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79B1 -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79B1
KR101971779B1 KR1020170070954A KR20170070954A KR101971779B1 KR 101971779 B1 KR101971779 B1 KR 101971779B1 KR 1020170070954 A KR1020170070954 A KR 1020170070954A KR 20170070954 A KR20170070954 A KR 20170070954A KR 101971779 B1 KR101971779 B1 KR 10197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waste
blade
mixing
bla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423A (en
Inventor
박태언
Original Assignee
박태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언 filed Critical 박태언
Publication of KR2018007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C05F17/0018
    • C05F17/0258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찌꺼기, 분료, 슬러지 등의 수분함유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혼합 및 발효건조할 수 있는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가 개시된다.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분료를 포함한 폐기물을 담는 원통형 메인프레임을 구비하는 장치프레임, 장치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며 폐기물을 혼합하는 믹싱부, 및 장치프레임 외부에서 믹싱부에 연결되어 믹싱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믹싱부는 메인프레임의 원형 단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직경의 파이프 형태의 구동축과,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파이프 형태의 블레이드암과, 블레이드암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Disclosed is a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mixing and fermenting dry moisture-containing waste such as food waste, powder, sludge and the like. The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includes a device frame having a cylindrical main frame containing waste containing food waste or powder, a mixing unit rotating inside the device frame and mixing waste, and connected to a mixing unit outside the device frame for mixing.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part, wherein the mixing part includes a drive shaft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first diamet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main frame, a blade arm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a distal end of the blade arm. It has a blade that is coupled to.

Figure R1020170070954
Figure R1020170070954

Description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Equipment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찌꺼기, 분료, 슬러지 등의 수분함유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혼합 및 발효건조할 수 있는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mixing and fermenting dry moisture-containing waste such as food waste, powder, sludg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음식물찌꺼기, 가축 분료 및 생활 슬러지 등의 수분 함유 폐기물이나 고형 폐기물은 발효건조 후 매립된다. 하지만, 폐기물을 매립하면 수질 또는 토양 오염의 문제를 초래되기 때문에, 발효건조 후 가공하여 유기질 비료, 사료 등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장려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water-containing or solid wastes such as food waste, livestock fractions and domestic sludge are landfilled after fermentation drying. However, since landfilling of waste causes problems of water quality or soil pollution, the use of organic fertilizer, feed, etc. after fermentation and drying is encouraged.

기계적 선별공정과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적절히 결합한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MBT) 시설은 고형 폐기물이나 생분해성 폐기물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1990년대 초에 도입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MBT) facilities, which combine a mechanical sorting process with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and have been in use until now to properly treat solid and biodegradable waste.

MBT 시설에 적용되는 Bio-drying은 생물학적 처리의 한 방법으로 미생물에 의해 폐기물 내 생분해성 유기물질이 분해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폐기물 내 함유된 수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어 Bio-dryingdms 폐기물의 처리가 일어나는 생물전환 반응기 자체; 반응기 내에서 일어나는 물리, 생물, 화학적 과정; 혹은 Bio-drying 반응기를 포함하는 MBT 시설을 의미하기도 한다. 미생물로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활하는 세균을 나타내는 혐기성세균, 산소가 있는 곳에서 생육 및 번식하는 세균을 나타내는 호기성세균 등이 사용된다.Bio-drying applied to MBT facilities means a process of rapidly drying moisture contained in wastes by using heat generated when biodegradable organic substances in wastes ar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Here, the term Bio-dryingdms waste bioconversion reactor itself, where the treatment of waste occurs;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processes occurring in the reactor; It may also mean an MBT facility that includes a bio-drying reactor. As microorganisms, anaerobic bacteria representing bacteria living in an oxygen-free environment, aerobic bacteria representing bacteria growing and breeding in the presence of oxygen, and the like are used.

그러나 혐기성 세균에는 파상풍균, 가스괴저균, 클로로스트리듐균 등이 있고, 호기성 세균은 편성호기성세균, 미(fine)호기성세균 및, 통성혐기성세균으로 구분되며, 평성호기성세균에는 초산균, 고초균, 결핵균, 아조토박터 등이 있고, 통성혐기성세균에는 포도상구균, 대장균, 티푸스균 등이 있다.However, anaerobic bacteria include tetanus bacteria, gas necrosis bacteria, chlorotridium bacteria, and aerobic bacteria are classified into aerobic bacteria, fine aerobic bacteria, and aerobic bacteria, and aerobic bacteria are acetic acid bacteria, Bacillus subtilis, and tuberculosis bacteria. , Azotobacter, and the like, and anaerobic bacteria include staphylococci, Escherichia coli, and typhoid bacteria.

이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는 폐기물 처리 공정은 기계적인 혼합 공정이 거의 없더라도 폐기물을 빠른 시간 내에 처리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미생물의 증식속도가 매우 빨라 슬러지 발생량이 매우 많고 발생되는 폐슬러지를 처리하는데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온도와 폐수의 유기물 농도에 따른 부하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As such, the waste treatment process using aerobic microorganisms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treat wastes in a short time even if there is almost no mechanical mix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of expens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loa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wastewater.

그리고 혐기성 미생물을 사용하는 폐기물 처리 공정은 폐기물 처리로 발생하는 메탄을 활용가능하고 증식속도가 늘려 폐슬러지 발생량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유기물 분해 속도가 매우 느려 많은 양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혐기성 미생물을 사용하는 폐기물 처리 시설은 매우 거대화되고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ste treatment process using anaerobic microorganisms h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methane generated from waste treatment and increasing the growth rate so that there is little waste sludge generation, but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cess a large amount because organic decomposition rate is very slow. have. For this reas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using anaerobic microorganism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are becoming very large.

삭제dele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9551호(2016.12.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49551 (2016.12.28)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성 또는 무기성 음식물찌꺼기, 가축 분뇨, 기타 폐기물 등의 수분 함유 폐기물이나 고형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이하, 간략히 '폐기물 처리 장치'라고 한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x and ferment dry to effectively treat water-containing waste or solid waste, such as organic or inorganic food waste, livestock manure, other waste An apparatu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내벽에 폐기물 찌꺼기가 눌어붙어 막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의 가열부의 열을 장치 내 폐기물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disposal apparatus which can prevent waste waste from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apparatus to form a film, thereby effectively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external heating portion to the waste in the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 내 폐기물을 매우 적절히 혼합할 수 있고, 회전구동하는 믹싱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고 처리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 disposal apparatus capable of mixing waste in the apparatus very appropriately, preventing breakage of a rotating drive mixing section, and increasing processing speed without using microorganisms.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remove odor generated in the waste treatment proces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이하, 간략히 '폐기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분료를 포함한 폐기물을 담는 원통형 메인프레임을 구비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폐기물을 혼합하는 믹싱부; 및 상기 장치프레임 외부에서 상기 믹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믹싱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원형 단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직경의 파이프 형태의 구동축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파이프 형태의 블레이드암과, 상기 블레이드암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hereinafter, simply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rame having a cylindrical main frame containing waste including food waste or powder. ; A mixing unit which rotates inside the apparatus frame and mixes the waste; And a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mixing part outside the apparatus frame to rotate the mixing part, wherein the mixing part has a drive shaft having a pipe shape having a first diameter passing through a center of a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first diameter. A blade arm in the form of a smaller second diameter pipe and a blade engaging the distal end of the blade arm.

