너지 소비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35]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방법은,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가,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포함하여 기지국 엔티티가 코어 네트워크를 향해 송신하는 IP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는 특히, 기지국 엔티티가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송신하고 있는 IP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정의하고, 그리고/또는 기지국 엔티티는 특히, IP 패킷, 특히, IP 패킷의 헤더 부분 및/또는 소스 어드레스를 추가 및/또는 보완한다.
[0036] 이로써,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투명하게 송신된 IP 패킷을 생성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37] 게다가,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또는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및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특히,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교적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기지국 엔티티와 모바일 가입자들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시스템은, 기지국 엔티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38] 이로써, 본 발명의 방법의 이점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39] 게다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시스템 내의,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교환하기에 적합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는 특히,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0040] 게다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시스템 내의,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는 특히,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임의적 엔티티들, 특히, 가전 제품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0041] 게다가,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또는 교환)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적어도 라디오 셀 및 라디오 셀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를 포함하고, 기지국 엔티티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고, 안테나 장비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은,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지국 엔티티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기지국 엔티티로부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특히,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교적 높은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기지국 엔티티의 안테나 장비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모바일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기지국 엔티티와 모바일 가입자들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 엔티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0042] 이로써,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이점들을 제공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0043]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0044] 여전히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또는 교환)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로 하여금,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0045]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성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첨부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로서 예시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단지 예를 위해서만 제공된다. 아래에서 인용되는 참조 도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0046] 도 1은, 기지국 엔티티에 의해 서빙되는 라디오 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모바일 가입자들 또는 사용자 장비들, 및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0047] 도 2는, 안테나 장비를 포함하는 기지국 엔티티 ―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됨 ― 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0048]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그리고 특정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제한되지 않고 단지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이며 비제한적이다. 도면들에서, 엘리먼트들 중 일부 엘리먼트들의 사이즈는 예시를 목적으로 과장되고, 실척대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0049] 단수 명사를 지칭할 때 부정관사 또는 정관사, 예컨대 "하나", "한", "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다른 것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는다면 그 명사의 복수형을 포함한다.
[0050] 게다가, 설명에서 그리고 청구항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순차적이거나 연대적인 순서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환경들 하에서 상호교환가능하다는 것 및 본원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예시되는 것과는 다른 시퀀스들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51] 도 1에서,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서빙되는 라디오 셀(10)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예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네트워크(110) 및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바람직하게, 통상적으로 복수의 네트워크 라디오 셀들을 포함하는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이며, 라디오 셀들 중 하나는 실선 및 참조 부호(10)에 의해 도 1에 나타난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통상적으로 복수의 모바일 가입자들(40)(또는 사용자 장비들)은 네트워크 라디오 셀(10) 내에서의 전기통신 네트워크(100)에 캠프 온하고 있으며(camping on), 즉, 모바일 가입자들(40)은 라디오 셀(10)을 서빙하는 기지국 엔티티(111)에 연결되거나 또는 이에 캠핑 온하고 있다. 기지국 엔티티(111)는 통상적으로, 기지국, 예컨대, NodeB 또는 eNodeB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이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라디오 셀(10) 내에서의 모바일 가입자들(40)에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과 관련된) 모바일 통신 데이터는 기지국 엔티티(111)를 통해 모바일 가입자들(40)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신되고, 모바일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로 송신되고, 특히, 모바일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교적 높은 비트레이트들로 송신된다. 기지국 엔티티(111)와 모바일 가입자들(40)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한다.
[0052] 코어 네트워크(120)는 단지 클라우드 표현에 의해서만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120)의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121)에 의해서만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100)(특히, 코어 네트워크(120))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0053]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네트워크 라디오 셀(10) 내에 로케이팅되고, 즉,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적어도, 기지국 엔티티(111) 또는 적어도 그것의 컴포넌트에 연결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 중 하나는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와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와 통합된다.
[0054]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수신하는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된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최대 10 Bd(초당 10 비트)의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평균적으로, 비교적 낮은 비트레이트로 교환된다. 게다가,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통상적으로, 유니타리 데이터 송신당(즉, 예컨대, 미터 리딩(meter reading)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이벤트당) 10 킬로바이트들 미만이다.
[0055] 도 2에서, 안테나 장비(119)를 포함하는 기지국 엔티티(111) ― 이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코어 네트워크(120)와 연결됨 ― 가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0056]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경량 라디오(이를테면, Semtech, Sigfox 또는 Neul)는 라디오 기술들(즉, 이 기술들에 따른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떠한 변화들도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의 디바이스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로서 상이한 아키텍처들의 상위 계층의 긴밀한(tight) 통합을 가지기보다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요구되는 상호연동 및 적응을 수행한다.
