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961B1 -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961B1
KR101972961B1 KR1020180109795A KR20180109795A KR101972961B1 KR 101972961 B1 KR101972961 B1 KR 101972961B1 KR 1020180109795 A KR1020180109795 A KR 1020180109795A KR 20180109795 A KR20180109795 A KR 20180109795A KR 101972961 B1 KR101972961 B1 KR 10197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langes
disposed
pipes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테크
Priority to KR102018010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9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nection assembly formed to provide improved s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which connects first and second pip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flanges extended in a radial direction while facing each other, comprises: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to seal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and comprising a ring-shaped body and first and second surfaces formed on the body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respectively; a pair of holders formed to be placed on surfaces opposite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asket; a clamp combined with the holders, and formed to press the holders to attach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gasket to each other; and a reinforcement structure plac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gasket, and formed to reinforce sealing by the gasket.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s made of a frame assembly exten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The frame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ed frames plac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a plurality of hollow cells each formed by the frames.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ASSEMBLY FOR CONNECTING PIPES}Assembly for pipe connection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 설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기 배관설비에서 유체의 이송에 사용되는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mbing fixture for transferring fluid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used for conveying fluid in fraudulent plumbing fixtures.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배관설비가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또는 액체인 유체를 목적한 장소 또는 장치에 공급하거나 이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관설비는 파이프들 및 상기 파이프들에 제공되는 펌프, 밸브등과 같은 부속장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장치는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반응가스를 사용하며, 이러한 반응가스를 반응 챔버에 공급하기 위해 배관설비가 반도체 제조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In general, plumbing equipment may be used to transfer the fluid. More specifically, plumbing can be made up of pipes and attachments such as pumps, valves, etc. provided to the pipes or to supply fluids that are gas or liquid to or from the desired location or device. . For example,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es various kinds of reaction gases to form a thin film on a wafer, and piping equipment may be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to supply such reaction gases to the reaction chamber.

이와 같은 배관설비는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파이프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치될 장소 또는 장치에 적합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들의 연결부는 확실하게 밀폐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이는 누출없이 안정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또한, 결함 및 파손에 대비하여, 파이프들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파이프들의 연결방식 또는 연결구조는 이러한 밀폐 및 유지보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관설비가 앞서 예로 언급된 반도체 제조장치에서 유독한 반응가스를 이송하는 경우, 파이프들의 밀폐 및 유지보수가 더욱 중요할 수 있다. Such a plumbing facility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may have an arrangement suitable for a place or a device to be installed. The connection of these pipes is firstly required to be securely sealed, which is important for the stable transport of fluid without leakage.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pipes be easily separated in preparation for defects and breakages. Therefore,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ipes needs to consider this sealing and maintenance first. In particular, when the plumbing equipment transports the toxic reaction ga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mentioned above as an example, the sealing and maintenance of the pipes may be more important.

기본적으로, 파이프들을 연결을 위해서는 용접등을 이용하는 영구적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적 결합은 낮은 비용으로 파이프들을 확실하게 밀폐되게 연결할 수는 있으나 유지보수를 위해 파이프들을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지는 못한다. 한편, 파이프들은 다양한 결합부품들의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가능한 결합은 배관설비의 유지보수에는 유리하나 영구적 결합에 비해 보다 높은 밀폐성 및 내구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Basically, permanent joining, such as welding, can be used to connect the pipes. However, this permanent coupling can reliably connect the pipes at low cost but does not allow the pipes to be easily separated for maintenance. Meanwhile, the pipes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n assembly of various coupling parts. However, such separable couplings are advantageous for the maintenance of plumbing fixtures but do not provide higher sealing and durability than permanent couplings.

따라서, 배관설비에서는, 파이프들을 보다 쉽고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며 동시에 상기 파이프들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연결구조 또는 방법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n plumbing installations, there is a need for a connecting structure or method that allows for easier and detachable connection of pipes and at the same time more securely seals the pipes.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분리되고 확실하게 밀폐되게 파이프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assembly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pipes to be separated and reliably sealed.

상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들(flange)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파이프들(pipe)을 연결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들의 연결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사이에 개재되며, 링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개스킷;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의 상기 개스킷과 접촉하는 표면들과 대향되는 표면들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홀더들(holder); 상기 한 쌍의 홀더들과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과 상기 개스킷이 서로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들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개스킷의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개스킷에 의한 밀폐를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보강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중 어느 하나상에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들(frame); 및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중공 셀(cell)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 for connecting first and second pipes, each of which includes first and second flanges facing each other and extending radially, A firs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to seal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being formed in the ring-shaped body and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respectively; A gasket configured to have second surfaces; A pair of holder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surfaces opposing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gasket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 clamp coupled to the pair of holders and configured to press the holders to bring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gaske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disposed 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gasket, the reinforcing structure configured to reinforce the sealing by the gasket, the reinforcing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The frame assembly may comprise: a plurality of frames dispos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t may provide a pipe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cells each formed by the frames.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리브는: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리브; 및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rib disposed adjacent to the frame assembly o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frame assembly. More specifically, such ribs include: a first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and configured to contac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ssembly; And a second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ame assembly.

또한,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외 몸체내에 내장되며,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부재에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앵커부재(anchor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기 앵커부재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스킷의 몸체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1 앵커부재; 및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리브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2 앵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structure may be embedded in the body outside the frame assembly, and may include an anchor member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a member disposed around it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he anchor member comprises: a first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the body of the gasket by an external pressure; And a second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the rib by an external pressure.

더 나아가, 상기 개스킷은 상기 보강구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스킷에 발생되는 크랙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gasket may include a restraint mechanism disposed adjacent th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figured to restrain the crack to prevent the growth of cracks generated in the gasket.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는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밀폐하도록 추가적으로 개스킷에 제공되는 보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이러한 보강구조에 의해 보다 강화된 밀폐를 파이프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는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컴팩트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이러한 보강구조를 이용하여 낮은 생산단가로도 강화된 밀폐를 제공하면서 개스킷의 강도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comprise a reinforcement structu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gasket to seal the pipes to which it is connected. Thus,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pipes with a tighter seal by this reinforcement structure.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s structurally stable and compactly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gasket while providing a reinforced seal even at a low production cost using this reinforcement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용이하게 서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홀더 및 클램프를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 및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이러한 홀더 및 클램프의 용이한 분리를 통해 파이들도 용이하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and seal the pipes using holders and clamps that can be easily fasten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Thus,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pies through such easy separation of the holder and clamp.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추가적인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additional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파이프들과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결합될 파이프들과 함께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파이프들과 결합된 연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 1의 "A"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의 개스킷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앵커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앵커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앵커부재가 적용된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지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구속 메커니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 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D-D 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개스킷의 보강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upled with pipe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with the pipes to be joined.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showing the connection assembly coupled with the pipes.
4 is a plan view showing a gasket of the conn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8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anchor member illustrated in FIG. 7.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anchor member of FIG. 8.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showing a reinforcing structure to which the anchor member of FIG. 9 is applied.
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straint mechanism shown in FIG. 5.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1.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5.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gasket.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Embodiments of an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ember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진다,"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nsist of,”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one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no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배관설비에서 파이프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의 원리 및 구성은 파이프가 아닌 다른 부재들의 연결 및 밀폐를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relate to an assembly configured to connect pipes in a plumbing fixture. However, the principles and configurations of these embodiments can be applied substantially the same for the connection and closure of members other than pipes.

