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55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55B1
KR101975555B1 KR1020170059977A KR20170059977A KR101975555B1 KR 101975555 B1 KR101975555 B1 KR 101975555B1 KR 1020170059977 A KR1020170059977 A KR 1020170059977A KR 20170059977 A KR20170059977 A KR 20170059977A KR 101975555 B1 KR101975555 B1 KR 10197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vertebra
cervical
pillow
deformation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281A (ko
Inventor
노근호
Original Assignee
노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근호 filed Critical 노근호
Priority to KR102017005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골에 연결되는 경추의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면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 및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두골 받침부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개구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변형 유도부분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베개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면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 및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때, 사용자의 두부를 받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베개는 인체공학적인 형상과 우수한 쿠션을 가지며, 사용자의 두부를 편안하게 받쳐줄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사용자 별로 신체적인 차이가 있지만 경추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면서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6,908호(2016. 01. 13. 등록) 상기 특허의 베개 높이 조절 장치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두골에 연결되는 경추의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면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 및 후두골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두골 받침부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개구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변형 유도부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상하 방향) 및 제2방향(전후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상측에서 상기 후두골 받침부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두부를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부 표면에 하측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상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좌우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에서, 제3방향 양단에서 절단되어 상기 측방 연장부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상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설정된 폭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3방향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두골 받침부에 변형 유도부분을 구비하므로 베개로 두부를 받칠 때,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 유도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경추 받침부는 경추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이때, 변형 유도부분은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에 의하여 제1방향(높이 방향)에서 낮아지면서 변형되어,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개에서 높이 조절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베개로 두부를 받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에서 높이 조절부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베개(1)는 사용자의 두부를 받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일측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몸체(10)에서 특정 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베개(1)를 사용하는 상태의 xy 평면에서 볼 때, 경추 받침부(11), 후두골 받침부(12) 및 측방 연장부(13)를 포함한다. 경추 받침부(11), 후두골 받침부(12) 및 측방 연장부(13)는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베개(1)를 사용할 때, 경추 받침부(11)는 경추(C, cervical spine)에 대응하여 변형되면서 경추(C)를 받치고, 후두골 받침부(12)는 후두골(O, occipital)에 대응하여 변형되면서 후두골(O)을 받친다.
또한, 후두골 받침부(12)는 경추 받침부(11)의 후방에서 경추(C, cervical spine)와 후두골(O, occipital)이 이어지는 부분(CP)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변형 유도부분(14)을 더 포함한다(도 4 참조).
즉 후두골 받침부(12)는 기본적으로 후두골(O)을 받치면서,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변형 유도부분(14)로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경추 받침부(11)가 경추(C)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이때, 변형 유도부분(14)은 제1방향(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낮아지면서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게 한다.
즉 변형 유도부분(14)은 후두골 받침부(12)를 부분적으로 더 구획하여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기능을 더 부여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베개(1)는 경추 받침부(11)에 의한 경추(C) 라인의 자연스러운 유지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변형 유도부분(14)으로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을 안정적으로 받치고, 또한 후두골 받침부(12)로 후두골(O)을 보다 편안하게 받칠 수 있다.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는 몸체(10)의 y축 방향(좌우 방향)(제3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측방 연장부(13)는 몸체(10)의 y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는 x축 방향(전후 방향)(제2방향)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사용자가 베개(1)를 사용하는 상태, 즉 두부로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경추 받침부(11)는 사용자의 경추(C, cervical spine) 부분을 지지한다. 경추 받침부(11)에서 가운데 부분은 위쪽으로 볼록한 라운드를 이루며, 가운데 부분의 높이에 비하여, 양 사이드 부분의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후두골 받침부(12)는 경추 받침부(11)의 후방에 연결(x축 방향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베개(1)를 사용하는 상태, 즉 베개(1)를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 받침부(12)는 사용자의 후두골(O, occipital)을 받치며, 경추 받침부(11)에서 후방(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두골 받침부(12)에서 가운데 부분은 주변에 비해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방 연장부(13)는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에서 양측(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측방 연장부(13)는 z축 방향에서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 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유도부분(14)은 사용자가 베개(1)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제3방향(좌우 방향)(y축 방향) 양단에서 절단되어 측방 연장부(13)와 분리된다. 이때, 변형 유도부분(14)은 후두골 받침부(1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전후 방향(x축 방향)에서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에 연결된다.
