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73B1 -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 Google Patents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73B1
KR101975273B1 KR1020180145823A KR20180145823A KR101975273B1 KR 101975273 B1 KR101975273 B1 KR 101975273B1 KR 1020180145823 A KR1020180145823 A KR 1020180145823A KR 20180145823 A KR20180145823 A KR 20180145823A KR 101975273 B1 KR101975273 B1 KR 10197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ser
operation lever
control unit
rot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흥준
Original Assignee
김흥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준 filed Critical 김흥준
Priority to KR102018014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for a toilet, which is able to automatically operate an operation lever to flush through the toilet after a user urinates or relieves himself or herself, to allow the user not to need to press or touch the operation lever, which is touched by unspecified masses for flushing water through the toilet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in a public restroom,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fected by germs through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for the toilet comprises: a housing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water tank in the toilet, which is near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to have an installation space inside; one or more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housing, having a certain part exposed towards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s; a motor driven by the control unit; a rotary plate body engaged and connected with the motor to make a rotary motion, to be made of a plate-shaped body, and to have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side surface; a pulling member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body, to be in a bar shape, and to make a straight motion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plate body; a wire which connects the pulling member to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to pull and press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straight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and a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power supplied from outside to the sensors, the control unit, and the motor.

Description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0001]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 RTI ID = 0.0 > pot &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사용 후 물을 내리기 위한 작동레버가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써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의 사용 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조작하여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는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손으로 누를 필요가 없으며, 양변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방지 및 공용 화장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on lever for releasing water after use of a toilet bowl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use, so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re manipulated when using a toilet bowl of a public toilet, To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of a toilet capable of preventing a malodor generated from a toilet and maintaining a common toilet in a clean state without having to manually press an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with a toilet.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앉거나, 서서 대, 소변 등의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Generally, a toilet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t, stand, urinate, and so on.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양변기(1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커버(102)와 시트커버(102)의 하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양변기 본체(103) 및 시트커버(102) 상에 구비되어 양변기 본체(103)를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he toilet 100 includes a seat cover 102 for seating a user and a toilet seat 103 and a seat cover 102, which are provided below the seat cover 102 and are filled with water, 102 and a lid 10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103 of the toilet.

그리고, 양변기 본체(103)에 물을 공급하도록 그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물 탱크(105)가 그 후방에 구비되고, 물탱크(105)에는 그 내부에 충진된 물을 양변기 본체(103)로 물의 공급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107)가 구비된다.A water tank 105 filled with water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103 is provided behind the water tank 105.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5 is supplied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103 An operation lever 107 for actuating the supply of water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양변기의 커버를 개방한 다음, 양변기 본체의 시트커버에 둔부를 위치시켜 대변을 보거나, 사용자가 양변기 커버 및 시트커버를 개방한 다음, 양변기 본체에 소변을 본 후, 물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레버를 아래측으로 눌러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물탱크 내부에 충진된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됨과 동시에 양변기 본체의 물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fter the user opens the cover of the toilet bowl, the user then places the buttocks on the seat cover of the toilet body and opens the toilet cover and the seat cover. Then, The operation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is pushed downward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and the water of the body of the toilet body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이러한 양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물탱크 내의 배수 밸브를 개방하고, 양변기 본체의 물을 배출함으로써 용변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to open the drain valve in the water tank and discharges water from the body of the toilet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toilet.

여기서, 양변기의 작동레버는 물탱크 내에서 수압에 의해 닫혀 있는 배수 밸브를 견인해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해야 하는 구성이다.Here,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force must be applied since the drain valve that is closed by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tank must be pulled.

한편, 최근 들어, 회사, 병원, 관공서, 지하철, 휴게소 및 터미널 등의 화장실에 비치된 와변기를 양변기로 교체하는 추세이며, 거의 대부분의 공용 화장실에는 쪼그려 앉아 용변을 보는 와변기를 걸터 앉아 용변을 보는 양변기가 적용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place a toilet seat in a toilet in a company, a hospital, a public office, a subway, a resting place and a terminal with a toilet seat, and in most public restrooms there is a toilet seat Is applied.

이러한 양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레버를 눌러 용변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나,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의 사용 시 다른 사람들의 손이 닿은 작동레버를 만져야 하는 찝찝함이 있으며, 양변기를 사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만지거나 누르는 등 작동레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감기, 플루 등 감염성 질병 및 세균 등에 감염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 및 노약자 또한 작동레버를 통해 세균 감염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such a toilet, when the user views the toilet,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lever to discharge the toilet. However, in using the toilet in the public toilet, there is a need to touch the operation lever of the other person's hand. Such as cold or flu, can be infected by direct contact of the operating lever, such as repeatedly touching or pressing the person repeatedly, and infants and the elderly who are weak in immunity are also vulnerable to bacterial infection through the operating lever .

