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75B1 -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75B1
KR101975275B1 KR1020180164720A KR20180164720A KR101975275B1 KR 101975275 B1 KR101975275 B1 KR 101975275B1 KR 1020180164720 A KR1020180164720 A KR 1020180164720A KR 20180164720 A KR20180164720 A KR 20180164720A KR 101975275 B1 KR101975275 B1 KR 10197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information
wall
recovery system
visu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6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75B1/ko
Priority to PCT/KR2019/006544 priority patent/WO20201302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17C13/126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for large storage containers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44Operation; Control and regulation; Instru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B63J2099/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2Control means using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72Processing device is used off-shore, e.g. on a platform or floating on a ship or b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LNG 발전설비 중 BOG(Boiled-Off Gas) 회수시스템의 안전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GPS를 통해 계측된 해양플랫폼의 위치(거동)정보와, 각 계측기(S)를 통해 계측된 가스정보, 압력정보,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이하, '계측정보'로 통칭)를 수신하는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프 형태의 2D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을 기반으로 계측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3D가시화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되, 계측정보를 표시하기 전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정보를 필터링시키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안전한 BOG 회수시스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전 시나리오와 3D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을 제공함으로써, BOG 회수시스템의 현 상황에 따른 계측정보를 가상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THE RECOVERY SYSTEM OF BOILED-OFF GAS}
본 발명은 부유식 LNG 발전설비 중 BOG(Boiled-Off Gas) 회수시스템의 안전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GPS를 통해 계측된 해양플랫폼의 위치(거동)정보와, 각 계측기(S)를 통해 계측된 가스정보, 압력정보,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이하, '계측정보'로 통칭)를 수신하는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프 형태의 2D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을 기반으로 계측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3D가시화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되, 계측정보를 표시하기 전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정보를 필터링시키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안전한 BOG 회수시스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전 시나리오와 3D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을 제공함으로써, BOG 회수시스템의 현 상황에 따른 계측정보를 가상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벙커링(bunkering)은 벙커유로 알려진 선박 연료유를 저장 및 전송하는 것을 주로 의미한다.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LNG 연료의 전송 및 공급도 벙커링으로 포함되고 있다.
대량의 연료를 해안으로부터 선박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LNG 연료를 바지선이나 다른 컨테이너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연료 공급은 도크 또는 다른 항만 시설로부터 직접 이루어지거나, 바지선 또는 다른 연료 급유선에 의해 운반된 연료를 공급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의 LNG는 천연가스를 약 -162℃로 냉각해서 액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천연가스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갖는다.
천연가스의 액화온도는 상압 -163℃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그 온도가 상압 -163℃ 보다 약간만 높아도 쉽게 증발된다. 따라서, 벙커링을 통해 선박의 LNG 저장탱크로 LNG를 이송할 때에도, 온도와 압력 등의 변화에 따라 다량의 BOG(BOG: Boiled-off gas)가 발생한다.
BOG의 양은 저장 용기 내부의 액위 변동에 따라 그 발생량이 달라지므로 외기온도, 압력변화에 따른 Heat & Mass Balance 예측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BOG의 손실 량을 최소화 해야 한다.
만일, 저장 용기 내에 BOG가 과다하게 되면 이로 인해 용기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용기가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없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BOG를 배출시켜 액화한 후 다시 저장해야 한다.
이와 같이, BOG를 배출시켜 액화한 후 다시 저장해야 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를 수반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이 중요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BOG의 회수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적 측면, 그리고 폭발, 화재의 위험성 때문에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요구되기 때문에 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예측 및 모니터링을 통해 자산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종래에는 위험 예측 및 모니터링을 위해 선박으로부터 수신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나, 선박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계측 데이터의 경우 해양 환경(즉, 조류, 바람, 파도)에 의해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 받기 힘든 경우가 대 부분이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체 플랫폼에 대한 시스템 노후 대비가 어려웠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8144호는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마련되며 액화연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와, 선박에 마련되며 저장 탱크로부터 액화연료를 공급받아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이송하는 버퍼 탱크를 포함하는 LNG 벙커링 선박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6003호는 부유식 LNG 벙커링 터미널의 접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상의 부유식 LNG 벙커링 터미널이 접안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접안한 상태에서 부유식 LNG 벙커링 터미널에 작용하는 환경외력(즉, 조류, 바람, 파도)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48784호는 선박 LNG 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닷가 충전 현장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기화된 대기압의 BOG 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차량에 설치된 다수개의 배관용기 모듈이나 탱크에 가압 저장하고, 이를 운송하여 LNG인수기지, 도시가스 공급배관에 주입하거나 CNG차량에 충전 혹은 재액화 처리하여 액체 LNG로 재활용하는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1105호는 컴팩트형 선박용 LNG 연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설치 편의 향상에 따른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8144호(2014.12.31.) 등록특허공보 제10-1576003호(2015.12.02.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748784호(2017.06.13.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1105호(2018.04.23.)
