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35B1 -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 Google Patents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35B1
KR102443935B1 KR1020210128727A KR20210128727A KR102443935B1 KR 102443935 B1 KR102443935 B1 KR 102443935B1 KR 1020210128727 A KR1020210128727 A KR 1020210128727A KR 20210128727 A KR20210128727 A KR 20210128727A KR 102443935 B1 KR102443935 B1 KR 10244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oilet
operation rod
battery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두환
Original Assignee
성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두환 filed Critical 성두환
Priority to KR10202101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a sensor on a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comprises: a lever which is coupled to a toilet bowl; an operat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lever and moves up and down for operations of the lever; a detection sensor which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ilet bowl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human body part or an object close to the side surface of the toilet bowl; a drive unit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to drop the operating rod by a certain length to perform toilet flushing and then raises the operating rod to return the operating rod to its original state;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drive unit; and a battery which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ler,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drive uni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lways maintaining a toilet in a clean state.

Description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equipped with a side sensing sensor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본 발명은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변기 물통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 또는 물건을 감지하여 변기 물내림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wherein a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o detect a human body part or object that approaches the side of the toilet bowl to automatically flush the toilet bowl. It relates to a toilet automatic flushing device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on the side.

가정이나 건물에 있는 화장실에는 변기로써 양변기가 대체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양변기의 물탱크 내에는 적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저장해주는 급수관과 부레 및 오버플로우관 등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오버플로우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덮고 있는 배수구 덮개 및 이 배수구 덮개와 개폐줄 로 연결되어 있는 레버 등으로 이루어진다.Toilets in homes or building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many toilets as toilets, and in the water tank of these toilets, a water supply pipe that supplies and stores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 swim bladder, and an overflow pipe are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the overflow It consists of a drain cover that is installed on the pipe and covers the drain hole, and a lever connected to the drain cover by an opening/closing line.

도 1은 종래의 변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기(10)는 사용자가 레버(12)를 하방으로 당기면, 레버(12)에 의해 변기 물통(150)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줄이 당겨져 배수구 덮개가 열리면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출해주는 물내림이 수행되게 된다.1 shows a conventional toilet structure, as shown in FIG. 1 , in the conventional toilet 10, when the user pulls the lever 12 downward, the toilet bowl 150 is moved by the lever 12. The opening/closing line installed on the hood is pulled to open the drain cover, and water flushing is performed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rough the drain hole.

