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661B1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661B1
KR101974661B1 KR1020130092471A KR20130092471A KR101974661B1 KR 101974661 B1 KR101974661 B1 KR 101974661B1 KR 1020130092471 A KR1020130092471 A KR 1020130092471A KR 20130092471 A KR20130092471 A KR 20130092471A KR 101974661 B1 KR101974661 B1 KR 10197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houlder
ax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la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5947A (en
Inventor
사토시 츠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4Circumferential groove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레드부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한쌍의 숄더 주홈(10)과, 센터 주홈(9)이 형성됨으로써, 한쌍의 숄더 랜드부(40)와, 한쌍의 미들 랜드부(20)가 구분된 공기 타이어이다. 미들 랜드부(20)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23)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5 ~ 12°의 각도(α)의 범위에서 경사져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숄더 랜드부(40)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43)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α) 이상 17°이하의 각도(β)의 범위에서 경사진다. 숄더 랜드부(40)의 단부 가장자리(43)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46)과 외측단(47)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L1)는, 숄더 랜드부(40)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L2)의 0.03 ~ 0.12배이다.
A pneumatic tire capable of suppressing uneven wear of a trea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houlder land grooves 10 and a pair of middle land portions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forming a center groove 9 so that a pair of shoulder land portions 40 and a pair of middle land portions 20 are separated. The end edges 23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are inclined in the range of 5 to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extend out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The end edges 43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n the range of the angle? The distance L1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end 46 and the outer end 47 of the end edge 43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L1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0.03 to 0.12 times of the grounding length L2 of the grounding conductor.

Figure R1020130092471
Figure R1020130092471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접지면의 형상을 개선하여 내편마모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which improves the shape of a ground surface and improves the anti-abrasion performance.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드 접지단(b)의 근방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주홈(a)을 갖는 공기 타이어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타이어는, 주홈(a)과 트레드 접지단(b) 사이의 숄더 랜드부(c)의 타이어 축방향의 외측 단부(d)가 편마모되는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As shown in Fig. 5, various pneumatic tires having a main groove (a)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tread edge (b) are proposed. Such a pneumatic tire has a problem that the shoulder loss wear is liable to occur where the outer end d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c between the main groove (a) and the tread ground end (b)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uneven.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은, 랜드부에 형성되는 사이핑의 개수를 특정함으로써,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랜드부의 강성을 적정화하고, 랜드부의 편마모를 억제시킨 공기 타이어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 타이어라도, 편마모의 억제에 대해서, 추가적인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0005] Regarding such a problem,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proposes a pneumatic tire in which the rigidity of each land portion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pecified by specifying the number of sipes formed on the land portion, and the uneven wear of the land portion is suppressed have. However, even in such a pneumatic tire, there has been room for further improvement in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uneven wear.

또한, 숄더 손실 마모를 억제하기 위해, 숄더 랜드부(c)의 접지압을 높여 노면과의 미끄러짐을 억제하면, 미들 랜드부(f)와 노면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기 쉬워져, 미들 랜드부(f)의 외측 단부(e)가 레일형으로 편마모되는 궤도 마모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f the sliding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s suppressed by increasing the contact pressur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c) in order to suppress the wear of the shoulder loss, slippage easily occurs between the middle land portion (f) and the road surf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er end portion 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is worn as a rail type.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8209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82097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레드부의 접지면의 형상 등을 개선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트레드부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tire capable of suppressing uneven wear of a tread portion on the basis of improving the shape of a ground surface of a tread portion.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트레드부에, 트레드 최(最)접지단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숄더 주홈과, 이 숄더 주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서 연장되는 센터 주홈이 형성됨으로써, 각 숄더 주홈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한쌍의 숄더 랜드부와, 상기 한쌍의 숄더 주홈과 상기 센터 주홈 사이의 한쌍의 미들 랜드부가 구분된 공기 타이어로서, 정규 림에 림 조립되어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상기 트레드부가 평면에 압박되었을 때의 접지면은, 타이어 적도측으로부터 트레드 접지단을 향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가 점감하며, 상기 접지면에 있어서, 상기 미들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5 ~ 12°의 각도(α)의 범위에서 경사져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α) 이상 17°이하의 각도(β)의 범위에서 경사지고, 상기 숄더 랜드부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L1)는, 타이어 적도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의 0.97배의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서의 상기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L2)의 0.03 ~ 0.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ir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tread portion includes a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tread most end sid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enter main groove extending inward from the shoulder main groov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 pair of shoulder land portions on the outer 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each shoulder main groove and a pair of middle land portions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and the center main groove are rim-assembled to the regular rim, And the ground surface when the tread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plane at a camber angle of 0 degrees by applying a normal load is gradually reduced in length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re equator side toward the tread ground end, The end edges of the middle land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at an angle (?) Of 5 to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the end edges of the shoulder land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re inclined at an angle beta of not less than 17 DEG and not more than the angle alpha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L1) between the inner end and the outer end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t the position apart from the tire equator by a distance of 0.97 times the tread ground contact half- And is 0.03 to 0.12 times the grounding length (L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트레드부로부터 사이드월부를 지나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상기 트레드부의 안쪽이면서 상기 카커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벨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축방향의 외측단은, 상기 한쌍의 숄더 주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터 주홈은, 타이어 적도 상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1줄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들 랜드부는,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는 미들 가로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숄더 주홈과 타이어 적도의 타이어 축방향의 거리는,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축방향의 반폭의 0.45 ~ 0.70배인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cass extending from a tread portion to a bead core of a bead portion through a sidewall portion and a belt layer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rcass while being inside the tread portion, Wherein the center land has one line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tire equatorial plane and the middle land portion has one end communicated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a middle lateral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a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the tire equatorial direction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0.45 to 0.70 times the half width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belt layer. It is a tire.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카커스는 폴리에스테르 코드로 이루어지는 2장 이상의 카커스 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층은 스틸 코드로 이루어지는 2장 이상의 벨트 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인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rcass comprises two or more carcass ply made of polyester cords, and the belt layer includes two or more belt ply made of steel cords to be.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센터 주홈은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보다 홈폭이 큰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enter main groove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larger groove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미들 랜드부는,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는 미들 가로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미들 가로홈에는, 홈 바닥면이 융기한 타이 바와, 이 타이 바에서 개구하는 홈 바닥 사이핑이 형성되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land portion is divided into middle lateral grooves with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In the middle lateral grooves, And a groove bottom siphing opening is formed in the tie bar.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각 미들 랜드부에는,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미들 랜드부 내에서 종단하는 제1 미들 사이핑과, 일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미들 랜드부 내에서 종단하는 제2 미들 사이핑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미들 사이핑과 상기 제2 미들 사이핑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middle land portion has a first middle siphon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terminating in the middle land portion, and a second middle siphon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The airba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second middle siphin terminating in the land portion is formed and the first middle siphon and the second middle siphon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a tire.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숄더 랜드부에는, 타이어 축방향의 외측단이 트레드 접지단에서 개구하는 외측 숄더 사이핑이 형성되는 것인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기 타이어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s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formed with an outer shoulder siping whose out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opens at the tread ground end.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정규 림에 림 조립되어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트레드부가 평면에 압박되었을 때의 접지면에 있어서, 미들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5 ~ 12°의 각도(α)의 범위에서 경사져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미들 랜드부의 접지면의 접지 길이가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점감한다. 이 때문에, 미들 랜드부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미들 랜드부의 외측 단부와 노면과의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외측 단부의 궤도 마모가 억제된다.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ground surface when the tread is pressed against the plane at a camber angle of 0 degrees by being rimmed in the normal rim and filled with normal internal pressure and under normal load, The edge is inclined at an angle (alpha) of 5 to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extends outward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grounding length of the ground surface of the middle land por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middle land portion is reduced. Therefore, slippag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middle land portion and the road surface is suppressed, and wear of the track at the outer end portion is suppressed.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α) 이상 17°이하의 각도(β)의 범위에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의 접지면의 접지 길이가, 미들 랜드부의 접지 길이와 연속적이면서 완만하게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감한다. 따라서, 숄더 랜드부와 미들 랜드부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져, 숄더 랜드부 및 미들 랜드부의 마모의 진행이 균일해진다.The end edges of the shoulder land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in the range of the angle? As a result, the grounding length of the ground surfac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continuously with the grounding length of the middle land portion.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shoulder land portion and the middle land portion becomes small, and the progress of the wear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and the middle land portion becomes uniform.

