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46B1 -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46B1
KR101974346B1 KR1020180136576A KR20180136576A KR101974346B1 KR 101974346 B1 KR101974346 B1 KR 101974346B1 KR 1020180136576 A KR1020180136576 A KR 1020180136576A KR 20180136576 A KR20180136576 A KR 20180136576A KR 101974346 B1 KR101974346 B1 KR 10197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ber
panel
cross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현
Original Assignee
한국내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내진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한국내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13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08J5/04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7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mixed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은 (A) 보강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에폭시계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C) 무기계 불연재 30 내지 50 중량부; (D) 유기계 불연재 10 내지 30 중량부; 및 (E) 실란계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Incombustible FRP Panel for Concrete Maintenance and Composition for the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불연성을 가지면서도 압축강도나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강용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및 그 제조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적 또는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자체의 물성이 변화되면서 균열이나 부식, 처짐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패널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 공법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강 패널을 이용한 보강 공법은 보강 패널에 요구되는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화재에 대비하여 난연성 또는 불연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90038호에서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한 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발포 스타이렌 패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포 스타이렌 패널은 경량의 패널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나 내수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압축강도나 인장강도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될 정도로 보장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667336호는 할로겐계 유기 난연제를 복합 수지와 함께 성형하여 제조된 난연 패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난연 패널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할로겐계 난연제는 연소가 될 때 부식성 가스나 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828630호에서는 난연성 알루미늄 패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에서는 폴리에틸렌과 흐름성의 물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난연성 필러를 혼합시킨 난연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패널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난연성 필러의 내구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보강 패널이 충격에 약해지므로 보강 패널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강화 패널에 불연성을 부여하면서도 압축강도와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섬유강화 패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을 갖는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은 (A) 보강 섬유재, (B) 에폭시계 수지, (C) 무기계 불연재, (D) 유기계 불연재 및 (E)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보강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B) 에폭시계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상기 (C) 무기계 불연재 30 내지 50 중량부;
상기 (D) 유기계 불연재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E) 실란계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부;
로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섬유재(A)는 유리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유리섬유에 현무암섬유나 탄소섬유 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D) 유기계 불연재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코어 물질에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미립자, 가교 폴리우레탄 고분자 미립자, 폴리우레아계 가교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체, 및 멜라민 가교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구상입자가 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로 제조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불연성을 가지면서도 압축강도,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불연성 보강 패널로 적용되기 때문에 화재의 전이를 지연시켜 초기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각종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은 (A) 보강 섬유재, (B) 에폭시계 수지, (C) 무기계 불연재, (D) 유기계 불연재 및 (E)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보강 섬유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은 보강 섬유재(A)와 다른 주요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보강 섬유재(A)는 유리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유리섬유에 현무암섬유나 탄소섬유 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현무암섬유는 유리섬유와 화학적 성질이 서로 유사하다. 즉, 유리와 현무암 모두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결정성 소재이다.
유리섬유를 현무암섬유나 탄소섬유와 혼합하여 보강 섬유재(A)로 사용하는 경우 유리섬유 80 내지 90 중량%, 및 현무암섬유 단독 또는 현무암섬유와 탄소섬유의 혼합물 10 내지 20 중량%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보강 섬유재(A)는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보강 패널의 제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보강 섬유재(A)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들을 혼합한다.
(B) 에폭시계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의 에폭시계 수지(B)는 유리 섬유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그에 따라 보강 패널을 위한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및 물리적 물성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계 수지(B)로 표면 개질된 유리 섬유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및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등의 물리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계 수지(B)의 대표적인 예로 에폭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스테르, 아릴 글리시딜에스테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모노옥사이드,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시딜 아민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A형의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F형의 에폭시 화합물, 크레졸노블락형의 에폭시 화합물, 페놀노블락형의 에폭시 화합물, 사이클로아리파틱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에폭시계 수지(B) 중에서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계 수지(B)는 보강 섬유재(A)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20 중량부로 사용한다. 8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필요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없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강 섬유재(A)나 다른 불연재의 불연 성능을 저하킬 수 있다.