일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암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제1 블레이드암과, 상기 구동축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2 블레이드암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blade arm may include a first blade arm having a length extending from the driving shaft in a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iving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revers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having the same length; The second blade arm may have a length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암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로 다른 길이가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lade arm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are the seco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fferent lengths extending in the direction may be arranged alternately.

일실시예에서,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표면을 채널의 일면벽으로 사용하는 유체유동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체유동채널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의 폐기물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luid flow channel u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frame as one wall of the channe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heat can be supplied to the waste inside the mainframe by the heat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일실시예에서,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막는 제1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프레임은 열풍유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열풍유입구에 연결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장치프레임 내부에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rst cover frame that closes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and the first cover frame may include a hot air inle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ot ai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evice frame through a hot ai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hot air inle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효 건조기의 발효 건조실 내에 설치되고, 건조기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모터와 감속기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3차원의 각도형의 엔드 플레이트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는 바, 블레이드암(인치 파이프)는 샤프트(구동축에 대응한다)를 관통하여 직각으로 장착시켜 샤프트와 브레이드암의 연결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고, 블레이드는 3차원의 각도로 부착하여 회전시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하며, 또한 발효건조실(장치프레임에 대응한다) 내에서 수분 함유물(폐기물에 대응한다)의 수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발효건조기 외부에 직접 접하여 설치되는 온수 채널을 이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고, 악취 제거를 위해 배출구(또는 배기구)에 열 시스템(냄새제거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을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t is installed in the fermentation drying chamber of the fermentation dryer, the three-dimensional angular on the rotary shaft and the rotary shaft to rotate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the reduc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ryer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as end plates is proposed. The blade arm (inch pipe) is mounted at right angles through the shaft (corresponding to the drive shaft) to prevent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aft and the braid arm. And the blade is attached at a three-dimensional angle to minimize the load during rotation, and also to remove the moisture of the mois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aste) in the fermentation drying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device frame) outside the fermentation dryer. The hot water channel is installed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ater to increase drying efficiency and to remove odors. The balls) may be provided to heat the system (may correspond to a deodorizing device).

전술한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이하, 간략히 '폐기물 처리 장치')를 사용하면, 유기성 또는 무기성 음식물찌꺼기, 가축 분뇨, 기타 폐기물 등의 수분 함유 폐기물이나 고형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waste treatment device') can effectively treat water-containing wastes or solid wastes such as organic or inorganic food waste, livestock manure, and other wastes.

즉, 저비용의 가열부를 사용하면서 가열부의 열전달매체를 이송하는 채널의 일면으로서 폐기물 처리 장치의 메인프레임 일면을 직접 사용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벽에 폐기물 찌꺼기가 눌어붙어 막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가열부의 열을 폐기물 처리 장치 내 폐기물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by directly using one side of the main fram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s a channel of the heat transfer medium for transferring the heat transfer medium of the heating portion while using a low-cost heating portion, the waste residue is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to form a fil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transfer heat to the waste i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또한, 폐기물 처리 장치의 하부 및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부에 더하여 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를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의 혼합 과정과 건조 과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혼합 및 발효건조 분위기를 최적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hot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heating unit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mixing process and drying process of the waste. You can optimize your mood.

또한, 폐기물 처리 장치 내에서 회전하는 구동축을 파이프 구조물로 구성하고, 구동축에 결합하는 블레이드 암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서로 다른 길이의 파이프 구조물들로 준비하고 구동축에 블레이드 암을 관통시켜 입체적으로 구성하며, 블레이드 암의 말단부에 3차원 구조의 블레이드들(폐기물 처리 장치 내벽을 따라 회전하는 블레이드 포함한다)을 배치함으로써 수톤 이상의 대량 폐기물 속에서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폐기물 처리 장치 내 폐기물을 매우 잘 혼합할 수 있고, 회전운동하는 믹싱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처리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ive shaft that rotates i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composed of a pipe structure, the blade arm coupled to the drive shaft is prepared with pipe structures of different lengths of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by penetrating the blade arm through the drive shaft By placing the three-dimensional blades (including the blades rotat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at the distal end of the blade arm, the waste disposal equipment can be mixed very well even when the blades rotate in the mass waste of more than several t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rotating mixing part, w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without using microorganisms.

또한, 폐기물 처리 장치 내에서 유동하는 폐기물의 이동 경로 중 상부측 말단부에 배기구를 배치하고, 배기구에 악취를 태워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an exhaust port in the upper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waste flowing i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by removing the odor in the exhaust port to remove the odor can be effectively removed odor generated during the waste treatment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이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원통형 메인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막는 제1 커버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원통형 메인프레임의 타측 개구부를 막는 제2 커버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믹싱부의 구동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믹싱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구동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축을 이용하는 믹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믹싱부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발효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발효건조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배출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hereinafter,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ver frame blocking one side opening of a cylindrical main fram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over frame blocking the other opening of the cylindrical main fram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iving shaft of the mixing uni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ixing portions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drive shaft of FIG. 4.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ixing unit using the driving shaft of FIG. 6.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mixing unit of FIG. 5.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of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drying uni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though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displayed portions are different, the reference numerals may not match.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named to the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이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원통형 메인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막는 제1 커버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원통형 메인프레임의 타측 개구부를 막는 제2 커버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믹싱부의 구동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믹싱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들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hereinafter,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ver frame blocking one side opening of a cylindrical main fram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cover frame blocking the other opening of the cylindrical main frame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iving shaft of the mixing uni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mixing portions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는, 장치프레임(10), 믹싱부(30), 구동부(50), 발효건조부(70) 및 배출건조부(90)를 구비한다. 장치프레임(10)은 발효조로, 믹싱부(30)는 교반부로, 발효건조부(70)는 가열부로, 배출건조부(90)는 이송부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처리 장치(100)는 유·무기성 슬러지 발효 유기질 비료 사료 건조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vice frame 10, mixing unit 30, the drive unit 50, fermentation drying unit 70 and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Equipped. The apparatus frame 10 may be referred to as a fermentation tank, the mixing unit 30 as a stirring unit,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70 as a heating unit, and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as a conveying unit. In additio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may be referred to as an organic / inorganic sludge fermentation organic fertilizer feed drying apparatus.

장치프레임(10)은 메인프레임(10a), 제1 커버프레임(11), 제2 커버프레임(12), 지지프레임(13), 인렛(14), 아웃렛(15) 및 배기구(16)를 구비할 수 있다. 장치프레임(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은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고, 인렛(14)은 공급 홀로, 아웃렛(15)은 배출 홀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The device frame 10 includes a main frame 10a, a first cover frame 11, a second cover frame 12, a support frame 13, an inlet 14, an outlet 15, and an exhaust port 16. can do. The device frame 10 may have a sealed inner space. The support frame 13 may correspond to the base frame, the inlet 14 may be referred to as the supply hole, the outlet 15 may be referred to as the discharge hole.