또한, 공용 화장실의 경우,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레버를 누르지 않거나, 작동레버를 누르는 것을 잊어버리고 나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변기에 남아 있는 용변을 배출하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다시 눌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의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ublic restroom, the user may forget to depress the operation lever after the user has used the toilet, or to forget to press the operation lever, thereby causing the other user to press the operation lever again in order to discharge the remaining toilet bowl There was a problem of hassle.

이렇게, 공용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레버를 누르지 않을 경우, 양변기에 남아 있는 용변으로 인해 공용 화장실에 악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공용화장실을 이용하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if the user who uses the public toilet does not press the operating lever after having used the toilet, odor is generated in the public toilet due to the toilet left in the toilet, and this can cause discomfort to a large number of people using the public toilet .

또한, 어린아이 등을 포함하는 노약자의 경우에도, 부주의로 인해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누르지 못하거나, 잊어버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senior citizen including a young child, there is a proble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can not be pressed or forgotten due to carelessness.

더불어,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일부 사용자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작동레버에 손을 대는 것에 대한 불쾌함 및 거부감으로 인해 용변 전, 후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손이 아닌, 발로 눌러 양변기의 물을 내리는 경우도 발생되며, 이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작동레버가 오염되거나, 작동레버에 손을 대는 다른 사용자가 세균에 감염되거나, 손에 이물질이 묻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some users of the toilet bowl of the public restroom,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oilet is pressed by the foot, not by the hand, due to the discomfort and discomfort of touching the operation lever used by the unspecified majorit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water in the toilet is lowered, which causes contamination of the operation lever which is pres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by hand, and that other users who touch the operation lever are infected with germs and foreign substances are adhered to the hand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23197호에는 시트커버의 저면에 센서가 구비되고, 센서를 통하여 양변기의 사용을 감지한 후 양변기의 물내림이 동작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시트커버에 앉을 경우에만 양변기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23197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nso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seat cover and a water drop of a toilet is operated after sensing the use of a toilet through a senso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of the toilet can be detected only when the seat cover is seated.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23197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2319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변기에 센서가 구비되어 양변기를 사용한 사용자의 유, 무 여부 및 거리를 감지하고,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제어부가 모터를 통해 회전판체를 회전시키고, 회전판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자동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양변기의 사용 전, 후 작동레버를 손으로 누를 필요가 없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and distance of a user using a toilet, And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converting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disk into the linear motion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manually press the operation lever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toilet. .

또한, 본 발명은, 거리감지 센서 및 타이머가 구비되어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유, 무와 거리 및 양변기 사용시간에 따라 대, 소변을 구분하고, 이를 통해 물탱크에서 양변기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tance sensor and a timer are provided to discriminate between a user's urine, a radome, a distance and a user's urine using a toilet, And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of a toile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탱크 측면에 설치되되, 양변기의 작동레버에 근접되는 측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양변기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 부분 노출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모터에 치합되게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되, 판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돌출편이 돌출형성되는 회전판체; 회전판체에 연결되되, 바형태로 형성되고, 회전판체의 회전운동에 따라 양변기의 전, 후방향으로 직진운동하는 당김부재; 당김부재 및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상호 연결시키되,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당겨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및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센서, 제어부,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comprising: a housing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water tank of a toilet; A sensing sensor which is provided in at least one space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which is partially ex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A motor driven by a control unit; A rotary plate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motor, the rotary plate being formed into a plate-like body and having protruding piece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pulling member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body and formed in a bar shape and linear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rotary body in accordance with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plate body; A wire for interconnecting the pulling member and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and pulling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by pulling it in accordance with the straight movement of the pulling memb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and the moto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여기서, 당김부재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는 회전판체의 돌출편 및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다.At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pulling member, engagement holes for engaging the projecting pieces of the rotary plate body and the end portions of the wire are respectively formed.

그리고, 전원부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용 배터리로 이루어진다.The power supply unit is composed of a commercially available battery that is replaceably installed.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는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양변기의 전방에 사용자의 확인되었다가 사라질 경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가 양변기를 사용하였다고 판단한 후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의 물을 양변기 본체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sensing sensor comprises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flusher. When the user is identified in front of the toilet flusher, the sensing sensor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by 360 °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and press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pulling member to suppl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body of the toilet.

대안적으로는, 감지센서는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되, 감지센서와 사용자와의 거리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일 경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소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고,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 제어부는 대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한다.Alternatively, the sensing sensor may be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wherein the distance signal between the sensing sensor and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istance from the user using the toile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rine,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turntab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90 degrees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presses the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is longer than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oile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turntab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360 degrees, And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ire is 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body of the toilet .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에 타이머가 더 구비되되,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될 경우,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고,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로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소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로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는 대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한다.More preferably, a tim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using. When the user confirms the user by the detection sensor, the timer counts the use time of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a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clockwise by 90 °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and press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pulling member to supply a small amount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dy,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bow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lever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360 ° clockwise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body of the toilet from the water tank.

