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4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40B1
KR101975340B1 KR1020170180078A KR20170180078A KR101975340B1 KR 101975340 B1 KR101975340 B1 KR 101975340B1 KR 1020170180078 A KR1020170180078 A KR 1020170180078A KR 20170180078 A KR20170180078 A KR 20170180078A KR 101975340 B1 KR101975340 B1 KR 10197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oor
drum
washing machin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510A (ko
Inventor
장보영
안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양한 세제를 간편하고 쉽게 세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측에서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후상방으로 젖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상기 투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과 상기 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세제의 저장이 가능한 세제박스;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세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힌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되, 바닥면이 상기 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세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세제박스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수용부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양한 세제를 간편하고 쉽게 세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를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세제의 화학 작용과 세탁수와 세탁물, 세탁물 사이 그리고 세탁물과 드럼 사이의 마찰력이나 세탁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력 등의 기계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 중에는 기계 작용의 정도 내지는 양상에 따라,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이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수직축 세탁기와 드럼이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수평축 세탁기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평축 세탁기는 전면의 도어를 개폐하여 드럼 내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로딩 세탁기라 할 수 있다. 물론, 수직축 세탁기는 상면의 도어를 개폐하여 드럼 내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기 때문에 탑 로딩 세탁기라 할 수 있다.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세제가 투입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세제는 세탁만을 수행하기 위한 세제일 수도 있고 표백이나 살균, 그리고 섬유의 올을 살리는 섬유 유연제, 세탁물에 향을 부가하는 향 성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세탁을 수행할 때마다 적정량의 세제를 세제 박스에 투입한다. 이러한 세제는 세제통에 담겨 있게 되는데 세제통의 무게는 상당하다. 따라서, 세제통을 들고 그때 그때 적정량의 세제를 세제 박스에 투입하는 데에는 사용자의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서는 상면, 즉 탑 플레이트에 세제통을 두고 그때 그때 적정량의 세제를 세제 박스에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세제 박스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인 경우 전면 상부에 드로워 타입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제 투입도 사용자의 상당한 수고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세제 투입 빈도가 높아질 수록 세제가 주변으로 흘러 주변을 오염시킬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는 분말 타입 세제와 액상 타입 세제가 있다. 특히 액상 타입 세제는 세제통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세제통을 들고 세제를 세제박스에 투입하는 것은 여간 수고스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세탁 시마다 무거운 세제통을 들고 세제 투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물론,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서는 탑 플레이트에 세제통을 둘 수 있고 세제박스와의 거리가 짧아 사용자의 세제 투입 동선이 작다. 그러나, 탑 로딩 세탁기의 경우는 세제 투입에 사용자의 수고를 더 요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탑 로딩 세탁기의 세제 박스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세탁기의 상부에 도어(1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0)의 하부에는 탑 커버(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의 중심부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도어(10)를 열면 상기 개구부(22)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기 내부의 드럼(20)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드럼 하부에는 펄세이터(21)가 구비되어 이의 회전으로 인해 세탁수와 세탁물이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0)는 윈도우(11)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11)를 통해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탑 로딩 세탁기에서는 상기 탑 커버에 세제 박스가 구비된다. 즉, 상기 탑 커버(12)의 모서리에 복수 개의 세제 투입구(31, 32, 33, 34)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 투입구는 각각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 종류 또는 목적에 따라 구별된다. 즉, 세탁 세제 투입구, 섬유 유연제 투입구, 향 성분 투입구 그리고 섬유 유연제 투입구 등등에 따라 세제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 투입구 하부에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탑 로딩 세탁기의 구조상 상기 세제 투입구(31, 32, 33, 34)와 인접하여 세제통을 위치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프론트 로딩 세탁기와는 달리 도어가 세탁기의 상면에서 열리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탑 로딩 세탁기의 상면을 통해서 세제통을 수납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세탁기 옆 바닥면이나 별도의 세제통 수납 공간에서 세제통을 들고 세제 투입구로 세제를 투입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탑 로딩 세탁기의 경우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 비해 세제 투입에 더 많은 사용자의 수고를 요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분말 세제의 경우에는 세탁수에 잘 녹지 않아 세탁 후에도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잔유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말 세제는 세제박스에 눌러 붙어 오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분말 세제보다 액상 세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 세제는 상대적을 매우 큰 용기에 담겨져 있다. 예를 들어 3L의 액상 세제 용기를 들고 있는 것도 큰 수고이지만, 용기를 들고 세제를 세제 박스에 공급하는 것은 더욱 큰 수고를 요한다. 그리고 세탁 시마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도 매우 불편하다. 물론, 세제 박스와 세제 용기가 수납된 공간 사이도 상대적으로 멀어지므로 사용자의 더 큰 동선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기의 구조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고, 특히 탑 로딩 세탁기에서 그 문제는 간과할 수 없는 불편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액상 세제 사용 빈도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할 필요성은 더 크게 부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서는 복수 개의 세제 투입구(31, 32, 33, 34)를 갖는다. 