메인프레임(10a)은 원통 형상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양단 측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a)의 길이는 약 7.5 미터일 수 있고, 그 직경은 약 3.25 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크기 또는 용량은 10톤의 음식물 슬러지 등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프레임(10a)의 외표면 상부 양측에는 크레인의 리프링 앵커, 고리 등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17)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17)는 메인프레임(10a)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원형 단면의 중심에서 상부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약 45° 회동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0a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metal material and may have openings at both ends. The length of the mainframe 10a may be about 7.5 meters, and the diameter may be about 3.25 met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is size or capacity is for treating waste such as 10 tons of food sludge. Fastening portions 17 for connecting a lifting anchor, a ring, and the like of a crane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0a. The fastening part 17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rotated about 45 ° from the top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frame 10a.

제1 커버프레임(11)은 메인프레임(10a)의 일측 개구부를 막는 원판형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프레임(11)은 메인프레임(10a)의 일측 개구부에 용접 방식으로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물론, 제1 커버프레임(11)은 밀봉 부재를 게재하고 메임프레임(10a)의 일측 개구부에 볼트 체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프레임(11)은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부재를 사용하면서 강도 또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스트라이프 형태나 격자 형태로 주면 상에 덧대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1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2 참조).The first cover frame 11 may include a disc-shaped metal member blocking one opening of the main frame 10a. The first cover frame 11 may be integrally bonded to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10a by a welding method. Of course, the first cover frame 11 may be coupled to the bolt fastening structure by placing the sealing member and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10a. In addition, the first cover frame 11 may further include a subframe 11a installed on the main surface in the form of a stripe or a lattice in order to increase strength or durability while using a relatively thin metal member (FIG. 2).

제2 커버프레임(12)은 메인프레임(10a)의 타측 개구부를 막는 원판형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프레임(12)은 메인프레임(10a)의 타측 개구부에 볼트 체결 구조(130)로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The second cover frame 12 may include a disc-shaped metal member that blocks the other opening of the main frame 10a. The second cover frame 12 may be coupled to the bolt opening structure 130 at the other opening of the main frame 10a (see FIG. 3).

제2 커버프레임(12)의 구조에 의하면, 체결홀(130a)에 삽입되는 볼트 및 이 볼트에 나사산 결합하는 너트를 사용하여 메인프레임(10a)의 타단 플렌지에 제2 커버프레임(12)을 분리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메인프레임(10a) 내부의 청소, 수리 등 유지관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메인프레임(10a)에서 제2 커버프레임(12)을 분리하여 작업자의 출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ver frame 12, the second cover frame 12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flange of the main frame 10a by using a bol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30a and a nut threaded to the bolt. It can be tightened as possible, thereby removing the second cover frame 12 from the main frame (10a) to secure the access space of the worker when maintenance work such as cleaning, repairing the inside of the mainframe (10a) is required. have.

지지프레임(13)은 폐기물 처리 장치(1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서 메인프레임(10a)을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은 메인프레임(10a)의 원통형 외주면에 대응하는 오목한 상부면과, 상기 바닥면 또는 설치면에 대응하는 평평한 하부면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은 메인프레임(10a)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3)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3 may support the main frame 10a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is installed. The support frame 13 may have a concav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rame 10a and a flat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r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upport frame 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main frame 10a. The support frame 13 may correspond to a fixed or movable base frame.

인렛(14)은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상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인렛(14)은 음식물찌거기, 음식물쓰레기, 분료 등의 폐기물을 받는 유입구를 구비하며, 구현에 따라서 유입구를 막거나 덮는 인렛 커버(14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렛 커버(14a)는 액츄에이터와 결합된 자동 개폐 구조를 갖출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동 개폐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는 구현에 따라서 별도의 폐기물 공급 장치 혹은 폐기물 공급 장치에 연결되는 이송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The inlet 14 may be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upper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frame 10a. The inlet 14 has an inlet for receiving wastes such as food scraps, food waste, powder, etc.,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cover 14a for blocking or covering the inle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inlet cover 14a may have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oupled with the actu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inlet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waste supply device or a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waste supply devic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아웃렛(15)은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하부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아웃렛(15)은 메인프레임(10a) 내부에서 혼합되고 발효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다. 아웃렛(15)은 배출건조부(90)의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The outlet 15 may be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lower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a. The outlet 15 ha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sludge mixed and fermented in the main frame 10a. Outlet 15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배기부(16)는 배기구(16a)를 구비하고, 배기구(16a)에 결합하는 밸브나 냄새제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는 일정 압력하에서 자동 개방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밸브는 배기구와 가스저장탱크와의 사이, 또는 배기구와 냄새제거장치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기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냄새제거장치는 배기가스를 태워 제거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그 경우 폐기물 처리 장치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exhaust part 16 may be provided with the exhaust port 16a,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valve | bulb and the odor removal apparatus couple | bonded with the exhaust port 16a. The valve may have a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opens under a certain press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val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port and the gas storage tank or between the exhaust port and the odor removing device to be used to control the exhaust gas. The odor removing device may be a device for burning and removing the exhaust gas, and in this case, the odor inside the waste treatment device may be effectively block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발효조에 대응하는 장치프레임(10)에는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부가 설치되고, 그에 의해 장치프레임(10)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e device frame 10 corresponding to the ferment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part for block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energy consumed in the device frame 10.

본 실시예에서, 장치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찌꺼기, 슬러지/쓰레기, 분뇨 등의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다. 폐기물은 하수 또는 폐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른 유기성 슬러지 또는 무기성 슬러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찌꺼기, 슬러지, 분뇨 등의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발효 건조시키기 위한 미생물, 예를 들어 호기성 미생물이나 혐기성 미생물이 함께 투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미생물 투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미생물을 투입하지 않는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aste such as food waste, sludge / garbage, manure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pparatus frame 10. The waste may also contain other organic sludges or inorganic sludges from sewage or waste water treatment. In addition, microorganisms, such as aerobic or anaerobic microorganisms for effectively fermenting and drying waste such as food waste, sludge and manure, may be added toge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icrobial input, it can operate as a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of the waste does not add microorganisms.

믹싱부(30)는 구동축(30a), 제1 블레이드암(31), 제2 블레이드암(32), 제1 블레이드(33) 및 제2 블레이드(34)를 구비할 수 있다. 믹싱부(30)는 메인프레임(10a) 내부에서 회전운동하며 폐기물을 혼합하는 구성부이다.The mixing unit 30 may include a driving shaft 30a, a first blade arm 31, a second blade arm 32, a first blade 33, and a second blade 34. The mixing unit 30 is a component that mixes waste while rotating in the main frame 10a.

구동축(30a)은 소정의 길이와 소정의 직경을 가진 중공형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축(30a)은 제1 블레이드암(31)이 관통하는 제1 홀(301), 제2 블레이드암(32)이 관통하는 제2 홀(302),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기어연결부(35)를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 홀(303), 및 타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다단단부(36)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4 홀(304)을 구비할 수 있다(도 4 참조).The drive shaft 30a may be formed of a hollow cylindrical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drive shaft 30a includes a first hole 301 through which the first blade arm 31 penetrates, a second hole 302 through which the second blade arm 32 penetrates, and a gear connecting portion 35 inser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thereof. The third hole 303 into which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is inserted, and the fourth hole 304 into which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s inserted, to fix the multi-stage end portion 36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 May be provided (see FIG. 4).

