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113B1 -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113B1
KR101974113B1 KR1020180130600A KR20180130600A KR101974113B1 KR 101974113 B1 KR101974113 B1 KR 101974113B1 KR 1020180130600 A KR1020180130600 A KR 1020180130600A KR 20180130600 A KR20180130600 A KR 20180130600A KR 101974113 B1 KR101974113 B1 KR 10197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holder
branch
branching
bran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Original Assignee
이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옥 filed Critical 이명옥
Priority to KR102018013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선측 장착부와 분기선측 장착부를 분리 구성하고 분기선측 장착부를 이동형으로 하여 분기선을 분기선측 장착부에 넣고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배전선로의 본선이 수용되는 본선측 장착부(11), 상기 본선측 장착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분기선의 상부를 덮는 분기선 커버부(12) 및 상기 분기선 커버부에 상기 분기선 커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3)을 포함하는 본선 홀더(10)와; 분기선이 수용되며 상기 본선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선 홀더(20)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선 홀더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납되는 분기선 홀더 몸체(21),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22),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선 홀더의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돌기(23)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옆으로 빼내고 상기 분기선을 상기 분기선 홀더에 수납한 후 일측으로 밀어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SPLIT CONNECTOR FOR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선측 장착부와 분기선측 장착부를 분리 구성하고 분기선측 장착부를 이동형으로 하여 분기선을 분기선측 장착부에 넣고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 시 22.9㎸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 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한 후,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하여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본 선로에서 선로를 분리하거나 본 선로에서 주상변압기로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본선과 분기선에 분기슬리브를 장착하여 두 선을 접속하게 되는데,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고 있는 분기슬리브에는 커버를 장착하여 빗물이나 조류에 의한 피해 등 외부로부터의 여러 가지 악영향들을 방지하는 한편 분기부를 절연시키고 있다.
종래 분기슬리브 분기슬리브 커버에 의해 감싸져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분기슬리브 커버는 분기슬리브가 안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양단부에 원추형태로 인출구가 형성되어 본선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인출구에서 하단부로 절개되어 양쪽으로 분할되고, 이 분할된 하단부의 양쪽에 체결턱과 체결편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체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본선의 피복을 제거하고 분기선을 접속한 상태에서 분기슬리브 커버의 분할된 하단부를 벌려 분기슬리브를 내부에 안치하고, 양측의 본선을 인출구에 끼워 인출시킨 다음, 분기선을 한쪽의 인출구로 인출한 상태에서 수 개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하며, 양측의 인출구 부위를 별도의 테이핑 작업으로 밀폐시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상부에 분기슬리브의 본선측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분기선측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슬리브의 본선측 장착홈에는 본선이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분기선측 장착홈에는 분기선이 압착 고정되어 분기 접속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슬리브의 접속체결구는 본선측 장착부와 분기선측 장착부가 일체의 고정형이기 때문에 분기선을 분기선측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686013호)은 분기슬리브에 형성된 제1접속부에 이질판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접속부를 압착 고정하고 제2접속부에는 분기선을 압착 고정하는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슬리브에 형성되는 제1접속부를 단일의 곡면으로 형성함과 함께 제1접속부의 입구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이질판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지지되는 절곡편을 형성하며, 상기 이질판의 길이는 자유단이 분기슬리브에 형성된 제1접속부의 끝단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정한 것이며, 본선과 분기선이 고정되는 부분이 일체형인 구조이다.
등록특허 제10-16860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선측 장착부와 분기선측 장착부를 분리 구성하고 분기선측 장착부를 이동형으로 하여 분기선을 분기선측 장착부에 넣고 이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도록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배전선로의 본선이 수용되는 본선측 장착부, 상기 본선측 장착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분기선의 상부를 덮는 분기선 커버부 및 상기 분기선 커버부에 상기 분기선 커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본선 홀더와; 분기선이 수용되며 상기 본선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선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선 홀더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납되는 분기선 홀더 몸체,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선 홀더의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옆으로 빼내고 상기 분기선을 상기 분기선 홀더에 수납한 후 일측으로 밀어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선 홀더는 상기 본선 홀더에 연결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에 의하면, 분기선측 장착부인 분기선 홀더를 본선 홀더의 옆으로 이동시켜 공간을 확보한 후 분기선을 쉽고 안정적인 위치에 장착하고 분기선 홀더를 본선 홀더로 이동시켜 본선과 분기선을 접속하므로 접속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분기선 홀더를 제1,2몸체로 분리 구성하고 제2몸체를 제1몸체의 저부로 회전 및 반대로 제1몸체 옆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의 경우 분기선을 더욱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다른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는, 본선(1)이 수용되는 본선 홀더(10), 분기선(2)이 수용되며 본선 홀더(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선 홀더(20)로 분리 구성되며, 본선(1)과 분기선(2)의 접속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선 홀더(10)는 본선측 장착부(11)와 분기선 커버부(12) 및 레일(13)을 포함한다.