여기서, 제어부에 연결되되,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위급 상황을 외부에 자동으로 알리거나, 연락하도록 이루어지는 알림장치가 더 구비된다.Here,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he notifica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outsid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utomatically or contacts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양변기를 통해 소변 등의 용변을 본 후 자동으로 작동레버를 동작시켜 물내림이 이루어짐으써 가정 내의 양변기 뿐만 아니라, 회사, 병원, 관공서, 지하철, 휴게소 및 터미널 등에 비치된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의 사용 시 사용자가 양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만지는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만질 필요가 없어 작동레버를 통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lever automatically after seeing the urine or the like through the toilet, The use of the toilet bowl of the public toilet provided at the resting place and the terminal can prevent the bacterial infection through the operation lever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press or touch the operation lever which is touch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o lower the water of the toilet, .

그리고, 본 발명은, 양변기를 통해 용변을 본 후 자동 물내림으로 인해 용변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ilet is discharged due to the automatic watering after seeing the toilet through the toil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odor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toilet bowl of the public toilet and to maintain the clean condition at all times .

또한, 본 발명은, 대변과 소변을 구분 및 구별하여 물탱크에서 양변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양변기에서 소요되는 물의 양을 상황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변기에서 소비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from the water tank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distinguishing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 faeces and the urine, so that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in the toile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can be saved.

더불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양변기 작동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전체 구성을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형성하여 전체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장치 전반에 걸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교체 비용 및 AS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양변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and operating the toilet func- tion operating lever, the entire configuration can be formed simply and compactly, thereby reducing the total manufacturing cos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throughout the apparatus, reduce the replacement cost and the AS cost,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 of the toilet.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다른 실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ly used toile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disposed with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ilting type of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at provided with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물내림 장치(10)는 시트커버(102)와 덮개(104) 및 양변기 본체(103)을 포함하는 양변기(1)의 물탱크(105)의 외부면 측면에 구비되되, 물탱크(105)의 외부면에 양변기 본체(103)로 물을 공급하여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작동레버(7) 근처의 측면에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n automatic water dropp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105 of a toilet bowl 1 including a seat cover 102, a lid 104 and a toilet body 103, And is provided on the side near the operation lever 7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103 and discharging the used wa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0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 물내림 장치(10)가 양변기(1)의 물탱크(105)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105 of the toilet 1, but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바와 같이, 양변기(1)의 작동레버(7) 근처인, 물탱크(105)의 측면에 설치되는 자동 물내림 장치(10)는, 그 내부에 설치공간(도번 미도시)을 갖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양변기(1)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 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감지센서(12)와, 상기 감지센서(12)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3)와,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는 회전판체(15)와, 상기 회전판체(15)에 연결되어 양변기(1)의 전, 후 방향으로 직진운동하는 당김부재(16), 상기 당김부재(16) 및 작동레버(7)에 연결되어 당김부재(16)의 직진운동에 따라 양변기(1)의 작동레버(7)를 하향으로 당기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1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apparatus 1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105 near the operating lever 7 of the toilet 1 has a housing (not shown)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12) which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11) and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certain part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bowl (1), and a control unit A motor 14 driven by the control unit 13; a rotary plate 15 connected to the motor 14 to rotate; a rotary shaft 15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15, The pull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pulling member 16 and the operating lever 7 to move the operating lever 7 of the toilet 1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16 And a wire 17 pulled downward.

상기 하우징(11)은 양변기(1)의 물탱크(105)의 양 측면 중 작동레버(7)에 근접되는 어느 일측면에 설치되되, 그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다.The housing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water tank 105 of the toilet seat 1, which is close to the operation lever 7,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여기서, 상기 하우징(1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작동레버(7)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Here, the housing 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preferably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rating lever 7,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하우징(11)의 전방, 즉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우징(11)의 전방 상측에는 감지센서(12)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설치공(11a) 하부에는 작동레버(7)를 당기기 위해 와이어(17)가 삽입되어 이동되기 위한 이동공(11b)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installation hole 11a for installing the detection sensor 1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 tha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 where the user for using the toilet machine 1 is located, Below the mounting hole 11a of the housing 11 is formed a moving hole 11b through which a wire 17 is inserted to move the operating lever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의 전방 상측에 설치공(1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11a)의 하부에 이동공(11b)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설치공(11a) 및 이동공(11b)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hole 1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 and a moving hole 11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hole 11a. However, 11a and the moving hole 11b may be variously chang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되는 이동공(11b)에 와이어(17)가 삽입 및 이동되기 위하여 별도의 가이드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대략 "」" 형태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 단부가 일정부분 이동공(11b)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내부로 와이어(17)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Here, it is also possible that a separate guide memb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for inserting and moving the wire 17 into the moving hole 11b formed in the housing 11,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ire 17 is moved into the movable hole 11b by inserting one end of the tube into the movable hole 11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가 물탱크(105)의 양 측면 중 작동레버(7)에 근접되는 어느 일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양변기(1)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5 close to the operation lever 7,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감지센서(12)는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etection sensor 12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1 in order to use the toilet 1. [

이때, 상기 양변기(1)의 전방에 구비되는 감지센서(12)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1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oilet can b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유, 무를 감지하고,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확인된 후 사라질 경우, 감지센서(12)가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3)로 전송한다.The user senses whether or not the user wants to use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1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and controls the user to use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1 When the user for use disappears after being confirmed, the detection sensor 12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13.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확인되었다가 사라질 경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양변기(1)를 사용하였다고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 receives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12 and confirms that the user for using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seat 1 is confirm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12, ,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used the toilet machine 1.

