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03B1 - 수중 글라이더 - Google Patents

수중 글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03B1
KR101975203B1 KR1020170111940A KR20170111940A KR101975203B1 KR 101975203 B1 KR101975203 B1 KR 101975203B1 KR 1020170111940 A KR1020170111940 A KR 1020170111940A KR 20170111940 A KR20170111940 A KR 20170111940A KR 101975203 B1 KR101975203 B1 KR 10197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oyancy
underwater glider
hous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790A (ko
Inventor
김일권
정태용
구형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언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언박스 filed Critical (주)아이언박스
Priority to KR102017011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글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 날개부, 부력조절부, 기어부, 제어부를 포함하며, 수중 글라이더의 외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무게추를 물의 염도가 높을 경우에는 장착하고, 물의 염도가 낮을 경우에는 탈착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만드는 시간이 적게 들고, 초기 중성부력상태 제어 시에 부력조절부 내부에 물의 유입이 필요하지 않아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용하기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이다.
또한, 배출유도홈을 물의 출입구 주변에 구비함으로써, 상승 시 수중 글라이더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방으로 배출시켜 추진력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속도가 높아지고 수중탐사시간이 단축되어 운용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또한,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우며,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학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중 글라이더{Underwater glider}
본 발명은 수중 글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무게추를 구비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중성부력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수중 글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해양의 상태를 시공간적으로 관측하기 위하여, 인공위성(Satellite), 연구선(Research Vessel), 해양 관측부이(Observation Buoy), 해양 관측탑(Observation Tower), 해저면 계류시스템(Bottom Mooring System), 무선표류부이(Wireless Drift Buoy), 무인수중탐사체(Unmanned Underwater Vehicl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탐사 센서가 탑재되는 시스템을 플랫폼이라 하는데, 관측 방식에 따라 크게 오일러 방식(Eulerian Method)과 라그랑지안 방식(Lagrangian Method)의 관측으로 분류된다.
여기에서, 오일러 방식은 하나의 정점을 지나는 해수의 물리적 특징을 시계열적으로 관측하는 방식으로, 해양관측 부이, 해양관측탑, 해저면 계류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라그랑지안 방식은 플랫폼 자체가 해양공간을 이동하며 해수의 상태를 관측하는 방식으로 연구선, 무선 표류 부이, 무인수중 탐사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 해양과학에서는 장기적이고 전 해수층(최대 11000m)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수중 글라이더가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수중 글라이더는 부력을 조정하여 해수의 수직공간을 상하로 이동하며 관측을 수행하던 위성 뜰개(Argo float)를 개선한 것으로, 수중 항해를 하기 위해서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와 부력이 동일한 상태로 추진력 없이 일정 심도를 유지할 수 있는 중성부력상태로 작동초기에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중 글라이더는 각 해역에 따라 물의 염도가 다르기 때문에, 중성부력상태가 물의 염도에 따라 매번 제어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수중 글라이더는 초기상태에서 부력조절부에 일정량의 물을 유입하고 빼내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하기 때문에,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중성부력상태로 제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수중 글라이더의 부력조절부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면, 수면에서 수중으로 하강 시에 물을 유입해도 무게중심의 변화가 크지 않아 수중으로 하강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중 글라이더는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 시에 배출되는 물의 마찰로 인하여 전진하는데 방해를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중 글라이더는 크기가 학습용으로 사용하기에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우며,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학습용으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6916호 (2017. 08. 03 등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58112호 (2016. 09. 09 등록)
본 발명은 수중 글라이더의 외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무게추를 물의 염도가 높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장착하고, 물의 염도가 낮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탈착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쉽게 제어하고, 초기 중성부력상태 제어 시에 부력조절부 내부에 물의 유입이 필요하지 않아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중 글라이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도홈을 물의 출입구 주변에 구비함으로써, 상승 시 수중 글라이더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방으로 배출시켜 추진력을 받아 이동속도가 높아지고 수중탐사시간이 단축되어 운용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인 수중 글라이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우며,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으로써, 학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수중 글라이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부에 물의 출입구가 복수개 형성되고, 염도에 따른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장착 및 탈착되는 복수개의 무게추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부력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부력조절부에 상기 물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기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전후가 개방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원통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가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전방마개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마개와,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마개는, 