즉, 투입되는 세제의 기능이나 목적에 따라 각각의 세제 투입구에 투입되는 세제가 달라진다. 따라서, 투입된 세제가 터브 내로 공급되는 시기는 그 세제의 기능이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세제 투입구에 투입된 세제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 내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 등의 운전 과정에서 반드시 특정 시점에 특정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각각의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유로들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가 특정 시점에 유입되도록 제어 알고리즘이나 제어 장치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야 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 세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세제 투입 빈도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제 투입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세제 투입구를 일정 범위 내의 공간 또는 하나의 세제 박스 리드 하부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세제박스에 잔류하는 세제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세제량 표시부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제량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한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측에서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후상방으로 젖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상기 투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과 상기 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세제의 저장이 가능한 세제박스;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세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힌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되, 바닥면이 상기 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세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세제박스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수용부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방에 도어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최전방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자유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사용자가 전방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손잡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개구부 상부와 상기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단과 상기 터브의 상단 사이 공간을 상부에서 커버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드럼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탑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자유단은 상기 탑 커버 개구부와 같거나 낮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상기 도어 손잡이에 손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자유단 하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세탁수와는 별개로 상기 드럼으로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용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다른 기능을 갖는 세제가 서로 구별되게 저장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제수용부는 상기 세제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각각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하면에 상기 복수 개의 세제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토출하는 세제 토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 토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세제 토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제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 유로에는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펌프 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 투입구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세제 투입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세제박스 리드(L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 세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세제 투입 빈도수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제 투입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세제 투입구를 일정 범위 내의 공간 또는 하나의 세제 박스 리드 하부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세제박스에 잔류하는 세제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세제량 표시부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제량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한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세제박스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박스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도 2 도시된 세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세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세제 투입 경로의 일 시예에 대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세제 투입 경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 2 내지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1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터브(125); 상기 터브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120); 상기 캐비닛 상부에 상기 드럼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10); 그리고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세제박스(130)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4에는 드럼(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120)을 둘러싸는 터브(125)는 도시되지 않았다. 터브(125) 구성과 드럼(120)에 형성된 통공(122)을 통해 드럼과 터브가 연통된다는 사항 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드럼(120)과 터브(12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0)은 전면 패널(101), 측면 패널(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의 상부에는 컨트롤패널(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04)을 통해서 사용자와 세탁기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패널(1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상부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터브(125)와 드럼(120)이 구비되며, 터브와 드럼에 공급된 세탁수와 드럼의 회전을 통해 세탁이나 헹굼, 그리고 탈수 등이 이루어진다.
