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78B1 -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78B1
KR101972378B1 KR1020180008433A KR20180008433A KR101972378B1 KR 101972378 B1 KR101972378 B1 KR 101972378B1 KR 1020180008433 A KR1020180008433 A KR 1020180008433A KR 20180008433 A KR20180008433 A KR 20180008433A KR 101972378 B1 KR101972378 B1 KR 101972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delivery
data
delivery destination
order qua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유석
유이경
권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Priority to KR102018000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in which a customer can establish a place that the customer want as a main destination and the customer can receive fresh food at a distance close to the customer′s location, and a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a location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a request for establishing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s a main destination; collecting data o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calculating actual order quantity data for predicting actual order quantity whe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is established as the main destination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data; determining whether to establish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s the main dest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actual order quantity data; and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stablish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s the main destination.

Description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fresh food,

본 발명은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원하는 장소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여, 고객이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거리에서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delivery place for fresh food and a device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fresh food to a customer,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food delivery place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최근 건강 또는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샐러드, 과일과 같은 신선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마트 또는 편의점과 같은 상점에서는, 소비자들이 샐러드를 손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손질된 야채를 판매하거나, 포장지를 제거하기만 하면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선식품만을 판매하는 신선식품 전문 매장이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consumers are increasingly purchasing fresh foods such as salads and fruits for health or diet purposes. Reflecting this tendency, stores such as marts or convenience stores sell products that can be easily ingested by selling prepared vegetables to easily make and eat salads, or by removing the wrapping pape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resh food specialty stores is increasing.

그러나, 상점에서 판매하는 샐러드 또는 이러한 신선식품 제품들은 신선도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종류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또한, 신선식품 전문 매장은 신선하고 다양한 샐러드를 구매할 수 있기는 하나, 소비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소비자의 위치 근처에 매장이 없는 경우 샐러드를 구매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alads sold in stores or these fresh food products are difficult to maintain freshness and do not vary in variety, so there is a limit to purchasing products desired by consumers. In addition, although the fresh food specialty store can purchase fresh and various salads,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have to visit the store directly, and the salad can not be purchased if there is no store near the consumer's loc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집 또는 회사에서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제안되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 service for delivering fresh food to a home or a company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는, 소비자가 일정기간동안 섭취할 신선식품의 개수를 한꺼번에 주문해야 하거나 배송비의 부담이 크고, 지정된 날짜나 시간에만 배송이 되도록 설정된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이나 날짜에 샐러드를 섭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resh food delivery service, when the consumer has to order the number of fresh foods to be consu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is set to be delivered only on a specified date or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at salad.

이에 따라, 소비자와 가까운 장소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 또는 날짜에 샐러드를 배송받을 수 있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where a salad can be delivered to a consumer at a desired time or on a date close to the consumer.