이러한 종래의 변기는 사용자가 직접 레버를 당기는 등의 동작을 통해 물내림이 수행되게 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toilet is inconvenient because flushing is perform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pulling a lever directly by a us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2429호(2020.10.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2429 (2020.10.0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automatic flushing device provided with a side sensor for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 물통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 또는 물건을 감지하여 변기 물내림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 오작동에 따른 물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flush the toilet by detecting a human body part or object that is close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so that the automatic flushing of the toilet equipped with a detection sensor on the side can prevent water wastage due to malfunction. to provide th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를 통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측면에 구비된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having a side sensor that can prevent bacterial infection through a lev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는, 변기 물통에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변기 물통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 또는 물건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일정길이 만큼 하강시켜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작동로드를 상승시켜 상기 작동로드를 원위치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 상기 감지센서,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coupled to a toilet bowl; an operation ro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part of the body or an object adjacent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 driving unit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to lower the operation ro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lush the toilet, and then raises the operation rod to return the operation rod to its original posi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작동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작동로드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drive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It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operation rod may include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motor in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상기 레버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측 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는 걸림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로드의 원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지며, 상기 작동로드의 하강시에는 상기 걸림편에 의해 상기 레버가 하방으로 당겨져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물통내의 부력에 의해 원위치 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작동로드는 상승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질 수 있다.The lever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operation rod further includes a locking piec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the operation In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rod, the locking piece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and when the operation rod is lowered, the lever is pulled downward by the locking piece to flush the toilet, and the lever is placed in the water container. Befor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buoyancy force, the operation rod may be raised so that the engaging piece may have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을 감지하기 위한 잔여량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여량이 일정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스피커 또는 경고램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a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peaker or warning lamp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상기 감지센서, 상기 구동유닛,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배터리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the driving unit, the controller, and the battery may have a structure embedded in a housing, and the housing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to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물통의 측면 측으로 감지방향을 가지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감지거리를 짧게 설정함에 의해, 오작동에 따른 물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소변 등의 용변을 본 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함에 의해 자동으로 물내림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정 내의 양변기 뿐만 아니라, 회사, 병원, 관공서, 지하철,휴게소 및 터미널 등에 비치된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의 사용 시 사용자가 양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만지는 레버를 누르거나, 만질 필요가 없어 레버를 통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양변기를 통해 용변을 본 후 자동 물내림으로 인해 용변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용화장실의 양변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waste due to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by installing a detection sensor having a detection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setting the detection distance to be short. In addition, flushing is performed automatically by allowing the detection sensor to detect urine, etc. after using the toilet.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press or touch the lever tha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ouch to flush the toilet,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infection through the lever.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is discharged due to automatic flushing after going to the toilet, the generation of odors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toilet in a public toilet is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도 1은 종래의 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외형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ilet,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in which an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and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2,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in which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any intention other than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레버가 원위치 상태를 가지는 경우이고, 도 4는 자동 물내림을 위해 레버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in which an automatic flushing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side sectional views of FIG. 2 , and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2 . 3 is a case in which the lever has an original position, 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pulled for automatic flushing.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는, 레버(110), 작동로드(120), 감지센서(130), 구동유닛(140), 컨트롤러(150), 배터리(160)를 구비한다. 2 to 5 ,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110 , an operating rod 120 , a detection sensor 130 , a driving unit 140 , and a controller. (150) and a battery (160).

상기 작동로드(120), 상기 감지센서(130), 상기 구동유닛(140), 상기 컨트롤러(150), 상기 배터리(16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동로드(1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홀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110)에 연결되며, 상하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The operation rod 120 , the detection sensor 130 , the driving unit 140 , the controller 150 , and the battery 160 have a structure embedded in the housing 100 , and the operation rod 120 . protrudes upward through a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connected to the lever 110 , and is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변기물통(200)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센서(130)의 센싱을 위한 센싱홀(미도시), 배터리가 건전지일 경우 건전지 교체를 위한 교체커버(미도시), 배터리가 2차전지 일경우에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레버(110)와는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레버를 본 발명의 변기자동 물내림 장치로 교체시에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레버(110)가 동시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a sensing hole (not shown) for sensing the detection sensor 130, and a replacement cover (not shown) for replacing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a battery , when the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etc. may be provided. The housing 100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with the lever 11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conventional lever as shown in FIG. 1 is replaced with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100 and the lever 110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상기 레버(110)는 변기물통(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당김에 의해 물내림을 수행하는 측면형 레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측면형 레버를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형 회동식 레버의 경우에도 상기 작동로드(120)의 구조를 약간 변형시킴에 의해 본 발명의 자동 물내림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전면형 회동식 레버의 경우는 도 6을 통해 설명한다.The lever 110 may include a side-type lever tha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and performs flushing by pulling it downward. Although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ide-type lever, it is clear that the automatic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slightly modifying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rod 120 even in the case of a front-type pivoting lever. The case of the front-type pivoting lev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상기 레버(110)는 속이 빈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작동로드(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걸림편(125)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레버(110)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인 원위치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125)은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 떠있는 플로팅 상태로 구비되게 되며, 상기 걸림편(125)은 상기 작동로드(120)의 하강시에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레버(110)를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lever 110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 hollow inner space, and the locking piece 125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1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In the original position in which the lever 110 is not pulled, the locking piece 125 is provided in a floating state float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and the locking piece 125 is the operation rod ( When the 120) is lowered, it plays a role of pulling the lever 110 down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

상기 레버(110)가 원위치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 떠있는 플로팅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110)의 수동작동시에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레버의 수동작동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Since the lever 110 is provided in a float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piece 125 is float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locking piece 125 is closed when the lever 110 is manually operat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nual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 작동로드(120)는 상기 레버(110)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110)의 당겨짐 동작 또는 원위치 복귀 동작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The operation rod 1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110 and is provid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pulling operation or the original position return operation of the lever 110, and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상기 작동로드(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편(125)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125)은 상측 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작동로드(120)와 함께 "T" 자형 단면 구조로 구비되게 된다. The locking piece 125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120 , and the locking piece 125 extends from the upper 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 It is provided with a “T”-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together with the operation rod 120 .