숄더 랜드부의 단부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L1)는 타이어 적도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의 0.97배의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서의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L2)의 0.03 ~ 0.12배이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지고, 나아가서는 숄더 랜드부의 외측 단부의 숄더 손실 마모가 억제된다.The distance L1 between the inner end and the outer end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L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03 to 0.12 times the length (L2).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and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reduced, and further, the shoulder loss wear at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트레드부의 접지면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미들 랜드부 및 숄더 랜드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tread portion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ground plane of the tread portion of Fig.
Fig.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middle land portion and the shoulder land portion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ead portion of a conventional pneumatic tir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이하, 간단히 「타이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1)의 정규 상태에서의 타이어 회전축을 포함하는 타이어 자오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1은 도 2의 A-A 단면도에 상당한다. 여기서, 정규 상태란, 타이어가 정규 림(도시 생략)에 림 조립되어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상태이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 타이어의 각 부의 치수 등은 이 정규 상태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내고 있다.1 is a tire meridional sectional view including a tire rotation axis in a normal state of a pneumatic tire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 tire ")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of Fig. 1; 1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Here, the normal state is a state of no-load in which the tire is rimmed in a normal rim (not shown) and filled with a normal internal pressure.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imensions etc. of each part of the tire indicate the values measured in this normal state.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그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이며, 예컨대 JATMA이면 "표준 림", TRA이면 "Design Rim", ETRTO이면 "Measuring Rim"이다.Quot; Standard Rim " for JATMA, " Design Rim " for TRA, and " Measuring Rim " for ETRTO in the standard system including the standard on which the tire is based, "to b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1)는 트레드부(2)로부터 사이드월부(3)를 지나 비드부(4)의 비드 코어(5)에 이르는 카커스(6)와, 이 카커스(6)의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이자 트레드부(2)의 내측에 배치되는 벨트층(7)을 구비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트 트랙용의 공기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1, the pneumatic ti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rcass 6 extending from a tread portion 2 to a bead core 5 of a bead portion 4 through a side wall portion 3, And a belt layer 7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tire radially outer tread portion 2 of the carcass 6.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neumatic tire for a light track is shown.

카커스(6)는, 예컨대 2장의 카커스 플라이(6A, 6B)에 의해 구성된다. 카커스 플라이(6A, 6B)는 트레드부(2)로부터 사이드월부(3)를 지나 비드부(4)의 비드 코어(5)에 이르는 본체부(6a)와, 그 본체부(6a)에 연속하며 비드 코어(5)의 둘레에서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되접히는 접힘부(6b)를 갖는다. 카커스 플라이(6A, 6B)의 카커스 코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및 레이온 등의 유기 섬유 코드가 채용된다. 카커스 코드는 타이어 적도(C)에 대하여, 예컨대 70 ~ 90°의 각도로 배열된다.The carcass 6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two carcass plies 6A and 6B. The carcass plies 6A and 6B are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6a extending from the tread portion 2 to the bead core 5 of the bead portion 4 through the side wall portion 3, And a folded portion 6b fold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tire axial direction around the bead core 5. As the carcass cords of the carcass ply 6A and 6B, for example, organic fiber cords such as polyester, aramid and rayon are employed. The carcass cord is arranged at an angle of 7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ire equator C, for example.

벨트층(7)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코드가 타이어 적도(C)에 대하여, 예컨대 15 ~ 45°의 각도로 경사져서 배열된 3장의 벨트 플라이(7A, 7B 및 7C)를, 벨트 코드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타이어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층(7)은 타이어 축방향의 폭이 가장 큰 최대폭 벨트 플라이(7M), 및, 그 최대폭 벨트 플라이(7M)의 타이어 축방향 내외에 벨트 플라이(7A 및 7C)가 중첩되어 있다. 벨트 코드에는, 예컨대 아라미드 혹은 레이온 등의 유기 섬유 코드 또는 스틸 코드가 적합하게 채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layer 7 is made up of three belt ply 7A, 7B and 7C arranged in a manner that the belt cord is inclined at an angle of 15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ire equator C, Are form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The belt layer 7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largest width belt ply 7M having the largest wid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belt ply 7A and 7C superimposed on the out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maximum width belt ply 7M have. As the belt cord, for example, an organic fiber cord such as aramid or rayon or a steel cord is suitably employed.