[0057] 기존 경량 라디오(이를테면, Semtech, Sigfox 또는 Neul)를 사용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새로운 "클린-슬레이트" 라디오 기술이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0058]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CIoT 라디오 디바이스들)은 단지 셀룰러 기지국(또는 기지국 엔티티(111))과 연결되고 그 라디오 링크(또는 에어 인터페이스)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배터리-최적화된 라디오 모뎀에 대응한다.
[0059] 본 발명에 따라, 어떠한 디바이스 관련 자원 / QoS 관리도 셀룰러 사물 인터넷 사용 사례들에 대해 필요하지 않다.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또한 SIM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선택적으로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다.
[0060]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더 상위-계층 통신 프로토콜들(계층 2 - 3GPP 명명법으로 NAS(Non Access Stratum)보다 상위) 중 어떠한 것도 지원하지 않으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코어 네트워크(120)와 통신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APN(Access Point Name), 애플리케이션(서버), 또는 심지어 인터넷 프로토콜의 어떠한 개념도 가지지 않는다.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하는 모든 상호연동은 셀룰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라디오 액세스에서 수행될 것이다.
[0061]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가 데이터(즉,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할 때,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는 간단히, 기지국 엔티티(111)(또는 심지어 다수의 셀들 또는 다수의 기지국 엔티티들)를 향해 라디오 링크에 걸쳐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스템 설계는 통상적으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단일 프레임이 대부분의 "작은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에 충분해지게 되어야 한다. 라디오 레벨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리어셈블리(reassembly)가 MAC 또는 RLC 라디오 계층에서 적용된다. 원칙적으로, 기지국 엔티티가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에 송신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0062] 기지국 엔티티(111)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이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에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레코드"를 획득할 수 있고; 가장 간단한 형태로, 이 디바이스 아이덴티티는 (비교적 "긴") 고유한 디바이스 식별자일 수 있다. 이 디바이스 아이덴티티는 또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기지국 엔티티(111) 사이의 라디오 링크 상에서 링크-계층 식별자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기지국 엔티티(111)는 (즉,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수신된 프레임(들)을 하나의 IP 패킷 또는 복수의 IP 패킷들로 캡슐화하여(통상적으로 단일 IP 패킷이 충분해야 함), 그들을 가입 레코드에서 표시되는 목적지에 전송한다. 가능한 목적지들은:
-- 사물-인터넷 서비스 그 자체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3 자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인터페이싱하는 (운영자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의 도메인 내의 게이트웨이 / 서비스 노드 ― 이는 RAN 및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에 대해 투명함 ― ;
-- 운영자의 CN 외부의 제3 자 게이트웨이 / 애플리케이션 서버;
-- 추가 프로세싱을 위한 상이한 RAN 셀(즉, 통상적으로 다른 라디오 셀(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서빙하는 상이한 기지국 엔티티), 또는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로컬 프로세싱을 위한 RAN 셀(즉, 기지국 엔티티(111)) 그 자체일 수 있다.
[0063] 선택적으로, 목적지 어드레스에 추가하여,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의 어드레스가 가입 레코드에 정의될 수 있고,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는 IP 패킷의 다음의 후속 목적지에 대응한다. 이로써, 선택적으로 또한, 바람직하게, IP 패킷 페이로드 또는 IP 패킷 헤더 내에 포함된 파라미터로서, IP 패킷의 다음의 후속 목적지의 다음-홉 어드레스를 표시하면서, 기지국 엔티티(111)가 IP 패킷을 목적지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된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0064]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가 IP를 "말하지(speak)" 않기 때문에, 라디오 셀(즉, 기지국 엔티티(111))은 바람직하게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며, 그 프록시 IP 어드레스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의 디바이스 아이덴티티 및/또는 링크 계층 식별자 사이의 맵핑을 유지한다.
[0065] 가입 레코드의 컨텐츠에 따라, 라디오 셀(즉, 기지국 엔티티(111))은, 자신이 목적지 어드레스에 전송하는 IP 패킷에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에 대한 "다음-홉" 목적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지국 엔티티(111)는 단지, (예컨대, 터널링 또는 다른 IP 캡슐화를 적용함으로써) IP 어드레스들을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 기지국 엔티티(111)는 "다음-홉"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의 어떠한 관계도 "알지" 못함 ― . 실제로, 심지어 기지국 엔티티(111)가 단지, 가입 레코드에서 "목적지 어드레스"를 발견할 때에도(그리고 따라서, IP 캡슐화 또는 터널링을 적용하지 않음), 그 목적지는 실제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최종 수신인이 아닌 중간 노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노드 그 자체는 그 데이터를 전송할 정확한 다음 네트워크 노드를 발견하기 위해 위에서 기지국 엔티티(111)에 대해 설명된 바와 유사한 기능을 필요로 한다.