상기 작동로드(120)의 원위치 상태 또는 상기 레버(110)의 원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지며, 상기 작동로드(120)의 하강시에는 상기 걸림편(125)에 의해 상기 레버(110)가 하방으로 당겨져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고, 상기 레버(110)가 상기 물통(200) 내의 부력에 의해 원위치 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작동로드(120)는 상승되어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지게 된다.In the original position state of the operation rod 120 or the original position state of the lever 110, the engaging piece 125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and when the operation rod 120 is lowered, The lever 110 is pulled downward by the locking piece 125 to flush the toilet, and before the lever 1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buoyancy in the bucket 200, the operation rod 120 ) is raised so that the engaging piece 125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

상기 감지센서(130)는 변기 물통(2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변기 물통(200)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손가락 또는 손바닥) 또는 물건이나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감지센서(13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오작동 방지를 위해 센서 전방으로 10cm 이내로 접근시에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13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body part (finger or palm) or objects or obstacles that are close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 The detection sensor 13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etc., and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when approaching within 10 cm in front of the sensor to prevent malfunction.

상기 감지센서(130)는 상기 변기물통(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는 사용자가 단순히 변기물통(200) 앞을 지나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동작하는 등 오작동이 많이 발생되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변기물통(200)의 측면에 구비되고, 감지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게 된다. The detection sensor 13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oilet bowl 200, but in this case, a lot of malfunctions occur, such as operating even when the user simply passes in front of the toilet bowl 200 Therefore,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so that flushing is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and the sensing distance is set relatively short.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감지센서(130)의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작동로드(120)를 일정길이 만큼 하강시킨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120)를 상승시켜 상기 작동로드(120)를 원위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driving unit 14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130 to lower the operation rod 12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raises the operation rod 120 to the operation rod 120 .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구동유닛(140)은 구동모터(144)와 변환유닛(142)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144 and a conversion unit 142 .

상기 구동모터(144)는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작동로드(120)를 일정길이 만큼 하강시킨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120)를 상승시켜 상기 작동로드(120)를 원위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4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and after the operation rod 12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the operation rod 120 is raised to operate the operation. This is to return the rod 120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변환유닛(142)은 상기 구동모터(144)의 회전축과 상기 작동로드(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44)의 회전운동을 상기 작동로드(12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변환유닛(142)은 기어를 이용한 기어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캠(CAM)기구나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변환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onversion unit 142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144 and the operation rod 120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motor 144 in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120 . . The conversion unit 14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earbox using a gear, may have a configuration using a CAM mechanism or a crank mechanism, and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nversion unit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유닛(14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콤을 구비하거나 기타 CPU를 구비하여 다양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150 i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4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by including a microcomputer or other CPU.

상기 배터리(160)는 상기 컨트롤러(150), 상기 감지센서(130), 상기 구동유닛(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교체가 가능한 건전지 등의 1차전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수용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attery 160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150, the detection sensor 130, and the driving unit 140, and is provided to accommodate a primary battery such as a replaceable battery, or is charged.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accommodating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discharging.