타이어 회전축을 포함하는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최대폭 벨트 플라이(7M)의 곡률 반경(R1)은, 바람직하게는 4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 ㎜ 이하이다. 최대폭 벨트 플라이(7M)의 곡률 반경(R1)이 큰 경우, 미들 랜드부(20)의 미끄러짐이 커져 궤도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최대폭 벨트 플라이(7M)의 곡률 반경(R1)이 작은 경우, 숄더 랜드부(40)에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 curvature radius R1 of the maximum width belt ply 7M in the tire meridional section including the tire rotation axis is preferably 450 mm or more, more preferably 480 mm or more, preferably 550 mm or less Is not more than 520 mm. When the curvature radius R1 of the maximum width belt plies 7M is large, there is a fear that the sliding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becomes large and the track wear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maximum width belt ply 7M is small, there is a fear that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s worn with shoulder loss.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1)는 트레드부(2)에, 트레드 최(最)접지단(Te)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숄더 주홈(10, 10)과, 이 숄더 주홈(10, 10)보다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서 연장되는 1개의 센터 주홈(9)이 형성됨으로써, 숄더 주홈(10)과 센터 주홈(9) 사이의 한쌍의 미들 랜드부(20, 20)와, 숄더 주홈(10)보다 외측의 한쌍의 숄더 랜드부(40, 40)가 구분된다.2, the tire 1 has a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10, 10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tread most end Te side to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air of middle land portions 20 and 20 between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nd the center main groove 9 are formed by forming one center main groove 9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tire axial direction than the shoulder main grooves 10 and 10. [ And a pair of shoulder land portions (40, 40) outside the shoulder main groove (10).

트레드 접지단(Te)이란, 상기 정규 상태의 타이어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의 타이어 축방향 최외측의 접지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규 하중」이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이며, JATMA이면 "최대 부하 능력", TRA이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값, ETRTO이면 "LOAD CAPACITY"이지만, 타이어가 승용차용인 경우에는 상기 하중의 88%에 상당하는 하중이다. 그리고, 이 트레드 접지단(Te, Te)의 타이어 축방향의 거리가 트레드 접지폭(TW)이 된다.The tread ground end Te means a ground position of the outermost tir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when the normal grounded tire is grounded at a camber angle of 0 DEG by applying a normal load to the tire in the normal state. The term " normal load " refers to a load defined for each tire in a standard system including a standard on which a tire is based, " maximum load capability " in the case of JATMA, and "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 "and" LOAD CAPACITY "in the case of ETRTO, and when the tire is for a passenger car, the load corresponds to 88% of the load. The distanc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tread ground terminals Te and Te becomes the tread ground contact width TW.

배수 성능, 조종 안정성 및 브레이크 성능 등을 만족시키기 위해, 센터 주홈(9)의 홈폭(W1) 및 숄더 주홈(10)의 홈폭(W2)은, 예컨대 트레드 접지폭(TW)의 3.0 ~ 6.0%가 바람직하다. 센터 주홈(9)의 홈 깊이(D1) 및 숄더 주홈(10)의 홈 깊이(D2)는, 예컨대 6 ~ 12 ㎜가 바람직하다. 센터 주홈(9) 및 숄더 주홈(10)의 홈폭은 홈 중심선과 직각 방향으로 측정되고, 이하, 다른 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The groove width W1 of the center main groove 9 and the groove width W2 of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re set to be, for example, 3.0 to 6.0% of the tread ground width TW in order to satisfy the drainage performance, steering stability, desirable. The groove depth D1 of the center main groove 9 and the groove depth D2 of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re preferably 6 to 12 mm. The groove widths of the center main groove 9 and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re measu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ove center line and the same applies to other grooves as well.

센터 주홈(9)은 타이어 적도(C) 상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1줄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센터 주홈(9)은 제1 부분(9a)과, 이 제1 부분(9a)보다 홈폭이 큰 제2 부분(9b)을 포함하고, 홈폭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변한다. 제1 부분(9a)과 상기 제2 부분(9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터 주홈(9)은 타이어 적도(C) 부근의 강성을 유지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웨트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center main groove 9 has a single line extending linear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tire equator C. [ The center main groove 9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ortion 9a and a second portion 9b having a larger groove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9a and the groove width chang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portion 9a and the second portion 9b are preferably formed alternate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enter main groove 9 maintains the rigidity near the tire equator C to improve the steering stability and improve the wet performance.

제1 부분(9a)의 홈폭(W1a)과 제2 부분(9b)의 홈폭(W1b) 간의 비(W1a/W1b)는 미들 랜드부(2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타이어의 웨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0.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이다.The ratio W1a / W1b between the groove width W1a of the first portion 9a and the groove width W1b of the second portion 9b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wet performance of the tire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For example, 0.60 or more, more preferably 0.65 or more, preferably 0.80 or less, more preferably 0.75 or less.

숄더 주홈(10)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숄더 주홈(10, 10)은, 각각 벨트층(7)의 타이어 축방향의 외측단(7e, 7e)보다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숄더 주홈(10)이 타이어 적도(C)에 지나치게 접근하면, 미들 랜드부(20)에 편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숄더 주홈(10)과 타이어 적도(C)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의 거리(L8)는 바람직하게는 벨트층(7)의 타이어 축방향의 반폭(BWh)의 0.5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0.5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7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배 이하이다.The shoulder main groove 10 extends linear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shoulder grooves 10, 10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ire axial direction outer end 7e, 7e of the belt layer 7, respectively,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oulder groove 10 approaches the tire equator C excessively, there is a fear that uneven wear may occur in the middle land portion 20. The distance L8 in the tir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shoulder groove 10 and the tire equator C is preferably not less than 0.50 times the half width BWh of the belt layer 7 in the tire axial direction, 0.55 times or more, preferably 0.70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0.65 times or less.

도 3에는, 트레드부(2)의 접지면(2s)의 전개도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접지면(2s)은, 정규 림에 림 조립되어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트레드부(2)가 평면에 압박되어 얻어진다.Fig. 3 shows a developed view of the ground surface 2s of the tread portion 2. Fig. The ground plane 2s shown in Fig. 3 is obtained by being rimmed in a normal rim, filled with a normal internal pressure, loaded with a normal load, and pressing the tread portion 2 to a plane at a camber angle of 0 deg.