여기서, 상기 제어부(13)는 마이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컴팩트한 형태로 구비되어 각종 센서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모터(14)를 구동시키기 용이하다면 기타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3 may be a microcomputer or the like. However, the control unit 13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is provided in a compact form and receives signals from various sensors and is easy to drive the motor 14 through the micro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센서(12)가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감지센서(12)가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12)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ensor 12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1 in order to use the toilet 1, 1, a distance sensor 12 for detecting the distance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에도, 상기 양변기(1)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변기(1)의 전방에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감지센서(12)가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함과 동시에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distance sensor 12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toilet 1 for sens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 is provid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유, 무를 감지 또는/및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각각의 신호를 제어부(13)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user can detect whether the user wants to use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1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or the user can use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1,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s to the control unit 13. The control unit 13 receives the signals from the user.

이렇게, 상기 감지센서(12)가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존재 유, 무를 감지하여 양변기(1)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되, 감지센서(12)가 양변기(1)의 전방에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일 경우, 대변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밖일 경우, 소변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detection sensor 12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o use the toilet 1 in front of the toilet 1 to detect whether the toilet 1 is in use or not, It is possible to judge the urine to be a urine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for the use of the toilet 1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in front of the user 1, Not limited.

상기 모터(14)는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된다.The motor (14) is driven by a control unit (13).

여기서, 상기 모터(14)는 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변환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motor 14 may be rotated only in a clockwise direction, or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rotated.

상기 회전판체(15)는 그 중심부가 모터(14)에 연결되어 회전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판체(15)의 중심부에는 모터(14)에 치합되어 연결되기 위한 홀(도번 미도시)이 형성되되,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아이들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The center of the rotary plate body 15 is connected to the motor 14 and rotates. For this purpose, a hole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motor 14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late body 15, and the idle rot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14.

여기서, 상기 회전판체(15)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측면 가장자리에 돌출편(15a)이 돌출형성된다.Here, the rotary plate body 15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a protruding piece 15a is protruded at one side edge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체(15)가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회전판체(15)가 타원판형태로 형성되거나, 마름모판형태로 형성되어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plate 15 is formed in a disk shape, but the rotary plate 15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or a rhombus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당김부재(16)는 상기 회전판체(15)에 연결되어 양변기(1)의 전, 후 방향으로 직진운동한다.The pulling member 16 is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15 and linear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of the toilet 1.

이를 위하여, 상기 당김부재(1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판체(15)의 돌출편(15a)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6a)이 형성되고, 그 타측 단부에는 와이어(17)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6b)이 각각 관통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coupling hole 16a for coupling to the projecting piece 15a of the rotary plate body 1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ulling member 16, and a wire 17 And engaging holes 16b are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s,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당김부재(16)는 바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당김부재(16)가 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당김부재(16)의 바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게 이루어진다. Here, the pulling member 16 is formed in a bar shape. Although the pulling member 16 is formed in a bar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member 16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ncluding a bar shape.

상기 와이어(17)는 상기 당김부재(16)와 양변기(1)의 작동레버(7)에 연결되어 당김부재(16)의 직진운동에 따라 작동레버(7)를 하향으로 당기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 17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7 of the toilet seat 1 and the pulling member 16 to pull down the operating lever 7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16.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17)는 일측이 작동레버(7)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당김부재(16)의 결합공(16b)이 연결된다.To this end, one end of the wire 17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7,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16b of the pulling member 16.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7)에는 와이어(17)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홀(도번 미도시)이 관통형성되고, 홀에 와이어(1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Here, the operating lever 7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 hole (not shown)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17, and a wire 17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 However,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기 전원부(19)는 감지센서(12), 제어부(13), 모터(14) 등 각종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부(19)는 각종 구성요소에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외부 전원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The power supply unit 19 supplies power to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sensor 12, the control unit 13, and the motor 14, and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For this purpose, the power supply unit 19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cable (not shown)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various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부(19)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센서(12), 제어부(13), 모터(14) 등 각종 구성요소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원부(19)가 일반 상용 배터리가 적용되어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19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sensor 12, the controller 13 and the motor 14,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attery is replaced with a general commercial battery.

즉, 상기 전원부(19)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A 또는 AAA 배터리가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generally used AA or AAA battery is replaceably installed, or may be a chargeable batte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1)의 자동 물내림 장치(10)에는 타이머(18)가 더 구비된다.Meanwhile, a timer 18 is further provided i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of the toilet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의 하우징(11) 내에 타이머(18)가 구비되어 양변기(1)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에 전송하며, 이를 통해 제어부(13)가 양변기(1)의 사용시간에 따라 대, 소변을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a timer 18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apparatus 10 to count the use time of the user of the toilet 1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sage time to the control unit 13, (13) judges the urine to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time of the toilet machine (1).