즉, 구동축(30a)은 일정 간격 이격 배열되고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들(301, 302)을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관통홀들은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두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 다수의 관통홀들은 블레이드암들이 구동축(30a) 주위를 나선형 형태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도록 구동축(30a) 표면 상에 나선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That is, the drive shaft 30a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1 and 30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penetrat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wo directions,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arranged in a helic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drive shaft 30a such that the blade arms are arranged to extend helically around the drive shaft 30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구동축(30a)의 일단에는 기어연결부(35)가 구비된다. 기어연결부(35)는 단차부를 경계로 외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기어연결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축(30a)의 타단에는 구동축지지부(53)와의 효율적 결합을 위한 다단단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다단단부(36)는 기어연결부(35)와 유사하게 단차부를 경계로 외경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축(30a)은 구동부(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One end of the drive shaft 30a is provided with a gear connecting portion 35. The gear connecting part 35 may have gear connecting ends whose outer diameters are gradually reduced with respect to the stepped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30a may be provided with a multi-stage end portion 36 for efficient coupling with the drive shaft support portion 53. The multi-stage end portion 36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to the stepped portion similarly to the gear connecting portion 35. The drive shaft 30a may be rotated by the drive unit 50.

구동축(30a)의 일단부는 제1 커버프레임(11)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1 관통홀(11b)을 통과하여 연장하며, 그에 의해 기어연결부(35)는 메인프레임(10a)의 외부에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30a)의 일단부와 제1 커버프레임(11) 사이에는 구동축(30a)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기밀성을 부여하는 제1 링형 디스크(110)가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rive shaft 30a extend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frame 11, whereby the gear connecting portion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a. Can be. A first ring-shaped disk 110 may be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drive shaft 30a and the first cover frame 11 to provide airtightness while allowing the drive shaft 30a to rotate.

구동축(30a)의 타단부는 제2 커버프레임(12)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 관통홀(12b)을 통과하여 연장하며, 그에 의해 다단단부(36)는 메인프레임(10a)의 외부에 노출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30a)의 타단부와 제2 커버프레임(12) 사이에는 구동축(30a)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기밀성을 부여하는 제2 링형 디스크(110)가 배치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30a extend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ver frame 12, whereby the multi-stage end 3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frame 10a. Can be arrang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30a) and the second cover frame 12 may be disposed a second ring-shaped disk (110) to allow airtight while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30a).

전술한 구동축(30a)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구동축(3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 파이프나 다단 블럭의 일부분을 중공형 원통 형태의 구동축 몸체의 양단부에 삽입하여 고정적으로 연결하거나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bove-described drive shaft 3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 shaft 3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rt of a multistage pipe or a multistage block may be inserted into both ends of a hollow cylindrical drive shaft body. Can be fixedly connected or integrated.

제1 블레이드암(31)은 구동축(30a)의 직경보다 작은 제1 직경을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a)의 내경에 대응하는 제1 길이를 구비한 중공형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30a)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동축(30a)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30a)의 폭 방향에서 구동축(30a) 양측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blade arm 31 may be formed of a hollow cylindrical pipe having a first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e shaft 30a and having a firs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frame 10a. The plurality of first blade arm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to penetrate the drive shaft 30a in the wid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blade arms may be installed to extend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30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제2 블레이드암(32)은 구동축(30a)의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의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구비한 중공형 원통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직경은 상기 제1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직경보다 조금 작거나 조금 클 수 있다.The second blade arm 32 may be a hollow cylindrical pipe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e shaft 30a and having a second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Here, the second diameter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diame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lightly smaller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30a)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 이격 배열되고 구동축(30a)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들은 복수의 제1 블레이드암들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drive shaft 30a in the wid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blade arms.

또한,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30a)의 폭 방향에서 구동축(30a) 양측에 서로 다른 길이들로 각각 연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30a) 양측으로 각각 연장하는 암의 길이가 제3 길이와 제4 길이가 번갈아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may be installed to extend at different lengths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30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lengths of the arm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30a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third length and the fourth length.

제1 블레이드암과 제2 블레이드암은 2인치 내지 5인치 파이프(예컨대, SCH.XXS)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암(31) 또는 제2 블레이드암(32)이 구동축(10a)에 결합되는 부분을 차례로 연결한 선은 나선형일 수 있다.The first blade arm and the second blade arm can be constructed using 2 inch to 5 inch pipes (eg SCH.XXS). A line connecting the portions in which the first blade arm 31 or the second blade arm 32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0a may be spiral.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블레이드암들(31, 32)이 구동축(30a)을 관통하여 구동축(30a)의 횡단면 방향 양측으로 연장 배치함으로써, 대용량의 폐기물에 의해 발생하는 큰 부하에 의해 구동축(30a)과 블레이들암 사이의 경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5의 (a) 및 (b) 참조).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blade arms 31 and 32 extend through the drive shaft 30a to both sides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thereby providing a large load generated by a large amount of waste. This can prevent the boundary between the drive shaft 30a and the blade arm from being broken (see FIGS. 5A and 5B).

제1 블레이드(3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블레이드암(31)의 횡단면보다 큰 면사이즈를 가진 판형 부재 또는 블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3)의 최외측 면은 메인프레임(10a)의 내측 곡면에 대응하여 소정 곡률의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blade 33 may have a plate-like member or block structure having a face siz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lade arm 31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first blade 33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main frame 10a.

또한, 제1 블레이드(33)는 제1 블레이드암(31)의 연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면에서 제1 블레이드암(31)의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전방 측면이 후방 측면에 비해 구동축(30a)으로 약간 더 가까이 있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제1 블레이드암(31)의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lade 33 has a front side that is loc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arm 31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arm 31 as the drive shaft 30a as compared to the rear side. It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blade arm 31 in an inclined form so as to be slightly closer.

또한, 제1 블레이드(33)의 전방 측면의 일방향 길이나 단면 사이즈는 후방 측면의 일방향 길이나 단면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블레이드(33)의 판형 구조나 블럭 구조는, 일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도 5의 (a) 및 (b) 참조).In addition, the one-way length or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blade 33 may be smaller than the one-way length or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rear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ate-like structure or the block structure of the first blade 33 may have a rectangular, rectangular, elliptical, triangular,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viewed in one direction (see FIGS. 5A and 5B). ).

제2 블레이드(34)는 제2 블레이드암(32)의 횡단면보다 큰 면사이즈를 가진 판형 구조나 블럭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4)는 제2 블레이드암(32)의 말단부에 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블레이드(33)와 동일한 형태 및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lade 34 may be formed of a plate-like structure or a block member having a face size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blade arm 32. The second blade 34 may have the same shape and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first blade 33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econd blade 34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blade arm 32.

제1 블레이드(33) 및 제2 블레이드(34) 중 적어도 한 그룹 이상은 블레이드암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블레이드암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조절하면, 구동축(10a)의 길이 방향으로 폐기물의 이송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least one group of the first blade 33 and the second blade 34 may be coupled to the blade arm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blade arm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a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control the conveying speed of the was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a).