트레드부(2)의 접지압은 트레드부(2)의 접지면의 만곡에 따라,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 접지단(Te)측을 향하여 점감한다. 이 때문에, 접지면(2s)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L0)는 타이어 적도(C)측으로부터 트레드 접지단(Te)을 향하여 점감한다.The grounding pressure of the tread portion 2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ire equator C toward the tread ground end Te side as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2 curves. Therefore, the tire circumferential length L0 of the ground contact surface 2s is decreased from the tire equator C side toward the tread ground end Te.

접지면(2s)에 있어서, 미들 랜드부(20)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23, 23)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5 ~ 12°의 각도(α)의 범위에서 경사져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미들 랜드부(20)의 접지면의 접지 길이(L3)가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감한다. 이 때문에, 미들 랜드부(20)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단부(24)와 외측 단부(25) 간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미들 랜드부(20)의 외측 단부(25)와 노면과의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외측 단부(25)의 궤도 마모가 억제된다.The end edges 23 and 23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are inclined in the range of 5 to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ground contact length L3 of the ground surface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is decrease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24 and the outer end portion 25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becomes small. Thus, slippage between the outer end 25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and the road surface is suppressed, and the wear of the outer end portion 25 is suppressed.

각도(α)가 5°보다 작은 경우, 미들 랜드부(20)의 내측 단부(24)의 접지압이 지나치게 저하하여, 이 내측 단부(24)에서 궤도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각도(α)가 12°보다 큰 경우, 미들 랜드부(20)의 내측 단부(24)와 외측 단부(25) 간의 접지압의 차가 커져, 외측 단부(25)와 노면 사이에서 미끄러짐량이 증가하여, 외측 단부(25)의 궤도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도(α)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이하이다.When the angle alpha is less than 5 DEG, the contact pressure of the inner end portion 24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is excessively lowered, and the inner end portion 24 may cause wear of the track.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Is larger than 12 degrees, the difference in the grounding pressur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24 and the outer end portion 25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becomes larger and the amount of slip between the outer end portion 25 and the road surface increases , There is a fear that the outer end 25 wears orbitally. Therefore, the angle? Is more preferably 7 ° or more, further preferably 8 ° or more, more preferably 10 ° or less, further preferably 9 ° or less.

숄더 랜드부(40)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43, 43)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α) 이상 17°이하의 각도(β)의 범위에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40)의 접지면의 접지 길이(L4)가 미들 랜드부(20)의 접지 길이(L3)와 연속적으로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감한다. 따라서, 숄더 랜드부(40)와 미들 랜드부(20) 간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져, 숄더 랜드부(40) 및 미들 랜드부(20)의 마모의 진행이 균일해진다.The end edges 43 and 43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in the range of the angle? Thus, the ground contact length L4 of the ground contact surfac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ire axial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ound contact length L3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middle land portion 20 becomes small, and the progress of wear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middle land portion 20 becomes uniform.

각도(β)가 각도(α)보다 작은 경우, 미들 랜드부(20)의 외측 단부(25)에 궤도 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각도(β)가 17°보다 큰 경우, 숄더 랜드부(40)와 노면 사이의 미끄러짐량이 커져, 숄더 랜드부(40)에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각도(β)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이하이다.When the angle beta is smaller than the angle alpha, there is a fear that the outer end 25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is worn out. On the contrary, when the angle? Is larger than 17 degrees, the amount of slippage betwee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road surface becomes large, and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wears with shoulder loss. Therefore, the angle beta is more preferably 12 degrees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3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16 degrees or less, further preferably 15 degrees or less.

숄더 랜드부(40)의 단부 가장자리(43)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46)과 외측단(47)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L1)는,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TWh)의 0.97배의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서의 숄더 랜드부(40)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L2)의 0.03 ~ 0.12배이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40)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단부(44)와 외측 단부(45) 간의 접지압의 차가 작아지고, 나아가서는 숄더 랜드부(40)의 외측 단부(45)의 숄더 손실 마모가 억제된다.The distance L1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end 46 and the outer end 47 of the end edge 43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calculated from the tire equator C to the tread grounding half width 0.03 to 0.12 times the grounding length L2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distance of 0.97 times of the grounding distance TWh. This reduces the difference in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inner end portion 44 and the outer end portion 45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further reduces the shoulder loss wear of the outer end portion 45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s suppressed.

트레드부(2)의 접지면(2s)의 형상은, 특히 트레드부(2)의 상기 정규 상태에서의 프로파일, 및 트레드부(2)의 트레드 고무(Tg)의 고무 볼륨에 의해, 크게 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트레드부(2)의 프로파일은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레드 고무의 최대폭 벨트 플라이의 외면으로부터 트레드부의 접지면까지의 트레드 고무 두께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일정, 또는 타이어 적도(C)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ground plane 2s of the tread portion 2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profile of the tread portion 2 in the normal state and the rubber volume of the tread rubber Tg of the tread portion 2 ha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file of the tread portion 2 be convex outward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read rubber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ximum width belt ply of the tread rubber to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is constan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o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ire equator C toward the tire axial direction outer side.

전술한 트레드부(2)의 접지면(2s)의 형상을 얻기 위해, 트레드 고무(Tg)의 두께가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TWh)의 0.30배의 위치에서의 트레드 고무 두께인 내측 랜드부 두께(t1)가, 예컨대 타이어 적도(C) 상에서의 트레드 고무 두께인 기준 랜드부 두께(tb)가 0.96 ~ 0.97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TWh)의 0.65배의 위치에서의 트레드 고무 두께인 중간 랜드부 두께(t2)가, 예컨대 기준 랜드부 두께(tb)의 0.89 ~ 0.95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 적도(C)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TWh)의 0.90배의 위치에서의 트레드 고무 두께인 외측 랜드부 두께(t3)가, 예컨대 기준 랜드부 두께(tb)의 0.86 ~ 0.92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obtain the shape of the ground plane 2s of the tread portion 2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read rubber Tg be specifie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land portion thickness t1, which is the tread rubber thickness at a position 0.30 times the tread ground contact half width TWh from the tire equator C, It is preferable that the negative thickness tb is set to 0.96 to 0.97 times. The intermediate land thickness t2 which is the tread rubber thickness at the position 0.65 times the tread ground contact half width TWh from the tire equator C is set to 0.89 to 0.95 times the standard land thickness tb, desirable. The outer land portion thickness t3 which is the tread rubber thickness at the position 0.90 times the tread ground contact half width TWh from the tire equator C is set to 0.86 to 0.92 times the standard land portion thickness tb desirable.