상기 출입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물이 후방을 향해 배출되도록 전방부는 폐쇄되고, 후방부는 개방되는 배출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부력조절부와 연결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 글라이더의 외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무게추를 물의 염도가 높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장착하고, 물의 염도가 낮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탈착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만드는 시간이 적게 들고, 초기 중성부력상태 제어 시에 부력조절부 내부에 물의 유입이 필요하지 않아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용하기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도홈을 물의 출입구 주변에 구비함으로써, 상승 시 수중 글라이더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방으로 배출시켜 추진력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속도가 높아지고 수중탐사시간이 단축되어 운용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우며,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학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물의 출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에 무게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물의 출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에 무게추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중 글라이더는 몸체부(110), 날개부(120), 부력조절부(130), 기어부(140),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원통형태로 전방에 물의 출입구(112b)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11), 전방마개(112), 후방마개(113), 자석(114), 무게추(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전후가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11)은 수중에서 압력을 견뎌야하기 때문에,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일정 길이(예를 들면, 350-400 mm)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마개(11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1)의 전면에 결합되며, 물의 출입구(112b)가 외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가 각각의 물의 출입구(112b)에 연결되고 물이 전방마개(112)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부력조절부(130)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출입구(112b)는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물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전방마개(112)의 전단부와 후단부 외측에 대칭되게 양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마개(112)는 물의 출입구(112b)에서 물이 후방을 향해 배출되도록 전방부는 폐쇄되고, 후방부는 개방되며, 개방된 후방부에 출입구(112b)가 배치되는 배출유도홈(11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도홈(112a)은 물의 출입구(112b) 주변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전방마개(112)의 외면 형태(예를 들면, 반구형 등)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중 글라이더의 하강 시, 내부의 물이 출입구(112b)를 통해 배출되면서 배출유도홈(112a)을 통해 수중 글라이더의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후방마개(113)는 하우징(111)의 후면에 결합되어 하우징(111)의 후면을 폐쇄하고, 몸체부(110)의 내부가 밀폐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석(114)은 몸체부(110)의 전후방 외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석(114)은 전후방 외면 상하부분에 각각 무게추(115)의 끝단면에 대응하는 측면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무게추(115)의 양끝단이 각각 상하에 고정된 자석(114)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자석(114)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네오디움, 사마륨코발트, 페라이트, 알리코, 고무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자석의 세기를 고려하여 네오디움 재질의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오디움 재질의 자석은 테프론, 에폭시 등의 특수 재질로 코팅하여 사용함으로써, 오랜 시간 수분에 노출되어도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무게추(115)는 자석(114)에 각각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철, 구리 등의 금속 재질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몸체부(110) 외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예를 들면, 원형 등)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항해 시에 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게추(115)는 물에서 항해 시에 부식이 되지 않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에폭시(Epoxy) 등으로 표면을 코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석(114)은 하우징(111)의 상부 반원 양 끝에 각각 구비되고 무게추(115)의 양끝단이 하우징의 반원 양 끝에 구비된 자석(114)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하부에도 유사하게 자석(11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반원 양 끝에 구비된 자석(114)에 하우징(111)의 좌우 외면을 따라 무게추(115)가 각각 장착될 수 있고, 무게추(115)가 자석(114)에 장착이 원활하도록 무게추(115)가 장착되는 하우징(111)의 외면을 따라 장착홈(111a)이 적어도 하나(즉, 무게추(115)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게추(115)는 수중 글라이더가 수중 항해를 하기 위해서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와 부력이 동일한 상태로 추진력 없이 일정 심도를 유지할 수 있는 중성부력상태로 초기에 제어하기 위해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는 물의 염도가 높아 수중 글라이더가 수면 위로 뜰 경우에, 몸체부(11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무게추(115)를 염도에 따라 개수를 조절하여 추가하고, 물의 염도가 낮아 수중 글라이더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경우에, 몸체부(11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있는 무게추(115)를 염도에 따라 개수를 조절하여 제거하는 무게추(115)의 장착 및 탈착을 통해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초기상태에서 부력조절부(130)에 일정량의 물을 유입하고 빼내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하는 기존의 수중 글라이더와는 달리, 초기상태에서 수중 글라이더의 부력조절부(130)에 물이 없으므로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미세한 무게 조정이 가능하여 중성부력상태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게추(115)는 몸체부(110)의 외면에 장착 및 탈착이 되기 때문에, 수중 글라이더가 물 위에 있는 상태에서 무게추(115)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중성부력상태로 조정하기 용이할 수 있다.