도 1은 파이프들과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결합될 파이프들과 함께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파이프들과 결합된 연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 1의 "A"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가 다음에서 설명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upled with pipes,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invention shown with the pipes to be joined.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showing the connection assembly coupled with the pipes. With reference to these figures, an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escribed next.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이하, "연결 어셈블리")는 기본적으로 배관설비에서 두 개의 제 1 및 제 2 파이프(pipe)(10,20)사이, 정확하게는 이들의 끝단들에 배치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은 상호 연결을 위해 이들의 끝단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은 서로 마주하는 끝단들에 각각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들(flange)(11,2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플랜지(11)은 제 1 파이프(10)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제 2 플랜지(21)와 마주하는 제 1 표면(11a)와 상기 제 1 표면(11a)에 대향되는 제 2 표면(11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플랜지(21)도 제 2 파이프(20)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제 1 플랜지(11)와 마주하는 제 1 표면(21a)와 상기 제 1 표면(21a)에 대향되는 제 2 표면(21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12)에 제공되어 이들 플랜지들(11,12)을 결합시켜, 전체적으로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파이프들(10,20)의 결합을 위해 후술되는 개스킷(100), 홀더(200), 클램프(300)와 연계되는 플랜지(11,21)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 어셈블리(100-300)와 이에 의해 연결되는 파이프(10,20)도 포함하는 어셈블리, 즉 배관 어셈블리도 포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an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etween two first and second pipes 10, 20 in a plumbing installation, precisely these Disposed at the ends of and configured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2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ir ends face each other for interconnec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20 are formed at the end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21 are similarl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May be includ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lange 11 extends radially from the end of the first pipe 10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faces the first surface 11a and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second flange 21. It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11b opposite to 11a. Similarly, the second flange 21 also extends radially from the end of the second pipe 20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faces the first surface 21a and the first surface 21a facing the first flange 11. It may comprise a second surface (21b) opposite. In practice,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12 to join these flanges 11, 12, so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pipes 10, 20 as a whole.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to include the flanges 11 and 21 associated with the gasket 100, the holder 200, and the clamp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e coupling of the pipes 10 and 20. Can be.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encompass assemblies, ie piping assemblies, which also comprise such connecting assemblies 100-300 and the pipes 10 and 20 connected thereto.

이와 같은 파이프들(10,20)의 연결을 위해,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먼저 개스킷(gasket)(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100)은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21)사이에 개재되어,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의 연결부, 즉,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21)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개스킷(100)은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또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21))사이의 간극을 채우며, 이에 따라 이러한 간극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스킷(100)은 플랜지들(1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링 형상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스킷(100)은 밀폐를 위해 플랜지들(11,21)과 각각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스킷(10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시 플랜지들(11,21)사이에서 변형되면서 밀폐를 제공하도록 이들 플랜지들(11,21)에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스킷(100) 또는 이의 몸체는 제 1 플랜지(11),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표면(11a)와 마주하며 접촉하는 제 1 표면(100a)과, 상기 제 1 표면(100a)에 대향되며 제 2 플랜지(21), 정확하게 이의 제 1 표면(21a)과 접촉하는 제 2 표면(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표면들(100a,100b)과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21)사이의 밀착에 의해 제 1 및 제 2 파이프(10,20)는 밀폐될 수 있다. For the connection of such pipes 10, 20,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invention may first comprise a gasket 100. The gasket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21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20, ie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21. ) May be configured to seal. To be precise, the gasket 100 fills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20 (or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21), and thus is configured to close the gap. Can be. The gasket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s 11 and 21, that is, a ring-shaped body. In addition, the gasket 10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flanges 11 and 21 respectively for sealing. Furthermore, the gasket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us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flanges 11 and 21 to provide a seal while being deformed between the flanges 11 and 21 when pressed. More specifically, the gasket 100 or its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11, precisely the first surface 100a facing and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11a thereof, and the first surface 100a. It may comprise an opposite second flange 21, a second surface 100b which is exactly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21a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and 20 may be sealed by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00a and 100b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and 21.

한편, 개스킷(100)은 여러가지 요인들로 인해 플랜지들(11,21)과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파이프(10,20)가 확실하게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시의 정밀도 차이로 인해 개스킷(100)과 플랜지(11,21)이 표면들이 서로 균일하게 접촉할지 못할 수도 있으며, 사용중 발생되는 개스킷(100) 또는 플랜지들(11,21)의 변형 및 파손에 의해 이들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개스킷(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100a,100b)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보강구조(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제 1 표면(100a)에 제공된 보강구조(110)를 일 예로서 도시하며, 다음에서는 이러한 도 2 및 도 3의 예를 참조하여 보강구조(110)가 설명된다. Meanwhile, the gasket 100 may not be in uniform contact with the flanges 11 and 21 due to various factors,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and 20 may not be securely sealed. For example, the gasket 100 and the flanges 11 and 21 may not be uniform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precision in manufacturing, and the gasket 100 or the flanges 11 and 21 generated during use may Deformation and breakage may cause gaps between them. For this reason, the gasket 100 may include a reinforcement structure 110 provided on either one of its first and second surfaces 100a, 100b, as shown in FIGS. 2 and 3. 2 and 3 show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100a as an example, and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examples of FIGS. 2 and 3.

보강구조(110)는 기본적으로 개스킷(100)의 제 1 표면(100a)상에 형성되며 이로부터 소정길이 또는 높이로 돌출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00) 또는 이의 제 1 표면(100a)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구조(110)는 개스킷(100)의 몸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이 플랜지들(11,21)사이에 배치될 때, 보강구조(110)는 제 1 표면(100a)의 다른 부위와는 다르게, 마주하는 플랜지, 즉 제 1 플랜지(11)와 우선적으로 항상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인 밀폐가 기본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 1 표면(100a)과 제 1 플랜지(11)이 밀착되면, 보강구조(110)는 파이프(10,20) 또는 플랜지들(11,21)의 밀폐를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강구조(110)는 부분적이지만 개스킷(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므로, 개스킷(100)의 전체적인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구조(110)의 보다 세부적인 특징들은 추가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s basicall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gasket 100 and may be formed of a member protruding therefrom by a predetermined length or height.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100 or the first surface 100a thereof, as show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like the body of the gasket 100. Thus, when the gaske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11, 21,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s different from other portions of the first surface 100a, the facing flange, ie the first flange 11. First and foremost, contact can always be maintained, and thus a stable seal can be secured basically.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first flange 1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may serve to further strengthen the sealing of the pipes 10 and 20 or the flanges 11 and 21. have. Furthermore, sinc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s partially but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gasket 100, the overall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gasket 100 may be increased. More detailed features of such a reinforcement structure 110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additional drawings.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개스킷(100)은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100a,100b)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보강구조(110)에 대향되게 제 2 표면(100b)에 제공된 커버(120)를 일 예로서 도시하며 이러한 커버(120)는 도 6에도 상세하게 도시된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도 2, 도 3, 및 도 6의 예를 참조하여 커버(120)가 설명되나, 동일한 구조의 커버(120)가 제 2 표면(100b)가 아닌 제 1 표면(100a)에 보강구조(100)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보강구조(110)와 커버(120)의 조합이 제 1 및 제 2 표면(100a, 100b) 둘 다에 제공될 수도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the gasket 100 may include a cover 120 provided on either one of its first and second surfaces 100a, 100b. 2 and 3 show, by way of example, a cover 120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100b opposit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which cover 120 is also shown in detail in FIG. 6. In the following, the cov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of FIGS. 2, 3, and 6, but the cover 120 having the same structure has a reinforcing structure on the first surface 100a instead of the second surface 100b.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100. Furthermore, a combination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and the cover 120 may be provided o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00a and 100b.