또한, 내측 랜드부 두께(t1), 중간 랜드부 두께(t2), 외측 랜드부 두께(t3)의 측정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각 두께(t1 내지 t3)는 가상적으로 홈을 매립한 상태에서 계측된 값이다.In the case where grooves are formed at the measurement positions of the inner land portion thickness t1, the middle land portion thickness t2 and the outer land portion thickness t3, the respective thicknesses t1 to t3 virtually fill the grooves Measured in one stat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들 랜드부(20)에는, 일단(27)이 센터 주홈(9)에 연통하며 또한 타단(28)이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는 미들 가로홈(26)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미들 블록(29)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또한, 각 미들 블록(29)에는, 미들 사이핑(30)이 형성된다.4, the middle land portion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iddle horizontal groove (one end) 27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9 and the other end 28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10 26 are formed. Thereby, the middle block 29 is spaced apart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urther, in each middle block 29, a middle siping 30 is formed.

미들 가로홈(26)의 홈폭(W7)은 바람직하게는 숄더 주홈(10)의 홈폭(W2)(도 1에 나타냄)보다 작게 형성되고, 예컨대 상기 홈폭(W2)의 0.3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45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배 이하이다. 이러한 미들 가로홈(26)은 조종 안정성과 웨트 성능을 양립시킨다.The groove width W7 of the middle lateral groove 26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groove width W2 of the shoulder groove 10 (shown in Fig. 1), for example, 0.30 times or more of the groove width W2, Is 0.35 times or more, preferably 0.45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0.40 times or less. These middle lateral grooves 26 provide both steering stability and wet performance.

미들 가로홈(26)의 일단(27)은 센터 주홈(9)의 제2 부분(9b)에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미들 가로홈(26)의 배수 성능이 향상되며, 나아가서는 웨트 성능이 향상된다.One end 27 of the middle lateral groove 26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portion 9b of the center main groove 9. [ As a result,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middle lateral grooves 26 is improved, and further, the wet performance is improved.

미들 가로홈(26)의 상기 타단(28)은 미들 랜드부(20)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31)가 타이어 축방향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팬 오목부(32)에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미들 블록의 변형 영역이 확보된다. 따라서, 접지면(2s)에 노면으로부터의 접지압이 작용하였을 때, 미들 블록(29)은 노면과의 미끄러짐을 억제하면서, 노면을 따라 변형된다. 이 때문에, 미들 블록(29)의 편마모가 억제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28 of the middle lateral groove 26 is continuous to the hollow recessed portion 32 toward the tire axial direction inner side edge 31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on the tire axial direction outer side . Thereby, the deformation area of the middle block is secured. Therefore, when the ground pressure from the road surface acts on the ground surface 2s, the middle block 29 is deformed along the road surface while suppressing slippage with the road surface. Therefore, the uneven wear of the middle block 29 is suppress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들 가로홈(26)에는, 홈 바닥면(26d)이 융기한 타이 바(33)와, 이 타이 바(33)에서 개구하는 홈 바닥 사이핑(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미들 블록(29)(도 4에 나타냄)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미들 블록(29)의 내마모성이 향상된다.1, a tie bar 33 in which a groove bottom surface 26d is raised and a groove bottom ciping 34 which is opened in the tie bar 33 are formed in the middle lateral groove 26 . Thus, the movement of the middle block 29 (shown in Fig. 4) is suppressed,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middle block 29 is improved.

상기 작용을 더욱 높이기 위해, 타이 바(33)의 높이(h1)는, 바람직하게는 센터 주홈(9)의 홈 깊이(D1)의 0.4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6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배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홈 바닥 사이핑(34)의 깊이(D3)는 타이 바(33)의 높이(h1)의 바람직하게는 0.8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배 이하이다.The height h1 of the tie bar 33 is preferably 0.40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0.45 times or more of the groove depth D1 of the center main groove 9, 0.60 time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5 times or less. Likewise, the depth D3 of the groove bottom siphon 34 is preferably at least 0.80 times, more preferably at least 0.85 times, and preferably at most 1.00 times the height h1 of the tie bars 33, And more preferably 0.95 times or less.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들 사이핑(30)은, 예컨대 각 미들 블록(29)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부(29m)에, 미들 가로홈(26)과 평행하게 1개 형성된다. 미들 사이핑(30)은, 일단(35a)이 센터 주홈(9)에 연통하며 타단(35b)이 미들 랜드부(20) 내에서 종단하는 제1 미들 사이핑(35)과, 일단(36a)이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며 타단(36b)이 미들 랜드부(20) 내에서 종단하는 제2 미들 사이핑(36)을 포함한다. 제1 미들 사이핑(35) 및 제2 미들 사이핑(36)은,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미들 블록(29)에 형성된다. 이러한 미들 사이핑(30)은 웨트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미들 랜드부(20)와 숄더 랜드부(40)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화하여, 편마모를 억제한다.As shown in Fig. 4, the middle siphon 30 is formed, for example, in the center portion 29m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each middle block 29 in parallel with the middle lateral grooves 26. [ The middle siphoning 30 includes a first middle siphoning 35 in which one end 35a communicates with the center main groove 9 and the other end 35b terminates in the middle land portion 20, And a second middle siphon 36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nd terminating in the middle land portion 20 at the other end 36b. The first middle siphon 35 and the second middle siphon 36 are formed in the middle block 29, for exampl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middle siping 30 improves the wet performance and also uniformizes the progress of wear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and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thereby suppressing uneven wear.