본 발명의 목적은, DGPS를 통해 계측된 해양플랫폼의 위치(거동)정보와, 각 계측기(S)를 통해 계측된 가스정보, 압력정보,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이하, '계측정보'로 통칭)를 수신하는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프 형태의 2D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을 기반으로 계측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3D가시화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되, 계측정보를 표시하기 전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정보를 필터링시키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안전한 BOG 회수시스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전 시나리오와 3D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을 제공함으로써, BOG 회수시스템의 현 상황에 따른 계측정보를 가상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1개의 해양플랫폼에서 계측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계측기(S)가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한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여 2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그래프로 제공하고, 기제작된 3D모델링에 계측정보를 적용한 형태의 3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모델링 화면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계측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정보수신부와,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계측정보를 가공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분석부와, 분석결과를 2D 형태로 가시화하는 2D가시화부와, 분석결과를 3D 형태로 가시화하는 3D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각종 계측기(S)로부터 계측정보를 획득하여, IoT를 통해 무선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도어를 포함하는 함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전 시나리오 및 3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을 제공하여, 가상현실에서 BOG 회수시스템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DGPS를 통해 계측된 해양플랫폼의 위치(거동)정보와, 각 계측기(S)를 통해 계측된 가스정보, 압력정보,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이하, '계측정보'로 통칭)를 수신하는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프 형태의 2D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을 기반으로 계측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3D가시화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되, 계측정보를 표시하기 전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정보를 필터링시킬 수 있다.
둘째,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안전한 BOG 회수시스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전 시나리오와 3D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을 제공함으로써, BOG 회수시스템의 현 상황에 따른 계측정보를 가상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부유식 LNG 발전설비 중 BOG(Boiled-Off Gas) 회수시스템의 안전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GPS를 통해 계측된 해양플랫폼의 위치(거동)정보와, 각 계측기(S)를 통해 계측된 가스정보, 압력정보,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이하, '계측정보'로 통칭)를 수신하는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부터 계측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프 형태의 2D가시화정보 및 모델링을 기반으로 계측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3D가시화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되, 계측정보를 표시하기 전 정보의 송수신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계측정보를 필터링시키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안전한 BOG 회수시스템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전 시나리오와 3D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을 제공함으로써, BOG 회수시스템의 현 상황에 따른 계측정보를 가상현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1개의 해양플랫폼에서 계측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계측기(S)가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한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 개의 해양플램폼으로부터 각각의 계측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여 2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그래프로 제공하고, 기제작된 3D모델링에 계측정보를 적용한 형태의 3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모델링 화면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측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정보수신부와,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계측정보를 가공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분석부와, 분석결과를 2D형태로 가시화하는 2D가시화부와, 분석결과를 3D형태로 가시화하는 3D가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D 및 3D 가시화는 아래 [표 1]을 참조한다.
Figure 112018127597273-pat00001
이때, 분석부에서 수행되는 분석은, 통상적으로 BOG 회수시스템의 안전을 보정하기 위하여 압력과 온도를 기반으로 분석되는 모든 결과를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계측정보의 필터링은 중복 또는 전송오류된 정보를 제거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해진 규칙을 지키지 않고 정보가 깨지거나 파손된 경우 이러한 계측정보를 전송오류 및 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중복된 계측정보를 제거하는 것에 있어서는, 일예로서는 단순히 계측정보가 동일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다른 일예로서는 전송오류된 계측정보와 중복된 계측정보를 한번에 필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 깨지거나 파손된 형태의 계측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에 대하여, 앞뒤로 소정의 시간만큼(예를 들면, 10초)에 해당되는 전체 계측정보를 다시 송수신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측정보 재송출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고,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계측정보를 재송출하기 위하여, 이미 송출된 계측정보를 임시기간 동안 가저장하는 가저장부와, 요청신호에 기반하여 요청신호에 포함된 시간대를 기반으로 앞뒤로 소정의 시간동안의 가저장된 계측정보를 재송출하는 재송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재송출되어 수신된 계측정보와 미리 수신되었던 계측정보들을 비교하여 중복된 계측정보를 제거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표 2]의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8127597273-pat00002