본선측 장착부(11)는 본선(1)의 둘레부를 감싸는 구조로서 본선(1)을 옆에서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둘레부의 일측이 개방되는 구조이며, 바람직하게 본선(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대략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본선측 장착부(11)는 본선(1)이 관통되는 원형 단면도 가능하다.
분기선 커버부(12)는 본선측 장착부(11)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분기선(2)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이다.
레일(13)은 분기선 홀더(20)가 본선 홀더(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분기선 커버부(12)의 양쪽 저부에 분기선 커버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더브테일(dove tail) 형태의 홈이다.
레일(13)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분기선 홀더(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벽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분기선 홀더(20)는 분기선(2)이 수용되며 본선 홀더(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선 홀더 몸체(21), 분기선 홀더 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22) 및 레일(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돌기(23)로 구성된다.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분기선(2)이 안착되도록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이다.
분기선 커버부(12)와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결합 시 원형으로 형성될 것이며, 따라서, 분기선 커버부(12)와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반드시 반원형(상하 대칭형)인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반원형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즉 분기선 홀더(20)가 본선 홀더(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분기선(2)의 둘레부 중 절반 이하만 분기선 홀더 몸체(21)에 지지되고 많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분기선(2)을 분기선 홀더 몸체(21)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스토퍼(22)는 분기선 홀더 몸체(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분기선(2)의 위치를 잡아준다.
스토퍼(22)는 도면에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반원형도 가능하고 또한 분기선 홀더 몸체(21)의 내주면에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22)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선 홀더(10)에 나머지 반원형의 벽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23)는 레일(13)에 맞춰 분기선 홀더 몸체(21)의 상부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분기선 홀더 몸체(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선 홀더(10)와 분기선 홀더(20)는 슬라이드 돌기(23)와 레일(13)만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10,20)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스토퍼(22)가 원형인 경우 스토퍼(22)의 상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본선 홀더(10)의 분기선 커버부(12)에 홈 형태의 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와 레일을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분기선 홀더(20)를 본선 홀더(10)의 옆으로 빼낸 상태에서 분기선(2)을 분기선 홀더(20)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기선(2)을 분기선 홀더 몸체(21) 위에 올려 장착한다. 이 때,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분기선(2)의 일부분을 덮고 따라서 분기선(2)의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본선 홀더(1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분기선(2)의 삽입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분기선(2)을 안정적인 위치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기선(2)을 보면서 스토퍼(22)에 닿도록 한다.
분기선(2)을 도 3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면 분기선(2)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분기선 홀더(20)의 슬라이드 돌기(23)가 본선 홀더(10)의 레일(13)을 따라 이동하며 결국 분기선 홀더(20)는 본선 홀더(10)의 저부에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본선(1)을 본선 홀더(10)의 본선측 장착부(11)에 삽입 장착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분기선(2)을 본선(1)에서 분리하는 보수가 필요한 경우, 분기선 홀더(20)를 도 3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거나 분기선(2)을 우측으로 당기면 분기선 홀더(2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본선 홀더(10)에서 분리된다.
분기선 홀더(20)가 본선 홀더(10)의 옆으로 빠지면 분기선(2)의 상부가 본선 홀더(10)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분기선(2)을 쉽게 분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분기선 홀더 몸체(21)는 스토퍼(22)를 갖는 제1몸체(21-1), 제1몸체(2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몸체(21-2)로 분할 구성되며, 제2몸체(21-2)는 제1몸체(21-1)에 힌지(24) 연결된다.
이 때, 힌지(24)는 제2몸체(21-2)의 저부에 연결되며 따라서, 제2몸체(21-2)는 힌지(24)의 반대쪽이 저부를 향해 회전하여 제1몸체(21-1)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분기선(2)을 제2몸체(21-2)에 삽입한 상태 즉 분기선(2)을 경사지게 놓은 상태에서 분기선(2)을 상부로 올릴 때 자연스럽게 제2몸체(21-2)가 제1몸체(21-1)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누름부(25)가 구성된다.
누름부(25)는 제2몸체(21-2)의 앞쪽{제1몸체(21-1)와 대향되는 부분}에 제1몸체(21-1)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힌지(24)를 중심으로 하여 제2몸체(21-2)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처럼, 분기선(2)을 제2몸체(21-2)와 누름부(25) 위에 올린 상태에서 도 4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즉, 분기선(2)을 본선(1)의 아래에 본선(1)과 평행하게 배선하기 위하여 올리게 되면 누름부(25)가 눌리게 되어 제2몸체(21-2)가 자연스럽게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몸체(21-1)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제1몸체(21-1)의 내부면에는 누름부(25)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제2몸체(21-2)가 제1몸체(21-1)의 옆에 나란하게 배열될 때 누름부(25)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누름부(25)가 적용된 경우 누름부(25)와 분기선(2)의 접촉과 제2몸체(21-2)의 자연스러운 닫힘(또는 열림)을 위하여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힌지(24)에 끼워지고 양단이 제1,2몸체(21-1,21-2)에 각각 지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또는 제1몸체(21-1)와 누름부(25) 사이에 지지되는 스프링이며, 제2몸체(21-2)를 제1몸체(21-1)의 옆에 나란하도록 탄력지지{또는 제1몸체(21-1)로부터 젖혀지도록 탄력지지}한다.