따라서 변형 유도부분(14)은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에서 측방 연장부(13)의 저항을 받지 않고 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쉽게 변형 유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베개로 두부를 받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변형 유도부분(14)은 사용자가 베개(1)를 베고 사용하는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상하 방향)(z축 방향) 및 제2방향(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변형 유도부분(14)은 후두골 받침부(1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z축 방향 상측에서 후두골 받침부(12)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게 돌출 굴곡 형성된다. 따라서 변형 유도부분(14)은 후두골 받침부(12)보다 높은 위치에서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변형 시작될 수 있다.
변형 유도부분(14)은 두부를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굴곡되어 높이 조절부(20)의 상부 표면에 하측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변형 유도부분(14)은 높이 조절부(20)의 최대 높이에서부터 변형 시작되고, 높이 조절부(20)와 같이 변형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부(20)가 완전히 인출된 최소 높이까지 변형 유도될 수 있다.
즉 변형 유도부분(14)은 굴곡 형성되어, 후두골 받침부(12)보다 높은 위치에서 변형 시작되고 높이 조절부(20)의 높이 조절 영역 전체에서 변형되면서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두골 받침부(12)는 후두골(O)을 더욱 편안하게 받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20)는 몸체(10)의 후두골 받침부(12) 및 변형 유도부분(14)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개구(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높이 조절부(20)는 후두골 받침부(12) 및 변형 유도부분(14)의 후방(x축 방향)에서 개구(15)에 삽입되거나, 개구(15)로부터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는 몸체(10)와 같이,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높이 조절부(20)는 개구(15)의 내부에서 후두골 받침부(12) 및 변형 유도부분(14)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1층의 높이 조절 패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써,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21, 22, 23)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21, 22, 23)는 변형 유도부분(14)와 다양한 높이로 조합되어,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에 대응하여 보다 다양하게 받쳐 줄 수 있다.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21, 22, 23)는 후두골(O)을 지지하는 부분에서 절개부(211, 221, 231)를 포함한다. 절개부(211, 221, 231)는 돌출되는 사용자의 후두골(O) 형상을 수용하고,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21, 22, 23)의 나머지 부분으로 후두골(O)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21, 22, 23)는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후두골(O)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사용자가 누워서 베개(1)를 베는 경우, 후두골(O)과 경추(C)가 후두골 받침부(12)와 경추 받침부(11)에 위치한다. 이때,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은 후두골 받침부(12)에 형성되는 변형 유도부분(14)에 위치한다.
따라서 경추(C)는 경추 받침부(11)에 지지되어 경추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 유도부분(14)은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에 대응하여 받치면서 변형 유도된다.
이때, 변형 유도부분(14)은 후두골 받침부(12)에 비하여, 상하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변형되므로 경추(C)와 후두골(O)이 이어지는 부분(CP)을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변형 유도부분(14)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후두골 받침부(12)보다 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제2실시예에서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베개(2) 몸체(210)에서, 변형 유도부분(34)은 제2방향(x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좌우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설정된 폭(W)으로 절단되어 제3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분리된다. 즉 분리된 중간부분(341) 및 양측부분(342)은 x축 및 z축 방향에서 경추 받침부(31)와 후두골 받침부(32)에 각각 연결된다.
사용자가 누워서 베개(2)를 베는 경우, 후두골과 경추가 후두골 받침부(32)와 경추 받침부(31)에 위치한다. 이때,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은 후두골 받침부(32)에 형성되는 변형 유도부분(34)에 위치한다.
따라서 경추는 경추 받침부(31)에 지지되어 경추 라인을 자연스럽게 유지한다. 그리고 변형 유도부분(34)은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을 받치면서 높이 방향(z축 방향) 및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변형 유도된다.