커버(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00)의 몸체의 반경방향 끝단에 제공되며, 인접하는 플랜지, 즉 도면상 제 2 플랜지(21)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캐스킷(100)의 몸체의 반경방향 끝단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제공되는 다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100)의 상기 반경방향 끝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120)는 개스킷(100) 몸체의 반경방향 끝단으로부터 인접하는 플랜지, 즉 제 2 플랜지(21)를 향해 상기 개스킷(10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 1 리브(rib)(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제 1 리브(121)의 끝단으로부터 개스킷(10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0)의 제 1 리브(121)는 제 2 플랜지(21)의 반경방향 끝단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제 2 리브(122)는 개스킷(100)과 접촉하는 제 2 플랜지(21)의 제 1 표면(21a)에 대향되는 제 2 표면(21b)을 덮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120)는 개스킷(100)의 몸체와 더불어 제 2 플랜지(21)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개스킷(100)과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120)는 제 2 플랜지(21)에 씌워질 때 변형되며, 발생된 복원력에 의해 개스킷(100)의 몸체를 제 2 플랜지(21)를 향해 당겨서 이의 제 2 표면(100b)를 상기 제 2 플랜지(2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120)에 의해 개스킷(100)은 보다 확실하게 파이프들(10,2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제 2 플랜지(20)를 감쌈으로써 개스킷(100)이 제 2 플랜지, 즉, 제 2 파이프(2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The cover 120 is provided at the radial end of the body of the gasket 100, as shown, and may be configured to enclose an adjacent flange, ie a second flange 21 in the drawing. In addition, the cover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apart from the radial end of the body of the gasket 100, as shown on the other hand at the radial end of the gasket 100 It may also consist of a single member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cover 120 has a first rib extend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gasket 100 toward the adjacent flange, ie the second flange 21, from the radial end of the body of the gasket 100. rib) 121. In addition, the cover 120 may include a second rib 122 extending radially inward of the gasket 100 from an end of the first rib 121. The first rib 121 of the cover 120 is configured to cover the radial end of the second flange 21, and the second rib 122 is formed of the second flange 21 in contact with the gasket 100.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second surface 21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21a. Accordingly, the cover 120 may be configur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second flange 21 together with the body of the gasket 100. The cover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like the gasket 100. Thus, the cover 120 is deformed when it is covered by the second flange 21, and by the generated restoring force, the body of the gasket 100 is pulled toward the second flange 21 to lift the second surface 100b thereof.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lange 21. For this reason, the cover 120 allows the gasket 100 to more securely seal the pipes 10, 20. In addition, the cover 120 may wrap the second flange 20 so that the gasket 100 is firmly coupled thereto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flange, that is, the second pipe 20.

또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제 1 및 제 2 파이프들(10,20)에 장착되는 홀더(holder)(2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플랜지들(11,21) 및 이들 사이의 개스킷(100)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홀더(200)는 분할된 다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균일한 가압을 위해 플랜지(11,21)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200)는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들(10,20)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들(10,20)의 외주면상에 끼워질 수 있다. 홀더(200)는 플랜지(11,21) 및 개스킷(100)을 가압하기 위해 플랜지(11,21)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더(200)는 플랜지(11,21)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으나, 개스킷(100)에 의한 균일한 밀폐의 달성을 위해 이들 플랜지들(11,21) 둘 다를 가압하도록 플랜지들(11,21)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200)를 연결 어셈블리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홀더들(200)은 제 1 및 제 2 플랜지(11,21)의 개스킷(100)과 접촉하는 표면들(즉, 제 1 표면들(11a,21a))에 대향되는 표면들(즉, 제 2 표면들(11b,21b))상에 배치되며 이들 표면들(11b,21b)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들(11,21) 및 개스킷(100)은 한 쌍의 홀더(200)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홀더들(200)에 의해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200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pipes 10 and 20. The holder 200 is a member configured to uniformly apply pressure to the flanges 11 and 21 and the gasket 100 therebetween. The holder 2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divided members, but may be formed of a single member that is continuously formed to uniformly contact the flanges 11 and 21 for uniform pressure.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200 may include a ring-shaped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s 10 and 2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can be fit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eld (10, 20). Holder 200 may be disposed on flanges 11 and 21 to pressurize flanges 11 and 21 and gasket 100. Such a holder 200 may be placed only on either of the flanges 11, 21, but the flanges (such as to press both flanges 11, 21) to achieve uniform sealing by the gasket 100. The connection assembly may include a pair of holders 200 disposed at 11 and 21,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air of holders 200 are opposed to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gasket 100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 21 (ie, the first surfaces 11a, 21a). And (ie, second surfaces 11b, 21b) and may cover these surfaces 11b, 21b. Thus, the flanges 11, 21 and the gasket 100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olders 200 and can be evenly pressed by these holders 200.

각각의 홀더(200)는 또한, 후술되는 클램프(3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리세스(recess)(21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10)는 각각의 홀더(200)의 플랜지(11,21)와 마주하는 표면 또는 부위에 대향되는 표면 또는 부위에 배치되며, 홀더(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210)는 클램프(300)의 일부를 수용하여 클램프(300)가 홀더(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홀더(200)중 어느 하나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개스킷(100)의 커버(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자리부(seat)(22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120)가 제 2 플랜지(21)상에 배치되므로, 제 2 플랜지(21)상에 배치되는 홀더(200)에 자리부(220)가 형성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홀더(200)의 제 2 플랜지(21)와 접촉하는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자리부(220)는 커버(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커버(120)를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홀더(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리부(220)는 커버(120) 전체를 수용함으로써 홀더(120)에 의해 지나친 압력이 상기 커버(12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Each holder 200 may also include a recess 210 that is configured to engage the clamp 300 described below. The recess 210 is disposed on a surface or portion opposite to the surface or portion facing the flanges 11 and 21 of each holder 200, and may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200. . The recess 210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clamp 300 so that the clamp 300 may be stably coupled thereto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In addition, any one of the pair of holders 200 may include a seat 220 configured to receive a cover 120 of the gasket 100 disposed adjacent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second flange 21, the seat portion 220 is formed in the holder 200 disposed on the second flange 21. I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lange 21 of the holder 200. The seat 2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ver 120, and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200 to accommodate the cover 120 as a whole. Therefore, the seat portion 220 prevents excessive pressure from being applied by the holder 120 to the cover 120 by accommodating the entire cover 120,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ver 120. have.

또한, 본 발명의 연결 어셈블리는 홀더(200)상에 장착되는 클램프(30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300)는 파이프들(10,2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한 쌍의 홀더들(200) 둘 다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클램프(300)는 개스킷(100), 플랜지들(11,21) 및 홀더들(200)의 외주부들상에 배치되면서 홀더들(200)과 맞물릴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도 3을 참조하면, 클램프(300)는 제 1 블록(block)(310) 및 상기 제 1 블록(3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블록(310,320)는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30),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블록(310,320)중 어느 하나는 체결부재(330)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부재(3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블록(310,320)중 다른 하나에 가깝에 이동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330)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및 제 2 블록(310,320)중 이에 나사 결합된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 2 블록(320)은 제 1 블록(31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300)는 개스킷(100), 플랜지들(11,21) 및 홀더들(200)의 외주부들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체결부재(330)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블록(320)은 제 1 블록(31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블록(320)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300)은 제 1 및 제 2 블록들(310,320)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면서 최외각의 홀더들(200)을 조일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300)는 홀더들(200)을 가압함으로 균일하게 플랜지(11,21)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00)은 이러한 가압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플랜지(11,21)에 밀착될 수 있으며 파이프들(10,2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을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 어셈블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들(20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클램프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것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클램프(300)는 홀더(200)로부터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이프들(10,20)도 유지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amp 300 mounted on the holder 200. The clamp 300 may exten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pipes 10, 20 to be coupled to both the pair of holders 200. That is, the clamp 300 may be engaged with the holders 200 while being disposed on the gasket 100, the flanges 11 and 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holders 200.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3, the clamp 300 may include a first block 310 and a second block 32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lock 310. Can b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330 penetrating them, for example, a bol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may be screwed to the fastening member 330, and accordingly,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stening member 330. You can move close to or away from it.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330 rotates in either direc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which are screwed to it, for example, the second block 320 is far from the first block 310. Can be forklifted. In this state, the clamp 3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asket 100, the flanges 11 and 21 and the holders 200. Thereafter, when the fastening member 330 rotates in another direction, the second block 320 may be moved toward the first block 310.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block 320, the clamp 300 may tighten the outermost holders 200 while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Therefore, the clamp 300 may press the flanges 11 and 21 uniformly by pressing the holders 200. In addition, the gasket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s 11 and 21 while being deformed by such pressure, and may seal the pipes 10 and 20. In order to uniformly perform such pressing, the connection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clamps 300 coupled to the holders 200 as shown. In addition, through the opposit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300 can be simply released from the holder 200, so that the pipes 10 and 20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for maintenance.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300)는 제 1 및 제 2 블록(310,320)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protrusion)(311,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돌출부들(311,321)은 홀더들(200)의 리세스들(210)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300)는 홀더들(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홀더들(200)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300)는 제 1 블록(310)에 형성되는 리브(312)와 제 2 블록(320)에 형성되며 상기 리브(3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12)와 리세스(322)의 결합에 의해 제 1 및 제 2 블록(310,320)는 홀더(200)를 조이는 동안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며, 홀더들(200)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홀더(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내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사면(2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11)은 리세스(210)와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블록(310,320)의 홀더(200)와 맞물리는 끝단부들, 보다 정확하게는 돌출부들(311,321)은 경사면(211)에 의해 리세스(210)까지 안내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 및 가압이 수행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clamp 300 may include protrusions 311 and 321 formed a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respectively. These protrusions 311 and 321 may be inserted into and recessed in the recesses 210 of the holders 20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lamp 300 may stably press the holders 20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s 200. In addition, the clamp 300 may include a rib 312 formed in the first block 310 and a recess 322 formed in the second block 320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rib 312. . By combining the ribs 312 and the recesses 322,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may be aligned with each other while tightening the holder 200, and may stably press the holders 200. . Furthermore, each holder 20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211 formed adjacent to its inner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 3. The inclined surface 211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recess 210. Accordingly, the ends engaging with the holder 200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310 and 320, more precisely, the protrusions 311 and 321 may be guided to the recess 210 by the inclined surface 211, thereby providing a stable coupling. And pressurization may be performed.