또한, 전술한 제1 및 제2 블레이드암들(31, 32)의 말단부 배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블레이드들(33, 34)은 메인프레임(10a) 내부 공간에서 3차원적으로 분배 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구동축(30a)과 제1 및 제2 블레이들암들(31, 32)과 제1 및 제2 블레이드(33, 34)를 포함한 믹싱부(30)가 메인프레임(10a)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할 때, 메인프레임(10a) 내부의 10톤에 달하는 폐기물을 잘 혼합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istal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lade arms 31 and 32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lades 33 and 34 are three-dimensionally distribu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frame 10a. Thereby, the mixing section 30 including the drive shaft 30a, the first and second blade arms 31 and 32 and the first and second blades 33 and 34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a. When rotat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10a) can be mixed well up to 10 tons of waste inside.

또한, 전술한 믹싱부(30)의 구성에 의하면, 메인프레임(10a) 내부의 폐기물은 내부 순환 유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내부 순환 유동 경로는 메인프레임(10a)의 내부 일단 상부, 내부 타단 상부, 내부 타단 하부 및 내부 일단 하부를 기재된 순서대로 유동한 후 처음부터 다시 반복하는 폐기물 유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단 상부 및 타단 상부는 구동축(30a)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구분할 때 구동축(30a) 상부를 지칭할 수 있다. 즉, 폐기물의 처리량에 따라 일단 상부에서 타단 상부로 이동하는 폐기물은 믹싱부(30)에 의해 회전하는 폐기물 중 길이 방향으로 눕힌 형태로 배치되는 구동축(30a)을 소정 두께로 덮거나 구동축(30a) 상부에 위치하는 폐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ixing unit 30 described above, the waste inside the main frame 10a can move along the internal circulation flow path. The inner circulation flow path may include a waste flow path that flows through the inner one end of the main frame 10a, the upper end of the inner e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end in the order described, and then repeats from the beginning again. Here, the upper end and the other end may ref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30a wh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re divided based on the driving shaft 30a. That is, the waste moving once from the top to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throughput of the waste covers the drive shaft 30a disposed in the form of lying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ste rotated by the mixing unit 3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the drive shaft 30a. It may include waste located at the top.

또한, 구동축과 블레이드암들을 중공형 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과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무게를 작게 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구동축을 포함한 믹싱부(30)를 회전시키는 메인 모터(52)의 용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hollow pipe for the drive shaft and the blade arms, while maintaining a diameter, strength, and durability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the main motor 52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work and to rotate the mixing unit 30 including the drive shaf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apacity of).

구동부(50)는 감속기(51), 메인모터(52), 구동축지지부(53) 및 베어링(54)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믹싱부(30)에 회전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부이다.The drive unit 50 may include a reducer 51, a main motor 52, a drive shaft support 53, and a bearing 54. The drive unit 5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rotational power to the mixing unit 30.

감속기(51)는 구동축(30a)의 기어연결부(35)에 결합한다. 감속기(51)는 기어연결부(35)와 메인모터(5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는 메인모터(52)와 서로 다른 감속비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하나의 기어를 도시하나, 실제로는 기어 박스를 통해 복수의 기어들 중 어느 하나가 수동으로 혹은 전동(/자동)으로 선택적으로 메인모터(52)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동 모드 혹은 자동 모드가 가능한 경우, 감속기(51) 또는 기어 박스는 제어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기어 변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reducer 51 is coupled to the gear connecting portion 35 of the drive shaft 30a. The reducer 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disposed between the gear connecting portion 35 and the main motor 52. The plurality of gears may be coupled to the main motor 52 at different reduction ratios. In FIG. 1, one gear is show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but in practic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may be install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motor 52 manually or electrically (/ automatically) through a gear box. . When the electric mode or the automatic mode is possible, the reducer 51 or the gear box may be installed to automatically shift the gear according to a load preset by the controller.

메인모터(52)는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모터(52)는 메인프레임(10a) 외부에 배치되고 감속기(51)를 통해 구동축(30a)과 블레이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main motor 52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rotating by electric power. The main motor 5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ain frame 10a and rotate the drive shaft 30a and the blade through the reducer 51.

구동축지지부(53)는 구동축(30a)의 다단단부(36)에 결합한다. 다단단부(36)과의 효율적인 결합을 위해, 구동축지지부(53)는 제2 커버프레임(12)에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받침대(12h)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2h)는 제2 커버프레임(12)을 지지하는 서브프레임(12a)의 일부와 일체로 설치되거나 서브프레임(1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support portion 53 is coupled to the multi-stage end portion 36 of the drive shaft 30a. For efficient coupling with the multi-stage end 36, the drive shaft support 53 may be installed on a pedestal 12h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econd cover frame 12. The pedestal 12h may b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part of the subframe 12a supporting the second cover frame 12 or may be supported by the subframe 12a.

또한, 구동축지지부(53)는 메인모터(52)의 동작에 의해 구동축(30a)이 회전할 때 구동축(30a)의 타단에서의 회전 구동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구동축지지부(53)와 다단단부(36)가 접하는 부분에는 베어링(54)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 shaft support part 53 is installed to support rotational drive at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30a when the drive shaft 30a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motor 52. To this end, a bearing 54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driving shaft support 53 and the multi-stage end 36 contact each other.

베어링(54)은 구동축(30a)의 다단단부(36)와 구동축지지부(53)와의 물체간 마찰력을 줄여 구동축(30a)의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베어링(54)에는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슬라이드 베어링, 유체 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bearing 54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ulti-stage end portion 36 of the drive shaft 30a and the drive shaft support 53, thereby smoothly rotating the drive shaft 30a. As the bearing 54, a ball bearing, a roller bearing, a slide bearing, a fluid bearing, or the like may be used.

발효건조부(70)는 유체유동채널(70a) 및 열풍공급장치(7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유동채널(70a)은 유체유동을 이용한 가열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발료건조부(70)는 메인프레임(10a) 내부의 폐기물에 열을 가하는 구성부이다.The fermentation drying unit 70 may include a fluid flow channel 70a and a hot air supply device 73. The fluid flow channel 70a may be connected to a heating apparatus using fluid flow. The material drying unit 70 is a component that applies heat to the waste inside the mainframe 10a.

유체유동채널(70a)은 메인프레임(30a)의 외표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유체유동채널(70a)을 설치하기 위해, 메인프레임(30a)의 외표면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굽은 소정 두께의 판상의 막대 부재들(71)을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하고, 라인이 연장하는 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막대 부재들(71)의 일측 말단부 또는 타측 말단부가 번갈아 가며 일정 길이만큼 단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메인프레임(30a)의 곡면 외표면에 대응하도록 굽은 판 부재(72)를 막대 부재들(71) 위에 밀착시켜 덮을 수 있다. 이때, 미앤더링(meandering) 유동 유로를 형성하는 막대 부재들(71) 사이에 또는 막대 부재들(71)과 판 부재(72)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대 부재들(71)과 판 부재(72) 사이에는 개스킷(gasket),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 수단(물질,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hannel 70a may b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30a. In order to install the fluid flow channel 70a, the plate-shaped rod members 71 which are bent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30a are arranged in a stripe shape, and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extends. One end portion o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djacent bar members 71 may be alternately shorten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n, the curved plate member 72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rod members 71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30a. At this time, the rod members 71 and the plate member (not to be leaked between the rod members 71 forming the meandering flow flow path or between the rod members 71 and the plate member 72). A gasket, an adhesive, or a combination means thereof (material, member, et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72 elements.