[0066]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의 이동성 관리는 통상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에 의한 셀 재선택에 제한된다. 이것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가 자신의 가장 최근에 선택된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도달가능함을 보장한다. 이 솔루션은 3GPP 표준화에 따른 종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맥락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단일-셀 도달가능성 영역을 묵시하며, 다중-셀 영역 개념 ― 및 페이징 ― 은 묵시하지 않고; 이것은,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의 이동성 요건들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사용자 장비의 통상적 모바일 가입자(40)의 이동성 요건들과 비교하여 훨씬 더 많이 감소되거나 또는 심지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영역 내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를 어드레싱하기 위해 다수의 라디오 셀들(즉, 복수의 기지국 엔티티들)을 사용함으로써, 도달가능성의 추가적 계층 레벨들이 적용될 수 있다.
[0067] 다운링크 방향에서, IP 패킷들은,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할당된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그 어드레스가 전송자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디바이스 어느 하나를 향해, 또는 라디오 어드레스가, 예컨대, 터널링 또는 다른 IP 캡슐화에 의해, 히든되었을(hidden) 경우 위의 목적지 및/또는 다음 홉 노드를 향해 전송된다. 전자의 경우, 정상 IP 라우팅은 셀을 향해 적용된다. 후자의 경우, 목적지 및/또는 다음-홉 노드들은 설명된 터널링을 역 방식(reverse fashion)으로 적용하기 위해 터널링 파라미터들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0068] 마지막으로, 기지국 엔티티(111)는 IP-투-링크 맵핑을 적용하며,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로 포워딩한다.
[0069] 활성/유휴/슬립 모드의 임의의 변형, 및 요구되는 경우 페이징은 라디오 셀, 즉,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핸들링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착할 때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이 "오프라인"인 경우, 기지국 엔티티(111)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가 다음 번 웨이크 업할 때까지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도달가능성 시간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제공될 수 있다(예컨대, 3GPP MTC 전력 절약 모드 / eDRX에서 설명되는 바와 유사한 기능). 대안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는, 대응하는 라디오 셀(또는 기지국 엔티티(111)) 또는 정의된 "도달가능성 시간"을 가지는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엔티티에 의해 사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기적 킵 얼라이브(keep alive) 이후의 특정 시간에 시그널링이 디바이스로부터 발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0070] 본 발명에 따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외에,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특정 사용 사례, 예컨대, 액세스 허가 및 인증, 암호화,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능들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및 요구될 때,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는 더 상위-계층 기능들을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가 "IP를 말하며"(즉,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가 IP 패킷들을 생성할 수 있음), 하나 또는 많은 CIoT 라디오 디바이스들을 제어 ― 및 자신의 기능을 그에 제공 ―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 모든 상호연동이 여전히 이루어지며, 단지 차이는 RAN 셀이 이미 IP 패킷을 수신하였다는 것이다.
[0071] 이러한 IP 패킷들은 유효 목적지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 엔티티(111)는 그에 따라, IP 패킷을 간단히 포워딩한다. 기지국 엔티티(111)는 또한, 수신된 어드레스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또는 가입 레코드의 컨텐츠에 따라, 다른 목적지 어드레스를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터널링 및 넌-터널링 변형들 둘 다는 어떠한 경우에도 가능하다.
[0072] 특정 코어 네트워크 타입 또는 아키텍처와의 상호연동이 라디오 인터페이스와는 독립적이어서, 필요한 경우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의 범위에 연결하게 허용하도록,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에 대한 모듈식 접근법이 또한 가능하다.
[0073] 본 발명에 따라,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의 라디오 기능의 단순성 및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해, 라디오 기능들, "라디오 수렴 계층/기능" 및 목적지 노드들 사이의 높은 독립성이 제안된다.

