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487B1 -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487B1
KR101720487B1 KR1020160127608A KR20160127608A KR101720487B1 KR 101720487 B1 KR101720487 B1 KR 101720487B1 KR 1020160127608 A KR1020160127608 A KR 1020160127608A KR 20160127608 A KR20160127608 A KR 20160127608A KR 101720487 B1 KR101720487 B1 KR 10172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poxy resin
fiber
frp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훈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건설
다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인리코
문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건설, 다인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인리코, 문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건설
Priority to KR102016012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fibrous material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3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7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mixed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04B2111/723Repairing reinforc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내화성 및 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수 및/또는 보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Eco-Friendly FRP Pane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s using Thereof and Concrete Structure Maintenan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따른 보수 보강시 페놀 등과 같이 독성을 지닌 방향족 화합물의 사용 없이 패널 조성물을 구성하면서도 원하는 패널의 강도와 부착력 및 난연성을 갖도록 한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구조물(예컨대, 교량, 옹벽, 터널, 일반 아파트나, 건물의 지하주차장, 주택이나 건물 벽 등)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외적인 요인(충격, 화학물질, 해수 등)이나 자체의 물성변형으로 인해 균열, 부식 및 박리, 이로 인한 철근부위 노출, 백화, 처짐 현상 등이 발생되고 있는데, 특히 이렇게 진행되는 균열 부위 등은 붕괴와 같은 최악의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 보강 패널에 의한 보강작업을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은 내력 저하를 회복시키는 것과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조 내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먼저 균열된 구조물(구조체)의 보수, 보강을 위해서는 사전에 구조물을 조사하여 내력저하 원인을 파악한 후, 그 원인을 충분히 보완함에 적합한 보강공법을 결정해야만 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은 구조물을 사용목적에 맞게 다시 만든다는 측면에서 정밀하게 다룰 필요가 있으며, 보강 후의 거동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구조물을 보강할 경우 균열의 원인, 하중, 필요한 내력보강의 범위와 규모, 환경조건, 경제성,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계획한 보강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보강방법, 보강시기 및 보강재료를 선정하고 단면 및 부재를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 보강 설계시 구조물의 변경, 추가 장기 하중, 보강시의 시공하중 등을 고려하여 안정성을 꼭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구조물 표면의 박리 또는 초기 결함이나 균열의 발생은 열화 요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열화의 진행을 촉진시키므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 확보를 위해서는 열화 초기에 보수/보강을 실시하여 더 이상의 열화진행을 억제하고,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열화, 강재의 부식, 기타의 원인에 의해 구조물 단면의 박리나 탈락 등의 열화 인자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부분을 제거한 후 단면을 원래의 성능 및 형태로 복원하기 위해 단면 복구 재료를 충진하거나 뿜칠 시공을 하여 보수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단면 복구를 위한 보수 보강재는 주로 시멘트계 모르타르나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보수 보강재는 기존 구조물의 열화를 억제하고 현재 이상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강도를 높이거나 최초 시공시 부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대부분이므로 시공 후 얼마 되지 않아 표면이 다시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보수/보강 공사를 자주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01355호에는 강판(또는 섬유보강판재)을 이용하여 앵커 등으로 인장력을 받는 단면에 부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 보강을 실시하는 기술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강판을 앵커로 부착하는 방법의 경우는 강판의 무게가 많이 나가 다루기 어렵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판이 부식되어 지지력이 약화됨으로써 효과가 지속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보수/보강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5919호에서는 인장력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내에 일정한 깊이와 길이를 갖는 수평홈부와 그 양측에 형성된 수직홈부를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보수/보강재로서 섬유재 로프를 설치하고 로프의 외부에 고강도 모르타르나 에폭시로 일정한 두께로 마감하여 콘크리트 외부 단면과 같게 마감한 다음, 상기 수직 및 수평홈부 내에 복수개의 주입관을 설치하고 그 주입관 내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완전히 충전시키고 에폭시가 고화되면서 섬유재 로프를 긴장시켜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이 긴장되도록 함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보수/보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페놀 등과 같이 독성을 지닌 방향족 화합물의 사용 없이 내화성 및 강도 등을 향상시킨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현무암 섬유, 유리섬유, 바졸트 섬유, 천연섬유, 카본섬유, 합성섬유, 비닐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가 적어도 둘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모양의 패널 형태로 금형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
상기 금형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의 복합섬유를 얇게 적층시키는 섬유층 형성단계;
상기 섬유층의 상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도포하는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15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가 종료된 후 경화된 경화물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를 도포한 후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및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를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및
