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311B1 -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311B1
KR101970311B1 KR1020190005177A KR20190005177A KR101970311B1 KR 101970311 B1 KR101970311 B1 KR 101970311B1 KR 1020190005177 A KR1020190005177 A KR 1020190005177A KR 20190005177 A KR20190005177 A KR 20190005177A KR 101970311 B1 KR101970311 B1 KR 10197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fixing bracket
bla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양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Priority to KR102019000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를 태양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햇빛의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실외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차양유도부를 통해 햇빛은 차단하고,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실외기 상부 및 후방 측의 공기를 실외기의 전방 상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유도된 공기 흐름에 의해 실외기를 냉각시키켜 에어컨의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풍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드부를 통해 차양유도부의 블레이드에 간섭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Shading apparatus of outdo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를 태양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햇빛의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실외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 종류의 편의 장치나 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수단 중 하나로 에어컨디셔너(에어컨)가 있다.
에어컨은 통상적으로 실내에서 구동하여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컨의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어 실내기에서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실외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여름철 강한 햇빛에 의해 가열되어 냉방 성능이 떨어지거나 눈이나 비 등에 의해 쉽게 노후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실외기 보호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실외기 보호 장치의 일 예로, 에어컨 실외기 전면에 열풍유도 커버를 부착하여,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냉기 순환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게 하는 범위 내에서 에어컨 실외기의 외관을 보호하고 있지만, 에어컨 실외기의 본래 기능은 고온의 냉매를 열교환 시키고 그때 발생한 뜨거운 공기를 강제로 배출함으로써 열교환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인데 종래와 같은 열풍유도 커버가 너무 근접하여 부착되어 있으면,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다시 실외기로 들어와 냉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473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66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햇빛을 차단하여 실외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종래의 에어컨 실외기의 가드 구조에서처럼 냉기 순환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 에어컨의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외기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에 간섭되어 상기 실외기 상부 주변의 공기를 상기 실외기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과 함께 상기 실외기의 상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차양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유도부는 상기 실외기의 상부에 상기 실외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실외기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제2고정브라켓과, 상기 실외기의 좌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실외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제1고정브라켓 및 제2고정브라켓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의 전방 측을 향해 일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각각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유도부는 상기 실외기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일 측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 또는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일 측이 상기 제2고정브라켓 또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수용부의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를 따라 입출되는 입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유도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깃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외기 전방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차양유도부의 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 전방에 설치되는 가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차양유도부를 통해 햇빛은 차단하고,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실외기 상부 및 후방 측의 공기를 실외기의 전방 상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유도된 공기 흐름에 의해 실외기를 냉각시키켜 에어컨의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실외기에서 방출되는 열풍을 상부로 안내하는 가드부를 통해 차양유도부의 블레이드에 간섭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가드부와, 차양유도부(200)를 구비한다.
가드부(100)는 실외기(10)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외기(10)의 배출구(11)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햇빛이 실외기(10) 전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외기(10)의 배출구(11)를 통해 실외기(10) 전방 측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실외기(10)의 상방으로 안내 및 후술하는 차양유도부(200)의 최 전방 측에 배치된 블레이드(230) 측으로 안내한다.
가드부(100)는 실외기(10)의 전면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기(10)의 전면 상하 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과,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실외기(10)의 전면을 향하는 일 측과 상부가 각각 개방되고 실외기(10)의 전면과 대향되는 타 측과 하부가 각각 폐쇄되게 형성된 가드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가드플레이트(130)는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차양유도부(200)는 에어컨 실외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10)의 상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실외기(10)의 배출구(11)를 통해 실외기(10)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에 간섭되어 실외기(10) 상부 주변의 공기를 실외기(10)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과 함께 실외기(10)의 상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차양유도부(200)는 제1고정브라켓(210), 제2고정브라켓(220), 블레이드(230), 깃부재(240)를 구비한다.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 각각은 실외기(10)의 상부에 실외기(10)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실외기(10)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은 각각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블레이드(23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실외기(10)의 전면 측에서 후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1, 22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의 내부에는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격벽(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격벽은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을 보강함과 동시에 고정볼트(B)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30)를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을 관통하여 실외기에 고정시 하부가 개방된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의 하측 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에는 고정볼트(B)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의 상면으로부터 격벽의 하단을 관통하는 통과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의 상면에는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와, 블레이드(23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돌기(223)가 형성되며, 블레이드(230)에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된 홀(235)과, 안내돌기(223)가 통과할 수 있게 안내구멍(236)이 형성된다.
고정돌기(222)는 고정볼트(B)가 통과할 수 있게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편(222a)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다. 고정돌기(222)의 내경은 고정볼트(B)보다 약간 작게 형성함으로써 고정볼트(B)가 체결홀을 통과시 복수의 분할편(222a)들이 반경방향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면서 블레이드(230)에 형성된 홀(235)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블레이드(230)를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에 각각 고정시킨다.