앞서 설명된 연결 어셈블리의 각 부품들의 구성에 뒤이어,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스킷(100)의 보강구조(110)의 세부적인 구성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의 개스킷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Foll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assembly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of the gasket 100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ssociated drawings. 4 is a plan view showing a gasket of the conn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4. 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및 도 5에 점선으로 구분된 바와 같이, 보강구조(110)는 개스킷(100)의 어느 하나의 표면, 예를 들어 제 1 표면(100a)상에 배치되는 단위 프레임(frame)(111)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프레임(1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높은 구조강도를 갖는 허니컴(honeycom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프레임(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연결된 다수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프레임(111)은 그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에 해당하는 셀(cell)(112)을 상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셀(112)은 개스킷(100)의 제 1 표면(100a)에 의해 폐쇄되며, 인접하는 플랜지, 즉 제 1 플랜지(11)를 향해서는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강구조(110)는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이와 같은 단위 프레임(111)을 실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110)는 이와 같은 단위 프레임들(111)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셀들(112)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구조(110)는 실질적으로 다수개의 프레임들(111)과 셀들(112)을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 즉 실질적으로 프레임들(111)은 개스킷(10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별도로 제작되어 개스킷(100)의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들(111)은 개스킷(100)의 몸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and 5,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s a unit frame 111 disposed on any one surface of the gasket 100,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00a. It may include. The unit fram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may have a honeycomb shape having high structural strength.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nit frame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ly, the unit frame 111 may relatively form a cell 112 corresponding to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The cell 11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losed by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gasket 100 and opens toward an adjacent flange, ie, the first flange 11.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actually include a plurality of such unit frames 111 to form a sta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cells 112 formed by the unit frames 111.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be substantially a fram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 111 and cells 112. The frame assembly, ie substantially the frames 1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of the gasket 100, and on the other hand,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In addition, the frames 111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like the body of the gasket 100.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수개의 단위 프레임(111)은 서로 이격되는 대신에, 컴팩트한 구조를 갖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프레임들(111)은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보강구조(100)는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일렬로 배열된 하나의 열(row)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보강구조(100)는 다수개의 상술된 바와 같은 프레임 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단위 프레임들(111)은 각각의 프레임(111)을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 또는 부분(111a)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구조(110), 즉 프레임 어셈블리는 다수개의 연결된 프레임들(111)에 의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더욱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개스킷(110)의 제 1 표면(100a)상에 배치되기에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such a frame assembly, the plurality of unit frames 1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compact structure instead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lurality of frames 111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in a row. That is,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00 may include only one row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us may have an overall compact structure. If necessar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 row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such a connection, as shown in FIG. 5, unit frames 111 adjacent to each other may share at least one member or portion 111a required to form each frame 111. have.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that is, the frame assembly, may be more compactly formed with a stable structure by the plurality of connected frames 111, and thus the first surface 100a of the relatively narrow gasket 110 may be used. Can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이미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임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보강구조(110)는 소정길이(또는 높이) 및 소정 폭을 갖도록 제 1 표면(100a)으로 돌출되며, 개스킷(100) 또는 이의 제 1 표면(100a)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이 플랜지들(11,21)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에 밀착될 때, 보강구조(110)는 마주하는 플랜지, 즉 제 1 플랜지(11)에 우선적으로 항상 밀착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밀폐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1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정적이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므로, 밀폐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면서 동시에 개스킷(100) 자체의 강도도 보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강구조(110), 즉 프레임 어셈블리는 셀(112)에 의한 중공구조를 가지므로, 많은 소재의 사용에 의해 생산비용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As already briefly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de of the frame assembly protrudes to the first surface 100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r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gasket 100 or the first surface thereof ( It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100a). Therefore, when the gasket 100 is disposed between and closely adhered to the flanges 11 and 21,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may always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s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flange 11. Sealing can be secured.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has a stable and compac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can achieve the sealing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gasket 100 itself. Furthermore, since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hat is, the frame assembly has a hollow structure by the cell 112,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liable sealing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by using a large number of materials.

한편, 보강구조(110), 즉 프레임 어셈블리가 플렌지들(11,21)에 의해 가압되며, 심한 변형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 어셈블리의 중앙부와는 달리,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주부 및 외주부는 심한 변형에 의해 개스킷(100)의 몸체로부터 박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구조(110)는 프레임 어셈블리 즉 다수개의 프레임 및 셀(111,11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리브(113,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hat is, the frame assembly is pressed by the flanges 11 and 21 and may be severely deformed. In this case, unlik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assembly,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rame assembly may be peeled from the body of the gasket 100 by severe deformation.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further include ribs 113 and 114 arranged adjacent to the frame assembly, ie, the plurality of frames and the cells 111 and 112,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frame assembly.