이렇게, 상기 감지센서(12)에 의해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확인될 경우, 상기 타이머(18)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일정 시간 이하로 사용자가 양변기(1)를 사용할 경우, 소변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으로 사용자가 양변기(1)를 사용할 경우, 대변으로 판단하는 등 사용자의 사용시간에 따라 대, 소변을 각각 판단하고, 이에 따라 물탱크(105)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절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user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by the sensing sensor 12, the timer 18 counts the use tim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oilet 1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urine is a urine or not, and if the user uses the toilet 1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So that the water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제어부(13)를 통해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건강 상의 문제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이를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자동으로 알리거나,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에는 외부와 유, 무선으로 통신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알림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Meanwhi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health problem occurs to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bowl 1 of the public toilet through the control unit 13, the control unit 13 automatically informs the guard room, the management room, The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notifying device (not shown) communicable with the outsid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물내림 장치(10)에 외부와 유, 무선으로 통신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제어부(13)에 연결되는 알림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3)와 연결된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사용 유, 무와 거리 및 사용시간을 통해 장시간 계속적으로 양변기(1)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3)는 알림장치를 통해 경비실 또는 관리실에 이러한 정보를 자동으로 알림 및 안내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경찰서, 소방서 등에 정보가 자동으로 안내되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 notif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watering-dow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ses the toilet, the distance and the usage tim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user is using the toilet 10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notified and guided to the guard room or the management room through the network and th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guided to the police station and the fire department so as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이를 위하여, 공용 화장실에 구비되는 양변기(1)의 자동 물내림 장치(10)의 알림장치에는 각각의 식별번호 또는 별도의 ID를 각각 부여하고, 이러한 식별번호 또는 ID를 통하여 공용 화장실의 위치, 공용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1)의 위치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each identification number or a separate ID is assigned to the notification device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of the toilet bowl (1) provided in the public toilet, and the location of the common toilet, It is prefer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toilet 10 installed in the toile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가 일반적인 양변기(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레버(7)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 유, 무에 따라 작동레버(7)를 하향을 향해 자동으로 당겨 레버를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양변기(1)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식 작동레버(7')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사용 유, 무에 따라 버튼식 작동레버(7')를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버튼식 작동레버(7') 및 자동 물내림 장치(10)의 연결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lever 7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a general toilet 1, so that the operation lever 7 As shown in FIG. 6, is connected to a button-type operation lever 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ilet 1,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lever, The operation lever 7 'and the conn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can be variously changed.

아울러,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7')를 상측에서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힌지축(H)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반경으로 회동이 가능한 회동바(미도시)가 구비되며, 이와 같이, 회동바가 일정 반경으로 회동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작동레버(7')를 상측에서 누름 조작하여 물 내림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rotation bar (not shown) capable of rotating the operation lever 7 'at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H so as to be depressed from the upper side In this way, as the pivoting bar rotates with a certain radius, the operation lever 7 'may be pushed from above to enable the water panning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FIG.

먼저, 회사, 병원, 관공서, 지하철, 휴게소 및 터미널 등에 비치된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1)에 설치된 자동 물내림 장치(10)는 감지센서(12)를 통하여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한다.First, an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nstalled in a toilet, such as a company, a hospital, a public office, a subway, a rest stop, and a terminal,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이때, 상기 감지센서(12)가 양변기(1)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양변기(1)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양변기(1)의 사용을 완료하여 나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로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양변기(1)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4)를 구동시켜 회전판체(1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for using the toilet machine 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toilet machine 1, the detection sensor 12 senses the user, and when the user completes the use of the toilet machine 1,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user uses the toilet 1 and drives the motor 14 to rotate the rotary plate 15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렇게 상기 회전판체(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회전판체(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판체(15)의 돌출편(15a)에 결합된 당김부재(16)가 이동하면서 와이어(17)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17)의 이동에 따라 작동레버(7)가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물탱크(105)의 물이 양변기(1)의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된다.When the rotation plate body 15 is rotated clockwis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e body 15 causes the pulling member 16 coupled to the projection piece 15a of the rotation plate body 15 to mov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5 is supplied to the toilet body 103 of the toilet seat 1 as the operating lever 7 is pulled downward as the wire 17 moves.