상기 배터리(160)에는 상기 배터리(160)의 잔여량을 감지하기 위한 잔여량 감지유닛(미도시)과, 상기 잔여량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여량이 일정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스피커 또는 경고램프(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경고램프(16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경고램프(162)는 변기의 측면이 아닌 변기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고 램프(162)의 점등시에 상기 경고램프(162)의 외면 또는 주변에 위치한 로고나 상표 등이 잘 보여 시각적으로 부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attery 160 has a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60, and a warning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A speaker or warning lamp 162 may be further provided. In particular, when the warning lamp 162 is provided, the warning lamp 162 is form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toilet rather than the side of the toilet, and when the warning lamp 162 is turned on, the warning lamp 162 is turned on. It is possible to make a logo or trademark located on the outside or around it stand out visual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변기 자동물내림 장치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간단히 살펴보면, 우선, 도 3의 상기 레버(110) 및 상기 작동로드(120)의 원위치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30)를 통해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컨트롤러(150)에서는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유닛(140)을 구동하게 된다.3 and 4,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130 , the controller 150 drives the driving unit 14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상기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4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변환유닛(142)에 의해 회전운동이 상하 직선운동으로 바뀌어 상기 작동로드(120)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로드(120)의 하강에 의해 걸림편(125)도 하강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125)의 하강에 의해 상기 레버(110)가 하방으로 당겨져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게 된다. When the driving motor 144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 the rotational motion is changed to a vertical linear motion by the conversion unit 142 to lower the operation rod 120 . As the operation rod 120 descends, the locking piece 125 also descends, and as shown in FIG. 4 , the lever 110 is pulled downward by the lowering of the locking piece 125 to flush the toilet. this will be performed

이후 상기 구동모터(144)는 상기 작동로드(120)을 상승시켜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걸림편(125)이 상기 레버(110)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레버(110)가 상기 물통(200) 내의 부력에 의해 원위치 상태로 복귀하기 전 또는 복귀와 동시에 수행되게 된다. Then, the driving motor 144 raises the operation rod 120 so that the engaging piece 125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110 . This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return of the lever 110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buoyancy in the bucket 200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외형사시도이다.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in which an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는, 레버(110)가 변기물통(200)의 전면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물내림을 수행하는 전면형 회동식 레버이고, 하우징(100)이 변기물통(100)의 전면에 장착된다는 점과, 하우징(100)에 내장된 감지센서(130)가 하우징(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변기물통(200)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손가락 또는 손바닥) 또는 물건이나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As shown in FIG. 6 , in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ver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ilet bowl 200 to perform flushing by rotation. It is a lever, and 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toilet bowl 100 , and the detection sensor 130 built into 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0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200 .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except that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detecting a human body part (finger or palm) or an object or obstacle that is close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물통의 측면 측으로 감지방향을 가지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감지거리를 짧게 설정함에 의해, 소변 등의 용변을 본 후 감지센서에 감지되도록 함에 의해 자동으로 물내림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정 내의 양변기 뿐만 아니라, 회사, 병원, 관공서, 지하철,휴게소 및 터미널 등에 비치된 공용 화장실의 양변기의 사용 시 사용자가 양변기의 물을 내리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만지는 레버를 누르거나, 만질 필요가 없어 레버를 통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detection sensor having a detection direction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nd setting the detection distance to be short, the water is automatically flushed by the detection sensor after toileting, such as urine. As a result of this, when using the toilet in a public toilet provided not only in the home, but also in companies, hospitals, government offices, subways, rest areas, and terminals, the user presses or touches the lever touch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o flush the toilet. There is no need, so it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bacterial infection through the lever.

또한, 양변기를 통해 용변을 본 후 자동 물내림으로 인해 용변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공용화장실의 양변기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ilet is discharged due to automatic flushing after going to the toilet, the generation of odors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toilet in a public toilet is reduc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레버 120 : 작동로드
130 : 감지센서 140 : 구동유닛
150 : 컨트롤러 160 : 배터리
110: lever 120: actuating rod
130: detection sensor 140: drive unit
150: controller 160: battery

