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32B1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32B1
KR101972332B1 KR1020170126422A KR20170126422A KR101972332B1 KR 101972332 B1 KR101972332 B1 KR 101972332B1 KR 1020170126422 A KR1020170126422 A KR 1020170126422A KR 20170126422 A KR20170126422 A KR 20170126422A KR 101972332 B1 KR101972332 B1 KR 1019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cking
fastening hole
seat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6930A (en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2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3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핀 구조의 록킹 핀을 적용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록킹 핀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체결구멍에 대한 구조 변경이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별도의 보강재나 소재의 보완없이도 하부레일의 전단 저항을 최대화하여 규정된 강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는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10), 상기 상부레일(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며 체결구멍(22)을 갖춘 하부레일(20), 및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전후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구멍(22)에 삽입되는 록킹 핀(140)을 갖춘 레일로크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140)은 3핀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체결구멍(22)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멍(22)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록킹 핀(140)과 2점 접촉(X)을 위한 경사 접촉면(24)을 설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rail locking device using a locking pin of a 3-pin structure, and a locking pin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and a locking pin inserted in the locking hole,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that can maximize a shearing resistance of a lower rail without satisfactorily satisfying a prescribed strength standard is disclosed.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includes an upper rail 1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of the seat, a lower rail 22 fixed to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interior and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rail 10, And a lower rail 20 installed on the upper rail 10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 for fixing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The locking pin (140) has a three-pin structur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in (14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2), and the locking hole (22) (24) for two-point contact (X) with the locking pin (140) 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Description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structure for a seat rail,

본 발명은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핀 구조의 록킹 핀을 적용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록킹 핀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체결구멍에 대한 구조 변경이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별도의 보강재나 소재의 보완없이도 하부레일의 전단 저항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of a seat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using a locking pin having a three- To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which can maximize a shearing resistance of a lower rail without supplementing a reinforcing material or a material through structural modification to the inserted locking pi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 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seat of an automobile is configured to maintain an occupant's boarding posture in an optimal state, and includes a seat back for supporting an upper body of a passenger, and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lower body such as a hips and a thigh.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 레일이다. 또한, 시트 레일은 통상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해당하는 플로워 패널에 대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at of the vehicle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for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occupant's body shape and the interior space. The seat rail includes a lower rail fixedly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 floor panel corresponding to an indoor floor of an automobile and an upper rail coupled to the seat cushion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lower rail, .

이 경우, 상부레일은 하부레일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고정위치를 규제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시트레일은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의 시트레일의 록킹장치는 공개특허 제10-2012-0082740호에 개시된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를 일례로 들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rail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wer rail, and then the fixed position is regulated at that position. To this end, the seat rail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For example, a conventional seat rail locking apparatus is one example of a seat rail lock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2-0082740.

즉, 종래 공개특허 제10-2012-0082740호에 개시된 시트레일 록킹장치는, 시트가 고정되는 이동레일(100), 상기 이동레일(10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레일(200), 상기 이동레일(100)을 상기 고정레일(200)에 필요에 따라 고정시켜 록킹과 언 록킹을 수행하기 위한 록킹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300)는 상기 이동레일(100)과 고정레일(200)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되는 로크 가이드(310), 상기 복수의 관통홀(311)에 각각 끼워져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로크부재(320), 상기 고정레일(200)에 형성되되, 상기 시트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록킹홀(3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복수의 로크부재(320)중 2개 이상의 로크부재(320)가 상기 복수의 록킹홀(330)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in the seat rail lock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82740, a movable rail 100 to which a seat is fixed, a fixed rail 200 to which the movable rail 100 is movably engaged, And a locking part 30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rail 100 by fixing the rail 100 to the fixed rail 200 as required, and the locking part 300 is fixed to the movable rail 100, A plurality of locking members 320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and the fixing rail 200, And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330) formed in the locking members (200) so that the width of the locking holes (330) is narrow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eets are move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heets, Two or more locking members 320 are fitted and held in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330 It shall b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시트레일 록킹 장치에서는 로크부재(320)의 걸림돌기(322)가 로크 가이드(310)의 관통홀(311)을 지나 고정레일(200)의 록킹홀(330)에 삽입되는 구조임에 따라, 고정레일(200)에 대해 이동레일(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때 로크부재(320)의 걸림돌기(322)는 로크부재(320)의 관통홀(311)과 고정레일(200)의 록킹홀(330)에 의해 구속됨과 더불어 관통홀(311) 및 록킹홀(330)과의 접촉을 통해 그 위치가 규제될 수밖에 없으므로 만족스러운 정도의 견고한 구속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at rail locking apparatus, the locking protrusion 322 of the locking member 3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30 of the fixed rail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of the lock guide 310 The locking protrusion 322 of the locking member 320 whe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rail 100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200 is formed by the through hole 311 of the locking member 320 and the fixing rail 200 The locking hole 330 and the through hole 311 and the locking hole 330. In other words, since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330 is limited by th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311 and the locking hole 330, a satisfactory degree of binding force can not be provided.