본 실시형태의 숄더 랜드부(40)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리브로 형성되어 있다. 숄더 랜드부(40)에는, 예컨대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는 내측 러그홈(48) 및 내측 숄더 사이핑(49), 및 트레드 접지단(Te)에서 개구하는 외측 러그홈(50) 및 외측 숄더 사이핑(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숄더 랜드부(40)는 숄더 랜드부(40)의 내측 단부(44)와 외측 단부(45)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화하여, 숄더 랜드부(40)의 숄더 손실 마모를 억제한다.The shoulder land portion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s a rib continuou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n inner lug groove 48 and an inner shoulder siphon 49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nd an outer lug groove 50 opening at the tread grounding end Te, A shoulder siphon 51 is formed. This shoulder land portion 40 uniformizes the progress of wear of the inner end portion 44 and the outer end portion 45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suppresses the shoulder loss wear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

내측 러그홈(48)은 일단(52)이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며, 타단(53)이 숄더 랜드부(40) 내에서 종단한다. 또한, 내측 러그홈(48)은,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며 타이어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홈폭이 점감하는 제1 부분(48a)과, 이 제1 부분(48a)에 연속하며, 일정한 홈폭으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종단하는 제2 부분(48b)을 포함한다. 내측 러그홈(48)은,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40)의 변형 영역이 확보되어, 숄더 랜드부(40)의 외면과 노면과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또한, 이러한 내측 러그홈(48)은 숄더 주홈(10)의 배수 성능을 보강하고, 나아가서는 타이어의 웨트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inner lug groove 48 has one end 52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nd the other end 53 terminating i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The inner lug groove 48 has a first portion 48a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10 and decreasing in groove width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a second portion 48b continuous to the first portion 48a, And a second portion 48b extending outwardly and axially outwardly of the tire. The inner lug grooves 48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As a result, a deformation area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s secured, and slippag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road surface is suppressed. In addition, the inner lug grooves 48 enhance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shoulder groove 10, and further improve the wet performance of the tire.

이러한 작용을 높이기 위해, 내측 러그홈(48)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5)는 숄더 주홈(10)의 홈폭(W2)(도 2에 나타냄)의 바람직하게는 1.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3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배 이하이다.The length L5 of the inner lug groove 48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s preferably 1.10 times or more than the groove width W2 of the shoulder groove 10 (shown in Fig. 2) 1.15 times or more, preferably 1.30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1.25 times or less.

내측 숄더 사이핑(49)은, 예컨대 일단(54)이 숄더 주홈(10)에 연통하며, 타단(55)이 숄더 랜드부(40) 내에서 종단한다. 또한, 내측 숄더 사이핑(49)은 내측 러그홈(48, 48) 사이에서 복수개, 예컨대 1 ~ 5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숄더 사이핑(49)은 숄더 랜드부(40)의 내측 단부(44)와 미들 랜드부(20)의 외측 단부(25)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화하여, 미들 랜드부(20)의 외측 단부(25)의 궤도 마모를 억제한다.The inner shoulder siphon 49 is for example one end 54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groove 10 and the other end 55 terminating withi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ner shoulder siphons 49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lug grooves 48, 48, for example, 1 to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This inner shoulder siphon 49 uniformizes the progress of the wear of the inner end portion 44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outer end portion 25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so that the outer side of the middle land portion 20 Thereby suppressing the track wear of the end portion 25. [

이러한 작용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내측 숄더 사이핑(49)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6)는 내측 러그홈(48)의 길이(L5)의 바람직하게는 0.4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3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7배 이하이다.The length L6 of the inner shoulder siphon 49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s preferably not less than 0.40 time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43 times the length L5 of the inner lug grooves 48 Preferably 0.50 time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47 times or less.

외측 러그홈(50)은, 예컨대 트레드 접지단(Te)에서 개구하며,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57)이 숄더 랜드부(40) 내에서 종단한다. 외측 러그홈(50)은, 예컨대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서 일정한 홈폭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50a)과, 이 제1 부분(50a)에 연속하며, 홈폭이 점감하여 숄더 랜드부(40) 내에서 종단하는 제2 부분(50b)을 포함한다. 외측 러그홈(50)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숄더 랜드부(40)의 변형 영역이 확보되고, 숄더 랜드부(40)의 외면과 노면과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이러한 외측 러그홈(50)은 숄더 랜드부(40)의 강성을 적정하게 하여, 원더링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outer lug grooves 50 are, for example, open at the tread ground end Te and the inner end 57 in the tire axial direction terminates i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The outer lug groove 50 includes a first portion 50a extending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utside and a constant width in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50b continuous to the first portion 50a and having a groove width decreasing i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erminating second portion 50b. The outer lug grooves 50 are preferably spaced equidistant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deformation area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is secured, and slippag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the road surface is suppressed. This outer lug groove 50 improves the rigidity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and improves the wandering performance.

이러한 작용을 더욱 높이기 위해, 외측 러그홈(50)의 홈폭(W8)은 내측 러그홈(48)의 길이(L5)의 바람직하게는 0.6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75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배 이하이다.The groove width W8 of the outer lug grooves 50 is preferably at least 0.60 times, more preferably at least 0.65 times the length L5 of the inner lug grooves 48, 0.75 time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70 times or less.

외측 숄더 사이핑(51)은, 예컨대 트레드 접지단(Te)에서 개구하며, 내측단(58)이 숄더 랜드부(40) 내에서 종단한다. 외측 숄더 사이핑(51)은, 예컨대 타이어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외측 숄더 사이핑(51)은, 예컨대 외측 러그홈(50, 50) 사이에 복수개, 예컨대 1 ~ 5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 숄더 사이핑(51)은 웨트 성능 및 원더링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outer shoulder siphon 51 is open at the tread ground end Te, for example, and the inner end 58 terminates in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The outer shoulder siphon 51 extends, for example, in parallel to the tir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outer shoulder siphons 51, for example, 1 to 5, in this embodiment, three,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lug grooves 50 and 50, for example. This outer shoulder siping 51 improves wet performance and wandering performance.

외측 숄더 사이핑(51)의 내측단(58)으로부터 트레드 접지단(Te)까지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7)는 내측 숄더 사이핑(49)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L6)의 바람직하게는 2.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6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배 이하이다. 이러한 외측 숄더 사이핑(51)은 숄더 랜드부(40)의 내측 단부(44) 및 외측 단부(45)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화하여, 편마모를 억제한다.The length L7 in the tire ax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58 of the outer shoulder siphon 51 to the tread ground end Te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L6 of the inner shoulder siphon 49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at least 2.2 times, more preferably at least 2.3 times, preferably at most 2.6 times, more preferably at most 2.5 times. This outer shoulder siphon 51 uniformizes the progress of the wear of the inner end portion 44 and the outer end portion 45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40, thereby suppressing the uneven wear.

이상,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여러가지 양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aspects.

[실시예][Example]

도 1의 기본 구조를 이루며, 도 2의 트레드 패턴을 갖는 사이즈 185/65R15의 라이트 트랙용의 공기 타이어를,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험 제작하여, 각 샘플 타이어의 편마모량, 숄더 손실 마모의 유무, 원더링 성능 및 숄더 랜드부의 발열성을 테스트하였다.The pneumatic tires for the light track of the size 185 / 65R15 having the basic structure of Fig. 1 and having the tread pattern shown in Fig. 2 were tested and manufactured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able 1, and the wear amount of each sample tire, Presence, wandering performance and heat genera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were tested.