1.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6-0077662 호 (발명의 명칭 : 식품의 공동구매, 관리, 배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77662 (entitled " Joint Purchase, Administration, Delivery Service Method & System for Foo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비자가 자신과 가까운 장소에서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과 가까운 장소를 배송지로 요청함으로써, 요청한 배송지가 지정되는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 device for using the same, wherein a customer can request a place close to him / her by a destination, and a fresh food can be delivered to a desired place and time when a requested destination is designated I want to.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배송희망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실제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vice using the same, Receiving; Collecting data on the desired destination; Calculating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for predicting an actual order quantity when the desired distribution destinatio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istribution desired data; Determining whether to open the delivery destination to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nd transmitt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 및 상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display screen for visually show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nd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 ≪ / RTI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상기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상기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상기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ales form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 number of users who work in the delivery destination or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ease of delivery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t least one of data on the distance to the existing delivery destination that can be replaced and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of the delivery destination, or data on the potential user who is likely to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와 동일한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n the potential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same building as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sex, or the average ag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 인근의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n the potential us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who use the building near the desired destination, the sex, or the average ag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상기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상기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상기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a business type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 number of users who work i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or use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calculating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o at least one of the data on the distance and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data on the potential users who are likely to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pen the delivery destination sheet as the base delivery destina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satisfies the base delivery destination setting condition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satisfie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includes: when the effective order amount data satisfies the base point delivery loc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And providing data for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satisfy the condition for establish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does not satisfy the base point delivery establishment conditions,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송희망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배송지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coupon, comprising the steps of recommending a coupon at the closest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coupon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coupon does not satisfy the coupon coupon establishment condition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희망지 개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배송희망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개설된 후 실제 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배송희망지 데이터 및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a location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whether or not a hoped place is opened as a base courier; Wherein the actual order quantity data for calculat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after the distribution desired place is opened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shipping desired product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a desired destination as the destination couri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livery request sheet data and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 ≪ / RTI >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따르면, 소비자가 자신과 가까운 장소에서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 device using the same, wherein a consumer is able to receive fresh food at a place close to him / herself.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과 가까운 장소를 배송지로 요청함으로써, 요청한 배송지가 지정되는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신선식품을 배송 받을 수 있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 device for using the same, wherein a customer can request a place close to him / her by a destination, and a fresh food can be delivered to a desired place and time when a requested destination is designated I want to.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중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표시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서브배송지가 추천되는 표시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vice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et up a delivery destination sheet as a base delivery destination among the methods of determining the destination of a fresh food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for providing data for allowing a user terminal to fulfill a distribution destin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a delivery location for fresh fo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in which a sub-destination is recommend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Where the terms "comprises", "having", "don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ortion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ssocia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transmit)’ 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receive)’ 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직접 상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element 'transmits' information,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Means that information,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via one other component. Further, when any one component 'receives' information, data or signals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receive the information, data or signal directly from the other component, and at least one Means that information, data or signals can be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through another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하는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배송희망지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른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 (200) 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상술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200) 과 통신하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사용자 단말 (200) 과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거나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evice 100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for delivering a fresh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quest for opening a location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input by users from a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pen the desired distribution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request, to be.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termining apparatus 1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to collect and transmit the above-described data and receives or stores data or sign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termining apparatus 100 may exist in the same network as the user terminal 200 or may be connected by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사용자 단말 (200) 은 사용자들이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에 배송희망지를 요청하고,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 단말 (200) 은 다양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200) 은 스마트폰 (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랩 탑 (lap-top), 데스크탑 (desk-top)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used by the users to request the delivery destination of the fresh food to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and to confirm data about whether the delivery destination is established as the base destin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 tablet, a PC, a lap-top, a desk-top,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통신부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30)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storage unit 130.

통신부 (110) 는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배송희망지 개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후술할 제어부 (120) 로부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였는지에 대한 판단 여부를 사용자 단말 (200) 로 송신하도록 기능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a request for the position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lculated from the control unit 120 To the user terminal (200).

제어부 (120) 는 통신부 (110) 에서 수신한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기초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요청된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120 collects data o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lculates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ased on the acquired data, and transmits the requested delivery destinatio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base ship As shown in FIG.

실효주문량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그 거점배송지의 실제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써, 상술한 배송희망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is data for predict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of the shipping destination when the desired shipping destinatio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is established as the shipping destination. The data for at least one of the shipping destination data and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배송희망지 데이터는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배송희망지의 접근 용이성,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to be shipped includes the sales form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ease of delivery of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accessibility of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shipping destination Data on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applied for the delivery hope document, or data on potential users who may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구체적으로,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에 관한 데이터는 배송희망지가 개인적인 공간인지 공공장소인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희망지가 개인적인 장소인 경우, 개인 사무실 또는 거주지와 장소일 수 있고, 배송희망지가 공공장소인 경우, 병원, 학교, 회사와 같은 장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선신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은 상술한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에 따라 상점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자신의 상점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ata on the business form of the delivery destination may include data on whether the delivery destination is a personal space or a public place. For example, if the shipping destination is a private place, it could be a private office or place of residence and location, or a place like a hospital, school, or company if the shipping destination is a public plac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new fresh product delivery p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the proprietors who operate the store in order to promote their own shops according to the business mode of the delivery desired place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업주들은 자신의 상점을 거점배송지로 개설 요청할 수 있고, 그 위치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신선식품을 가지러 오는 소비자들에게 쿠폰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상점을 홍보할 수 있다.For example, business owners can request to open their stores as base destinations, and if their locations are opened as base destinations, they can offer coupons to consumers who come to get fresh food, .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에 대한 데이터는 배송희망지 주위의 도로에 차량의 진입가능 여부, 주정차 가능 여부 및 주차비의 유무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The data on the ease of delivery of the delivery destination may be data on whether the vehicle can enter the road around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availability of parkin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rking fee.