[표 2]에 따른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해양플랫폼에 도어를 포함하는 함체의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각종 계측기(S)로부터 계측정보를 획득하여, IoT를 통해 무선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BOG 회수시스템의 과도한 가열 및 압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계측정보를 기반으로 한 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모니터링 대상이되는 해양플랜트의 BOG 회수시스템의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은 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시나리오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이나 조작을 기반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생성은 종래 텍스트 입력을 통해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3D 가시화정보와 보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상현실(VR)에서 사용자가 직접 BOG 회수시스템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은 VR환경생성부, VR구동부 및 VR장비연동부 등 가상현실 구동을 위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현실로의 접속을 위한 VR장비를 더 포함하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방폭 기능의 향상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벽과 내벽의 2중벽으로 구성되고, 외벽과 내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벽으로부터 내벽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판 형상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출영역을 갖는 '
Figure 112018127597273-pat00003
'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영역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과 외벽에 형성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고정홈은 상기 내벽과 외벽의 도어방향을 전방으로 기준하였을 때,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은 후방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내벽의 후면에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후방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은 그 돌출영역을 어느 한 측방향만 형성되도록 하고, 다른 측방향은 외벽 내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과 고정홈은 외벽과 내벽 사이의 이격공간에 사방(四方)으로 구성되어 내벽이 외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벽 내부로 전자부품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홈은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되기 위하여,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면 또는 후면에 '
Figure 112018127597273-pat00004
'의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로는 삽입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봉의 외면 중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홀을 관통한 삽입봉의 단부로는 마개가 덮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개는 '
Figure 112018127597273-pat00005
'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크기가 작은 부분의 단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오목한 영역은 2단의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 형태를 갖도록 한다(단부에 가까운 단을 1단, 나머지단을 2단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1단의 단부로부터 1/5에 해당되는 깊이만큼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1/5는 다른 기술적 의의가 있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표현일 뿐이다.
또한, 2단의 내측벽으로는 다수 개의 작은 홈을 더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2단의 내부에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하면서 유연하고 질긴 재질의 물주머니를 위치도록 한다.
즉, 상술된 구조를 갖는 마개에 삽입봉이 삽입되면서, 나사산이 맞물려 고정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의 나사산 위측 기둥영역이 마개의 2단 영역에 삽입되면서 물주머니를 가압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물주머니는 2단의 내측벽에 형성된 다수 개의 작은 홈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는 한편, 충격 완화의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함체의 조립 순서는, 외벽의 후방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고정수단을 내벽을 삽입하면서, 내벽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수단을 결합하고, 외벽과 내벽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수단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수단의 전체 길이가 외벽의 고정홈부터 내벽의 고정홈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은 당연하며, 외벽의 고정홈과 내벽의 고정홈은 대칭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는 것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 고정홈은, 상술된 형태에 대하여, 맨 단부의 홈은 각각 단부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길게 구성된 홈에 대해서는 실리콘 재질의 막을 부착 또는 도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수단을 고정홈에 돌출영역 3개를 모두 고정할 수도 있고, 1개 내지 2개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내벽과 외벽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연결된 다수 개의 고정수단에 있어서, 소수의 개수는 고정력이 다소 저하되더라도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이 상승되어 방폭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3)

  1.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1개의 해양플랫폼에서 계측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계측기(S)가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계측정보를 수신한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a)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여 2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그래프로 제공하고, 기제작된 3D모델링에 계측정보를 적용한 형태의 3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모델링 화면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계측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정보수신부와, 수신된 계측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부와, 필터링된 계측정보를 가공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분석부와, 분석결과를 2D 형태로 가시화하는 2D가시화부와, 분석결과를 3D 형태로 가시화하는 3D가시화부를 포함하며,
    (b) 상기 BOG 회수시스템의 보전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전 시나리오 및 3D 형태의 가시화정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을 제공하여, 가상현실에서 BOG 회수시스템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외벽과 내벽의 2중벽으로 구성되고, 외벽과 내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외벽으로부터 내벽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판 형상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출영역을 갖으며, 상기 돌출영역 각각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
    Figure 112019502303951-pat00007
    '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의 내벽과 외벽의 전면 또는 내벽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고정되기 위해 '
    Figure 112019502303951-pat00008
    '의 형태로 구성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로는 삽입봉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봉의 외면 중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홀을 관통한 삽입봉의 단부로는 '
    Figure 112019502303951-pat00009