(C) 무기계 불연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계 불연재(C)는 분말상태의 현무암, 규회석, 또는 탈크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분말상태의 현무암은 현무암을 가루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되, 평균 입자 크기가 0.1 내지 0.3 mm 의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규회석은 상기 규회석은 칼슘(calcium) 계열의 미네랄(mineral)이며, 백색의 침상형 광물로, 분자구조가 CaSiO 이며,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다. 규회석은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고온에서 열안정성을 높인다. 탈크는 천연 암석인 활석에서 채취하는 섬유성 무기물이다. 연소시 수축율이 낮은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계 불연제(C)는 압축강도나 인장강도 등의 물성의 저하 없이, 내열성, 불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무기계 불연제(C)는 상기 보강 섬유재(A)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한다. 3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지에 불연성을 충분히 부여하지 못할 수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강 패널의 취성이 증가될 수 있다.
(D) 유기계 불연재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의 유기계 불연재(D)는 금속 수산화물을 코어(core) 물질로, 고분자 입자를 쉘(shell) 물질로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얻은 입자상의 물질이다. 즉, 본 발명의 유기계 불연재(D)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금속수산화물-유기 고분자의 복합 입자로 수지 조성물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금속 수산화물의 예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단독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코어 물질로 사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금속 수산화물을 입자화하기 위한 마이크로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미립자, 가교 폴리우레탄 고분자 미립자, 폴리우레아계 가교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체, 또는 멜라민 가교체 중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구상입자를 쉘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유기계 불연재(D)는 그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200 ㎛의 범위를 가지는데, 평균 입경이 100 ㎛ 미만인 경우 충분한 인장 강도를 얻기 어려우며, 200 ㎛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압축강도의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계 불연재(D)는 보강 섬유재(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한다.
(E) 실란계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의 실란계 화합물(E)은 일부 무기계 불연재의 입자 구조에 자기조립 박막층을 형성하여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특히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인장 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조립 유기화합물의 예로는 3-아미노트리에톡시실란(3-aminotriethoxysilane),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trimethoxylane), 헥사메틸다이실라젠(hexamethyldisilazane),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tridecafluoro-1,1,2,2-tetrahydrooctyl-1-trichlorosilane) 및 이들 중 최소한 2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기조립 특성을 갖는 유기물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서 유기 실란계 화합물(E)은 보강 섬유재(A)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한다.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인장 강도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F)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방염제, 내후제, 점착제, 윤활제, 착색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보강 섬유재(A) 및 기타 성분을 수조에서 수지 용액에 함침시키면서 금형 내에서 패널의 형상을 제조하되, 가열을 통해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 인발 성형 공정에 의해 스트립 형태로 보강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보강 섬유재(A)로 시중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유리섬유(한국 KCC사 제조)를 사용하였고, 에폭시계 수지(B)로 비스페놀 F형의 에폭시 화합물과 크레졸노블락형의 에폭시 화합물을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무기계 불연재(C)로 현무암을 평균 입경 0.2 mm 이하로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D) 유기계 불연재로 수산화 마그네슘을 코어로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체로 쉘을 형성하여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의 평균 입경은 120 내지 180 ㎛ 였다. 실란계 화합물(E)은 자기 조립성 유기 고분자 화합물인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Sigma-Aldrich사, 제품번호 104817)과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EVONIK사, 제품명 Dynasylan® AMEO)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표 1]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함량 (단위: g)
Figure 112018110935901-pat0000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따라 액상으로 혼합된 수지 조성물을 가지고 금형에 투입하여 보강 섬유재(A)를 인발하여 금형에서 압축하는 방식으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패널 시편을 각 시험항목에 맞는 크기와 두께로 재단하여 표 2에 따른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따라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시편을 가지고 KSM ISO 527-4-'02에 따라 압축강도를 측정하였고, 인장강도는 KSM ISO 14125-0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파단신율과 탄성계수는 KS M 300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불연성 시험은 KS F ISO 1182:2004의 방법에 따라 질량감소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시험 결과
Figure 112018110935901-pat00002
