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879B1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879B1
KR101975879B1 KR1020160143478A KR20160143478A KR101975879B1 KR 101975879 B1 KR101975879 B1 KR 101975879B1 KR 1020160143478 A KR1020160143478 A KR 1020160143478A KR 20160143478 A KR20160143478 A KR 20160143478A KR 101975879 B1 KR101975879 B1 KR 10197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ensor
heating container
current position
electr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428A (ko
Inventor
권배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2Switches actuated by changing weight, level or centre of gr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평판 플레이트에 가열용기가 놓이면,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이전입력된 이전 전기신호 및 상기 전기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평판 플레이트 내에서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실시 예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기 용이한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스 레인지의 위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면서 쾌적한 실내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에 의한 발열체의 가열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게 하는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일명, 하이라이트 레인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는 가스 레인지와 달리 가스 누출로 인한 가스 폭발의 위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냄새 없는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전기 레인지는 가스 레인지와 달리 단순한 외관, 특히 상부가 평탄한 외관을 가질 수 있어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기에도 매우 유리하다.
즉, 전기 레인지는 상판이 폐쇠된 평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이라이트 히터에서 발생된 열이 1차적으로 상판을 가열한 후 상판에서 가열된 열과 상판을 투과하는 열에 의해 가열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최근들어, 전기 레인지는 상판이 평판 플레이트 형태, 즉 강화유리 재질로 구성되어, 물기나 기름기가 표면에 뭍거나 가열용기의 밑면에 뭍은 경우 가열용기가 상판에서 미끄러져 발생된 열이 가열용기를 가열하지 못하여 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열을 발생하기 위한 전원의 공급을 결정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는 평판 플레이트에 가열용기가 놓이면,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이전 입력된 이전 전기신호 및 상기 전기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평판 플레이트 내에서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제1, 2 가열판 각각에 대응하는 제1, 2 화구가 표시되며, 상기 제1, 2 가열판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의 전원레벨을 가변시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평판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영역 각각에서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신호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부 각각의 센서 ID 및 상기 하중에 대응하는 크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출력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 각각에 포함된 센서 ID를 설정된 센서 ID 순서에 따라 결합한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전 전기신호와 상기 전기신호 사이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 상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 및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이 가변되게 상기 전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화량 산출부는, 상기 이전 전기신호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이전 센서 신호 및 상기 전기신호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제1 내지 제4 변화량을 포함하는 상기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변화량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2 화구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이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2 화구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상판으로 형성된 평판형 플레이트의 모서리 영역에서 평판형 플레이트에 놓여진 가열용기의 하중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기반으로 가열용기의 이동 또는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가열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을 발생하는 가열판으로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평판형 플레이트에 놓여진 가열용기를 들어 놀려서 치운 경우, 자동적으로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 대한 예시 동작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의 전기 레인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레인지는 상판(이하, '평판형 플레이트'라 칭함, 10), 케이스(20) 및 인쇄회로기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 레인지는 간략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상술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평판형 플레이트(1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으며, 케이스(2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어셈블리(미도시, 이하 '가열판'이라 칭함)에 대응하는 표시된 복수의 화구(미도시)에 가열용기(미도시)가 놓여질 수 있다.
여기서, 평판형 플레이트(10)는 강화유리 소재, 즉 세라믹 실리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히터 어셈블리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가열용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평판형 플레이트(10)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접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케이스(2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사각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케이스(20)는 평판형 플레이트(10)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는 내부의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0) 및 상기 복수의 가열판이 장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열판은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전방측 공간 및 후방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에 대응하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가열판은 외형을 이루는 외곽 케이스(미도시), 상기 외곽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미도시) 및 하이라이트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30)은 평판형 플레이트(10)의 상면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열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전기 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회로들(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회로들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전기 레인지에는 평판형 플레이트(10)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센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는 케이스(20) 내에 4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12)는 평판형 플레이트(10)에 놓여지는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센서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레인지는 전원 모듈(110), 센서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모듈(110)은 도 1에서 언급한 복수의 가열판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즉, 전원 모듈(110)은 도 1에서 언급한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파워 서플라이 등일 수 있다.