먼저, 보강구조(110)는 개스킷(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리브(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110)는 마찬가지로 개스킷(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브들(113,114)는 소정길이(또는 높이) 및 소정 폭을 갖도록 제 1 표면(100a)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들(113,114)은 앞서 설명된 프레임(111)과 마찬가지로 개스킷(10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별도로 제작되어 개스킷(100)의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리브들(113,114)는 개스킷(100) 몸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리브들(113,11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First,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include a first rib 113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100 and disposed adjacent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ssembly.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also include a second rib 114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10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ame assembly. In addition, the ribs 113 and 114 may protrude to the first surface 100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r height) and a predetermined width. The ribs 113 and 11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of the gasket 100 like the frame 111 described above, and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ttached 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In addition, the ribs 113 and 11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like the gasket 100 body. Further, the ribs 113 and 114 may have various shapes, but may have a structurally stable elliptical cross section as shown as an example.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주부 및 외주부에서 제 1 및 제 2 리브들(113,114)은 프레임 어셈블리, 정확하게는 이의 프레임들(111)과 접촉하거나 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111)에서 부재들이 만나는 연결부, 즉 코너 또는 엣지(111b)가 실제적으로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리브들(113,114)은 이러한 프레임(111)의 코너 또는 모서리(111b)와 접촉하거나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고려할 때, 보강구조(110)에서, 프레임 어셈블리는 리브들(113,11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이들 리브들(113,114)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리브들(113,114)이 프레임 어셈블리보다 먼저 인접하는 플랜지, 예를 들어 도면상 제 1 플랜지(11)에 접촉하면, 먼저 변형되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의 변형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113,114)는 프레임 어셈블리보다 먼저 인접하는 플랜지(11)와 접촉하도록 프레임(111)보다 큰 길이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리브들(113,114)은 보강구조(110)가 가압될 때, 프레임 어셈블리를 박리되거나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고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구조(110)에 의해 확실하고 안정적인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ibs 113, 114 at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rame assembly may be in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the frame assembly, precisely its frames 111.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members meet in the frame 111, that is, the corner or edge 111b, may be practically fragile. Thus, the first and second ribs 113 and 114 may be in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the corners or corners 111b of the frame 111 to support them. Considering this configuration, i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the frame assembly may be disposed between these ribs 113 and 114 while being firmly supported by the ribs 113 and 114. In addition, if the ribs 113 and 114 contact the adjacent flange, for example the first flange 11 in the drawing, earlier than the frame assembly, the ribs 113 and 114 deform first and stably support the frame assembly from the point at which the deformation starts. Can b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6, the ribs 113, 114 may have a length or height greater than the frame 111 to contact the adjacent flange 11 prior to the frame assembly. Accordingly, such first and second ribs 113 and 114 may protect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frame assembly from being peeled or broken when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s pressed, and thus, by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A secure and stable seal can be achieved.

또한, 보강구조(110), 즉 프레임 어셈블리가 리브들(113,114)에 의해 지지된다 하더라도, 플랜지(11,21)가 가하는 큰 압력 또는 사용중 발생되는 다른 가혹한 환경하에서는 여전히 파손되어 박리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리브(113,114)도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임 어셈블리 및 리브를 포함하는 보강구조(110)를 가혹한 사용환경하에서도 보다 견고하게 개스킷(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강구조(110)는 앵커 부재(anchor member)(130,113a,114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e., the frame assembly is supported by the ribs 113, 114, there may still be a possibility of being broken and peeled under the high pressure exerted by the flanges 11, 21 or other harsh environments generated during use. have. Also, for the same reason, the ribs 113 and 114 may also be broken. For this reason, in order to secur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ncluding the frame assembly and the ribs to the gasket 100 more firmly even under severe use environments,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s anchor member 130, 113a, 114a. ) May be included.

도 7은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앵커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앵커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앵커부재가 적용된 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지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앵커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showing a reinforcing structure, and FIG. 8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anchor member shown in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anchor member of FIG. 8, and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showing a reinforcing structure to which the anchor member of FIG. 9 is applied. Referring to these drawings in more detail the anchor member as follows.

먼저, 앵커부재(130)는 프레임 어셈블리, 정확하게는 프레임(111)의 몸체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부재(130)는 인접한 플랜지, 도면상 제 1 플랜지(11)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기 이전에는 프레임(111)의 몸체내에만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압력이 프레임(111)에 가해지면, 즉 플랜지(11)가 프레임(111)을 가압하면, 발생된 압력에 의해 밀어지며 프레임(111)의 몸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111)이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111)은 변형되면서 가압방향으로 제외한 다른 방향들로 팽창하며, 이러한 팽창은 도 7에 작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내부에서 앵커부재(130)에 상대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동된 앵커부재(130)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의 몸체 외부로 돌출되어 이에 인접한 부재들, 즉 개스킷(110) 또는 리브들(113,114)의 일부로 파고들 수 있다.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재(130)는 개스킷(110)에 잘 파고 들 수 있도록 말뚝과 유사하게 막대형상의 연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뾰족한 끝단(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끝단(E)은 파고들기 위해 인접한 개스킷(110)의 일부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또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앵커부재(130)는 가압방향에 나란하게 프레임 어셈블리, 즉 프레임(111)의 몸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부재(130)는 가해진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프레임 어셈블리, 즉 프레임(111)을 개스킷(110) 및 리브(113,114)에 견고하게 연결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앵커부재(130)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파손 또는 분리를 방지하여, 프레임 어셈블리에 의한 확실한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First,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embedded in the frame assembly, precisely the body of the frame 111.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located only in the body of the frame 111 before the pressure is applied by the adjacent flange, the first flange 11 in the drawing. However,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frame 111 from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flange 11 presses the frame 111, it is pushed by the generated pressure and can move out of the body of the frame 111. More specifically, when the frame 111 is pressed, the frame 111 deforms and expands in other directions except for the pressing direction, and this expansion is shown by a small arrow in FIG. A pressure relative to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applied therein. Finally, the moved anchor member 130 may protrude out of the body of the frame 111 and dig into a portion of the adjacent members, ie, the gasket 110 or the ribs 113 and 114,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7. have. As shown in FIG. 8, the anchor member 130 may include an elongated body shaped like a stake and a sharp end E formed on the body so as to dig into the gasket 110 well. have. This end E may be oriented towards a portion of the adjacent gasket 110 to dig into it. In addition,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assembly, that is, the body of the frame 111 in parallel with the pressing direction so as to move smoothly by the pressure applied. Accordingly,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moved by the applied pressure to firmly connect or fix the frame assembly, that is, the frame 111 to the gasket 110 and the ribs 113 and 114. For this reason, the anchor member 130 prevents breakage or separation of the frame assembly, thereby enabling a reliable sealing by the frame assembly.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부재(13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개스킷(100)의 몸체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1 앵커부재(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13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리브(113,114)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2 앵커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앵커부재(131)은 제 1 표면(100a)과 접촉하는 프레임(111)의 일부, 대체적으로 프레임(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 1 표면(100a)를 통해 개스킷(100)의 몸체내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앵커부재(132)는 프레임의 엣지 또는 코너(111b)(도 5 참조) 또는 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엣지(111b)를 통해 인접한 리브(113,114)내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nchor member 130 may include a first anchor member 131 configured to dig in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by external pressure. In addition, the anchor member 130 may include a second anchor member 132 configured to dig into the ribs 113 and 114 by external pressure. The first anchor member 131 may be disposed in a part of the frame 111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100a, generally at the center of the frame 100, and may be disposed by the applied pressure. It can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through. In addition, the second anchor member 132 may be disposed at or near the edge or corner 111b of the frame (see FIG. 5), and may be disposed in the adjacent ribs 113 and 114 through the edge 111b by the applied pressure. Can be inserted directly.

보강구조(110)는 추가적으로 리브(113,114)의 몸체내에 내장되는 보조 앵커부재(113a,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앵커(113a,114a)에 상대적으로 앵커부재(130)은 메인 앵커부재가 될 수 있다. 보조 앵커부재(113a,114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앞서 설명된 앵커부재(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 앵커부재(113a,114a)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앵커부재(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리브(113,114)에 인접한 개스킷(100)의 몸체로 파고들 수 있다. 즉, 보조 앵커부재(113a,114a)는 리브(113,114)내에 배치되는 동안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하며, 리브(113,114)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개스킷(100)의 몸체내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 앵커부재(113a,114a)는 프레임 어셈블리와 마찬가지로 보강구조(110)를 형성하는 리브들(113,114)를 개스킷(110)에 견고하게 연결 또는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리브들(113,114)의 파손 또는 분리를 방지하여 확실한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anchor members 113a and 114a embedded in the bodies of the ribs 113 and 114. The anchor member 130 may be a main anchor member relative to the auxiliary anchors 113a and 114a. The auxiliary anchor members 113a and 114a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nchor member 13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he auxiliary anchor members 113a and 114a may be dug in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adjacent to the ribs 113 and 114 in the same manner as the anchor member 130 described abov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7. That is, the auxiliary anchor members 113a and 114a move by the pressure applied while being disposed in the ribs 113 and 114, and may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while protruding out of the ribs 113 and 114. Accordingly, the auxiliary anchor members 113a and 114a may rigidly connect or fix the ribs 113 and 114 form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o the gasket 110 like the frame assembly, and the ribs 113 and 114 may be fixed. Prevents breakage or separation