즉, 충돌 및 추돌 사고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한 하중이 로크부재(320)의 걸림돌기(322)에 대한 전단력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로크부재(320)의 걸림돌기(322)는 고정레일(200)의 록킹홀(33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레일(200)에 대한 이동레일(100)의 구속이 해제되어 2차 충돌에 의한 부가적인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uch as a collision or a collision accident, a load due to an external force acts in a shearing for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jection 322 of the locking member 320,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322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330 of the fixed rail 200 and thereby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rail 100 relative to the fixed rail 200 is released to cause a secondary accident, .

공개특허 제10-2012-0082740호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8274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3핀 구조의 록킹 핀을 적용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록킹 핀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체결구멍에 대한 구조 변경이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별도의 보강재나 소재의 보완없이도 하부레일의 전단 저항을 최대화하여 규정된 강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rail locking device using a locking pin having a three-pin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by changing a structure of a locking hole inserted and accommodating a locking pin, And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which can satisfy prescribed strength standards by maximizing a shearing resistance of a lower rail without supplementing another reinforcing material or material.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며 체결구멍을 갖춘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을 갖춘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은 3핀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멍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록킹 핀과 2점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설정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cushion comprising: an upper rail fixed to a lower portion of a cushion of a seat; a lower rail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rail and fixed to a floor panel of a passenger compartment, And a locking pin mounted on the upper rail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fix a forward-rearward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wherein the locking pin has a three-pin structure At least on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sets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or two-point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이 경우, 상기 경사 접촉면은 상기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상하 대칭되는 부위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s locat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며 체결구멍을 갖춘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을 갖춘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은 3핀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기부를 구비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ehicle seat comprising an upper rail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a lower rail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rail and fixed to the floor panel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And a locking pin having a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fix the forward rail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wherein the locking pin has a three-pin structure, at least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이 경우, 상기 체결구멍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록킹 핀과 2점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설정하고, 상기 경사 접촉면은 상기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상하 대칭되는 부위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or two-point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s positioned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는 3핀 구조의 록킹 핀을 적용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록킹 핀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체결구멍에 대한 구조 변경이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별도의 보강재나 소재의 보완없이도 하부레일의 전단 저항을 최대화하여 규정된 강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and accommodating the locking pin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pplying the locking pin of 3 pin structure, Structural changes to the pins allow the shear resistance of the lower rail to be maximize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reinforcements or materials to meet specified strength standards.

즉, 본 발명은 록킹 핀과 접촉 가능한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록킹 핀과 접촉 가능한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록킹 핀과 2점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설정함으로써, 충돌 사고의 발생시 하부레일의 체결구멍이 구현할 수 있는 전단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규정된 강도 기준에 부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inclined contact surfaces for two-point contact with the locking pins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in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pin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hear stiffness that the fastening hole can realize, so that it can meet the stipulated strength standard.

또한, 본 발명은 하부레일의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에 있어,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충돌 사고의 발생시 하부레일의 체결구멍이 구현할 수 있는 면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규정된 강도 기준에 부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the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is integrally form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pressure at which the hole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meet the specified strength stand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레일로크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록킹 핀과 하부레일의 체결구멍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록킹 핀과 하부레일의 체결구멍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engagement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lock assembly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 4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holes of the locking rail and the lower rail in order to explain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co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fastening holes of a locking rail and a lower rail for explaining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of a seat r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clarity, and descriptive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be.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engagement state of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shown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작용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10),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레일(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레일(20), 및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켜 주는 레일로크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upper rail 10 fixed to a lower portion of a cushion of a seat, a lower rail 10 fixed to a floor panel of a passenger compartment, And a rail lock 20 installed on the upper rail 1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to the lower rail 20 at a desired position, (100).