상기 함침단계가 종료된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 대상표면을 깨끗하게 표면처리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널을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단계가 종료된 패널의 외부 표면에 표면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내화성 및 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수 및/또는 보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원하는 모양의 패널 형태로 금형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 상기 금형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의 복합섬유를 얇게 적층시키는 섬유층 형성단계; 상기 섬유층의 상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도포하는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15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가 종료된 후 경화된 경화물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를 도포한 후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및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를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및 상기 함침단계가 종료된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 대상표면을 깨끗하게 표면처리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널을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단계가 종료된 패널의 외부 표면에 표면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은 보수 및/또는 보강이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체 등에 적용되어 내화성, 접착성 및 보강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수지는 내열성, 난연성, 접착성, 불연성, 저발연성 등의 특성이 있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FRP 모재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페놀과 포르마린 조건하에서 축합하여 합성시킨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중(25℃)이 1.2 내지 1.3이고, 점도는 8,000 내지 10,000㎲, 겔화시간은 100 내지 120(150℃/sec), 불휘발성은 60 내지 75%, pH 7.5 내지 8.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의 에폭시 수지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FRP 패널 조성물에 포함되어 강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FRP 패널이 소정 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복합섬유로는 현무암 섬유, 유리섬유, 바졸트 섬유, 천연섬유, 카본섬유, 합성섬유, 비닐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두 개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현무암 섬유와 유리섬유가 3:7 내지 7:3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현무암 섬유와 유리섬유가 약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FRP 패널 조성물에 혼합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패널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성물이 함침되어 FRP 패널이 소정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섬유는 얇게 펴진 형태 또는 격자방식으로 직조된 직조섬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얇게 펴진 형태의 섬유는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상기 직조섬유는 위사와 경사방향의 섬유가 상하 맞물려서 직조되어 추후 늘어짐이나 올이 풀리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조섬유에 사용되는 원사의 두께는 적어도 10㎛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마디의 두께도 5mm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직조하며, 직조 후 직물의 두께는 0.345 내지 0.38mm로 경량화된 고강도 직조섬유를 형성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특정적으로 복합섬유는 10 내지 25mm를 갖도록 격자로 직조한 섬유 메쉬망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FRP 패널 조성물의 균열방지 및 인성증대를 위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의 폴리아라미드 섬유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라미드 섬유 보강재는 폴리아라미드(나일론 6), 폴리아라미드(나일론66), 및 아라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산제가 코팅된 아라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아라미드는 비교적 우수한 불활성 물질이며, 강염기를 포함한 다양한 유/무기 물질에 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분산제가 코팅된 아라미드(aramid)는 인장력, 내마모성, 내구성 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서, 이를 FRP 패널 조성물에 혼입하게 되면, 앞서와 같은 아라미드 고유의 특성을 FRP 패널 조성물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아라미드는 낮은 열전도도 특성 때문에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라미드는 실의 형태로 뽑아 직물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필라멘트 형태, 분말형태로 형성하여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펄프형태, 실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정함은 물론 다른 성질의 실과 혼방하여 사용하기 위해 약한 분쇄가공을 한 스테플 형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라미드는 단일 형상을 갖는 것이며, 그 길이는 1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mm이며, 단면의 직경 또는 두께는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이다. 상기 아라미드의 길이 및 직경 또는 두께는 목적하는 불연패널의 품질, 내구 성능과 인장강도, 휨강도 및 인성 등에 따라 최적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단일 형상을 유지하는 단일 길이 및 단일 직경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라미드에서 단일 형상이라 함은 길이 또는 직경 중 어느 하나라도 상이한 섬유가 혼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불연패널 내의 분산성 측면에서 단일 길이 및 단일 직경의 단일 형상을 갖는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라미드는 5mm의 게이지 길이(gauge length)로 측정한 강도가 8.5g/d 이상, 바람직하게는 9.5g/d이상이고, 5mm의 게이지 길이로 측정한 신도가 60 내지 135%,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15%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라미드의 강도 및 신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FRP 패널의 균열저항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다.