또한, 이와 같은 메인 및 보조 앵커부재들(131,132,113a,114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견고한 연결을 위해 변형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앵커부재들(131,132,113a,114a)은 이의 몸체의 끝단에 배치되는 두개의 분리된 블레이드(blade)(1a,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레이드들(1a,1b)의 끝단들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격을 위해 블레이드들(1a,1b)의 끝단은 서로 대향되게,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또는 경사지는 경사면들(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9의 변형예에 따른 메인 및 보조 앵커부재들(131,132,113a,114a)이 이동되어 인접한 개스킷(100)의 몸체 또는 리브(113,1114)에 삽입될 때, 서로 이격된 블레이드들(1a,1b)사이로 개스킷(100)의 몸체 또는 리브(113,1114)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들(1a,1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벌어진 블레이들(1a,1b)는 개스킷(100)의 몸체 및 리브(113,114)내에서 보다 큰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된 메인 및 보조 앵커부재들(131,132,113a,114a)에 의해 보강구조, 즉 프레임(111)과 리브(113,114)는 더욱 더 견고하게 개스킷(111)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main and auxiliary anchor members 131, 132, 113a, and 114a may have a modified shape for a more rigid connection as shown in FIG. 9. Referring to FIG. 9, the anchor members 131, 132, 113a and 114a may include two separate blades 1a and 1b disposed at the ends of the body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ends of the blades (1a, 1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ends of the blades (1a, 1b) may include inclined surfaces (1c) facing or facing each other, that is, extending or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for this separation.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main and auxiliary anchor members 131, 132, 113a and 114a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FIG. 9 are mov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or ribs 113 and 1114 of the adjacent gasket 100. A portion of the body or ribs 113, 1114 of the gasket 100 is relatively inserted between the fields 1a, 1b, so that the blades 1a, 1b are opposi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It can happen. The blades 1a and 1b thus opened may act as a larger resistance in the body and the ribs 113 and 114 of the gasket 100. Therefor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that is, the frame 111 and the ribs 113 and 114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gasket 111 by the modified main and auxiliary anchor members 131, 132, 113a and 114a.

한편, 사용되는 동안 인접하는 플랜지들(11,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개스킷(100)에 응력(stress)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응력이 장시간 가해지면 피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로는 개스킷(100)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크랙은 압력이 가해지는 가혹한 사용환경내에서 계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성장된 크랙은 개스킷(100)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으며, 파손된 개스킷(100)은 의도된 바와 같은 밀폐를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개스킷(100)은 이에 발생된 크랙의 성장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메커니즘(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속 메커니즘(140)이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exerted by the adjacent flanges 11 and 12 during use may generate stress on the gasket 100, and fatigue may occur when the stress is appli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such fatigue may cause cracks in the gasket 100, and the cracks generated may continue to grow in harsh use environments where pressure is applied. As a result, the grown cracks may cause breakage of the gasket 100, and the broken gasket 100 may not provide the closure as intended. For this reason, the gasket 100 may include a restraint mechanism 140 configured to prevent the growth of cracks caused therein, with reference to the associated figures, the restraint mechanism 14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는 도 4의 "B"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구속 메커니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C-C 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and 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straint mechanism shown in FIG. 5.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일반적으로 응력은 단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위에서 집중되며, 크랙(C)은 이러한 부위에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강구조(110)는 전체적으로 개스킷(100)의 표면, 도면상 제 1 표면(100a)으로부터 돌출되므로, 보강구조(110)로부터 크랙(C)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구속 메커니즘(140)은 보강구조(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구조(110)의 내부, 즉 리브들(113,114)사이의 개스킷(100)의 일부에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프레임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반면, 보강구조(110) 외부에 존재하는 개스킷(100)의 일부에는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크랙(C)은 보강구조(110)의 내주, 즉 제 1 리브(113)의 내주 및 보강구조(110)의 외주, 즉 제 2 리브(114)의 외주로부터 발생 및 성장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메커니즘(140)은 보강구조(110) 외부에 존재하는 개스킷(10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보강구조(110)의 내주(즉 제 1 리브(113)의 내주) 및/또는 보강구조(110)의 외주(즉 제 2 리브(114)의 외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 도 11 및 도 12는 일 예로서 보강구조(110)의 외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속 메커니즘(140)을 도시한다. In general, stress is concentrated at sites where the cross section changes rapidly, and cracks (C) can easily occur at such site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gasket 100 as a whole, the first surface 100a in the drawing, the crack C may be more likely to be generated from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 Thus, basically,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ore specifically, a structurally stable frame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e, part of the gasket 100 between the ribs 113, 114.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gasket 100 existing outside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Therefore, the crack C may be more likely to occur and grow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ib 113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b 114. have. Accordingly,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be part of the gasket 100 present outside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ore precisely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ib 113) and / or reinforcement structure.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110 (i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b 114). 5, 11, and 12 show the restraint mechanism 140 disposed adjacen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as an example.

또한, 구속 메커니즘(140)은 기본적으로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노치(notc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노치는 급격한 단면변화를 가져와 이의 주변에 강한 응력장(stress field)을 형성할 수 있으며, 주변의 크랙(C)의 성장은 이러한 응력장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크랙(C)은 보강구조(110)의 외주, 즉 제 2 리브(114)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생성 및 성장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 메커니즘(140)은 이러한 보강구조(110)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노치(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랙(C)을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구속 메커니즘(140)은 서로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노치들(141)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이러한 한 쌍의 노치들(141)의 이격되고 나란한 배치로 인해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응력장들은 서로 중첩되고 강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배치로 인해 한 쌍의 제 1 노치들(141)은 강화된 응력장을 이용하여 크랙(C)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 1 노치(141)를 지나치게 길게 연장하는 경우, 개스킷(100)의 단면이 감소되는 영역을 증가시키므로, 오히려 개스킷(110)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메커니즘(140)은 제 1 노치(141)에 비해 작고 비연속적인 다수개의 제 2 노치들(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치들(142)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성 또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 노치들(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치(141)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 1 노치(141)의 길이방향 연장선 또는 중심선(F)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노치(141)와 연계하여 크랙(C)의 구속을 위한 연속적인 응력장을 개스킷(1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노치들(142)은 한 쌍의 제 1 노치(141)의 중심선들(F)상에 교번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동일한 갯수의 제 2 노치들(142)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 응력장을 형성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즉, 제 2 노치들(142)은 한 쌍의 제 1 노치(141)의 중심선들(F)상에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속 메커니즘(140)은 기본적으로 한 쌍의 제 1 노치들(141)과 이들의 중심선(F)상에 배치된 제 2 노치(142)를 크랙(C)의 구속을 위한 하나의 기능적 세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및 제 2 노치들(141,142)의 세트를 하나만 도시하고 있으나, 다수개의 이와 같은 세트들이 개스킷(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이 구속 메커니즘(140)은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보강구조(110)의 외주부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동일한 구성의 구속 메커니즘(140)이 보강구조(110)의 내주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consist essentially of a notch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This notch can cause a sharp cross-sectional change to form a strong stress field around it, and the growth of the surrounding cracks C can be prevented by this stress field. More specifically, as discussed above, the crack C is likely to generate and grow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rib 114, and thus is shown in FIG. As such,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include a first notch 141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is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n addition, to effectively restrain crack C,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notches 141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arranged side by side. Due to the spaced and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pair of notches 141 described above, the stress fields formed therebetween can overlap and strengthen one another. Thus, due to the arrangement described above, the pair of first notches 141 can be more effectively constrained to prevent the crack C from growing using the enhanced stress field.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notch 141 is extended too long, an area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gasket 100 is reduced increases, which may result in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gasket 110. Accordingly, the restraint mechanism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notches 142 that are smaller and discontinuous than the first notch 141. As shown as an example, the second notches 142 may have a circular shape or a cross section as a whole. As shown, the second notches 142 may be disposed on the longitudinal extension line or the center line F of the first notch 14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tch 141. In connection with the notch 141, a continuous stress field for restraining the crack C may b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asket 100. In addition, the second notches 142 may b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centerlines F of the pair of first notches 141, which arrangement is more than using the same number of second notches 142. It may be advantageous to form a stress field in a large area. That is, the second notches 142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zigzag on the center lines F of the pair of first notches 141. As described above, the restraint mechanism 140 basically restrains the pair of first notches 141 and the second notch 142 disposed on the center line F thereof for restraining the crack C. It can be included as one functional set. 5 illustrates only one set of first and second notches 141 and 142, a plurality of such sets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100. As shown in FIG. Furthermore, although the constraining mechanism 14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nstraining mechanism 140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also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Can be.