나아가,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배송희망지와 동일한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배송희망지 인근의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same building as the shipping destination, the gender, or the average age, or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building near the shipping destination, As shown in FIG.

저장부 (130) 는 통신부 (110) 또는 제어부 (120) 에서 수신 또는 수집하거나 산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 (130) 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제어부 (120) 에서 수집한 데이터 및 제어부 (120) 에서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포함하여,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내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data received or collected or calcula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or the control unit 120.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ll data in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data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20 Data can be stor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6,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stination of fresh food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중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100),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S200), 수집된 배송희망지 데이터를 기초로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실제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S300),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S400) 및 사용자 단말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S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opening a desired destination and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from a user terminal (S100) (S300) of calculat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data for predict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when the desired shipping destinatio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shipping desired label data (S300),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 step S400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n a delivery destination document as a bas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step S500 of transmitt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livery destination is a user terminal.

먼저,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S100).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주문하고자 하는 신선식품의 종류, 수량 또는 배송횟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희망지의 위치는 사용자가 신선식품을 배송받고자 하는 위치이다. 이 때, 배송희망지의 위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고, GPS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인식된 위치일 수도 있다.First, a fresh food delivery place determ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request for opening user information, a position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from a user terminal (S100). Specifically,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age, sex, kind of fresh food to be ordered, quantity or number of deliveries. The location of the shipping destination is where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fresh foo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may be input from the user or may be a position automatically recognized through the GPS device.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S200).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Upon receipt of the request for opening the distribution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collects data on the distribution destination (S200). Since the data on the destination of delivery is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이전 단계 (S200)에서 수집한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한다 (S300).Next,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ased on the data on the desired destination of delivery collected in the previous step S200 (S300).

구체적으로, 실효주문량 데이터 산출단계 (S300) 는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배송희망지의 접근 용이성,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lculation step S30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tep S300). The actual order quantity data calculation step S300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ased on the data on the potential users who are likely to use at least one of the data on the number of the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applied for the distance to the existing shipping destination and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real order quantity data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different weight values to the real order quantity data.

예를 들어,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 및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0.3의 가중치를,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에 0.2의 가중치를,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에 0.5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가중치를 더한 합은 1.0으로 계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using only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number of the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applied for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data about potential users. Specifically,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sets a weight of 0.3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delivery destination, a weight of 0.2 to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who requested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a value of 0.5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weights. The sum of each weight can be calculated as 1.0.

나아가,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구성요소 각각에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배송희망지와 동일한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배송희망지 인근의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배송희망지와 동일한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에 0.7의 가중치를, 배송희망지 인근의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에 0.3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가중치를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can assign weight to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data for potential users. For example, data for a potential user may include only data on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same building as the shipping destination, and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building near the shipping destination, The weight of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a weight of 0.7 to the number and a weight of 0.3 to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building near the shipping destination.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은, 더 높은 가중치를 적용한 것을 더 높은 비중으로 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에 가중치를 0.5로 두어,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및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 보다 높은 비중으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배송희망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calculation of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y applying the different weights means that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is calculated with a higher specific weight applied to the higher order weights. Therefore,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sets the weight for the potential user to 0.5 and sets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t a weight higher than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delivery hope sheet and the number of the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requested the delivery hope sheet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weights for the respective elements may be changed, and the number of data used to calculate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may be different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상이하게 하는 것은,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데 있어서 배송희망지의 위치에 따른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가 많고 잠재사용자의 수가 적은 경우,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기에 어려움이 있어,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때, 배송희망지를 신청한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고,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의 가중치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도록 하는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 거점배송지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calculate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different weights for the respective data have the effect of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destination when opening the store as a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applied for the delivery destination is small and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delivery destination to be opened as the base destina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which allows the distribution destination to be opened at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by setting the weight for the number of the cumulative applicants who have applied for the delivery destination sheet to be high and setting the weight of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s to lo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by allowing the users to open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as close as possible.

다음으로,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한다 (S40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o open a delivery destination as a base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400).