상기 아라미드는 상대점도(RV)가 2.9 이상, 바람직하게는 3.2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아라미드의 상대점도(RV)가 상기 범위 보다 낮으면 섬유자체의 강도 및 내마모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라미드는 섬도가 1 내지 10데니어,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데니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도가 1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의 표면적이 증가해서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장점은 있으나, 섬유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고 불연패널 내 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섬도가 10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연패널 단위면적당 섬유 개수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불연패널에서 취약부가 형성될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라미드는 섬유 표면에 에스테르계 윤활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을 통해 불연패널 내 분산성과 각 조성물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아라미드의 분산성과 결합력의 개선효과를 고려하면, 상기 코팅액의 코팅량은 아라미드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3중량%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수 보강시 접착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우수한 바인더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현저히 개선한다.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10 내지 1,000cps인 저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49 내지 70중량%와, 점도가 2,000 내지 20,000cps인 고점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혼합물에 SIS(stylene isoprene stylene), SBR(stylene butadiene rubber), SBS(stylene butadiene st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SIS, SBR 및/또는 SBS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 저하로 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점도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FRP 패널 조성물의 접착성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단량체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단량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Da인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FRP 패널 조성물의 양생 중에 FRP 패널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방지제는 FRP 패널 조성물의 소성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하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제의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FRP 패널을 제조할 경우 다른 구성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규사는 FRP 패널 조성물의 부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규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규사2호, 규사3호 또는 규사6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물유리계 폼 비트는 고점성의 액체로 상기 FRP 패널 조성물에 포함되어 내화성 및 접착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유리계 폼 비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물유리계 폼 비트는 전체 물유리계 폼 비트 100중량% 기준으로,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물유리계 폼 비트를 구성하는 물유리는 나트륨, 실리카로 구성되고, 산화칼슘(CaO)은 반응촉진제로 작용하며, 설탕은 반응지연제로 작용하여 열발생을 억제하고, 마그네슘 및 철은 촉매로서 작용하고, 중탄산나트륨은 발포작용을 돕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은 무기바인더의 유연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바람직한 물유리계 폼 비트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팽윤성 물질은 수분에 의해 팽창하는 흡수성 물질로서, 통상적인 수팽윤성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다당류와 폴리아민을 반응시켜 겔화된 것, 스멕타이트속의 층 형상 규산염 광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사포나이트(s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팽윤성 물질의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Redispersible Polymer Powder)은 FRP 패널 조성물 내부에 필름을 형성하여 휨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며, 보수성이 개선되어 중성화, 염화물 이온 침투, 동결융해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은 에틸렌 초산 비닐(EVA) 또는 초산비닐/비닐바사테이트(Va/VeoVa)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겉보기 비중은 475±g/l, 입도는 max,2%>400㎛이고, 물에 재분산 시 0.3 내지 9㎛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며,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제는 FRP 패널 조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부착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부착제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착증진제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부착증진제는 아크릴 포스페이트계 부착 증진제,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제는 FRP 패널 조성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실란실리케이트는 FRP 패널 조성물의 내크랙성, 내수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또는 내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변성실란실리케이트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은 가교역할을 하면서 유기??