더 나아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효과적인 크랙(C)의 구속을 위해, 구속 메커니즘(140)은 제 1 노치(141)내에 배치되는 필러(filler)(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러(143)는 실제적으로 제 1 노치(141)내의 공간을 완전하게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143)는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개스킷(100)의 몸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더 나아가 개스킷(100)의 몸체보다 더 높은 변형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이 인접하는 플랜지(11,21)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될 때, 필러(143)는 상기 개스킷(100), 즉 이의 몸체보다 더 크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필러(143)는 도 11 및 도 1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치(141)주변의 개스킷(100) 몸체에 상대적인 압력을 추가적으로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압력은 개스킷(100) 몸체에 형성된 크랙(C)에 가해질 수 있으며, 크랙(C)의 성장을 방지하도록 상기 크랙(C)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필러(143)는 제 2 노치(142)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앞서 제 1 노치(141)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2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필러(143)들은 제 1 및 제 2 노치(141,143)로부터 연장되어 개스킷(100),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표면(10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들(143)의 돌출부들은 앞서 설명된 보강구조(11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강구조(110)에 추가적으로 개스킷(100)의 강도 및 상기 개스킷(100)에 의한 밀폐를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11 and 12, for more effective restraint of crack C, the restraint mechanism 140 further includes a filler 143 disposed within the first notch 141. can do. The filler 143 may be configured to completely fill the space in the first notch 141. The filler 143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like the body of the gasket 100 disposed around the filler 143, and may further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ain rate than the body of the gasket 100. . Thus, when the gasket 100 is pressed and deformed by the adjacent flanges 11, 21, the filler 143 may be deformed by a pressure applied greater than the gasket 100, ie its body. Accordingly, the filler 143 may additionally apply a pressure relative to the body of the gasket 100 around the first notch 141,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S. 11 and 12. Such additional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crack C formed in the gasket 100 body, and may more effectively restrain the crack C to prevent the growth of the crack C. The filler 143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notch 142, and may hav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notch 141. Furthermore,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s in FIG. 12, the pillars 14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141, 143 to protrude from the gasket 100, precisely its first surface 100a. . The protrusions of the pillars 143 may have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described above, and thus,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the strength of the gasket 100 and the sealing by the gasket 100 may be further increased. It can play a role of strengthening.

다른 한편, 보다 강화된 밀폐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스킷(100), 정확하게는 이의 보강구조(110)는 추가적인 밀폐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a tighter seal, the gasket 100, precisely its reinforcement 110, may include an additional seal mechanism.

도 5는 도 4의 "B"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보강구조의 제 1 필러를 보여주기 위해 도 5의 D-D 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보강구조의 제 2 필러를 포함하는 개스킷의 보강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and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5 to show the first pillar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4 is a partial 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gasket containing the 2nd filler of a reinforcement structure.

먼저,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보강구조(110)는 이의 셀(112)내에 배치되어 이를 채우도록 구성되는 제 1 필러(filler)(1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112a)는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프레임(111)의 몸체와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강구조(110), 정확하게는 프레임(111)이 인접하는 플랜지(11)에 의해 가압될 때, 제 1 필러(112a)도 상기 플랜지(11)에 접촉 및 가압되면서 추가적인 밀폐구조로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 필러(11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제적으로 평평하며 플랜지(11)와 균일하게 접촉하는 넓은 평면을 갖는 안정적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프레임(111)이 플랜지(11)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파손될 때에도, 제 1 필러(112)는 파손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플랜지(11)에 대한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제 1 필러(112a)의 두께 또는 높이(t)가 인접하는 프레임(111)의 높이 또는 두께와 같거나 더 큰 경우, 제 1 필러(112a)는 프레임(111)보다 먼저 또는 상기 프레임(11)과 동시에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력에 의해 제 1 필러(112a)가 과도하게 변형되면, 오히려 제 1 필러(112a)에 의해 프레임(111)이 먼저 파손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112a)에 의한 프레임(1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러(112a)의 두께 또는 높이(t)는 인접하는 프레임(111)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 또는 높이(t)로 인해, 제 1 필러(112a)는 인접하는 프레임(111)보다는 지연된 시점으로부터 적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중에 프레임(111)을 파손시키지 않을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5 and 13,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ller 112a disposed in and filling the cell 112 thereof. The first filler 112a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like the body of the frame 111 disposed around the first filler 112a. Therefore, when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precisely the frame 111 is pressed by the adjacent flange 11, the first filler 112a may also act as an additional sealing structure while contacting and pressing the flange 11. have. In particular, as shown, the first pillar 112a may comprise a stable structure having a broad plane that is entirely flat and uniformly in contact with the flange 11. Thus, even when the adjacent frame 111 is broken by the excessive pressure exerted on the flange 11, the first pillar 112 can be provided without failing and still provide a seal for the flange 11. Further, if the thickness or height t of the first filler 112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r thickness of the adjacent frame 111, the first filler 112a is earlier than the frame 111 or the frame. It can be modified simultaneously with (11). In this case, when the first filler 112a is excessively deformed by the pressure, the frame 111 may be damaged first by the first filler 112a. In order to prevent the frame 111 from being damaged by the first filler 112a,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thickness or the height t of the first filler 112a is the thickness of the adjacent frame 111. Or smaller than height. Due to this thickness or height t, the first pillar 112a may be less deformed from a delayed time point than the adjacent frame 111, and thus may not break the frame 111 during deformation.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보강구조(110)는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리브들(113,114)을 연결하는 박막(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박막(115)는 제 1 및 제 2 리브(113,114)의 끝단에 걸쳐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구조(110)는 박막(115)에 의해 프레임 어셈블리 위쪽에 배치되는 폐쇄된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내에 충진되는 제 2 필러(1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구조(110)는 프레임 어셈블리, 정확하는 프레임(111)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들(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115)을 파손, 예를 들어 구멍을 낼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뽀족한 끝단을 갖는 돌기들(116)이 도시된다. 따라서, 보강구조(110)가 인접한 플랜지(11)에 의해 압축되면, 돌기들(116)은 이러한 압축에 의해 박막(115)에 다다를 수 있으며, 상기 박막(115)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그 내부의 제 2 필러(117)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박막(115)을 파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4,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include a thin film 115 that connects adjacent first and second ribs 113 and 114. The thin film 115 is formed over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ibs 113 and 114 and may exten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have a closed space disposed above the frame assembly by the thin film 115, and may include a second filler 117 filled in the space.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may include a frame assemb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6 formed on the correct frame 111. The protrusions 116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can break, for example, puncture, the thin film 115, as shown. 14 shows the projections 116 having pointed ends. Therefore, when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is compressed by the adjacent flange 11, the projections 116 can reach the thin film 115 by this compression, and the space formed by the thin film 115 and the interior The thin film 115 may be damaged so that the second filler 117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제 2 필러(117)는 기본적으로 액체, 젤(gel) 또는 탄성변형가능한 고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구조(110)에 추가적인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117)은 파이프(10,20)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특히 유독가스 또는 액체를 중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중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의 파손에 위해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돌기들(116)에 의해 파손 또는 천공된 박막(115)을 통해, 또는 파손된 개스킷(100)에 발생된 크랙을 통해 제 2 필러(117)는 누출되는 유체와 반응하여 이를 중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필러(117)은 외부 공기와 접촉할 때 응고되는 응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00)이 파손될 때, 제 2 필러(117)는 파손 또는 천공된 박막(115)을 통해 또는 파손된 개스킷(100)에 발생된 크랙을 통해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밀폐를 위해 즉각적으로 응고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필러(117)은 연결 어셈블리가 더욱 안정적인 밀폐를 제공하며 누출시에도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러(117)는 개스킷(100)의 보다 향상된 밀폐성능을 위해 앞서 설명된 제 1 필러(112a)와 함께 보강구조(11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econd filler 117 may basically consist of a liquid, a gel, or an elastically deformable solid, thereby providing additional sealing to the reinforcement structure 110. In addition, the second filler 117 may comprise a neutralizing agent configured to neutralize fluids, particularly toxic gases or liquids, flowing along the pipes 10, 20. Therefore, even when the fluid leaks due to breakage of the gasket 100, as described above, it occurs through the thin film 115 broken or perforated by the protrusions 116 or on the broken gasket 100. Through the cracks, the second filler 117 may react with the leaked fluid and neutralize it. Furthermore, the second filler 117 may include a coagulant that solidifies whe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us, when the gasket 100 is broken, the second filler 117 contacts external air through the broken or perforated thin film 115 or through cracks generated in the broken gasket 100, thereby promptly closing for sealing. Can be solidified. Thus, the second pillar 117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more stable seal fo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o ensure safety even in case of leakage. The second filler 117 may be applied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110 together with the first filler 112a described above for more improved sealing performance of the gasket 100.