날개부(120)는 몸체부(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몸체부(11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날개부(120)는 좌우측면에 몸체부(110)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수평날개(121)와, 수평날개(121)보다 상대적으로 몸체부(110)의 후방에 위치되고, 몸체부(110)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날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조절부(13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의 출입구(112b)를 통해 선택적으로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조절하여 수중 글라이더의 부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실린더(131), 피스톤(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31)는 전면은 전방마개(112)의 유로에 연결되고, 후면은 피스톤(13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실린더(131)는 수면에서 저면을 향해 움직일 경우에는 내부 전체 공간에 물이 유입되고, 수면을 향해 움직일 경우에는 내부 전체 공간에 있는 물이 배출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가 사선으로 상하 움직이면서 전진할 수 있다.
피스톤(132)은 전방은 실린더(131)의 후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하고, 후방은 기어부(140)와 연결되어 전후로 직선 운동됨으로써, 실린더(131)의 내부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기어부(140)는 부력조절부(130)와 연결되어 부력조절부(130)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부력조절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어부(140)는 피스톤(132)을 직선 운동시키기 위하여 래크(Rack)(141)와 피니언(Pinion)(142)을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142)은 래크(141)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고, 래크(141)는 한쪽 끝단이 피스톤(132)의 후면과 연결되어 피스톤(132)을 전후로 직선 운동이 되도록 하여 실린더(131)의 내부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어부(140)와 연결되고,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부력조절부(130)에 물을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50)는 타이머 등을 포함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10초, 20초 등)에 따라 기어부(14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중 글라이더가 하강할 경우에는,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래크(141)를 후진시킴으로써, 피스톤(132)을 후진시키고 실린더(131)에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수중 글라이더가 상승할 경우에는,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래크(141)를 전진시킴으로써, 피스톤(132)을 전진시키고 실린더(131)에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글라이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에서 제어부(150)는 수중 글라이더가 수면에서 수중으로 하강할 경우에는,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래크(141)를 후진시킴으로써, 피스톤(132)을 후진시키고 실린더(131)에 물이 유입되면서 무게가 전방으로 쏠리고, 수중 글라이더가 저면을 향해 전방 사선으로 전진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B'에서, 제어부(150)는 타이머를 통해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시간이 되면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래크(141)를 전진시킴으로써, 피스톤(132)을 전진시키고 실린더(131)에 있는 물이 일정량 배출되면서 수중 글라이더가 평형을 이룰 수 있다.
'C'에서, 제어부(150)는 수중 글라이더가 저면에서 평형상태일 경우,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래크(141)를 전진시킴으로써, 피스톤(132)을 전진시키고 실린더(131)에 있는 물이 배출되면 배출유도홈(112a)을 통해 물이 후방으로 배출되면서 추진력을 얻어 수중 글라이더가 수면을 향해 전방 사선으로 전진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D'에서, 제어부(150)는 수중 글라이더가 수면으로 올라왔을 경우, 제어부(150)에서 기어부(140)를 제어하여 내부의 물을 모두 배출시켜 수중 글라이더가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을 향해 사선으로 전진하면서 하강하고, 저면에서 평형을 이루며, 수면을 향해 사선으로 전진하면서 상승하고, 수면에서 평형을 이루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중 글라이더가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 글라이더의 외면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무게추를 물의 염도가 높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장착하고, 물의 염도가 낮을 경우에는 염도에 따라 무게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탈착함으로써, 수중 글라이더의 무게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각 물의 염도에 따른 초기 중성부력상태를 만드는 시간이 적게 들고, 초기 중성부력상태 제어 시에 부력조절부 내부에 물의 유입이 필요하지 않아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용하기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도홈을 물의 출입구 주변에 구비함으로써, 상승 시 수중 글라이더에서 배출되는 물을 후방으로 배출시켜 추진력을 받아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속도가 높아지고 수중탐사시간이 단축되어 운용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우며,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글라이더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학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몸체부 111: 하우징
111a: 장착홈 112: 전방마개
112a: 배출유도홈 112b: 출입구
113: 후방마개 114: 자석
115: 무게추 120: 날개부
121: 수평날개 122: 수직날개
130: 부력조절부 131: 실린더
132: 피스톤 140: 기어부
141: 래크 142: 피니언
150: 제어부

Claims (4)

  1. 전방부에 물의 출입구가 복수개 형성되고, 염도에 따른 중성부력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장착 및 탈착되는 복수개의 무게추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부력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부력조절부에 상기 물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기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전후가 개방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원통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가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전방마개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마개와,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 반원 양 끝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마개는, 상기 출입구에서 배출되는 상기 물이 후방을 향해 배출되도록 전방부는 폐쇄되고, 후방부는 개방되는 배출유도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홈은, 상기 출입구 주변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전방마개의 외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몸체부 외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수중 글라이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부력조절부와 연결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의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을 포함하는 수중 글라이더.