무기 중합 반응성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및/또는 콘크리트 등의 기질에 대한 코팅제의 점착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은 실리케이트와 실란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케이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실리케이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실리케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리튬실리케이트, 순수포타슘실리케이트, 전처리된 포타슘실리케이트, 합성실리케이트(리튬, 소디윰, 포타슘), 콜로이드실리카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란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란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실란, 비닐실란, 에폭시 실란, 메타크릴실란, 유황, 알킬실란, 페닐실란, 클로로실란 중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노르말헥실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에칠아미노프로필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벤질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틸디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실리케이트 및 실란을 서로 혼합하여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실리케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케이트에 실란 0.1 내지 2중량부를 95 내지 110℃의 온도범위에서 희석하여 200 내지 4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자체 중량이 커져서 작업장에서의 제품 운반시 애로가 발생할 수 있고, 시공시 제품의 자중에 의한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0중량부의 경량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량재는 아크릴계 유기 경량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추천하기로는 소량의 사용으로도 그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유해물질 발생이 거의 없는 약 0.1㎛의 미세한 피막두께를 갖는 완전 폐기공의 아크릴계 경량재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유기 경량재는 유기물로 인해 난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기계 경량재인 시라스발룬, 펄라이트 또는 질석 등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FRP 패널 조성물과 금형 또는 몰드 사이에 이형효과를 제공하여 생선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6중량부의 이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이형제로는 스테아린산 아연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FRP 패널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축강도 및 휨 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부의 알루미나 시멘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시멘트는 칼시아(CaCO3) 분말 및 알루미나(Al2O3) 분말을 1:1의 몰비로 정량하여 일정량의 원료 배치(batch)를 제조한 후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혼합된 원료들을 몰리브덴실리케이트(MoSi2)로 제조된 로(furnace) 내에서 열처리하여 소결시키며, 소결이 완료된 물질을 소정 크기를 갖는 입자들로 분쇄하여 알루미나 시멘트 분말을 형성한다.
여기서, 균일한 크기를 갖는 입자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어도 1회 이상의 분쇄 공정을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소결물들을 수백 ㎛ 이하의 입자들로 조분쇄한 후 소결 및 분쇄 공정을 반복하여 평균 입경 5㎛ 이하의 입자들로 미분쇄한다. 평균입자가 5㎛ 이상일 경우 물과 혼합시 균일한 혼합이 어려우며, 작업성 및 흐름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므로 평균 입자 5㎛ 이하의 미세분말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컨대, 소결물들을 알루미나 유발 내에서 250㎛ 이하의 입자들로 조분쇄한 후 소결 및 분쇄 공정을 3회 반복하여 평균 입경이 3.5㎛ 정도인 입자들로 미분쇄한다. 이때, 균일하게 분쇄된 알루미나 시멘트 분말에 리튬플루오라이드와 말레산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리튬플루오라이드와 말레산은 순도 99.9% 이상의 고순도 시약을 사용하고, 말레산은 증류수에 희석시킨 후 시멘트 분말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플루오라이드의 경우 골수복용 알루미나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는 촉진제로 작용하며 말레산의 경우 수화반응 이외에 산염기 반응을 유도함으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리튬플루오라이드 및 말레산을 첨가하면 알루미나 시멘트 분말이 물과 접촉하여 수화반응 및 산염기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시멘트 분말들이 경화되어 알루미나 시멘트가 완성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FRP 패널 조성물은 치수 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5중량부의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제의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치수 안정성 및 내마모성, 칙소성(Thixotropic)의 저하를 가져와 내구성 저하를 유발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칙소 상승에 의한 작업성 저하 및 내충격성 저하 등의 영향을 유발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람직한 충진제로는 벤톤,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흡수성 폴리머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는 물을 흡수하여 흡수성 폴리머가 팽창하여 볼 베어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FRP 패널 조성물의 작업성을 좋게 해 주고, 이로 인하여 불연패널 중의 단위수량을 감소시켜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한 흡수성 폴리머는 폴리아크릴산염 및 그 유도체, 폴리에칠렌옥사이드 유도체 및 흡수성 폴리우레탄류로 이루어진 것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수축저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축저감제는 불연패널 양생체의 건조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폴리에테르계,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제조되는 FRP 패널의 경량화를 위해 발포물질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물질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발포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발포스티렌 분말, 발포펄라이트,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펄라이트는 펄라이트 원석을 분쇄 가열하여 기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건조시 팽창하며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의 폐알루미늄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폐알루미늄 분말은 알루미늄 괴를 알루미늄 용탕에서 용융한 후 용융된 알리미늄을 용탕하부의 인출구로 인출하고, 부유되는 부유물로서 일부 알루미늄 금속과 알루미늄 산화물(산화알루미니늄), 이산화규소로 구성되어고, 이중 알루미늄 성분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알루미늄 분말은 분말도 4,000cm2/g 이상의 미분말로서, 반응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폐알루미늄에 포함된 알루미늄은 칼슘과 나트륨 등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며 발포되며 팽창하며, 이러한 팽창으로 인해 조성물의 균열발생을 억제한다.