    '의 형태를 갖는 마개가 구성되되, 상기 마개의 크기가 작은 부분의 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하며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2단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2단 형태의 홈 중, 단부에 가까운 단은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만큼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단의 내측벽으로는 다수 개의 작은 홈이 형성되되, 상기 다른 단의 내부에 물주머니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마개에 삽입봉이 삽입되면서, 나사산이 맞물려 고정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의 나사산 위측 기둥영역이 마개의 2단 영역에 삽입되면서 물주머니를 가압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물주머니는 2단의 내측벽에 형성된 다수 개의 작은 홈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력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충격 완화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폭형 현장 디바이스는,
    각종 계측기(S)로부터 계측정보를 획득하여, IoT를 통해 무선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측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도어를 포함하는 함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KR1020180164720A 2018-12-19 2018-12-19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7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720A KR101975275B1 (ko) 2018-12-19 2018-12-19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19/006544 WO2020130246A1 (ko) 2018-12-19 2019-05-30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720A KR101975275B1 (ko) 2018-12-19 2018-12-19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75B1 true KR101975275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720A KR101975275B1 (ko) 2018-12-19 2018-12-19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5275B1 (ko)
WO (1) WO202013024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144A (ko) 2013-06-21 2014-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20150011674A (ko) * 2013-07-23 2015-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76003B1 (ko) 2015-04-30 2015-12-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식lng벙커링터미널의 접안구조물
KR20160126576A (ko) * 2015-04-24 2016-1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내의 lng bor을 계산하는 방법
KR101748784B1 (ko) 2016-03-25 2017-06-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lng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
KR20170088023A (ko) * 2016-01-22 2017-08-01 진동진 사물인터넷 기반 실시간 원격관리형 육해상 겸용 종합 기상관측 시스템
KR20180041105A (ko) 2018-04-16 2018-04-23 주식회사 엔케이 컴팩트형 선박용 lng 연료 공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117A (ja) * 1993-09-13 1995-03-28 Mitsubishi Heavy Ind Ltd Lng移送装置
KR100936394B1 (ko) * 2008-03-05 2010-01-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lng 순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8144A (ko) 2013-06-21 2014-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20150011674A (ko) * 2013-07-23 2015-0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60126576A (ko) * 2015-04-24 2016-1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내의 lng bor을 계산하는 방법
KR101576003B1 (ko) 2015-04-30 2015-12-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식lng벙커링터미널의 접안구조물
KR20170088023A (ko) * 2016-01-22 2017-08-01 진동진 사물인터넷 기반 실시간 원격관리형 육해상 겸용 종합 기상관측 시스템
KR101748784B1 (ko) 2016-03-25 2017-06-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lng벙커링용 기화 천연가스 처리장치
KR20180041105A (ko) 2018-04-16 2018-04-23 주식회사 엔케이 컴팩트형 선박용 lng 연료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246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ymithe et al. Current block motions and strain accumulation on active faults in the Caribbean
Huijsmans et al. Diffraction and radiation of waves around side-by-side moored vessels
KR101975275B1 (ko) Bog 회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
Behruzi et al. Cryogenic slosh modeling in LNG ship tanks and spacecrafts
Wiggins et al. Tidal interaction between a fluid star and a Kerr black hole in circular orbit
Asakawa et al. Ceramic pressure-tight housings for ocean-bottom seismometers applicable to 11-km water depth
KR101922532B1 (ko) Hils 기반의 선박조종 성능 계측관리 시스템
US20230186157A1 (en) Estimation of a tank sloshing response using a statistical model trained by machine learning
KR101954599B1 (ko) 3차원 모델링 기반 bog 회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10356526A (zh) 一种通过无人机读船舶吃水的方法
Kim et al. Dispersion analysis of the unignited flare gas in an LNG-FPSO vessel
US9052383B2 (en) System for testing an acoustic array under water load
ES2939288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determinación del chapoteo
KR102362547B1 (ko) 차세대 수로제품을 기반으로 하는 해수 동적수로정보 운용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atts et al. Evaluation of shipboard and satellite-derived bathymetry and gravity data over seamounts in the north Pacific Ocean
KR20190066848A (ko) 슬로싱 예측장치
CN209513228U (zh) 一种水下元器件检验及检测装置
Davenport Faults--Offshore of Gaviota Map Area, California
Rolin et al. Long term subsea monitoring of academic research sites and oil and gas industrial sites: Common standards and interoperability?
Truong et al. Determination of the constant W o for local geoid of Vietnam and it’s systematic deviation from the global geoid
RU2561798C1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адресности стыко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истемы наддува баков жидкостных ракет шахтного базирования
Cao et al. Analyzing and modeling for liquid cargo handling of LNG simulator
Dartnell Contour--Offshore of Gaviota Map Area, California
Kossobokov Seismic Hazard Assessment Problem in a Big Data World
Riley et al. NDBC wave measurement initi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