Claims (17)

  1.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통신 디바이스들(20)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네트워크(110) 및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라디오 셀(10) 및 상기 라디오 셀(10)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111)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안테나 장비(119)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비(119)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거나,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안테나 장비(119)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118)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모바일 가입자들(40)에게 제공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와 상기 모바일 가입자들(40)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의 네트워크 노드(121)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전자기 신호들은,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상이하거나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 적어도 부분적으로 ― 오버랩핑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상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의 주파수와 ― 적어도 부분적으로 ― 오버랩핑하며,
    전자기 스펙트럼의 비면허(unlicenced) 부분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자기 스펙트럼의 면허(licenced) 부분에 있는
    주파수 또는 복수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 각각은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 각각에 대해 고유하고,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 사이의 라디오 링크 상에서 링크-계층 식별자로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해 전송된 IP 패킷들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의 피스들에 의존하고,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는:
    각각이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 내에 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 외부에 로케이팅되지만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또는 중간 노드 또는 서비스 노드,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의 다른 기지국 엔티티,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 그 자체의 어드레스 중 하나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에 추가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의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의 어드레스가 정의되고,
    상기 다음-홉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IP 패킷의 다음의 후속 목적지에 대응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 중 적어도 하나에 프록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 상기 프록시 IP 어드레스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해 전송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IP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로서 사용되고,
    상기 프록시 IP 어드레스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에 의해 수신될 경우 목적지 어드레스로서 사용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의 특정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에 대해, 목적지 어드레스, 다음-홉 어드레스 또는 프록시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가 데이터베이스에 또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도록 상기 룩업 테이블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이름 분석 메커니즘으로의 입력 파라미터로서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에 의해 제공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 정보의 적어도 부분들을 사용하여, 상기 이름 분석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 상기 다음-홉 어드레스, 또는 상기 프록시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리트리브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에 있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의 시간 인터벌들은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 사이에서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에 알려지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가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에 송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에 버퍼링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가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가 송신하는 상기 IP 패킷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가 상기 네트워크 노드(121)를 향해 송신하고 있는 상기 IP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정의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상기 IP 패킷을 추가 또는 보완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10.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및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네트워크(110) 및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라디오 셀(10) 및 상기 라디오 셀(10)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111)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안테나 장비(119)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비(119)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이,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거나,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가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안테나 장비(119)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118)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모바일 가입자들(4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와 상기 모바일 가입자들(40)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의 네트워크 노드(121)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0 항의 시스템에서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로서,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는 사물-인터넷 제어 디바이스(25)를 포함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에 적합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12.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로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네트워크(110) 및 코어 네트워크(120)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라디오 셀(10) 및 상기 라디오 셀(10)과 연관된 기지국 엔티티(111)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는 안테나 장비(119)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비(119)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은,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상기 안테나 장비(119)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라디오주파수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거나,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페이로드 사이즈는 10 킬로바이트 미만이고,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는 적어도 60분의 시간 인터벌당 10 Bd(초당 10 비트) 미만의 평균 비트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 적어도 9.6 kBd(초당 9600 비트들)의 비트레이트들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데이터를 수반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의 안테나 장비(119) 또는 추가적 안테나 장비(118)를 사용하여 ―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모바일 가입자들(4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와 상기 모바일 가입자들(40) 사이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의 복수의 라디오 채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는, 상기 기지국 엔티티(1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의 네트워크 노드(121)를 향해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의 일부로서,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13.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상에서,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또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금,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14.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상에서,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또는 부분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20) 또는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100)의 네트워크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금,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하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모든 상호연동을 수행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하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모든 상호연동을 수행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10)는 상기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20)로부터 상기 코어 네트워크(120)를 향하는 상기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의 모든 상호연동을 수행하는,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KR1020177033104A 2015-06-05 2016-06-03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1976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0923 2015-06-05