테스트 방법은 이하와 같다.The test method is as follows.

<편마모량><Wear amount>

각 샘플 타이어가 하기의 조건으로 실차에 장착되고, 8000 ㎞ 주행 후의 편마모량이 측정되었다. 편마모량은 센터 주홈의 잔존 홈깊이와 숄더 주홈의 잔존 홈깊이의 차를 의미한다. 결과는 비교예 1의 편마모량을 100으로 하는 지수이며, 수치가 작을수록, 편마모량이 작아 양호하다.Each sample tire was mounted on the actual vehicl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uniaxial wear after running 8000 km was measured. The amount of uneven wear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ing groove depth of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remaining groove depth of the shoulder main groove. The result is an index showing the uneven wear amount of Comparative Example 1 as 100. The smaller the numerical value is, the smaller the amount of uneven wear is.

장착 림: 5.0 J×15Mounting rim: 5.0 J × 15

내압: 600 ㎪Withstand pressure: 600 ㎪

장착 차량: 최대 적재량 2t의 라이트 트랙, 2-D 차량Mounted vehicles: light track, 2-D vehicle with a maximum capacity of 2t

타이어 장착 위치: 전륜Tire mounting position: front wheel

<숄더 손실 마모의 유무><Presence of shoulder loss wear>

상기 편마모량 측정 시, 숄더 랜드부의 숄더 손실 마모의 유무가 육안으로 검사되었다. 결과는 하기의 3단계 평가로 표시된다.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uneven wear amount, presence or absence of shoulder loss wear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was visually inspec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hree-step evaluation.

A: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양호하다.A: The shoulder loss is good because no abrasion occurs.

B: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하지만, 제품화할 수 있는 레벨이다.B: Shoulder wear is worn, but it can be commercialized.

C: 제품화할 수 없는 레벨로 숄더 손실 마모가 발생한다.C: Shoulder loss wear occurs at a level that can not be commercialized.

<원더링 성능><Wandering performance>

하기 조건의 정적 상태의 테스트 차량이 바퀴 자국 노면을 주행하였을 때의 원더링 성능이 드라이버의 관능에 의해 평가되었다. 원더링 성능은, 바퀴 자국에의 진입, 바퀴 자국 내에서의 직진, 및 바퀴 자국으로부터의 탈출에 있어서의 차량의 조종 안정성 및 승차감성을 의미한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평점이며, 수치가 클수록, 원더링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The wandering performance when the test vehicle in a static stat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ran on the road surface of the wheel was evaluated b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driver. Wandering performance means steering stability and riding sensibility of the vehicle in entering the wheel rim, going straight in the rim, and escaping from the wheel rim. The result is a rating of 100 for Comparative Example 1. The larger the value, the better the wandering performance is.

장착 림: 5.0 J×15Mounting rim: 5.0 J × 15

내압: 600 ㎪Withstand pressure: 600 ㎪

장착 차량: 최대 적재량 2t의 라이트 트랙, 2-D 차량Mounted vehicles: light track, 2-D vehicle with a maximum capacity of 2t

타이어 장착 위치: 전륜Tire mounting position: front wheel

속도: 60 ㎞/hSpeed: 60 km / h

<숄더 랜드부의 발열성><Heat genera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하기의 조건으로 드럼 시험기 상을 주행시켰을 때의 숄더 랜드부의 온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이며, 수치가 작을수록, 숄더 랜드부의 발열이 작아, 숄더 랜드부의 내구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The temperatur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when running on the drum tester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was measured. The result is an index of 100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smaller the numerical value is, the smaller the heat genera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and the higher the durability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장착 림: 5.0 J×15Mounting rim: 5.0 J × 15

내압: 600 ㎪Withstand pressure: 600 ㎪

종하중: 12 kNLoad weight: 12 kN

속도: 80 ㎞/hSpeed: 80 km / h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3070654954-pat00001
Figure 112013070654954-pat00001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비교예의 타이어에 비해서, 내편마모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re of the embodiment has improved anti-abrasion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e tir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트레드부 9: 센터 주홈
10: 숄더 주홈 20: 미들 랜드부
23: 단부 가장자리 40: 숄더 랜드부
43: 단부 가장자리
2: Tread 9: Center main groove
10: shoulder groove 20: middle land portion
23: end edge 40: shoulder land portion
43: end edge

Claims (7)