상기한 바와 같이, 공용 화장실에 비치된 양변기(1)에 사용자의 존재 유, 무를 통하여 자동으로 양변기(1)의 물을 내림으로써 양변기(1)의 물을 내리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만지는 작동레버(7)를 누르거나, 만질 필요가 없어 작동레버(7)를 통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변기(1)를 통해 용변을 본 후 자동 물내림으로 인해 용변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1)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of the toilet can be automatically turned down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o the toilet bowl 1 provided in the public toilet, so that the operation lever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 through the operation lever 7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press or touch the toilet 7 and the toi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toilet 1 after the automatic water is drained, The generation of odor that can be generated from the toilet machine 1 can be reduced and the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한편,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12)가 구비될 경우,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1)를 사용하는 남성 사용자의 경우, 대, 소변을 구분하여 물내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절수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stance sensor 12 for detecting the distance of the user is provid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12, a male user using the toilet bowl 1 of the public toilet can distinguish between urine and wate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즉, 상기 감지센서(12)를 통하여 남성 사용자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거나 이상일 경우, 예를 들면 감지센서(12)로부터 대략 40~50cm 내의 거리에 남성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양변기(1)를 통하여 대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감지센서(12)로부터 50cm 이상의 거리에 있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양변기(1)를 통해 소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내림의 양을 달리하여 조절한다.That is, when the distance of the male use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or example, through the sensing sensor 12, if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a male user at a distance of about 40 to 50 cm from the detection sensor 12, The controller 13 judges that the user is urinating through the toilet 1 and judges that the user is seeing the faeces through the toilet 1.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user is viewing the faeces through the toilet 1,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d the amount of water fall is adjusted by varying.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양변기(1)를 통하여 사용자가 대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모터(14)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판체(15)를 회전시키되, 1회전, 즉 360°회전시켜 물탱크(105)의 물을 양변기(1)의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하고, 양변기(1)를 통해 사용자가 소변을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모터(14)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판체(15)를 회전시키되, 90°회전시켜 소량의 물을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한 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게 구동시켜 회전판체(15)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물내림의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eeing the faeces through the toilet machine 1, the controller 13 rotates the rotary plate 15 by driving the motor 14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5 is supplied to the toilet body 103 of the toilet 1 and the motor 14 is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it is judged that the user is urinating through the toilet 1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bowl main body 103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body 15 by 90 ° and then rotated by 90 ° counterclockwise to return the rotating plate body 15 to the initial position, To adjust the amount of desc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를 통해 대, 소변을 구분 시 감지센서(12)로부터 대략 40~50cm 내의 거리에 있을 경우, 대변으로 판단하고, 감지센서(12)로부터 50cm 이상의 거리에 있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소변으로 판단하여 물내림의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감지센서(12)와 사용자의 거리는 양변기(1)의 위치, 화장실의 크기 등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is within a range of about 40 to 50 cm from the detection sensor 12 during discrimination of the urine by the sensor 12 for sensing the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sensor 12 and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of the toilet 1 and the size of the toile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에 타이머(18)가 구비될 경우, 먼저 감지센서(12)를 통해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타이머(18)가 카운트를 시작하고, 카운트한 시간이 일정 시간, 예를 들면 3분 이내일 경우, 소변으로 판단하여 소량의 물을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하고, 3분 이상일 경우, 대변으로 판단하여 대량의 물을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하는 등 타이머(18)를 통해 사용자의 대, 소변을 분류하여 양변기(1)로 공급되는 물을 조절함으로써 절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timer 18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the user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 and when the user senses the timer 18, If the counted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minutes, a small amount of water is determined to be urine and supplied to the toilet body 103. If the counted time is more than three minutes,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toilet bowl 103 and the user's urine is classified through the timer 18 to control the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bowl 1, thereby saving water.

상기한 바와 같이,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 또는 타이머(18)를 통하여 제어부(13)가 모터(14) 및 회전판체(1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물탱크(105)에서 양변기 본체(103)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탱크(105) 내에 설치되되, 작동레버(7)에 연결되는 물마개(미도시)의 개, 폐량을 조절함으로써 대변 시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소변 시 양변기 본체(103)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 rotates the motor 14 and the rotary plate 15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sensing sensor 12 or the timer 18 sensing the distan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7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5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105 to the toilet body 103.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water closur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main body 103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main body 103 of the toilet bowl upon urinat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자동 물내림 장치(10)에 알림장치가 구비될 경우, 양변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유, 무와 거리 및 사용시간 등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통해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경비실, 관리실, 경찰서 또는 소방서의 구급대원에게 자동으로 알리고, 이를 통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device,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through the detection values sensed through the presence, absence, distance and use time of the user using the toilet 1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inform the emergency room of the guard room, the management room, the police station or the fire station, and to respond promptly to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easy for anyone to know.

1 : 양변기, 7, 7' : 작동레버,
10, 10' : 자동 물내림 장치, 11 : 하우징,
11a : 장착홀, 11b : 이동홀,
12 : 감지 센서, 13 : 제어부,
14 : 모터, 15 : 회전판체,
15a : 돌출편, 16 : 당김부재,
16a, 16b : 결합공, 17 : 와이어,
18 : 타이머, 19 : 전원부,
102 : 시트 커버, 103 : 양변기 본체,
104 : 덮개, 105 : 물탱크.
1: Toilet bowl, 7, 7 ': Operation lever,
10, 10 ': automatic water dropping device, 11: housing,
11a: mounting hole, 11b: moving hole,
12: detection sensor, 13: control part,
14: motor, 15: turntable,
15a: projecting piece, 16: pulling member,
16a, 16b: coupling ball, 17: wire,
18: timer, 19: power supply unit,
102: seat cover, 103: toilet bowl main body,
104: cover, 105: water tank.