센서 모듈(120)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 및 센서 출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 각각은 도 1에서 언급한 평판형 플레이트(10)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영역(미도시)에 대응하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는 4개이며, 평판형 플레이트(10)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케이스(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3개의 제1 내지 제3 센서부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는 케이스(20)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 각각은 평판형 플레이트(10)에 형성된 복수의 화구 중 적어도 하나에 가열용기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를 센서 출력부(126)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센서로써, 로드셀 센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간략하게,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 중 제1 센서부(121)는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미소한 변휘(또는 변형)으로 변환하는 탄성체(미도시) 및 상기 탄성체의 변위(또는 변형)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양을 나타내는 제1 센서 신호(s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는 서로 다른 전기적인 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센서부(121, 122, 123, 124) 각각은 기 설정된 센서 ID 및 상기 가열용기의 하중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양, 즉 크기값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출력부(126)는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가 입력되면,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 각각에 포함된 상기 센서 ID를 추출하고, 상기 센서 ID를 설정된 센서 ID 센서에 결합된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s1, s2, s3, s4)를 포함하는 전기신호(st)를 제어 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변화량 산출부(132), 위치 연산부(134) 및 제어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량 산출부(132)는 전기신호(st) 입력 시, 센서 모듈(120)로부터 이전 입력된 이전 전기신호(pst)와 전기신호(st) 사이의 변화량(dt)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화량 산출부(132)는 이전 전기신호(pst)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이전 센서신호(ps1, ps2, ps3, ps4) 각각과 전기신호(st)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센서신호(s1, s2, s3, s4) 각각을 비교하여, 변화량(dt)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변화량 산출부(132)는 평판형 플레이트(10)에 놓여진 가열용기가 이전 현재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변화량(dt)를 산출할 수 있다.
변화량 산출부(132)는 변화량(dt)가 산출되면 위치 연산부(134)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연산부(134)는 변화량(dt) 입력 시 이전 변화량(pdt)에서 산출한 가열용기의 이전 현재 위치에서 변화량(dt)만큼 이동시킨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연산부(134)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좌표값, 좌표변위값 등으로 연산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136)는 위치 연산부(134)에서 연산된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6)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가열판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이 가변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6)는 복수의 가열판 중 제1 가열판에 대응하여 평판형 플레이트(10)에 표시된 제1 화구에 가열용기가 놓여지면, 제1 가열판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6)는 상기 제1 화구에 놓여진 가열용기가 이동하는 경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화구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면 전원 모듈(110)에서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36)는 상기 제1 화구에 놓여진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화구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전원 모듈(110)에서 제1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제어하거나, 전원의 전원레벨이 감소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6)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화구의 끝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화구의 면적에 가열용기가 중간면적으로 놓여지면 전원의 전원레벨이 감소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는 가열용기의 중심을 나타낸 것으로 설명한 것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36)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제1 화구에서 제2 화구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화구에 대응하는 제1 가열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제2 화구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가열용기가 평판형 플레이트에서 이탈하는 경우 전원을 자동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가열용기가 놓여진 화구에서 다른 화구로 이동하는 경우, 이전 화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다른 화구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차 전원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평판형 플레이트에 이미 놓여진 가열용기와 새로 추가되는 가열용기가 존재하더라도, 추가된 가열용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평판형 플레이트에 이미 놓여진 가열용기에 재료를 추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무게 변화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요리를 함에 있어 재료의 양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 대한 예시 동작도이다.