거점배송지의 개설여부 결정 단계 (S400) 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희망지의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S410)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80%이상 충족하는 경우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배송희망지의 위치에 따라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에 대한 실효주문량 데이터의 충족률의 기준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tep S400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n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includes a step S41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ffective order amount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satisfie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S410). For example, if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atisfies 80% or more of the condition of establish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the delivery destination can be set to be established a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However, the criterion of the fulfillment rate of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 of open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desired place.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한다 (S411).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사용자들은 신선식품을 몇 개를 주문하더라도 무료로 배송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atisfies the condition of establish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the delivery destination of the fresh food establishes the delivery destination a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S411). When the shipping destination is opened as a base destination, users can get free shipping even if they order several fresh foods.

반대로,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 (S412a) 하거나, 배송희망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배송지를 추천 (S412b)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does not satisfy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data for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satisfy the delivery destination condition (S412a) And recommends the destination (S412b).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로 거점배송지 개설여부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송신한다 (S500). 이때,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 및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S60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stablish a point delivery destin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500). At this time, the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600 of providing a display screen visually show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lculated by the user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표시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서브배송지가 추천되는 표시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for providing data for allowing a user terminal to fulfill a distribution destin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a delivery location for fresh fo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in which a sub-destination is recommend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method of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 수,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 및 잠재사용자의 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때,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희망지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에 대한 실효주문량 데이터의 충족률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기 위해서는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의 80% 이상이 충족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실효주문량 데이터는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75% 충족하고 있으므로,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5% 이상 더 충족하여야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for delivering a fresh foo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arily includes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users using a delivery destination,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of a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 At this time, the weight for each dat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100 can display together the fulfillment rate of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with respect to the originating point establishment con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open a delivery destination as a base destination, it is required that 80% or more of the conditions of opening the base destination are satisfied, and the current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atisfies 75% Therefore, if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atisfies 5% or more of the condition of establish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can be established a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친구에게 요청하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친구에게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도록 하는 요청을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가 증가됨으로써, 배송희망지가 거점배송지가 되도록 기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such as 'request to a friend' so that a user can request a friend to open a delivery destination as a base destination Can be requested. Accordingly,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of the delivery destination can be increased, thereby contributing the delivery destination to be the base destination.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서브배송지 알아보기’ 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배송지를 알아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for delivering fresh f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unctions such as " find a sub-delivering destina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to recogniz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사용자 주변의 서브배송지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현재 위치는 GPS와 같은 장치로 인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서브배송지 추천 기능은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배송지를 최소 2개 이상 추천하며, 추천된 서브배송지까지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교통수단 알아보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현 위치에서 원하는 서브배송지까지의 교통정보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6,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unction of recommending a sub-delivery site around the user. At this time, the current position may be recognized by a device such as a GPS, or may be set by a user directly inputting the position. The sub-destination recommendation feature recommends at least two nearest sub-destinations in the current location, and can display the distance to the recommended sub-destina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Discover Transportation' function,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ired sub-destination is provided.

나아가, 본 발명의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00) 는 ‘다른 서브배송지 알아보기’ 기능을 제공하여, 현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서브배송지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의 가장 가까운 서브배송지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for delivering fresh fo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find another sub-destination' to directly input not only the nearest sub-destination but also a desir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sub-destin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00 ...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sion device
110 ... Communication section
120 ... The control unit
130 ... The storage unit