Claims (4)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에 있어서:
변기 물통에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 로드와;
상기 변기 물통의 측면으로 근접하는 인체부위 또는 물건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일정길이 만큼 하강시켜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작동로드를 상승시켜 상기 작동로드를 원위치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 상기 감지센서,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작동로드의 상측단부에서 수평방향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는 걸림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로드의 원위치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지고,
상기 작동로드의 하강시에는 상기 걸림편에 의해 상기 레버가 하방으로 당겨져 변기 물내림이 수행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물통내의 부력에 의해 원위치 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작동로드는 상승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레버의 내부공간에서 플로팅 상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In the automatic toilet flushing device:
a lever coupled to the toilet bowl;
an operation ro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ever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part of the body or an object adjacent to the side of the toilet bowl;
a driving unit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to lower the operation ro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lush the toilet, and then raises the operation rod to return the operation rod to its original positio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driving unit;
The lever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inner spa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iece tha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In the original position state of the actuating rod, the engaging piece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When the operation rod is lowered, the lever is pulled downward by the engaging piece to flush the toilet,
The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before the lev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buoyancy in the bucket, the operation rod is raised so that the locking piece has a floating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le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작동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작동로드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drive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and a conversion unit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operating rod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otor into a vertical motion of the operating r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을 감지하기 위한 잔여량 감지유닛과;
상기 잔여량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잔여량이 일정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스피커 또는 경고램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nd a warning speaker or a warning lamp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상기 구동유닛,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배터리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버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자동 물내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the driving unit, the controller, and the battery have a structure built in a housing,
and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lever and has an integrated structure.
KR1020210128727A 2021-09-29 2021-09-29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KR102443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727A KR102443935B1 (en) 2021-09-29 2021-09-29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727A KR102443935B1 (en) 2021-09-29 2021-09-29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935B1 true KR102443935B1 (en) 2022-09-16

Family

ID=8344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727A KR102443935B1 (en) 2021-09-29 2021-09-29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93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39Y1 (en) * 2004-05-28 2004-08-26 김선경 A bidet
US20080028507A1 (en) * 2006-08-01 2008-02-07 Debra Lynn Ozenick Sanitary, user activated, water saving, motion sensing flushing method and device
KR101975273B1 (en) * 2018-11-23 2019-05-07 김흥준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KR20200112429A (en) 2019-03-22 2020-10-05 장춘석 Toilet water descent device
KR20210056873A (en)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Water falling apparatus for sedentary toil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39Y1 (en) * 2004-05-28 2004-08-26 김선경 A bidet
US20080028507A1 (en) * 2006-08-01 2008-02-07 Debra Lynn Ozenick Sanitary, user activated, water saving, motion sensing flushing method and device
KR101975273B1 (en) * 2018-11-23 2019-05-07 김흥준 An automatic water drain device of chamber pot
KR20200112429A (en) 2019-03-22 2020-10-05 장춘석 Toilet water descent device
KR20210056873A (en)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Water falling apparatus for sedentary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737B2 (en) Automatic flusher for tank-type toilet
US20150267387A1 (en) Flush operating apparatus and toilet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20317709A1 (en) Retrofit automatic toilet flush apparatus
US20160069057A1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KR102443935B1 (en)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side sensing
KR20200112429A (en) Toilet water descent device
CN108035416A (en) Porta Potti
US10729290B2 (en) Toilet and operation thereof
EP2224067A1 (en) Device for eliminating odours for flush type sanitary fittings
US20070056083A1 (en) Ventilation system
GB2418931A (en) Toilet odour ventilation system
CN211080455U (en) Intelligent full-automatic flushing toilet
JP2008267002A (en) Turn-trap type water closet
CN207934138U (en) Porta Potti
KR20240034985A (en) Automatic toilet flushing apparatus
KR20120055995A (en) Urinal for man
KR20130056994A (en) Auto flushing devices of chamber pot
KR101221835B1 (en) Toilet bowl capable of water saving
JP2004156344A (en) Toilet bowl flushing device
US20230340769A1 (en) Odor eli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toilet
CN217811410U (en) Electric induction flushing toilet bowl driving device
CN203834616U (en) Dual-functional concealed induction automatic toilet-flushing water tank
CN216304829U (en) Non-contact double-push-rod water drainage device
RU45413U1 (en) ELECTRONIC, REMOTE CONTROL UNIT FOR DRAIN TANK
JP2001241083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