유체유동채널(70a)의 일단에는 외부 배관이 연결되는 유입구 또는 유입커넥터가 설치되고, 그 타단에는 다른 외부 배관이 연결되는 유출구 또는 유출커넥터(74)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배관은 유체 가열 수단과 유체 이송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체유동채널(70a) 내 유체는 유체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후 유체 이송 수단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압력 및 속도로 유체유동채널(70a)에서 이동하며, 유체유동채널(70a) 내에서 메인프레임(10a)의 외표면에 접하여 메인프레임(10a) 안쪽의 폐기물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에 의하면, 메인프레임(10a) 내 폐기물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luid flow channel 70a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or inlet connector to which an external pipe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or outlet connector 74 to which another external pipe is connected. The outer tubing may be connected to the fluid heating means and the fluid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luid in the fluid flow channel 70a is heated by the fluid heating means and then moves in the fluid flow channel 70a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speed by the operation of the fluid conveying means, and the fluid flow channel 70a.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frame (10a) can be directly heated to the waste inside the mainframe (10a). According to this heat, at least a part of the waste in the mainframe 10a may be heated to dry.

열풍공급장치(73)는 메인프레임(10a)의 내부 공간에 열풍(hot-air)을 공급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장치(73)는 외부로부터 공급받거나 자체 생산한 열풍을 제1 커버프레임(11)에 배치된 열풍유입구(11h)를 통해 메인프레임(10a) 내부로 강제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t air supply device 73 may include a means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frame 10a or a component f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eans. The hot air supply device 73 may be configured to forcibly blow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produced by itself into the main frame 10a through the hot air inlet 11h disposed in the first cover frame 11.

열풍유입구(11h)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 또는 설치면과 평행하게 제1 관통홀(11b)의 상부 측에 다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열풍유입구(11h)를 통해 메인프레임(10a) 내부로 공급되는 다수의 수평 열풍은 메인프레임(10a) 내부 상부측에 노출되는 폐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a plurality of hot air inlets 11h may be arranged at an upper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11b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r the installation surface. A plurality of horizontal hot air supplied into the main frame 10a through the hot air inlet 11h may dry the waste exposed to the upper side inside the main frame 10a.

즉, 열풍 유입을 위한 열풍 홀에 대응하며 발효조의 외부 상단 2/3 지점에 설치되는 열풍유입구(11h)와 이 열풍유입구(11h)에 연결되는 열풍공급장치를 사용하여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효조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발효와 가열부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결과 미생물에 의한 발효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에 상응하는 크기만큼 가열부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at is, hot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ermenter by using a hot air inlet (11h) corresponding to the hot air hole for hot air inflow and installed at the outer top 2/3 of the fermenter and a hot ai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hot air inlet (11h). By spraying, heat can be transferred uniformly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ermentation tank. In detail, in the fermentation tank, fermentation by microorganisms and drying by a heating unit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and as a result, energy consumed in the heating unit may be reduced by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fermentation reaction by the microorganisms.

또한, 유체유동채널(70a)을 구비한 가열장치와 열풍공급장치(73)를 구비한 발효건조부(70)를 전술한 믹싱부(30)와 함께 사용하면, 메인프레임(10a) 내 대용량의 폐기물을 잘 혼합하면서 효과적으로 발효건조시킬 수 있다. 게다가,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폐기물의 혼합 및 발효건조를 효과적으로 혹은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ermentation and drying unit 70 including the heating device having the fluid flow channel 70a and the hot air supply device 73 is used together with the mixing unit 30 described above, a large capacity in the main frame 10a can be obtained. The waste can be mixed well and fermented and dried effectively. In addition, waste mixing and fermentation drying can be carried out effectively or quickly without the use of microorganism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건조부(90)는 메인프레임(10a)의 아웃렛(14)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부로서 배출도관(91) 및 히터(9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도관(91)의 일측 유입구는 메인프레임(10a)의 아웃렛(14)에 연결되고, 타측 배출구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배출도관(91)에는 이송수단과 히터(93)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may include a discharge conduit 91 and a heater 93 as a component for drying waste discharged to the outlet 14 of the main frame 10a. . One inlet of the discharge conduit 91 is connected to the outlet 14 of the main frame 10a, and the other outlet is dispos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transfer conduit 91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he transfer means and the heater 93 ) May be arranged.

또한, 배출건조부(90)는 구현에 따라서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개폐수단의 개폐 동작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를 통해 전동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a)의 내벽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상 도어/윈도우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설치하면, 폐기물 처리 장치(100)의 장시간 운전 정지 중에도 메인프레임(10a)의 아웃렛(14)과 배출도관(91)의 유입구 사이에 폐기물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electrically performed through an actua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I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 window on the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frame (10a) is provided, the outlet 14 and the discharge conduit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edimentation of waste between the inlet of (91).

전술한 폐기물 처리 장치(100)의 작동에 있어서, 배출건조부(90)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개폐수단을 닫힘으로 제어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메인프레임(10a) 내에 수용된 폐기물을 혼합 및 발효건조시키고, 일정 시간 후에 개폐수단을 열림으로 제어하거나 배출건조부(90)를 작동시켜 폐기물을 배출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다.In the operation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the waste contained in the main frame 10a is mixed and fermen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is stopped o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re controlled. After dry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controlled by opening or operating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to dry while discharging waste.

본 실시예에 의하면, 10톤 정도의 대용량의 폐기물을 미생물의 사용없이 잘 혼합하면서 발효건조시킬 수 있고, 발효건조된 폐기물을 실질적으로 완전 건조시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large amount of waste of about 10 tons can be fermented and dried without mixing microorganisms well, and the fermented and dried waste can be completely dried and discharged.

도 6은 도 4의 믹싱부의 구동축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축을 이용하는 믹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plan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mixing unit of FIG.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ixing unit using the driving shaft of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믹싱부의 구동축(30a)은 제1 블레이드암이 관통하는 제1 홀(301)과 제2 블레이드암이 관통하는 제2 홀(302)을 구비한다. 제1 홀(301)과 제2 홀(302)은 중공 파이프 형태의 구동축 몸체 상에서 인접한 홀들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대략 나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shaft 30a of the m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le 301 through which the first blade arm penetrates and a second hole 302 through which the second blade arm penetrates. The first hole 301 and the second hole 302 may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spiral spaced apart spaced apart from adjacent holes on the drive shaft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홀(301)을 관통하는 제1 블레이드암과 제2 홀(302)을 관통하는 제2 블레이드암들은, 구동축(10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두 방향으로만 연장하지 않고, 구동축(10a)의 방사 방향으로 세 방향 이상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blade arm penetrating the first hole 301 and the second blade arm penetrating the second hole 302 are transverse and vertic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a. Rather than extending only in two directions, it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ree or more direction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a.