탑 로딩 세탁기에서 드럼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개구부(121) 상부에는 탑 커버(103)이 구비된다.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드럼의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투입구(10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탑 커버(103) 상부에는 도어(110)가 위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열어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도어를 닫은 후 세탁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0)는 위로 젖혀 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110)의 전방에 구비된 손잡이(112)를 통해 도어를 들어 올려 후방으로 젖혀 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후방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힌지 연결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제박스(13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도어와 일체로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제박스(130) 전체가 상기 도어(110)에 구비될 수 있고, 일부 구성만이 상기 도어(110)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일부 구성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130) 구성은 도어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110)의 회전 중심으로 최대한 무게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전방에는 투명창(11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창(111)을 통해 드럼(120) 내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도어(110)는 "ㄱ"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어 손잡이(106)의 위치를 낮출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상기 투명창(111)은 상기 도어 손잡이(11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기의 전방에서도 드럼 내부를 어느 정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창(111)의 후방으로는 세제박스(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다른 기능을 갖는 세제가 서로 구별되게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130)는 세탁세제 수용부(134), 섬유유연제 수용부(134) 그리고 표백제 수용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향 성분이나 다른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들은 하나의 수용부(134) 내부에서 격벽으로 인해 서로 구별될 수 있으며, 각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각각에는 별도의 세제 투입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 각각에는 별도의 리드(Lid)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개별적으로 세제 투입구를 개폐하는 리드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리드(131)가 모든 세제 투입구(134)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수용부들을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세제박스 리드(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 리드(131)의 하면에는 세제 투입구(134)에 대응되는 덮개(1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36)는 일정 부분 상기 세제 투입구(134)에 삽입되어 세제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 리드(131)의 상면은 상기 투명차(111)과 수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의 상면은 적어도 상기 컨트롤 패널(104)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단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일 평면은 수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13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134); 상기 세제 수용부로 세제가 투입되도록 구성된 세제 투입부(134); 그리고 상기 세제 투입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세제박스 리드(131, L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 투입부와 세제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가 열렸을 때, 즉 도어가 세워졌을 때 상기 세제 수용부(134)도 세워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박스는 폭에 비해 길이가 짧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어가 세워졌을 때 세제 수용부의 폭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한 세제로 인한 무게를 도어의 후방으로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어가 열릴 때 모멘트 중심은 도어의 최후방이고 도어의 최전방에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이다.
상기 세제 투입구(133)는 상기 세제 수용부(134)의 전방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 수용부(134)의 깊이는 상기 세제 투입구(134)에서 낮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세제 수용부에 수용된 세제의 많은 부분이 도어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세제 투입구(134)의 밑 부분의 세제 수용부는 도어 후방으로 갈 수록 밑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로 인한 무게가 도어의 전방이 아닌 최대한 후방에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어의 회전 중심에 최대한 가까이 세제로 인한 무게가 편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 전방의 손잡이를 통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제박스 리드(131)의 전방에는 세제박스 리드(131)를 열 수 있는 손잡이(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32) 부분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는 슬롯(1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133)은 세제박스 리드(131)과 투명창(111) 사이에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를 열기 위해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112)에 손을 넣기 위한 슬롯(10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06)은 전술한 전면 패널(101)과 탑 커버(10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30)는 세제를 수용하고 이를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단순히 세탁기 자체에 세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 이상으로 세제가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박스(130)는 세탁기의 운전에 따라 세탁수와는 별개로 상기 터브나 드럼으로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세제박스(130) 구체적으로는 세제 수용부(134)에서 세제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세제 수용부(134) 내부로 별도의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세탁기의 운전에 따라 기설정된 양의 세제가 세제박스에서 토출될 수 있다. 물론, 토출된 세제는 터브나 드럼으로 유입될 것이다.