이때, 상기 폐알루미늄 분말이 고순도로 사용되는 경우 칼슘과의 반응성이 높아 팽창 특성을 제어하기 곤란한 점이 있어, 이를 고려하여 탈황석고를 사용하여 폐알루미늄 분말의 반응속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에 포함된 폐알루미늄 분말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0.5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폐알루미늄 분말의 사용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팽창성이 낮아 균열방지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없고, 5중량부 이상이면 급격히 반응하여 팽창성을 제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폐알루미늄 분말의 팽창성을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부의 석고, 바람직하게는 탈황석고를 폐알루미늄 분말과 함께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탈황석고는 유동층 연소 보일러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유연탄 또는 무연탄) 또는 페트로코크스에 포함된 황 화합물의 대기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탈황제로 사용되는 석회석 분말 또는 입자가 고온에서 열분해(탈탄산)되어 생성되는 생석회와 연료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90중량부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제로는 파라 톨루엔 설포닉산[PTSA(Para Toluene Solfonic Acid)], 페놀술폰산, t-부틸페록식 벤조에이트(tert-Butylperoxy benzoate, TBPB), 무수프탈산(Phthalic acid anhydride), 방향족 폴리아민, 비스-(4-t -부틸사이클로헥산)페록시디카보네이트, 폴리메르캅탄(Polymercapta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수축보상, 고강도, 예를 들면 높은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초속경을 부여하기 위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감소하고 30중량부 이상인 경우 체적이 팽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물과 접촉할 경우 순식간에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Ettringite)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패널 조성물의 압축강도를 수분 내지 수 시간 안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다 신속한 수화반응을 위해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화반응성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초미립 비정질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블레인 분말도는 5,000 내지 8,000㎠/g 정도인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28 내지 62중량%인 압연종말슬러지와, 19 내지 52중량%인 백운석슬러지와, 9 내지 20중량%인 부산석고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혼합물의 입도가 88㎛, 잔분이 5 내지 20중량%로 분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소성로에서 1,000 내지 1,300℃의 소성온도로 1시간 이상 유지한 후 공냉시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소성온도가 낮거나, 백운석슬러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미반응 석회의 양이 많아져 팽창성을 나타내므로 붕괴, 파괴의 염려가 있으며, 소성온도가 높거나 석회석 배합량이 적어도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생산이 적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은 점도증진 및 부착력 강화를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의 알긴산 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소수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점도가 상승되어 좋지 않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C6H8O6)n으로 표시되는 다당류의 하나로서 카르복실기를지 가지고 있으며, 다시마류를 소다회 처리하여 만들 수 있는데, 알긴산 나트륨 자체에 점성을 갖고 있어 이를 패널조성물에 혼입되면 점도증진 및 부착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성물은 점도 조절 및 강도증진을 위하여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양이 과다하여 패널조성물의 물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성물은 조성물의 내부에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여, 휨, 인장 및 부착강도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폴리머 필름막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량이 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알루민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루민산 칼슘은 조성물에 포함되면 팽창성을 띠게 되어 건초수축을 방지하게 되는데, 사용량이 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작업성을 저하 시킬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성물은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플루오린화 나트륨은 1차적으로 충진제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2차적으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성물은 조성물의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폭시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크릴니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량이 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하 시킬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보수보강을 위하여 패널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FRP 패널 조성물을 이용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그 일례를 설명한다. 한 가지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제조방법은 원하는 모양의 패널 형태로 금형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
상기 금형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의 복합섬유를 얇게 적층시키는 섬유층 형성단계;
상기 섬유층의 상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도포하는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15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가 종료된 후 경화된 경화물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를 도포한 후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및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를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및
상기 함침단계가 종료된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 제조방법은 복합섬유를 격자로 직조하여 직물섬유를 제조하는 직조단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 및 상기 직조단계로 제조된 직물섬유 50 내지 80중량부를 혼합하여 직물섬유에 각 조성물이 함침되도록 하여 직물섬유층을 제조하는 직물섬유층 제조단계;
상기 함침이 종료된 직물섬유층에 10 내지 25mm의 격자를 갖도록 섬유를 직조한 섬유 메쉬망을 적층하는 메쉬망 적층단계; 및
상기 메쉬망 적층단계가 종료된 후 40 내지 60℃ 온도범위의 밀폐공간에서 양생시키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직조단계의 직조섬유는 위사와 경사방향의 섬유가 상하 맞물려서 직조되어 추후 늘어짐이나 올이 풀리는 경우를 최소화한다.