Claims (7)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양변기의 물탱크 측면에 설치되되, 양변기의 회동식 작동레버 또는 버튼식 작동레버와 근접되는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설치공과, 작동레버를 당기기 위한 와이어가 이동하는 이동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양변기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 부분 노출되는 구조로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상기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될 경우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원판형태, 또는 타원판형태, 또는 마름모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에 치합되게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며, 일측면에 돌출편이 돌출형성되는 회전판체;
상기 회전판체에 연결되되, 회전판체의 회전운동에 따라 양변기의 전,후방향으로 직진운동하며,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판체의 돌출편 및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당김부재;
일측이 작동레버의 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당김부재의 결합공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와 당김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양변기의 작동레버를 당겨 누르도록 이루어지는 와이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판단할 경우, 위급 상황을 외부에 알려줄 수 있도록 외부와 유,부선 통신으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알림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센서, 제어부, 모터에 공급하며,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용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장치에는,
각각의 식별번호 또는 별도의 ID를 각각 부여하여 공용 화장실의 위치, 공용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사용 유, 무와 거리 및 사용시간을 통해 장시간 계속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는 경비실 또는 관리실에 위급 상황 정보를 자동으로 알림 및 안내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경찰서, 소방서에 위급 상황 정보가 자동으로 안내되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equipped with a pivoting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or a pushing operation lever provided at one side close to the pushing operation lever and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on one side, A movable ball on which the wire for the wire moves;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utdoor unit and the at least one indoor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the user;
A timer provided in the housing for counting a use time of a user when the user is confirmed by the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A motor driven by the control unit;
A rotary plate body formed in a disk shape, a disk shape, or a rhombus shape, coupled rotatably to the motor, and hav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o the protruding piece of the rotary plate body and the end of the wire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ull- absence;
A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pulling member to interconnect the operation lever and the pulling member and to pull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straight movement of the pulling member;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u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A notification device communicably connected by communication;
A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 commercial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source to a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and a motor and is replaceable;
, ≪ / RTI &
In the notification device,
Each ID number or a separate ID is assigned to each of them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common toilet and the position of the toilet disposed in the common toile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ses the toilet water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use of the user, the distance and the use tim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emergency room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notified and guided to the guard room or the management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police station and the fire department so as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양변기의 물탱크 측면에 설치되되, 양변기의 작동레버와 근접되는 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설치공과, 힌지축을 기준으로 작동레버를 상측에서 눌러주기 위한 회동바가 일정 반경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징;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양변기의 전방을 향하여 일정 부분 노출되는 구조로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되, 상기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될 경우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원판형태, 또는 타원판형태, 또는 마름모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에 치합되게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며, 일측면에 돌출편이 돌출형성되는 회전판체;
상기 회전판체에 연결되되, 회전판체의 회전운동에 따라 양변기의 전,후방향으로 직진운동하며,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상기 회전판체의 돌출편 및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당김부재;
일측이 회동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당김부재에 연결되어 회전판체의 회전 시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힌지축을 기준으로 작동레버를 상측에서 눌러주도록 하는 와이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판단할 경우, 위급 상황을 외부에 알려줄 수 있도록 외부와 유,부선 통신으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알림장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센서, 제어부에 공급하며,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용 배터리 또는 충전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원부;
를 포함하되,
상기 알림장치에는,
각각의 식별번호 또는 별도의 ID를 각각 부여하여 공용 화장실의 위치, 공용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사용 유, 무와 거리 및 사용시간을 통해 장시간 계속적으로 양변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는 경비실 또는 관리실에 위급 상황 정보를 자동으로 알림 및 안내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경찰서, 소방서에 위급 상황 정보가 자동으로 안내되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provided on the side close to the operation lever of the toilet and hav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A housing having a pivotable bar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radius;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utdoor unit and the at least one indoor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the user;
A timer provided in the housing for counting a use time of a user when the user is confirmed by the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ing sensor;
A motor driven by the control unit;
A rotary plate body formed in a disk shape, a disk shape, or a rhombus shape, coupled rotatably to the motor, and hav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And an engaging hole for engaging with the projecting piece of the rotary plate body and the end of the rotary bar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plate body, A pulling member;
A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vot bar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vot member to push the operation lever upward from the hinge axis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when the pivot member is rotate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u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A notification device communicably connected by communication;
A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a commercial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source to a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and is replaceable;
, ≪ / RTI &
In the notification device,
Each ID number or a separate ID is assigned to each of them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common toilet and the position of the toilet disposed in the common toile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ses the toilet water continu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use of the user, the distance and the use tim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emergency room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notified and guided to the guard room or the management room, and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police station and the fire department so as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이동공에 와이어가 삽입 및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재는 "」" 형태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 단부가 일정부분 이동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내부로 와이어가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member for inserting and moving the wire into the moving hole formed in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mber is made of a pipe having a shape of "", and one end of the pipe is inserted and fixed in a certain part of the moving hole, and the wire is moved into the pi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가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 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양변기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확인되었다가 사라질 때,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가 양변기를 사용하였다고 판단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회동바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의 물을 양변기 본체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case where the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When the user is confirmed in front of the toilet and then disappears,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that the control unit has used the toilet,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by 360 °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Wherei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body of the toilet by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ire according to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member, or by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by pressing operation of the rotation ba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가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와 사용자와의 거리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일 경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회동바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소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한 후 회전판체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켜 물내림을 조절하고,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 제어부는 대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회동바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 user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bow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user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urine,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90 ° clockwise And the operation lever is pressed by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pivoting bar so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by pushing the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pulling member The rear rotary plate body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adjust the water drop,
W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is a certain distance or mo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t is a large side,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360 ° clockwise to 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Wherei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by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ire or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by pressing the rotation ba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될 경우, 타이머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시간을 카운트하되,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로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회동바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소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한 후 회전판체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켜 물내림을 조절하고,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내로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는 대변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회전판체를 시계방향으로 360°회전시켜 당김부재를 직진운동시키고, 상기 당김부재의 직진운동에 따라 와이어에 연결된 작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회동바의 누름조작에 의해 작동레버를 눌러 물탱크에서 일정량의 물이 양변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user confirms by the detection sensor, the timer counts the use time of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bow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judges the urine,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clockwise by 90 degrees, straightly moves the pulling member, The operation lever is pressed by pressing the lever or by pushing the pivoting bar so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and then the rotating plate body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o adjust the water drop,
When the user uses the toilet bowl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t is the opposite side, drives the motor to rotate the rotary plate body 360 °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ctilinearly move the pulling member, Wherei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body of the toilet body by pressing the lever or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by pressing operation of the rotation bar.
삭제delete
KR1020180145823A 2018-11-23 2018-11-23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KR101975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23A KR101975273B1 (en) 2018-11-23 2018-11-23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23A KR101975273B1 (en) 2018-11-23 2018-11-23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273B1 true KR101975273B1 (en) 2019-05-07