상술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개스킷 200: 홀더
300: 클램프 110: 보강구조
111: 프레임 112: 셀
113: 제 1 리브 114: 제 2 리브
100: gasket 200: holder
300: clamp 110: reinforcement structure
111: Frame 112: Cell
113: first rib 114: second rib

Claims (6)

서로 마주하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플랜지들(flange)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파이프들(pipe)을 연결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들의 연결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사이에 개재되며, 링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갖도록 구성되는 개스킷(gasket);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의 상기 개스킷과 접촉하는 표면들과 대향되는 표면들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홀더들(holder);
상기 한 쌍의 홀더들과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들과 상기 개스킷이 서로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들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개스킷의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개스킷에 의한 밀폐를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보강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중 어느 하나상에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들(frame); 및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중공 셀(cell)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프레임들의 모서리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들의 높이들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상기 보강구조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몸체내에 내장되며,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부재에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앵커부재(anchor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재는:
몸체; 및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의 끝단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들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들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들은 상기 부재에 삽입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스킷은 상기 보강구조에 인접하게 상기 개스킷의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에 발생되는 크랙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구속 메커니즘은:
상기 보강구조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노치들; 및
상기 제 1 노치들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노치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노치들의 길이방향 중심선들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 2 노치들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An assembly for connecting first and second pipes, the first and second pipes respectively facing each other and including radially extending first and second flanges,
A firs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to seal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pes,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being formed in the ring-shaped body and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respectively; A gasket configured to have second surfaces;
A pair of holder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surfaces opposing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gasket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 clamp coupled to the pair of holders and configured to press the holders to bring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gaske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dispos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gasket, the reinforcing structure being configured to reinforce the sealing by the gasket,
The reinforcing structure consists of a frame assembly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the frame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rames dispos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hollow cells each formed by the frames,
The reinforcement structure includes a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o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he rib configured to support the frame assembly, the rib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edges of the frames. Have a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s of the frames,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embedded in the body of the frame assembly, and includes an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a member disposed around it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anchor member compris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body, each having a pair of blades including inclined surfac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he pair of blades are inserted into the member so as to open in opposite directions Is composed,
The gasket is formed in the body of the gasket adjacent to the reinforcing structure, and includes a restraint mechanism configured to restrain the crack to prevent growth of the crack generated in the gasket, wherein the restraint mechanism includes:
A pair of first notches extending radial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notches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notches and disposed on longitudinal centerlines of the first notche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notch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리브; 및
상기 개스킷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rib is:
A first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and configured to contac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ssembly; And
And a second rib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and configur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assembl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스킷의 몸체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1 앵커부재; 및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리브로 파고들도록 구성되는 제 2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anchor member is:
A first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the body of the gasket by an external pressure; And
And a second anchor member configured to dig into the rib by external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및 제 2 노치들내에 충진되는 필러(filler)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러들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상기 개스킷보다 더 높은 변형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traint mechanism further comprises fillers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notches, the pillars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ain than the gasket.
KR1020180109795A 2018-09-13 2018-09-13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KR101972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95A KR101972961B1 (en) 2018-09-13 2018-09-13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95A KR101972961B1 (en) 2018-09-13 2018-09-13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961B1 true KR101972961B1 (en) 2019-08-23

Family

ID=6776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795A KR101972961B1 (en) 2018-09-13 2018-09-13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9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3046A (en) * 2020-06-05 2020-09-04 杭州旗芳实业有限公司 Flange plate convenient to mount and capable of preventing devi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451B1 (en) * 1989-06-30 1997-04-16 폰트-에이-모우선 쏘시에떼 아노님 Gasket for leaktight locked joints
KR20030083576A (en) * 2002-04-19 2003-10-30 얼링클링거 아게 At least substantially metallic cylinder head gasket
KR200355200Y1 (en) * 2004-03-29 2004-07-03 황지환 The fish-pump
JP2010249267A (en) * 2009-04-17 2010-11-04 Tokyo Gas Co Ltd Gasket
KR101159146B1 (en) *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Gas pipe apparatus with tight sealed attribu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451B1 (en) * 1989-06-30 1997-04-16 폰트-에이-모우선 쏘시에떼 아노님 Gasket for leaktight locked joints
KR20030083576A (en) * 2002-04-19 2003-10-30 얼링클링거 아게 At least substantially metallic cylinder head gasket
KR200355200Y1 (en) * 2004-03-29 2004-07-03 황지환 The fish-pump
JP2010249267A (en) * 2009-04-17 2010-11-04 Tokyo Gas Co Ltd Gasket
KR101159146B1 (en) *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Gas pipe apparatus with tight sealed attribu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3046A (en) * 2020-06-05 2020-09-04 杭州旗芳实业有限公司 Flange plate convenient to mount and capable of preventing devi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8920C2 (en) Sealed and heat insulated cargo tank, integrated into bearing structure
EP2792916B1 (en) Seal structure and flow-path connection part
US9470313B2 (en) Metal seal ring
KR101615146B1 (en) Double watertight structure for water service pipe
KR101972961B1 (en)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GB2475065A (en) Seal ring and joint
JP2023158151A (en) Cut-off member for segment and cut-off structure for segment
KR20190000523U (en) Clamp chamber for pipe
CN106229934B (en) A kind of cable channel is interior to be blocked
KR20160034542A (en) Centering vacuum pipe
KR102106251B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ies double bellows for vacuum line
KR101972964B1 (en)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WO2017195489A1 (en) Gasket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JP3973774B2 (en) Method for confirming water stoppage performance of joint water stop member and joint water stop member
KR101972968B1 (en)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KR100777788B1 (en) Packing structure of pressure ring for water service
KR200446817Y1 (en) A metal ring of piping with gasket groove
JP605563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device for sealing wall pipe penetration
KR200481695Y1 (en) Vacuum pipe connecting structure
CN108386629A (en) The method of pipe jointer secondary seal
JP6242681B2 (en) Leakage repair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leak repair device
CN110886915A (en)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lin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CN212080517U (en) Plate type double-clamp pipeline repairing device
CN212107359U (en) Sealing rubber ring for water pipe connection
JP6132494B2 (en) Cover device for sealing wall pipe penetration, and fixture used in th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