도 3은 평판형 플레이트의 화구에 놓여진 가열용기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3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30)은 평판형 플레이트(10)의 화구에 가열용기가 놓여진 상태로 가열용기의 이전 현재 위치(p1)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30)는 상기 화구에서 가열용기가 현재 위치(p2)로 이동하면, 상기 화구에 따라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 내에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p2)가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p2)가 상기 기준 위치 범위 내에 위치하면, 전원 모듈(110)을 제어하여 화구에 대응하는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켜 공급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평판형 플레이트의 화구에 놓여진 가열용기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 외로 이동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30)은 평판형 플레이트(10)의 화구에 가열용기가 놓여진 상태로 가열용기의 이전 현재 위치(p1)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30)는 상기 화구에서 가열용기가 현재 위치(p2)로 이동하면, 평판형 플레이트(10)에 놓여진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여,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p2)가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130)는 화구에 대응하는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평판형 플레이트의 제1 화구에 놓여진 가열용기가 제2 화구로 이동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30)은 평판형 플레이트(10)의 제1 화구에 가열용기가 놓여진 상태로 가열용기의 이전 현재 위치(p1)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30)는 상기 제1 화구에서 가열용기가 상기 제2 화구에 있는 현재 위치(p2)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화구에 설정된 기준 위치 범위 내에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p2)가 속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는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p2)가 상기 제2 화구에 대한 상기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화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 화구로 전원이 공급되게 전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 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실시 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실시 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면을 덮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된 제1, 2가열판 각각에 대응되는 제1, 2화구가 표시된 평판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가열판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평판 플레이트에 가열용기가 놓이면,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에서 이전 입력된 이전 전기신호 및 상기 전기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평판 플레이트 내에서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전 전기신호와 상기 전기신호 사이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변화량 산출부;
    상기 변화량에 따라 상기 가열용기의 이전 위치로부터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위치 연산부; 및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2화구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준 위치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2가열판으로 각각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이 가변되게 상기 전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용기의 이전위치와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위치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용기의 이전 위치 및 상기 가열 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화구에 대해 설정된 기준 위치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 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열 용기의 이전 위치 및 상기 가열 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2화구에 대해 설정된 기준 위치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2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 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전기 레인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평판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영역 각각에서 상기 가열용기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센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신호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부 각각의 센서 ID 및 상기 하중에 대응하는 크기값을 포함하는 전기 레인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출력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 각각에 포함된 센서 ID를 설정된 센서 ID 순서에 따라 결합한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레인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량 산출부는,
    상기 이전 전기신호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이전 센서 신호 및 상기 전기신호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센서 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제1 내지 제4 변화량을 포함하는 상기 변화량을 산출하는 전기 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연산부는,
    상기 변화량에 포함된 제1 내지 제4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가열용기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는 전기 레인지.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용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2 화구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위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원레벨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2 가열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제어하는 전기 레인지.
KR1020160143478A 2016-10-31 2016-10-31 전기 레인지 KR10197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78A KR101975879B1 (ko) 2016-10-31 2016-10-31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78A KR101975879B1 (ko) 2016-10-31 2016-10-31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28A KR20180047428A (ko) 2018-05-10
KR101975879B1 true KR101975879B1 (ko) 2019-05-13

Family

ID=6218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478A KR101975879B1 (ko) 2016-10-31 2016-10-31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897A (ko) * 2019-11-25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KR20210066227A (ko) * 2019-11-28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546A (ja) * 2012-01-27 201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5052567B2 (ja) * 2009-06-12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2567B2 (ja) * 2009-06-12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2012084546A (ja) * 2012-01-27 201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428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940B2 (en)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975879B1 (ko) 전기 레인지
EP1885160A4 (en) INDUCTION COOKER
CN109085870B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装置和智能家电
US20200208843A1 (en) Cooktop appliance control system
EP2775783A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er with increased heating range
CN104039033A (zh) 可增加加热范围的电磁感应加热装置
CN108700306B (zh) 用于制作至少一种食物的系统以及运行相关系统的方法
CN106610038B (zh) 电磁炉的烹饪控制方法、装置和电磁炉
WO2009039925A1 (en) Food heater
CN112120544A (zh) 一种烹饪设备的控制方法
US10638552B2 (en) Stovetop device
CN206687587U (zh) 多功能加热锅
CN207196563U (zh) 加热平台、器具及烹饪器具
CN108534874A (zh) 一种称重装置、称重方法及电饭煲
CN206145742U (zh) 一种带有称重功能的家用电磁炉
KR102027118B1 (ko) 온도와 소비전력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기레인지
KR102275840B1 (ko) 모드에 따라서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4510358B (zh) 电炊具的加热方法及电炊具
JP4207035B2 (ja) 加熱調理器
US20220256659A1 (en) Induction cooking hob including three induction coils
CN204574150U (zh) 电磁炉
KR102605679B1 (ko) 접이식 멀티 레인지
KR20190109924A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EP3912471A1 (en) Multi-chamber oven and method for baking foods, in particular bakery and confectionery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