상기 직조섬유에 사용되는 복합섬유의 원사 두께는 적어도 10㎛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마디의 두께도 5mm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직조하며, 직조 후 직물의 두께는 0.345 내지 0.38mm로 경량화된 고강도 직조섬유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메쉬망은 10 내지 25mm를 갖도록 격자로 직조된 복합섬유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FRP 패널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시공방법은 FRP 패널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FRP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보수보강용 시공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 가지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 대상표면을 깨끗하게 표면처리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널을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단계가 종료된 패널의 외부 표면에 표면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FRP 패널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또는 보강 대상표면을 깨끗하게 표면처리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상기 FRP 패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덧댄 후 앵커로 고정하는 FRP 패널 접합단계; 및
상기 FRP 패널 접합단계가 종료된 후 FRP 패널과 대상표면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FRP 패널의 시공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앵커 고정된 앵커헤드에 캡을 덮어씌운 뒤 접착제로 실링처리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 주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접착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폭시 수지 10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g,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7g, 평균입자크기가 400nm인 실리콘카바이드 분말 15g, 폴리뷰텐 5g,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5g, 규사2호 15g, 물유리계 폼 비트 15g, 몬모릴로나이트 10g, 초산비닐/비닐바사테이트 5g,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부착제 7g,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5g, 리튬 실리케이트 100g, 및 비닐트릴메톡시실란 1g을 혼합 한 뒤 97℃이상의 온도에서 300rpm의 속도로 1.5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한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5g, 및 현무암 섬유 및 유리섬유가 5:5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직조된 섬유 60g을 혼합하여 FRP 패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물유리계 폼 비트는 물유리 75.2g, 산화칼슘(CaO) 0.2g, 규소(Si) 16g, 마그네슘(Mg) 0.2g, 철(Fe) 0.2g, 중탄산나트륨 1.8g, 수산화알미늄 2g, 글리옥살 1g,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1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g, 설탕 0.8g, 및 붕산 0.6g이 혼합된 혼합물의 15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섬유 보강재로서 나일론 6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0.1㎛의 미세한 피막두께를 갖는 완전 폐기공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경량재 2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린산 아연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미나 시멘트 2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탄산칼슘 7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아크릴산염로 이루어진 흡수성 폴리머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테르계 수축저감제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발포펄라이트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폐 알루미늄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탈황석고 2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파라 톨루엔 설포닉산 7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긴산 나트륨은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렌펜타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 칼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오린화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크릴니트릴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금형의 상부에 현무암 섬유 및 유리섬유가 5:5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직조된 섬유 60g을 적층시켜 섬유층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FRP 패널 조성물을 구성하는 섬유는 15㎛의 두께를 갖는 현무암 섬유 및 유리섬유가 5:5의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를 직조하여 약 0.36mm의 두께를 갖도록 직조섬유를 사전에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섬유층이 형성된 금형에 섬유,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부착제, 규사 및 물유리계 폼 비트를 제외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그 다음, FRP 패널 조성물이 도포딘 금형을 약 160℃의 온도에서 경화시켰다.
그 다음,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부착제 7g을 경화된 FRP 패널 조성물에 도포하였다.