즉, 상기 상부 레일(10)은 상기 하부 레일(20)과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 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실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상부 레일(10)은 상기 하부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That is, the upper rail 10 is movably suppor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20 through a slidable engagement with the lower rail 20. That is, the upper rail 10 is installed to be slidably supported along the lower rail 20.

또한, 상기 상부레일(10)은 후술되는 록킹 핀(140)의 외부 노출을 위해 관통구멍(12)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의 설치를 위해 측부에 개구부(14)를 구비한다.The upper rail 10 also has a through hole 12 for external exposure of a locking pin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has an opening 14 on its sid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ail lock assembly 100 .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레일로크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lock assembly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 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 레일(1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rail lock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rail 10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relative to the lower rail 20.

이를 위해,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레일(10)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11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릴리스 레버(12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위치로 탄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30),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선회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 가능한 3핀 구조의 록킹 핀(140), 및 상기 록킹 핀(140)을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ail lock assembly 100 includes a mounting bracket 110 fixed to the upper rail 10, a release lever 120 hinged to the mounting bracket 110, A return spring 13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lease lever 120 to a locked position and a vertical spring for lift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o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And a return spring 150 for providing a resilient force to insert the locking pin 140 in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이 경우,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도 2에 도시된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release lever 12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4 shown in FIG. 2, so that the release lever 120 can be pressed by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록킹 핀과 하부레일의 체결구멍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는 저면도이다.Fig. 4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holes of the locking rail and the lower rail in order to explain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체결구멍(22)은 상기 하부레일(20)을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록킹 핀(140)과 접촉 가능한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록킹 핀(140)과의 2점 접촉(X)을 위한 경사 접촉면(24)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4, the fastening hole 22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rail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hole 140. The fastening hole 140 is form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locking pin 140, (X) for the two-point contact (X).

이 경우, 상기 체결구멍(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 접촉면(24)은 상기 체결구멍(2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상하 대칭되는 부위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상기 경사 접촉면(24)은 상기 록킹 핀(14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부위에서 동일한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contact surfaces 24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22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s 22. In other words, the inclined contact surfaces 24 are form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in the upper and lower symmetrical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axial center of the locking pin 140.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구멍(22)은 기존의 하부레일(20)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체결구멍과 비교할 때, 상기 경사 접촉면(24)이 설정되는 부위에 위치한 확장부(26; 해칭된 부분) 만큼 관통된 부위가 축소된 형태이므로, 충돌 사고의 발생시 상기 록킹 핀(140)과의 접촉함에 있어 상기 체결구멍(22)이 구현할 수 있는 전단 강성은 극대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접한 상기 체결구멍(22) 사이의 살부위 길이(d)를 종래와 동일하게 설정하더라도 규정된 강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The fastening hole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24 is set, as compared with a rectangular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conventional lower rail 20 The shear rigidity that can be realized by the fastening hole 22 in maximizing the shear rigidity at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140 in the event of a collision is maximized because the portion penetrated by the extended portion 26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stipulated strength standard even if the length d of the living part between the adjacent fastening holes 22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체결구멍(22) 사이의 살부위 길이(d)를 종래와 동일하게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 접촉면(24)의 형성에 의해 설정되는 확장부(26)가 살부위의 길이(d)를 "e"의 두 배 만큼 더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전단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26, which is set by forming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24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d of the living part between the fastening holes 22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length d of the part to be worn by twice the width " e ", so that the shear rigidity can be further improved.

부연하자면, 기존의 장방형의 체결구멍은 전체 면적이 상기 확장부(26)를 포함하는 범위이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구멍(22)에 있어 상기 록킹 핀(140)과의 2점 접촉(X)을 위한 상기 경사 접촉면(24)은 상기 확장부(26)에 의해 살부위의 길이(d)를 "e"의 두 배 만큼 더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구멍(22)에 대한 전단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fastening hole has a total area including the extended portion 26,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fastening hole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24 for the two-point contact X can increase the length d of the living part by twice as much as " e " by the extending portion 26, The shear rigid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록킹 핀과 하부레일의 체결구멍 사이의 구성관계를 설명하는 저면도이다.FIG. 5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co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fastening holes of a locking rail and a lower rail for explaining a reinforcing structure for a locking device of a seat r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체결구멍(2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기부(14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ocking pin 140 is configured to have a reinforcing protrusion 142 protruding outwar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22.