따라서, 세제박스(130), 구체적으로는 세제 수용부(134)로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세탁수 유로가 상기 세제 수용부에 직접 연결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세탁수 유로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박스(130)의 하부에 직접 세제 토출부(13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제 토출부(135)는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드럼(120)나 터브의 내부 공간과 직접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 수용부 내부로 공급될 필요없이 직접 세제를 터브나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제 토출부(135)에는 각각의 세제 수용부에 따라 별도로 토출구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는 밸브 등의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밸브의 열림 시간 제어를 통해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기어 타입 구성을 통해 기어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펌프나 밸브는 상기 세제 수용부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세제 수용부에서 펌프나 밸브를 통해 세제가 토출되고, 토출된 세제는 상기 세제 토출부(135)를 통해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세제 토출부(135)는 이와 달리 세제 수용부(134)의 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수용부(134)가 세워졌을 때 세제 수용부(13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제 토출부는 드럼, 바람직하게는 터브와 직접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탑 커버(103)의 후방에 개구부(107)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07)는 직접 터브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 토출부를 통해 낙하하는 세제가 직접 터브 내부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세제 토출을 위한 제어장치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탑 로딩 세탁기는 세탁기의 상부를 통해 세탁물을 드럼으로 넣거나 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이 있다. 따라서, 최대한 드럼의 개구부를 낮추기 위해 탑 커버(103)의 상면과 전면(105)에 걸쳐 탑 커버 개구부(104, 10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커버 (103) 전면에 형성되는 탑 커버 개구부(107)의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서 세탁물을 드럼으로 넣거나 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03)의 전면은 도어(110)의 손잡이(112)와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탑 커버 개구부(104, 107)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배타적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세제박스와 이와 연관된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유사하거나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터브(125); 상기 터브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120); 상기 캐비닛 상부에 상기 드럼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20);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세제박스(130) 그리고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세제박스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에 대하여 세제 투입구(133)와 표시부(140)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도어의 상면에는 상기 세제박스(130)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구(133)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10)의 하면에는 저장된 세제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110)가 닫힌 상태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고, 도어(110)가 열린 상태에서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세제 수용부(134) 내부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세제 수용부(134)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세제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도어(120)의 하면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부(140)에는 사용 가능 회수나 저장된 세제 용량 등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140) 등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투명 용기 내에 내용물이 얼마나 담겨있는지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보조적으로 눈금(140) 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양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110)는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에 힌지(126) 결합되어 있고, 최전방에 도어 손잡이(135)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130)는 상기 힌지 결합부에 인접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112)와는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패널(104)가 도어(11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세탁기의 전면 가까이서 용이하게 컨트롤패널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제 수용부(134)의 폭 보다는 높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높이가 길수록 사용되는 세제량에 따라 높이의 변동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직관적으로 잔류 세제량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에 세제박스(130)와 컨트롤패널(104)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의 무게가 커질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는데 많은 수고를 요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고를 줄이기 위해 도어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126)에는 탄성 수단(미도시)이 부가될 수 있다. 즉, 도어가 닫힐 때는 탄성 변형되고, 도어가 열릴 때 탄성 복원되도록 탄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물론, 탄성 수단의 탄성력은 도어의 무게를 이기고 스스로 도어가 열리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에는 유압 수단(112, 댐퍼)이 부가될 수 있다. 이는 도어의 무게로 인해 도어가 급격히 닫혀 세탁기나 도어에 큰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는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닫힘과 잠금, 그리고 열림 메커니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탑 로딩 세탁기는 잠금 메커니즘 구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탑 로딩 세탁기의 도어는 세탁 동작 중이라도 용이하게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즉, 잠금 메커니즘 구성이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와 후크에 구속되어 도어를 잠그는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 구성 자체는 당업자에게 용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세제가 세탁수와는 독립적으로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되거나, 세탁수와 혼합되지 않고 직접 터브나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7을 통해 세제 투입 경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세제 수용부(134)에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각각의 세제 수용부(134)에서 전술한 펌프나 밸브 등의 수단을 통해 세제가 토출된다. 