제2몸체(21-2)가 탄성부재를 통해 제1몸체(21-1)에 나란한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더라도 분기선(2)을 삽입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젖혀지기 때문에 분기선(2)의 연결 작업을 간섭하지 않는다.
제2몸체(21-2)를 제1몸체(21-1)의 옆에 나란히 한 후 분기선(2)을 밀어 제2몸체(21-2)를 제1몸체(21-1)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은 전술한 작용 설명과 동일하다.
1 : 본선, 2 : 분기선
10 : 본선 홀더, 11 : 본선측 장착부
12 : 분기선 커버부, 13 : 레일
20 : 분기선 홀더, 21 : 분기선 홀더 몸체
21-1 : 제1몸체, 21-2 : 제2몸체
22 : 스토퍼, 23 : 슬라이드 돌기
24 : 힌지, 25 : 누름부

Claims (3)

  1. 배전선로의 본선이 수용되는 본선측 장착부(11), 상기 본선측 장착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분기선의 상부를 덮는 분기선 커버부(12) 및 상기 분기선 커버부에 상기 분기선 커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3)을 포함하는 본선 홀더(10)와;
    분기선이 수용되며 상기 본선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기선 홀더(20)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선 홀더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기선이 수납되는 분기선 홀더 몸체(21),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22),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선 홀더의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돌기(23)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옆으로 빼내고 상기 분기선을 상기 분기선 홀더에 수납한 후 일측으로 밀어 상기 분기선 홀더를 상기 본선 홀더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분기선 홀더 몸체는 상기 스토퍼를 갖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상기 제1몸체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를 상기 제1몸체의 하부로 젖힌 상태에서 상기 분기선을 상기 제2몸체와 상기 누름부 위에 결합한 후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것을 통해 상기 제2몸체를 상부로 회전시켜 상기 제1몸체의 옆에 나란하게 배열하되, 상기 제1몸체는 내부면에 상기 누름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를 상기 제1몸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20180130600A 2018-10-30 2018-10-30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197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00A KR101974113B1 (ko) 2018-10-30 2018-10-30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00A KR101974113B1 (ko) 2018-10-30 2018-10-30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113B1 true KR101974113B1 (ko) 2019-04-30

Family

ID=662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600A KR101974113B1 (ko) 2018-10-30 2018-10-30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77B1 (ko) * 2022-11-30 2023-03-29 주화식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7466U (ko) * 1985-01-10 1986-07-24
US4994630A (en) * 1988-12-16 1991-02-19 Rxs Schrumpftechnik-Garnituren Gmbh Suspended lightweight cable splice enclosure sleeve
KR200257932Y1 (ko) * 2001-06-30 2001-12-24 한국전기통신공사 광케이블 보호장치
KR101686013B1 (ko)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7466U (ko) * 1985-01-10 1986-07-24
US4994630A (en) * 1988-12-16 1991-02-19 Rxs Schrumpftechnik-Garnituren Gmbh Suspended lightweight cable splice enclosure sleeve
KR200257932Y1 (ko) * 2001-06-30 2001-12-24 한국전기통신공사 광케이블 보호장치
KR101686013B1 (ko)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77B1 (ko) * 2022-11-30 2023-03-29 주화식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4037A (en) Adapter box for low voltage fixture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US7794132B2 (en) Lighting system
CN103733451B (zh) 夹持元件
MXPA03006197A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los dispositivos electricos de baja tension destinados a base de enchufe.
CN103915705A (zh) 电接线端子和其装配方法
JP2013538595A (ja) 成形レールとその中に掛止め可能な一次支持体を備えた、品物を提示するための懸架装置
US20060077110A1 (en) Antenna and method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vehicle by clipping, preferably produced by sliding
KR101974113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US2372083A (en) Equipment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480539Y1 (ko)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US8702455B1 (en) Connector assemblies and blade contact structures therefor
US8218295B1 (en) Universal meter mounting block, unitary lug, sliding lug cap and meter mounting enclosure therefor
US5469348A (en) Support for a light tube and method of use
CA1199379A (en) Skirting board structure for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energy and other similar services in civil use premises
EP0812031B1 (en) Device for the guided movement of connecting terminal screws for electrical apparatus
RU2407120C2 (ru) Механизм для настенной розетки
US7897869B2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US1965087A (en) Flush receptacle fitting for underfloor conduit systems
KR20180072094A (ko)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EP1947745A1 (en) Leaktight electrical plug for electrical ducting
US2265926A (en) Switch and outlet box
KR101019126B1 (ko)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20210155665A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MXPA98008258A (es) Sujeta-cables y aparato electrico equipado con unsujeta-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