KR1020170111940A 2017-09-01 2017-09-01 수중 글라이더 KR10197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40A KR101975203B1 (ko) 2017-09-01 2017-09-01 수중 글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40A KR101975203B1 (ko) 2017-09-01 2017-09-01 수중 글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790A KR20190025790A (ko) 2019-03-12
KR101975203B1 true KR101975203B1 (ko) 2019-05-08

Family

ID=6580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40A KR101975203B1 (ko) 2017-09-01 2017-09-01 수중 글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01B1 (ko) * 2019-04-16 2021-01-11 백남용 공중과 수중에서의 형태적 변환을 갖는 드론
KR102377284B1 (ko) * 2021-08-23 2022-03-23 (주)더모스트 사용이 편리한 해상지자기 탐사기
CN113844628B (zh) * 2021-08-23 2024-02-2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适用于低密度拖曳体的重心调节方法及装置
CN114578449B (zh) * 2022-03-04 2024-04-26 重庆交通大学 地下暗河水文地质情况探测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568B1 (ko) * 2013-06-17 2014-12-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추진장치
JP2015534924A (ja) * 2012-11-02 2015-12-07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Raytheon Company 無人水中輸送手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153A (ko) * 2011-11-07 2014-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과 그의 하강 및 승강 방법
KR101658112B1 (ko) 2015-06-24 2016-09-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글라이더의 글라이딩 안정화 방법
KR101766916B1 (ko) 2016-12-29 2017-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무인 글라이더를 활용한 해양 탄성파 굴절법 탐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4924A (ja) * 2012-11-02 2015-12-07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Raytheon Company 無人水中輸送手段
KR101473568B1 (ko) * 2013-06-17 2014-12-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790A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03B1 (ko) 수중 글라이더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CN100445167C (zh) 混合驱动水下自航行器
CN100482533C (zh) 水下滑翔机浮力控制装置
CN103895846B (zh) 一种用于飞翼式水下滑翔机的姿态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9353478A (zh) 一种混合驱动水下滑翔器
US20180346082A1 (e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CN114604400B (zh) 具有沉底探测功能的水下滑翔机
CN110143269B (zh) 一种多维度运动圆盘形水下滑翔器
US3773015A (en) Aquarium diver
CN114475989B (zh) 一种海洋集群观测方法
CN106546407B (zh) 开式可调压淹没射流式水洞形成流场的方法
CN114655404A (zh) 一种海洋中小尺度观测系统
CN113911304B (zh) 一种水下无人航行器航姿转换机构及操作方法
US111678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of a submarine vehicle
US3228369A (en) Depth control system
US20120186507A1 (en) Towable buoy
KR20160084243A (ko) 잠수식 계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잠수식 계류시스템
CN111959727A (zh) 一种可蓄压式深海悬浮定深装置
US3474750A (en) Underwater vehicle
CN109018278B (zh) 适用于全海深auv的无纵倾无动力下潜方法及抑制纵倾装置
HRP20220861T1 (hr) Sidrena plutača
CN105923590B (zh) 一种水下垂直运输设备及方法
CN210027850U (zh) 海洋通讯遥控潜水器
SU1119918A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плавучести б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