이러한 펌프나 밸브 등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시기에 특정 세제가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설정된 양의 세제가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토출된 세제는 세제 유로(161a, 161b, 161c)를 통해 드럼(120)이나 터브(125)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세제 유로는 독립적으로 직접 드럼이나 터브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세제 유로가 만나 하나의 세제 유로를 형성하여 터브나 드럼으로 세제를 직접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제 수용부(134)는 도어(110)에 구비되므로 터브나 드럼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세제 수용부(134)의 토출부(134a)로부터 터브나 드럼으로 이르는 세제 유로(161a, 162b, 163c)는 세제가 중력 방향으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을 통해 세제 투입 경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세탁기에는 터브(125)나 드럼(12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170)와 급수 유로(162)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급수 유로(162)에 세제가 투입되고, 급수 유로(162)를 통해 세제가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세제가 투입되고 급수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세제가 급수 유로에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급수유로(162)는 하향 구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세탁수와 혼합된 세제를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고농도의 세제가 직접 세탁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나 드럼에 기 공급된 세탁수의 양과 무관하게 세제 투입 시점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세제를 직접 터브나 드럼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터브나 드럼으로 세탁수가 공급된 후 세제가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세제가 직접 세탁물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느 경우나 세제 수용부로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급수 유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탁기 사용시마다 세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100 : 캐비닛 110 : 도어
120 : 드럼 125 : 터브
130 : 세제박스 140 : 표시부

Claims (18)

  1. 상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측에서 투입되는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후상방으로 젖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이 상기 투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 상기 도어의 후방에 구비되며 세제의 저장이 가능한 세제박스; 및 상기 도어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세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힌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되, 바닥면이 상기 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세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면에는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세제박스에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제수용부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 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자유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최전방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사용자가 전방에서 상기 드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손잡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개구부 상부와 상기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상단과 상기 터브의 상단 사이 공간을 상부에서 커버하는 탑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드럼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탑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자유단은 상기 탑 커버 개구부와 같거나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해 상기 도어 손잡이에 손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자유단 하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세탁수와는 별개로 상기 드럼으로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용부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다른 기능을 갖는 세제가 서로 구별되게 저장되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제수용부는
    상기 세제박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각각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하면에 상기 복수 개의 세제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드럼 내부로 토출하는 세제 토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토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세제 토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제 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제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유로에는 기설정된 양의 세제를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펌프 또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저장된 세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투입구는
    상기 세제 수용부의 전방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세제 투입구를 개폐하는 세제박스 리드(L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70180078A 2017-12-26 2017-12-26 세탁기 KR10197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78A KR101975340B1 (ko) 2017-12-26 2017-12-2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78A KR101975340B1 (ko) 2017-12-26 2017-12-26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369A Division KR102023005B1 (ko) 2011-03-24 2011-03-24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10A KR20180003510A (ko) 2018-01-09
KR101975340B1 true KR101975340B1 (ko) 2019-05-07

Family

ID=6100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78A KR101975340B1 (ko) 2017-12-26 2017-12-2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1265B2 (ja) * 2018-07-06 2022-09-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10396807A (zh) * 2019-07-09 2019-1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顶盖导流结构及洗衣机
JP7213195B2 (ja) * 2020-01-31 2023-01-26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
CN114941232B (zh) * 2022-06-20 2024-03-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一种添加剂投放装置及其投放方法和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018A (ko) * 2005-12-16 2007-06-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257703B1 (ko) * 2006-04-13 201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10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40B1 (ko) 세탁기
USRE48865E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AU2008202222B2 (en) Top-loading type washing machine
EP2374926B1 (en) Washing machine
US8555678B2 (en) Washing machine system and washing method
KR101482110B1 (ko) 세탁기
US8312745B2 (en) Automatically controlled washing machine
US10370788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20070125134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20090122005A (ko) 세탁기
US20130219972A1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n accessible reservoir
KR20100066172A (ko) 세탁기 및 세탁 방법
KR100873681B1 (ko) 탑 로드형 세탁기
EP3293303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lidable dispenser
EP2133456B1 (en)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a multifunction detergent dispenser, and relative operating method
KR20140131809A (ko)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010698B1 (ko) 세탁기
KR20100066909A (ko) 세탁기
JPH08336695A (ja)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KR102023005B1 (ko) 세탁기
CN112442858A (zh) 洗涤剂供应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101461385B1 (ko) 대용량 세제함을 구비하는 세탁기
US11718948B2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with improved drawer
KR101492097B1 (ko) 세탁기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