EP15170923.5 2015-06-05
PCT/EP2016/062625 WO2016193415A1 (en) 2015-06-05 2016-06-03 Method for transmitting small and infrequent communication data between, on the one hand, a plurality of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s, and, on the other h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transmitting small and infrequent communication data,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small and infrequent communication data, user equipment,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90A KR20180002690A (ko) 2018-01-08
KR101976124B1 true KR101976124B1 (ko) 2019-05-07

Family

ID=533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104A KR101976124B1 (ko) 2015-06-05 2016-06-03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87821B2 (ko)
EP (1) EP3304940B1 (ko)
JP (1) JP6491361B2 (ko)
KR (1) KR101976124B1 (ko)
CN (1) CN107667545B (ko)
BR (1) BR112017019897B1 (ko)
ES (1) ES2912601T3 (ko)
MX (1) MX2017012704A (ko)
PL (1) PL3304940T3 (ko)
WO (1) WO2016193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7479B2 (en) * 2015-08-05 2020-02-18 Facebook, Inc. Managing a device cloud
EP3440875B1 (en) * 2016-04-04 2022-08-31 Sony Group Corporation Proxy devices and method for serving sleepy internet-of-things devices
WO2018127380A1 (en) * 2017-01-03 2018-07-12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on the one hand, an application server, and,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nternet-of-thing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8195855A1 (zh) 2017-04-27 2018-1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信令传输方法及装置
US11228434B2 (en) 2019-03-20 2022-01-18 Zettaset, Inc. Data-at-rest encryption and key management in unreliably connected environments
US11265709B2 (en) 2019-08-08 2022-03-01 Zettaset, Inc. Efficient internet-of-things (IoT) data encryption/decryption
US11032239B1 (en) 2019-12-05 2021-06-08 AT&T Intellectual Prope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global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993A1 (en) * 2011-11-04 2013-05-09 Puneet Jain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for triggering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KR101362384B1 (ko) * 2012-08-09 2014-02-21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185B2 (ja) * 2000-11-13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US8737989B2 (en) * 2008-08-29 2014-05-2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based communication service classes
KR101761419B1 (ko) * 2010-01-13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WO2011098150A1 (en) * 2010-02-15 2011-08-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chine-to-machine device triggering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uniform resourse identifier
US20120134346A1 (en) * 2010-11-30 2012-05-31 Peter Bosc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quipment with broadcast-based backhaul network interface and next generation air interface
GB2509250B (en) 2011-07-12 2018-08-22 Intel Corp Resource scheduling for machine-to-machine devices
GB2493240B (en) 2011-07-29 2016-01-20 Sca Ipla Holdings In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US9973877B2 (en) 2011-09-23 2018-05-15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small data transmission
KR101538424B1 (ko) * 2012-10-30 2015-07-22 주식회사 케이티 결제 및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단말
CN104823478B (zh) * 2012-11-01 2019-08-0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管理ran资源的方法和设备
CN105122672B (zh) * 2013-05-09 2018-11-27 英特尔Ip公司 小数据通信
EP3025540A4 (en) * 2013-07-26 2017-03-15 Intel IP Corporation Signaling interference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assistance
WO2015131959A1 (en) * 2014-03-07 2015-09-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messages
EP3148254A4 (en) * 2014-05-23 2018-04-11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mm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4185138B (zh) * 2014-09-15 2018-08-24 中国通信建设集团设计院有限公司 机器类型通信终端的数据上报及处理、存储方法及设备
US9832714B2 (en) * 2015-02-13 2017-11-28 Maveni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node selection based user equipment agent assisted modification of temporary identity in 3G and 4G networks
US11178558B2 (en) * 2015-05-22 2021-11-16 Parallel Wireless, Inc. Wireless backhaul resilienc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5993A1 (en) * 2011-11-04 2013-05-09 Puneet Jain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for triggering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KR101362384B1 (ko) * 2012-08-09 2014-02-21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9897A2 (pt) 2018-06-12
CN107667545B (zh) 2021-06-22
WO2016193415A1 (en) 2016-12-08
EP3304940B1 (en) 2022-04-20
ES2912601T3 (es) 2022-05-26
KR20180002690A (ko) 2018-01-08
BR112017019897B1 (pt) 2024-02-27
JP2018521563A (ja) 2018-08-02
MX2017012704A (es) 2017-11-23
JP6491361B2 (ja) 2019-03-27
PL3304940T3 (pl) 2022-06-13
US20180160358A1 (en) 2018-06-07
CN107667545A (zh) 2018-02-06
US10887821B2 (en) 2021-01-05
EP3304940A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124B1 (ko) 한편의 복수의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들과 다른 한편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작고 드문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 장비,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U2018298512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023546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反映服务质量(QoS)的方法及其设备
US10616931B2 (en) Optimized user equipment supporting relay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
US20200128580A1 (en) Method for selecting of sidelink grant for a d2d ue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562179B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virtual share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EP3100372B1 (en) Configurung a mac pdu for d2d commucation
CN107925914B (zh) 分组数据网络上的非ip数据的通信
EP335406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uffer status report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448441B2 (en) Method for receiving a priority for relay data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623990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network node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CN107006045A (zh) 网络地址中依赖于传输设备的上下文
CN107925625B (zh) D2d通信系统中指示用于中继数据的优先级的方法及其设备
KR20220018579A (ko) 지정된 페이로드 컨테이너 유형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평면을 통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
WO2017209367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별로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113655A (zh) 一种数据包的压缩参数确定方法及相关设备
US11363624B2 (en) Method for receiving DL data on SPS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3498142A (zh) 一种中继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02647768B (zh) 基于lte-lan的报文转发方法及装置
US20190141758A1 (en) Session management for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 5g networks
CN114930887A (zh) 一种密钥管理方法、通信装置
WO2017200172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보안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