트레드부에, 트레드 최(最)접지단측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숄더 주홈과, 이 숄더 주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서 연장되는 센터 주홈이 형성됨으로써, 각 숄더 주홈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한쌍의 숄더 랜드부와, 상기 한쌍의 숄더 주홈과 상기 센터 주홈 사이의 한쌍의 미들 랜드부가 구분된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
정규 림에 림 조립되어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상기 트레드부가 평면에 압박되었을 때의 접지면은, 타이어 적도측으로부터 트레드 접지단을 향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가 점감하며, 상기 접지면에 있어서,
상기 미들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5 ~ 12°의 각도(α)의 범위에서 경사져서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 가장자리는, 타이어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도(α) 이상 17°이하의 각도(β)의 범위에서 경사지며,
상기 숄더 랜드부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거리(L1)는, 타이어 적도로부터 트레드 접지 반폭의 0.97배의 거리를 이격한 위치에서의 상기 숄더 랜드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접지 길이(L2)의 0.03 ~ 0.12배이고,
상기 미들 랜드부 각각은,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는 복수의 미들 가로홈의 사이에서 구분되는 미들 블록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미들 가로홈에는, 홈 바닥면이 융기한 타이 바와, 이 타이 바에서 개구하는 홈 바닥 사이핑이 형성되며, 상기 홈 바닥 사이핑은 양단이 상기 타이 바 내에서 종단하고,
상기 미들 블록 각각에는, 그 타이어 둘레 방향의 중앙부에,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미들 랜드부 내에서 종단하는 제1 미들 사이핑, 또는 일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미들 랜드부 내에서 종단하는 제2 미들 사이핑 중 하나만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미들 사이핑이 마련된 상기 미들 블록과 상기 제2 미들 사이핑이 마련된 상기 미들 블록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A pair of shoulder 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read most end side of the tread portion and a center circumferential groove extending from the should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tire axi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tread portion, A pair of shoulder land portions on the outer side and a pair of middle land portions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and the center main groove,
The ground surface when the tread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plane at a camber angle of 0 degrees by being loaded with a normal load and being loaded with a normal internal pressure by riming in a normal rim has a ground length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re equator side to the tread ground end Wherein in the ground plane,
The end edges of the middle land portion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in the range of 5 to 12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and extend outward in the tire axial direction,
The end edges of the shoulder land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clined in a range of the angle? And not more than 17 占 with respect to the tire axial directio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inner end and the outer end in the tire axial dir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L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oulder land portion, 0.03 to 0.12 times the grounding length L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middle land portions includes a plurality of middle blocks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ddle lateral grooves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in a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middle lateral groove is formed with a tie bar having a raised bottom surface and a bottom groove siping opening at the tie bar, the bottom trench having both ends terminated in the tie bar,
Each of the middle blocks is provided with a first middle siphin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terminating in the middle land portion, or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Only one of the second middle siphing terminating in the middle land portion is formed,
Wherein the middle block provided with the first middle ciping and the middle blocks provided with the second middle ciping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트레드부로부터 사이드월부를 지나 비드부의 비드 코어에 이르는 카커스와, 상기 트레드부의 안쪽이면서 상기 카커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벨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축방향의 외측단은 상기 한쌍의 숄더 주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터 주홈은 타이어 적도 상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1줄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들 랜드부는, 일단이 상기 센터 주홈에 연통하며 타단이 상기 숄더 주홈에 연통하는 미들 가로홈으로 구분되고,
상기 숄더 주홈과 타이어 적도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의 거리는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축방향의 반폭의 0.45 ~ 0.70배인 것인 공기 타이어.
The ti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rcass extending from the tread portion to the bead core of the bead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idewall portion; and a belt layer disposed inside the tread portion and outside the carcass,
Wherein an outer end of the belt layer in the tire axial direction is located on an outer side in the tir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houlder main grooves,
Wherein the center main groove has a single line extending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tire equator,
Wherein the middle land portion is divided into a middle horizontal groove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main groov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houlder main groove,
And a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groove and the tire equato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s 0.45 to 0.70 times the half-width of the belt lay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는 폴리에스테르 코드로 이루어지는 2장 이상의 카커스 플라이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층은 스틸 코드로 이루어지는 2장 이상의 벨트 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인 공기 타이어.
3. The ti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rcass comprises two or more carcass ply made of polyester cords,
Wherein the belt layer comprises two or more belt ply made of steel cord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주홈은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보다 홈폭이 큰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인 공기 타이어.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nter main groove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larger groove width than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들 사이핑은 상기 제1 미들 사이핑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단보다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서 종단하는 것인 공기 타이어.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cond middle siphing is terminated inside the tire axial direction more than the axially outer end of the first middle siph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랜드부에는, 타이어 축방향 외측단이 트레드 접지단에서 개구하는 외측 숄더 사이핑이 형성되는 것인 공기 타이어.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houlder land portion is formed with an outer shoulder siping, the axially outer end of which opens at the tread ground end. 삭제delete
KR1020130092471A 2013-01-24 2013-08-05 Pneumatic tire KR1019746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1373A JP5728035B2 (en) 2013-01-24 2013-01-24 Pneumatic tire
JPJP-P-2013-011373 2013-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47A KR20140095947A (en) 2014-08-04
KR101974661B1 true KR101974661B1 (en) 2019-05-02

Family

ID=5123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471A KR101974661B1 (en) 2013-01-24 2013-08-05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28035B2 (en)
KR (1) KR101974661B1 (en)
CN (1) CN10396356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7013B2 (en) * 2014-07-28 2019-10-30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6790443B2 (en) * 2016-05-10 2020-11-25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6980371B2 (en) * 2016-09-09 2021-12-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tire
JP6790841B2 (en) * 2017-01-10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US20190061430A1 (en) * 2017-08-30 2019-02-2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radial tire
JP7099190B2 (en) * 2018-08-30 2022-07-12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s
JP7375521B2 (en) * 2019-12-19 2023-1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110A (en) * 2006-08-31 2008-03-13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2010254246A (en) * 2009-04-28 2010-11-11 Sumitomo Rubber Ind Ltd Radial tire for heavy load
JP2012228981A (en) * 2011-04-27 2012-11-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119B2 (en) * 2002-12-03 2009-08-05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4388309B2 (en) * 2003-05-30 2009-1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Heavy duty tire
JP4950491B2 (en) 2005-12-29 2012-06-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Heavy duty tire
JP4881697B2 (en) * 2006-11-08 2012-0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Pneumatic tire
JP4705684B2 (en) * 2009-02-06 2011-06-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Heavy duty tire
JP5438609B2 (en) * 2010-07-07 2014-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tire
JP4905599B1 (en) * 2011-04-27 2012-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110A (en) * 2006-08-31 2008-03-13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2010254246A (en) * 2009-04-28 2010-11-11 Sumitomo Rubber Ind Ltd Radial tire for heavy load
JP2012228981A (en) * 2011-04-27 2012-11-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63569B (en) 2017-03-01
JP2014141189A (en) 2014-08-07
CN103963569A (en) 2014-08-06
JP5728035B2 (en) 2015-06-03
KR20140095947A (en)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661B1 (en) Pneumatic tire
EP3069900B1 (en) Heavy duty tire
US9802443B2 (en) Pneumatic tire
EP3715149B1 (en) Heavy-duty tire
JP5727965B2 (en) Pneumatic tire
AU2015329071B2 (en) Pneumatic tire
JP5915505B2 (en) Pneumatic tire
EP3202596B1 (en) Run-flat tire
US10471778B2 (en) Pneumatic tire
JP5768909B1 (en) Pneumatic tire
EP1440822A1 (en) Pneumatic tire
KR20140138766A (en) Pneumatic tire
US9796216B2 (en) Heavy duty tire
US10173476B2 (en) Pneumatic tire
JP5886798B2 (en) Heavy duty tire
JP4618385B2 (en) Pneumatic tire
CN112566792A (en) Pneumatic tire
CN111741857A (en) Pneumatic tire
JP6848413B2 (en) Pneumatic tires
JP4687342B2 (en) Pneumatic tire
JP2016159852A (en) Pneumatic tire
EP3028874B1 (en) Motorcycle tire
JP2022056696A (en) tire
JP2019189087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