Family

ID=6665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23A KR101975273B1 (en) 2018-11-23 2018-11-23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7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en)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Semi-automatic toilet bowl system
KR102443935B1 (en) * 2021-09-29 2022-09-16 성두환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KR20220157673A (en) 2021-05-21 2022-11-29 김흥준 Non-contact toilet flush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126A (en) * 1991-05-10 1994-05-06 Omron Corp Toilet facility and its control method
KR960005257U (en) * 1994-07-25 1996-02-16 Toilet seat
KR100430047B1 (en) * 2003-04-25 2004-05-04 계림엔텍 주식회사 automatic water saving system assembly in a chamber pot
KR20080023197A (en) 2006-09-08 2008-03-12 란세스 인크. Peroxide cured thermoplastic vulcanizates comprising butyl rub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126A (en) * 1991-05-10 1994-05-06 Omron Corp Toilet facility and its control method
KR960005257U (en) * 1994-07-25 1996-02-16 Toilet seat
KR100430047B1 (en) * 2003-04-25 2004-05-04 계림엔텍 주식회사 automatic water saving system assembly in a chamber pot
KR20080023197A (en) 2006-09-08 2008-03-12 란세스 인크. Peroxide cured thermoplastic vulcanizates comprising butyl rub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en)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Semi-automatic toilet bowl system
KR20220157673A (en) 2021-05-21 2022-11-29 김흥준 Non-contact toilet flushing system
KR102443935B1 (en) * 2021-09-29 2022-09-16 성두환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73B1 (en)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JP7315586B2 (en) Programmable toilet flush activ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032256B2 (en) Tank toilet with autoflusher
US20140263812A1 (en) Electronic residential tissue dispenser
KR20210000298U (en)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of pedal step on foot
KR20150127426A (en) Machine-to Machine based public restroom management apparatus
US20110047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Toilet Seat
KR102111230B1 (en) Alarm device and method for flushing of toilet bowl
JP2013066581A (en) Toilet device
JP2006112163A (en) Toilet device
KR101656207B1 (en) toilet bowl seat cover with running water and water-saving devices
JP2007304932A (en) Water system of flush toilet
JP2020518344A (en) Automatic urine collection system
KR20180134187A (en) A urinal using the automatic door
CN109567660B (en) Toilet seat
JP3154346U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flush toilet
KR20220119736A (en) Programmable toilet flush initi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5286688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120091762A (en) Auto-flushing device for toilet
CN215630467U (en) Automatic change sanitary equipment and closestool of just clean cover
US11739513B2 (en) Programmable toilet flush initia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671860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losing Toilet Cover
CN113718911B (en) Non-contact intelligent closestool capable of distinguishing excrement and ur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0238674U (en) Inductive flushing device for toilet
KR20120006091U (en) electric pouring device for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