그 다음, 부착제 상에 규사2호 15g, 물유리계 폼 비트 15g을 함침시킨 뒤 건조한 후 금형을 제거하여 FRP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6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6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7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8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19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 조성물 대신 실시예 20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40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의 기계적 물성, 예를 들면 나연성,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화재전파 압축강도(N/mm2) 휨강도(N/mm2) 부착강도(N/mm2)
실시예 21 8≤ 50.4 16.7 7.28
실시예 22 7≤ 51.6 17.6 7.42
실시예 23 8≤ 51.1 17.1 8.63
실시예 24 8≤ 49.8 14.6 6.84
실시예 25 7≤ 48.2 16.8 6.26
실시예 26 7≤ 56.3 19.5 7.15
실시예 27 7≤ 52.8 16.1 6.97
실시예 28 8≤ 51.2 15.8 7.09
실시예 29 7≤ 52.8 16.1 7.33
실시예 30 8≤ 52.2 14.5 7.38
실시예 31 8≤ 53.5 14.8 6.99
실시예 32 8≤ 52.6 14.2 7.25
실시예 33 7≤ 52.8 16.3 7.13
실시예 34 8≤ 55.1 14.1 7.28
실시예 35 8≤ 53.3 14.9 8.03
실시예 36 8≤ 57.9 14.7 7.95
실시예 37 7≤ 52.8 14.3 7.23
실시예 38 8≤ 55.1 15.1 7.29
실시예 39 7≤ 54.5 15.9 8.02
실시예 40 8≤ 57.8 15.7 8.4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40에 따라 제조된 FRP 패널은 내화성,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좋고, 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현무암 섬유, 유리섬유, 바졸트 섬유, 천연섬유, 카본섬유, 합성섬유, 비닐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가 적어도 둘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원하는 모양의 패널 형태로 금형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
    상기 금형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80중량부의 복합섬유를 얇게 적층시키는 섬유층 형성단계;
    상기 섬유층의 상부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을 도포하는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
    상기 패널 조성물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150 내지 170℃의 온도범위에서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가 종료된 후 경화된 경화물 표면에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를 도포한 후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및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를 함침시키는 함침단계; 및
    상기 함침단계가 종료된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 제조방법.
  5.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 대상표면을 깨끗하게 표면처리 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기준으로, 복합섬유 50 내지 80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 실란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변형방지제 1 내지 1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0.1 내지 10중량부, 규사 3 내지 30중량부, 물유리 75 내지 81중량%, 산화칼슘(CaO) 0.2 내지 0.6중량%, 규소(Si) 15 내지 21중량, 마그네슘(Mg) 0.1 내지 0.3중량%, 철(Fe) 0.1 내지 0.3중량%, 중탄산나트륨 0.5 내지 5중량%, 수산화알미늄 0.5 내지 5중량%, 글리옥살 0.5 내지 3중량%,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0.5 내지 3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3 중량%, 설탕 0.5 내지 3중량%, 및 붕산 0.5 내지 3중량%로 이루어진 물유리계 폼 비트 3 내지 30중량부, 수팽윤성 물질 1 내지 20중량부, 재유화형 폴리머 분말 2 내지 15중량부, 부착제 3 내지 15중량부, 안정제 2 내지 10중량부, 및 변성실란실리케이트 합성물 2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에,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알루민산 칼슘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크릴니트릴을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FRP 패널 조성물로 이루어진 패널을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단계가 종료된 패널의 외부 표면에 표면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FRP 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60127608A 2016-10-04 2016-10-04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ctive KR10172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08A KR101720487B1 (ko) 2016-10-04 2016-10-04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08A KR101720487B1 (ko) 2016-10-04 2016-10-04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87B1 true KR101720487B1 (ko) 2017-03-28

Family

ID=5849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08A Active KR101720487B1 (ko) 2016-10-04 2016-10-04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8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412B1 (ko) *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791409B1 (ko) * 2017-06-22 2017-11-20 (주)플러스스페이스 복합소재를 이용한 전시시설용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시시설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1803338B1 (ko) * 2017-06-22 2017-12-0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frp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857070B1 (ko) 2018-01-25 2018-05-14 (주)대한하이텍건설 수중 구조물용 부식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 코팅방법
KR101959441B1 (ko) * 2018-10-05 2019-03-19 (주)대한하이텍건설 난연성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974346B1 (ko) * 2018-11-08 2019-05-03 한국내진시스템(주)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KR102144812B1 (ko) * 2019-12-12 2020-08-18 (주)우리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섬유 메쉬 보강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섬유 메쉬, 상기 섬유 메쉬와 보수 및 보강용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CN112250382A (zh) * 2020-10-19 2021-01-2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发泡混凝土及其制备方法和复合材料