이 경우, 상기 보강 돌기부(142)는 상기 체결구멍(2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록킹 핀(140)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돌 사고의 발생시 상기 체결구멍(22)의 내주면과의 접촉시 면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체결구멍(22) 사이의 살부위 길이(d)를 종래와 동일하게 설정하더라도 규정된 강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reinforcing projection 142 can provide an effect of expand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cking pin 14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22,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pressure when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22 to satisfy the stipulated strength standard even if the length d of the living part between the fastening holes 22 is set to be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 상기 체결구멍(2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록킹 핀(140)과의 2점 접촉(X)을 위한 경사 접촉면(24)을 함께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hole 22 has an inclined contact surface 24 for two-point contact X with the locking pin 140,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et together.

이때에도 상기 경사 접촉면(24)은 상기 체결구멍(22)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상하 대칭되는 부위로 위치하고, 상기 록킹 핀(14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부위에서 동일한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는 구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24 is located at a position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22,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24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t the upper and lower symmetrical parts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of the locking pin 140 As shown in FI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상부레일 12-관통구멍
14-개구부 20-하부레일
22-체결구멍 24-경사 접촉면
26-확장부
100-레일로크 조립체 110-마운팅 브라켓트
120-릴리스 레버 130-리턴스프링
140-록킹 핀 142-보강 돌기부
150-리턴스프링
10-upper rail 12-through hole
14-opening 20-bottom rail
22-fastening hole 24-inclined contact surface
26-Expansion
100-Rail lock assembly 110-Mounting bracket
120-Release lever 130-Return spring
140-Locking pin 142-Reinforcing projection
150-return spring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며 체결구멍을 갖춘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전후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 핀을 갖춘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은 3핀 구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체결구멍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 돌기부를 구비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
An upper rail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of the seat;
A lower rail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upper rail and fixed to the floor panel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having a fastening hole; And
A rail lock assembly mounted on the upper rail and having a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for fixing a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Wherein the locking pin has a three-pin structure, and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i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ed outwar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멍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록킹 핀과 2점 접촉을 위한 경사 접촉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stening hole sets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or two-point contact with the locking pin 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접촉면은 상기 체결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상하 대칭되는 부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용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s located at a position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astening hole.
KR1020170126422A 2017-09-28 2017-09-28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KR101972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22A KR101972332B1 (en) 2017-09-28 2017-09-28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22A KR101972332B1 (en) 2017-09-28 2017-09-28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30A KR20190036930A (en) 2019-04-05
KR101972332B1 true KR101972332B1 (en) 2019-04-25

Family

ID=6610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22A KR101972332B1 (en) 2017-09-28 2017-09-28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3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54B1 (en) * 2011-01-14 2017-02-22 주식회사다스 Seat rail locking device of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54B1 (en) * 2011-01-14 2017-02-22 주식회사다스 Seat rail locking device of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30A (en)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64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EP2686201B1 (en) Vehicle seat
JP4833261B2 (en) Automotive control panel equipment
CN109476244B (en) Longitudinal adjuster and vehicle seat
US11912179B2 (en) Seat rail module for a vehicle seat for vehicle seat deceleration in the event of a crash
JP6217501B2 (en) Slide rail
US865738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rest assembly
US9139120B2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EP1721776A2 (en) Slide adjuster for an automobile seat
CN110636955B (en) Buckle
KR101411817B1 (en) Actuating means for a crash-active head restraint
US8047611B2 (en) Headrest bushing and vehicle seat using the same
JP6191373B2 (en) Seat back connection structure
US11414045B2 (en) Anch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KR101972332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locking device of seat rail
JP7315882B2 (en) shock absorber
JP2011255860A (en) Supporting structure of seat back of vehicle
KR102350615B1 (en) Locking Device Of Vehicle Seat Rail
CN215474620U (en) Seat slide rail locking means with strengthening mechanism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7311836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EP4344942A1 (en)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JP2021187387A (en) Side door structure for vehicle
KR102355946B1 (en) Locking Device Of Vehicle Seat Rail
JP2008179210A (en) Vehicular interior trim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