또한,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동축(3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횡 방향에서 구동축(30a)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제2 블레이드암(302)의 연장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면서 그 연장 길이가 긴 쪽을 구동축(30a)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횡 방향 좌우측에서 번갈아 배치할 수 있다(도 7 참조).In addition, similar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of the second blade arm 302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30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while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onger one can be alternately arranged from the left and right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advan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30a (see FIG. 7).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믹싱부의 블레이드 배치를 메인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입체적으로 혹은 3차원적으로 적절히 분배하여 분포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믹싱부의 회전에 따른 폐기물의 반작용을 믹싱부 전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켜 믹싱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면서 믹싱부에 연결된 구동부의 부하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arrangement of the mixing section can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in three or three dimension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frame, whereby the reaction of the wast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mixing section is substantially applied to the entire mixing section. Evenly distributed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mixing portion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load of the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ixing portion.

도 8은 도 5의 믹싱부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mixing unit of FIG. 5.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믹싱부(30)는, 구동축(30a)과 제1 블레이드암(31)의 결합부 주위 및/또는 구동축(30a)과 제2 블레이드암(32)의 결합부 주위에 설치되는 코너부재(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ixing unit 30 that can be employed in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and / or a driving shaft 30a of the drive shaft 30a and the first blade arm 31. A corner member 37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blade arm 32.

코너부재(37)는 상기 결합부 주위의 코너에 눌어붙는 폐기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 주위의 부피를 일정 사이즈 이상으로 확장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너부재(37)를 사용하면, 구동축(30a)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믹싱부(30)에 의해 혼합되지 않는 폐기물의 존재를 차단함으로써 폐기물 전체의 혼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Corner member 37 is to prevent the waste to be pressed to the corner around the coupling portion, it can be installed to expand the volume around the coupl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Using such a corner member 37,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mixing of the entire waste by blocking the presence of the waste that is located adjacent to the drive shaft (30a) and not mixed by the mixing unit 30.

또한, 코너부재(37)는 구동축(30a)과 제1 블레이드암(31)의 결합부 및 구동축(30a)과 제2 블레이드암(32)의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큰 직경의 파이프(구동축)를 작은 직경의 파이프(블레이드 암)가 횡 방향에서 관통하는 구조의 결합부를 보강하여 믹싱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ner member 37 may function as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30a and the first blade arm 31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iving shaft 30a and the second blade arm 32.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durability of the mixing part 30 can be improved by reinforcing the coupling part of the structure which a large diameter pipe (drive shaft) penetrates a small diameter pipe (blade arm)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9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발효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발효건조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of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발효건조부(70)는 가열장치의 유체유동채널(70a)을 구비할 수 있고, 유체유동채널(70a)은 메인프레임(10a)의 외표면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9 and 10,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70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luid flow channel 70a of the heating device, the fluid flow channel 70a is the main frame ( It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outer surface of 10a).

유체유동채널(70a)은 메인프레임(10a)의 폭 방향 또는 원주 방향에서 아래쪽 절반 즉, 그 하부의 대략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채유동채널(70a)은 메인프레임(10a)의 길이 방향에서 아웃렛(14)을 사이에 두고 독립적인 배치 형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유체유동채널들이 서로 유체소통 가능하게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luid flow channel 70a may be installed to cover the lower half of the main frame 10a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about half or more of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rapeseed flow channel 70a may be installed such that at least two fluid flow channels having an independent arrangement form with the outlet 14 therebetw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frame 10a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so as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have.

유체유동채널(70a)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가열 수단(732)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체 이송 수단(734)에 의해 유체유동채널(70a)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 유체의 유동 경로 중 소정 위치에는 유체 공급부나 유체 배출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유체 공급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커넥터와 유체 공급 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유체 배출부(74)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나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유체 가열 수단(732), 유체 이송 수단(734) 및 밸브의 동작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Fluid flowing in the fluid flow channel 70a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70a by the fluid transfer means 734 while being heated by the fluid heating means 732, as shown in FIG. 10. . A fluid supply part or a fluid discharge part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low path of the fluid, and the fluid supply par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valve / connector and a fluid supply device, and the fluid discharge part 74 may include at least one valve or A connector can be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fluid heating means 732, the fluid conveying means 734 and the valve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도 11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배출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discharge drying unit of the was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의 배출건조부(90)는, 배출도관(91), 이송수단(92) 및 히터(93)를 구비하고, 배출도관(91)의 유입구는 메인프레임(10a)의 아웃렛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discharge conduit 91, a transfer unit 92, and a heater 93, and an inlet of the discharge conduit 91.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mainframe 10a.

이송수단(92)은 스크류 형태의 이송부(92a)를 구비하고, 배출도관(91)의 유입구(91a) 하부에서 배출도관(91)의 배출구(91b)나 배출구(91b)의 상부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92a)의 양단에는 베어링(95, 96)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conveying means 92 has a screw-shaped conveying part 92a, and is disposed to exten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91a of the discharge conduit 9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91b or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91b of the discharge conduit 91. Can be. Bearings 95 and 96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92a, respectively.

또한, 이송수단(92)은 이송부의 일단에 결합하는 구동모터(92b)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92b)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작동 온 또는 작동 오프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92 may include a drive motor 92b coupl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unit. The driving motor 92b may be operat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형태의 이송부(92a)를 이용하는 배출건조부(90)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그러한 구성을 한정되지 않고, 컨베이어 등의 다른 이송 방식을 이용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discharge drying unit 90 using a screw-shaped transfer unit 92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using another transfer method such as a conveyor.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100a)는, 폐기물저장탱크에 대응하는 장치프레임(10)과, 장치프레임(10) 내에서 회전구동하는 믹싱부와, 믹싱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와, 장치프레임(10) 내부의 폐기물을 발효건조시키는 발효건조부(70)와, 장치프레임(10)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건조 배출하는 배출건조부(9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pparatus frame 10 corresponding to a waste storage tank, a mixing unit rotating and rotating in the apparatus frame 10, and rotating the mixing unit. The driving unit 50, the fermentation drying unit 70 for fermenting and drying the waste inside the apparatus frame 10, and the discharge drying unit 90 for drying and discharging the waste from the apparatus frame 10 may be provided.