KR102488083B1 (ko) * 2022-07-27 2023-01-12 원용한 무기질 반응형 규산염 수용액을 이용한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516274B1 (ko) * 2022-09-19 2023-03-30 (주)아리수엔지니어링 고강도 및 고내열성의 열경화성 수지와 산무수물 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2580232B1 (ko) * 2023-02-23 2023-09-20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단벽 구조체
KR102615592B1 (ko) * 2023-01-16 2023-12-20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강성과 탄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합성수지관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297B1 (ko) * 2015-01-08 2015-07-02 청원화학 주식회사 친환경 현무암섬유와 페놀수지를 이용한 불연 frp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534202B1 (ko) * 2015-03-03 2015-07-07 (주)유니텍보강자재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frp 불연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43558B1 (ko) * 2016-02-05 2016-07-28 (주)고려씨엔씨 복합소재를 이용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44957B1 (ko) * 2016-02-05 2016-08-03 (주)고려씨엔씨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297B1 (ko) * 2015-01-08 2015-07-02 청원화학 주식회사 친환경 현무암섬유와 페놀수지를 이용한 불연 frp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534202B1 (ko) * 2015-03-03 2015-07-07 (주)유니텍보강자재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frp 불연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43558B1 (ko) * 2016-02-05 2016-07-28 (주)고려씨엔씨 복합소재를 이용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44957B1 (ko) * 2016-02-05 2016-08-03 (주)고려씨엔씨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412B1 (ko) *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791409B1 (ko) * 2017-06-22 2017-11-20 (주)플러스스페이스 복합소재를 이용한 전시시설용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시시설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1803338B1 (ko) * 2017-06-22 2017-12-0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frp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1857070B1 (ko) 2018-01-25 2018-05-14 (주)대한하이텍건설 수중 구조물용 부식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 코팅방법
KR101959441B1 (ko) * 2018-10-05 2019-03-19 (주)대한하이텍건설 난연성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974346B1 (ko) * 2018-11-08 2019-05-03 한국내진시스템(주)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KR102144812B1 (ko) * 2019-12-12 2020-08-18 (주)우리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섬유 메쉬 보강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섬유 메쉬, 상기 섬유 메쉬와 보수 및 보강용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CN112250382A (zh) * 2020-10-19 2021-01-2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发泡混凝土及其制备方法和复合材料
KR102488083B1 (ko) * 2022-07-27 2023-01-12 원용한 무기질 반응형 규산염 수용액을 이용한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골재 콘크리트 조성물
KR102516274B1 (ko) * 2022-09-19 2023-03-30 (주)아리수엔지니어링 고강도 및 고내열성의 열경화성 수지와 산무수물 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2615592B1 (ko) * 2023-01-16 2023-12-20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강성과 탄성이 향상된 폴리에틸렌 합성수지관의 제조 방법
KR102580232B1 (ko) * 2023-02-23 2023-09-20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단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87B1 (ko) 친환경 frp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frp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534202B1 (ko)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frp 불연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534198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불연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44957B1 (ko)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734136B1 (ko)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62041B1 (ko)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구조물 보수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274310B1 (ko)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512962B1 (ko)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공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098039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2442603B1 (ko) 내구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69917B1 (ko)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6302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767576B1 (ko) 스페이스가 형성된 복합 frp 보강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254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323780B1 (ko) 서냉 슬래그 분말을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KR101643558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864293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 섬유 메쉬의 제조방법 및 보강 섬유 메쉬와 보수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22804B1 (ko) 내구성, 내화학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703227B1 (ko) 내화학성 및 내산성이 강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농수로, 하수암거 등의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777823B1 (ko) 섬유 및 에폭시수지를 혼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사형 frp앵커의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 정착시공방법
KR101959441B1 (ko) 난연성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29183B1 (ko)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파일 매입공법에서의 주면 고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일 매입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