위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은 콘크리트 보강 패널로서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 등의 물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불연 패널로서의 각종 물성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A) 보강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에폭시계 수지 80 내지 120 중량부;
    (C) 무기계 불연재 30 내지 50 중량부;
    (D) 유기계 불연재 10 내지 30 중량부; 및
    (E) 실란계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부;
    로 포함하되,
    상기 보강 섬유재(A)는 유리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유리섬유에 현무암섬유나 탄소섬유 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D) 유기계 불연재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코어 물질에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 미립자, 가교 폴리우레탄 고분자 미립자, 폴리우레아계 가교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가교체, 및 멜라민 가교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구상입자가 쉘 형태로 적용되며,
    상기 (E) 실란계 화합물은 자기조립 특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로 3-아미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헥사메틸다이실라젠, 트리데카플루로오-1,1,2,2-테트라하이드로옥틸-1-트리클로로실란 또는 이들 중 최소한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따른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로 제조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KR1020180136576A 2018-11-08 2018-11-08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KR10197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76A KR101974346B1 (ko) 2018-11-08 2018-11-08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76A KR101974346B1 (ko) 2018-11-08 2018-11-08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46B1 true KR101974346B1 (ko) 2019-05-03

Family

ID=6658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576A KR101974346B1 (ko) 2018-11-08 2018-11-08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10B1 (ko) * 2021-02-01 2021-05-25 주식회사 서문기술 구조물 보강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16B1 (ko) * 2008-06-26 2010-11-26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수산화마그네슘-멜라민 복합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제조성물
KR101667336B1 (ko) * 2016-05-11 2016-10-18 박성하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720487B1 (ko) * 2016-10-04 2017-03-28 주식회사 다인건설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16B1 (ko) * 2008-06-26 2010-11-26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수산화마그네슘-멜라민 복합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제조성물
KR101667336B1 (ko) * 2016-05-11 2016-10-18 박성하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720487B1 (ko) * 2016-10-04 2017-03-28 주식회사 다인건설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810B1 (ko) * 2021-02-01 2021-05-25 주식회사 서문기술 구조물 보강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issou et al. Polymer composite materials: A comprehensive review
CA2014012C (en) Filled polymeric blend
CN101139462A (zh) 一种碳纤维增强无卤阻燃尼龙66及其制备方法
EP0198648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02532688A (zh) 一种高强、高韧、阻燃聚丙烯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7079857A1 (zh) 隔音复合材料
Mousa The Effects of Content and Surface Modification of Fill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elective Laser Sintered Polyamide12 Composites.
KR101974346B1 (ko)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EP3615292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s
Jiang et al. The effects of surface modification of ground calcium carbonate powdery fillers on the properties of PVC
Liang et al. Impact fracture behavior of PP/EPDM/glass bead ternary composites
Friedrich et al. Discontinuous basalt fiber-reinforced hybrid composites
Dharmalingam et al. Mechanical, wear, and flammability properties of silanized cow dung biosilica-dispersed corn husk Fiber-reinforced epoxy composites
KR20170115376A (ko) 난연 고강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보강패널
JPH10306203A (ja) 無機材料を含有する樹脂成形体および樹脂組成物
CN107915979B (zh)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RU264488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гне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Nguyen Mechanical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of Exoxy Epikote 240/epoxidized linseed oil composites using Fiber-Glass
US4146524A (en)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1986583B1 (ko) 기능성 선박 갑판 피복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N106751713A (zh) 一种阻燃型碳纤维增强的聚酮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Zilles Wollastonites 11
KR101297447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발포체 제조방법 및 그 발포체
CN109705536B (zh) 一种复合降低冲击声传输材料及其制备工艺
Wongwuttanasatian et al. Valorization of MSW incinerator fly ash for epoxy-based composite for interior light partition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