이때, 변형 유도부분(34)은 좌우 방향(y축 방향)에서 복수로 분리 형성된다. 따라서 변형 유도부분(34)은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을 받칠 때, y축 방향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변형 유도된다.
즉 변형 유도부분(34)에서 중간부분(341)은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가장 크게 압축되므로 가장 깊이 변형 유도된다. 양측부분(342)은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의 양측부에 대응하여 중간부분(341)보다 작게 압축되므로 중간부분(341)보다 얕게 변형 유도된다.
즉 변형 유도부분(34)은 z축 방향 및 x 축 방향에 더하여, y축 방향에서도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에 대응하여 변형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은 제1실시예의 변형 유도부분(14)에서보다 제2실시예의 변형 유도부분(34)에서 더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다. 사용자는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CP)에서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베개(3)에서, 변형 유도부분(44)은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z축 방향 상측에서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에서 굴곡 시작 및 연결된다.
즉 변형 유도부분(44)은 경추 받침부(11) 및 후두골 받침부(12)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연결되므로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의 하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연결되는 제1실시예의 변형 유도부분(14)에 비하여, 제조 공정상 유리한 점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베개(4)에서, 몸체(10)는 높이 조절부(20)의 하방에서 변형 유도부분(54)에 대응하는 관통구(55)를 구비한다.
관통구(55)는 몸체(10)의 경추 받침부(11)와 후두골 받침부(12) 사이에서 변형 유도부분(54)을 형성할 때, 변형 유도부분(54)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금형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금형의 취급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2, 3, 4: 베개 10: 몸체
11, 31: 경추 받침부 12, 32: 후두골 받침부
13: 측방 연장부 14, 34, 44, 54: 변형 유도부분
15: 개구 20: 높이 조절부
21, 22, 23: 제1, 제2, 제3높이 조절 패드 55: 관통구
211, 221, 231: 절개부 341: 중간부분
342: 양측부분 C: 경추
O: 후두골 CP: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
W: 폭

Claims (6)

  1.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 받침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골을 지지하는 후두골 받침부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두골 받침부의 후방에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개구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서 제3방향(y축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두골 받침부는
    상기 경추 받침부의 후방에서 경추와 후두골이 이어지는 부분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변형 유도부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방향(y축 방향) 양단에서 절단되어 상기 측방 연장부와 분리되며,
    상기 제3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x축 방향)에서 상기 경추 받침부와 상기 후두골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두부를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굴곡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상측에서 상기 후두골 받침부의 상부 표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되는 베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두부를 받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상부 표면에 하측으로 밀착되는 베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유도부분은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설정된 폭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3방향에서 서로 분리되는 베개.
KR1020170059977A 2017-05-15 2017-05-15 베개 KR10197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77A KR101975555B1 (ko) 2017-05-15 2017-05-15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77A KR101975555B1 (ko) 2017-05-15 2017-05-15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81A KR20180125281A (ko) 2018-11-23
KR101975555B1 true KR101975555B1 (ko) 2019-05-07

Family

ID=6456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977A KR101975555B1 (ko) 2017-05-15 2017-05-15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5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08B1 (ko) 2014-05-21 2016-01-20 김창효 베개 높이 조절 장치
KR101672512B1 (ko) * 2015-03-17 2016-11-03 노근호 베개
KR101742734B1 (ko) * 2015-08-31 2017-06-01 노근호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81A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94B1 (ko) 베개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US9434283B2 (en) Head and neck supporting travel cushion
KR101645927B1 (ko) 2 in 1 테크니컬 교체식 인체공학 베개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236440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CN113874084B (zh) 用于矫正姿势的垫子
KR101742734B1 (ko) 베개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100982116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975555B1 (ko) 베개
KR101418696B1 (ko) 베개
KR200486642Y1 (ko) 경추 보호용 베개
KR101940229B1 (ko) 베개
KR101940228B1 (ko) 베개
KR200480002Y1 (ko) 숙면베개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KR102355396B1 (ko) 베개
KR200480282Y1 (ko) 다기능 라텍스 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20160146257A (ko) 정골 요법 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KR102623043B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