장치프레임(10)의 메인프레임(10a)의 용량은 약 1톤 내지 수 톤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결합관계를 채용하여 폐기물 처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The capacity of the main frame 10a of the device frame 10 may be about 1 to several tons. In this case,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may be configured by employ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and a combination thereof.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 톤이나 1톤 미만의 소형 폐기물 처리 장치(100a)로서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고 음식물쓰레기, 분료 등의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혼합 및 발효건조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톱밥이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재료를 추가하여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mixing and fermenting and drying waste such as food waste and powder without using microorganisms as a small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a of several tons or less than one ton. If microorganisms are not used, sawdust or similar materials can be added to the waste for disposal.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폐기물 처리 장치(100; 100a)는 장치에서 건조 배출되는 폐기물을 펠릿 형태로 가공하여 알갱이 비료나 사료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100a)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used as part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granular fertilizer or feed by processing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apparatus into pellets.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들의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찌꺼기, 분료 및 슬러지 등의 수분 함유물이 발효건조기 내에서 이송 또는 순환시키면서 수분 함유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유기질 비료와 사료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다수개의 3차원의 위치 또는 각도에서 엔드플레이트(END PLATE)의 블레이드를 설치함으로써 발효건조기 내에서 수분 함유물을 잘 혼합하고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 발효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를 관통시켜 블레이드암을 설치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 블레이드암 및 샤프트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교반 효율을 높이고, 그에 따라 장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oisture content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drying the moisture content while transporting or circulating water content such as food waste, powder and sludge in the fermentation dryer, and organic fertilizer.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and fee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blade of the end plate (END PLATE) in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position or angle can be mixed fermentation well in the fermentation dryer and dried while effectively removing the moisture.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blade arm through the shaft can minimize the load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amage to the blade, blade arm and shaf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eatment speed can be increased while increasing the stirring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device efficiency.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Claims (5)

음식물쓰레기 또는 분료를 포함한 폐기물을 담는 원통형 메인프레임을 구비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폐기물을 혼합하는 믹싱부; 및
상기 장치프레임 외부에서 상기 믹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믹싱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원형 단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직경의 중공 파이프 형태의 구동축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파이프 형태의 블레이드암과, 상기 블레이드암의 말단부에 상기 블레이드암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암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길이가 서로 동일한 제1 길이를 구비한 중공형 원통 파이프로서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구동축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1 블레이드암과, 상기 제1 블레이드암의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를 갖는 중공형 원통 파이프로 상기 구동축과 직교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되는 제2 블레이드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암 또는 상기 제2 블레이드암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부분을 차례로 연결한 선은 상기 구동축 표면상에 나선형이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제1 블레이드암이 관통하는 제1 홀과 상기 제2 블레이드암이 관통하는 제2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상기 중공 파이프 형태의 구동축 몸체 상에서 인접한 홀들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구동축과 상기 제1 블레이드암 또는 상기 제2 블레이드암의 결합부 주위에서 상기 결합부 주위의 부피를 일정 사이즈 이상으로 확장하도록 설치되는 코너부재를 더 구비하는, 폐기물의 혼합 또는 발효건조 장치.
An apparatus frame having a cylindrical main frame containing waste including food waste or powder;
A mixing unit which rotates inside the apparatus frame and mixes the waste;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ixing unit outside the device frame to rotate the mixing unit,
The mixing part has a drive shaft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of a first diameter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main frame, a blade arm in the form of a pipe of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the blade at the distal end of the blade arm. With a blade coupled to adjust the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rm,
The blade arm has a hollow cylinder having a first length extending from the driving shaft in a first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and exten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frame. A first blade arm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s a pipe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o penetrate the drive shaf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rst blade arm. A hollow cylindrical pipe having a length and a second blade arm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drive shaft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ive shaft and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Including,
Lines connecting the portions in which the first blade arm or the second blade arm are coupled to the drive shaft are spiral on the drive shaft surface,
The drive shaft includes a firs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lade arm penetrates and a second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blade arm penetrates, and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adjacent holes on the drive shaft body of the hollow pipe type. Spirally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m,
And a corner member installe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first blade arm or the second blade arm to extend a volume around the coupl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암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블레이드암은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암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제3 길이와 제4 길이가 번갈아 배열되도록 배열되는, 폐기물의 혼합 또는 발효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lade arm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part from the drive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blade arms are arranged such that the third and fourth lengths of which the lengths of the arms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alternat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표면을 채널의 일면벽으로 사용하는 유체유동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유동채널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의 폐기물에 열이 공급되는, 폐기물의 혼합 또는 발효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luid flow channel u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s one wall of the channel,
The waste mixing or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the heat is supplied to the waste inside the mainframe by the heat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막는 제1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프레임은 열풍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열풍유입구에 연결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상기 장치프레임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는, 폐기물의 혼합 또는 발효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ver frame blocking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The first cover frame has a hot air inlet,
Mixing or fermentation drying apparatus of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frame through a hot ai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hot air inlet.
KR1020170070954A 2016-12-22 2017-06-07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KR1019717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926 2016-12-22
KR20160176926 2016-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23A KR20180073423A (en) 2018-07-02
KR101971779B1 true KR101971779B1 (en) 2019-08-13

Family

ID=6291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954A KR101971779B1 (en) 2016-12-22 2017-06-07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485A (en) 2019-11-07 2021-05-17 장대호 Agricultural Fertilizer Us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395B1 (en) * 2021-01-21 2021-06-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Sludge hopper
KR102346958B1 (en) * 2021-05-24 2022-01-05 주식회사 선경 Hot air spraying device for drying high water content sludge
KR102418625B1 (en) * 2021-07-27 2022-07-11 농업회사법인 새롬 주식회사 Drying device of waste organic matter
KR102646822B1 (en) * 2023-05-26 2024-03-13 주식회사 호원이앤씨 A sterilizing device for food waste dehydration sludge and Food process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000U (en) * 1996-12-18 1998-09-15 박방선 Fermentation Grinding Dryer
KR20150126149A (en) * 2014-05-02 2015-11-11 (주)에이알케이 Sludge drying apparatus
KR101812515B1 (en) 2015-06-18 2017-12-27 안종섭 Apparatus for treating wastes using microorg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485A (en) 2019-11-07 2021-05-17 장대호 Agricultural Fertilizer Using Food Was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23A (en)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779B1 (en) Apparatus for mechanical biologica treatment of waste
US92171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erobic digestion for crop stalk
KR20170085795A (en) A stirring and drying equipment for manure handling system
CN203269803U (en) Rapid aerobic fermentation device for kitchen garbage and/or household garbage
KR20060040562A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CN202558745U (en) High efficiency intelligent aerobic fermentation reaction system
KR10205438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using multiple mixers and microorganism
KR101719753B1 (en) Organic waste fermentation device
KR20160006549A (en) Organic waste heating system by using waste heat of liquid manure used in the anaerobic digester in winter, and method for increasing biogas
KR200436196Y1 (en) Fermenter for organic waste
KR101908723B1 (en) cell type anerobic digestion system using dry and wet wast
CN208604034U (en) A kind of automatic mixing arc heating tube rubbish from cooking biodegrade kiln
CN107737796B (en) Garbage disposal vehicle
KR101006817B1 (en) Rotary Type Dryness and Fermentation Device
KR101248066B1 (en) Rotary type anaerobic digestion apparatus
CN201386065Y (en) Sludge aerobic fermentation treatment device
EP2831218A1 (en) Unit for the digestion of organic wastes and plant for treating organic wastes comprising the unit
RU156656U1 (en) BIOCOMPOSTER OF CLEANING STATIONS OF TYPE "MEGAPOLIS"
JP2004202367A (en) Aerobic fermentation treatment apparatus
KR20160060365A (en)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livestock excretions, sewage sludges
KR970007558B1 (en) Method of disposal of waste matter and its apparatus
ES2289886B1 (en) PROCEDURE AND INSTALLATION FOR THE BIOMETANIZATION OF ORGANIC MATTER.
CN202164221U (en) Device for drying sludge by utilizing waste heat of fan pipeline
KR102303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containing food waste
JP2018171603A (en) Photocatalyst organic waste treatment equipment without rotary ax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