Claims (10)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에서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의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수집된 배송희망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되는 경우 실제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의 저장부를 통해서 상기 배송희망지 데이터 및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a fresh food delivery place in a fresh food delivery place determining apparatus,
Receiving a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f the fresh food delivering place deciding apparatus to open the user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to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Collecting data on the destination of delivery through a control unit of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Calculating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for predicting an actual order quantity when the desired distribution destinatio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istribution desired data through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open the delivery destination to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amount data through the control unit;
Storing the delivery destination data and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through a storage unit of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deci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compri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 및 상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a display screen for visually showing a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nd the calculated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ntroller; Wherein the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compri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상기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상기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상기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인,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o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users who work in the desired destination,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destination, the easiness of delivery of the desired destination,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destination that can replace the destination, and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Or < RTI ID = 0.0 >
Wherein the data for potential users who are likely to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is a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와 동일한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 is
Wherein the fresh food delivery pla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same building as the delivery destination, sex, or the average a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배송희망지 인근의 건물을 이용하는 잠재사용자의 수, 성별 또는 평균연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data for the potential user i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otential users using the building near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the sex, or the average ag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희망지의 영업 형태, 상기 배송희망지에서 근무하거나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 상기 배송희망지의 배송 용이성, 상기 배송희망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존배송지와의 거리 및 배송희망지의 누적신청자의 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배송희망지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각각에 대해 서로 상이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through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number of users who work in the desired destination,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destination, the easiness of delivery of the desired destination,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destination that can replace the destination, and the number of cumulative applicants And calculating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o at least one of the data for potential users who are likely to use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data for potential us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n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via the control unit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meets the condition for establishing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satisfie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establishing condition includes: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satisfies the establishment condition of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establishing the delivery destination as the base point delivery destination,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data for allowing the delivery destination to meet the base point delivery condition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does not satisfy the base point delivery loc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희망지의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가 상기 거점배송지 개설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송희망지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서브배송지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does not satisfy the base point delivery location establishment condition,
And recommending a subdelivery site at a distance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배송희망지의 위치 및 상기 배송희망지 개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거점배송지로 개설하였는지에 대한 판단 여부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배송희망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배송희망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가 개설된 후 실제 주문량을 예측하기 위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배송희망지를 상기 거점배송지로 개설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배송희망지 데이터 및 상기 실효주문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신선식품 배송장소 결정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a location of a desired delivery destination and a request for opening the desired destination, or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user desires to open the desired destination for delivery;
Wherein the actual order quantity data for calculating the actual order quantity after the distribution desired place is opened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shipping desired product data,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a desired destination as the destination couri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livery request sheet data and the effective order quantity data; And a fresh food delivery location determining device.
KR1020180008433A 2018-01-23 2018-01-23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72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3A KR101972378B1 (en) 2018-01-23 2018-01-23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3A KR101972378B1 (en) 2018-01-23 2018-01-23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78B1 true KR101972378B1 (en) 2019-04-25

Family

ID=662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33A KR101972378B1 (en) 2018-01-23 2018-01-23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6971A (en) * 2019-11-15 2020-02-21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Dispatching equipment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036073A (en)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Children's refreshments subscrip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268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참든건강과학 농업회사법인 Delivery method for fresh food product using dividing delivery
KR20160077662A (en) 2014-12-24 2016-07-04 최재용 the service method and system of the common buy, manage, deliver for food
JP2016157169A (en) * 2015-02-23 2016-09-01 南洋アスピレーション株式会社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delivery state management service, and server and system use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268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참든건강과학 농업회사법인 Delivery method for fresh food product using dividing delivery
KR20160077662A (en) 2014-12-24 2016-07-04 최재용 the service method and system of the common buy, manage, deliver for food
JP2016157169A (en) * 2015-02-23 2016-09-01 南洋アスピレーション株式会社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delivery state management service, and server and system use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6971A (en) * 2019-11-15 2020-02-21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Dispatching equipment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826971B (en) * 2019-11-15 2023-04-07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Dispatching equipment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20036073A (en)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Children's refreshments subscrip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2438350B1 (en) * 2020-09-15 2022-08-31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Children's refreshments subscrip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376B1 (en)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rout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60071050A1 (en) Delivery Channel Management
US20040073449A1 (en) Catering mobile pick up station
KR10197237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delivery palce of fresh fo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40119511A1 (en) Alerts for remotely-ordered grocery items
KR101756378B1 (en) Restaurant Total Management Method
JP2019003634A (en) Settlement system
JP201811291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23005A (en) Intergrated purchas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cipe ingredient
JP6124235B1 (en) Product sales system
KR20230044918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termediation service for donation
JP2020013509A (en) Delivery management device, delivery management method, and delivery management program
JP2023000526A (en) Frozen lunch box delivery system
JP20211629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0517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JP201609580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200103426A (en) Machine transaction inermediate sever
KR102645114B1 (en) Location tracking based food pickup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255256B1 (en) Vessel rental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t
JP6961281B1 (en) Program and mobile sales management system
KR20190004424A (en) System for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Time Selling
JP6964159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WO20222301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139124A (en) Point management system and point management method
JP2020187404A (en) Food and drink provision management system, food and drink provis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