블레이드(230)는 실외기(10)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의 상부에 구비된 경사면(211, 221)에 각각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실외기(10)의 전방 측을 향해 일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실외기(10)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는 모두 3개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실외기의 전후 폭에 따라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가 적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꺽인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블레이드(230)는 실외기(10)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2고정브라켓(220)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어 실외기(10)의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블레이드(231)와, 제1블레이드(231)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블레이드(231)는 실외기(10) 측으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면서 실외기(10) 배출구(11)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는 열풍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2블레이드(23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가지며 실외기(10)의 전방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231)는 볼록하게 돌출된 일 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하방에서 상승하는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을 타고 상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실외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속도가 빨라져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 측에 부압이 발생하며, 이 부압에 의해 제1블레이드(231)의 후면 측 및 후단 측의 공기 즉, 실외기(10) 상부에 머무르고 있는 공기가 제1블레이드(231) 측으로 유도된다. 이는 제1블레이드(231)를 따라 열풍이 이동하면 실외기(10)의 상부에 있는 공기가 제1블레이드(231)가 설치된 실외기(10)의 전방 측으로 유도되면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 공기 흐름에 의해 실외기(10)의 상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블레이드(233)는 제1블레이드(231)의 후방에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블레이드(23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제1블레이드(231)의 배치 구조와 같이 볼록한 일 면이 하방으로 향하고 오목한 타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블레이드(233)는 제1블레이드(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실외기(10) 전방 상측으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실외기(10)의 상방으로 안내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블레이드의 상측 단부가 실외기의 배출구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후면 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가드부(100)와, 차양유도부(200)를 구비한다.
가드부(100)는 실외기(10)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외기(10)의 배출구(11)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햇빛이 실외기(10) 전면으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외기(10)의 배출구(11)를 통해 실외기(10) 전방 측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실외기(10)의 상방으로 안내 및 후술하는 차양유도부(200)의 제1블레이드(231) 측으로 안내한다.
가드부(100)는 실외기(10)의 전면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고 실외기(10)의 전면 상하 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과,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실외기(10)의 전면을 향하는 일 측과 상부가 각각 개방되고 실외기(10)의 전면과 대향되는 타 측과 하부가 각각 폐쇄되게 형성된 가드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가드플레이트(130)는 제1지지브라켓(110) 및 제2지지브라켓(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차양유도부(200)는 에어컨 실외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10)의 상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실외기(10)의 배출구(11)를 통해 실외기(10)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에 간섭되어 실외기(10) 상부 주변의 공기를 실외기(10)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과 함께 실외기(10)의 상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차양유도부(200)는 제1고정브라켓(210), 제2고정브라켓(220), 블레이드(230), 깃부재(240)를 구비한다.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 각각은 실외기(10)의 상부에 실외기(10)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실외기(10)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 각각은 후술하는 블레이드(230)가 고정되는 수직부(211)와, 수직부(211)의 길이방향 양측 하단으로부터 수직부(2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에어컨 실외기(10)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부(21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230)는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1고정브라켓(21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실외기(10)의 좌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2고정브라켓(220)에 고정된다.
블레이드(230)는 실외기(10)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실외기(10)의 전방 측을 향해 일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실외기(10)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한다.
블레이드(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직선 또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블레이드(230)는 실외기(10)의 전방 측을 향하는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2고정브라켓(220)의 일 측 단부에 설치되어 실외기(10)의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블레이드(231)와, 제1블레이드(231)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블레이드(231)는 실외기(10) 측으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면서 실외기(10) 배출구(11)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는 열풍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제2블레이드(23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가지며 실외기(10)의 전방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블레이드(231)는 볼록하게 돌출된 일 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하방에서 상승하는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을 타고 상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실외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속도가 빨라져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 측에 부압이 발생하며, 이 부압에 의해 제1블레이드(231)의 후면 측 및 후단 측의 공기 즉, 실외기(10) 상부에 머무르고 있는 공기가 제1블레이드(231) 측으로 유도된다. 이는 제1블레이드(231)를 따라 열풍이 이동하면 실외기(10)의 상부에 있는 공기가 제1블레이드(231)가 설치된 실외기(10)의 전방 측으로 유도되면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 공기 흐름에 의해 실외기(10)의 상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블레이드(233)는 제1블레이드(231)의 후방에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블레이드(23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제1블레이드(231)의 배치 구조와 같이 볼록한 일 면이 하방으로 향하고 오목한 타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블레이드(233)는 제1블레이드(231)를 따라 이동하는 열풍에 의해 실외기(10) 전방 상측으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실외기(10)의 상방으로 안내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양유도부(200)는 제1블레이드(231) 및 제2블레이드(233)의 경사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2고정브라켓(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블레이드(231) 및 제2블레이드(233)의 양측 단부는 각각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2고정브라켓(220)에 각각 구비된 힌지 또는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의 크기에 따라 차양유도부(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양유도부(200)의 각 블레이드(230)는 수용부(235)와, 입출부(237)를 포함한다.
수용부(235)는 일 측이 제1고정브라켓(210)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입출부(237)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홈(236)이 형성된다.
입출부(237)는 일 측이 제2고정브라켓(220)에 고정되고, 타 측은 수용부(235)의 수용홈(236)으로 삽입되어 수용부(235)를 따라 입출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수용부(235)와 입출부(237)는 각각 제2고정브라켓(220)과 제1고정브라켓(2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양유도부(200)는 실외기(10)의 좌우 길이가 긴 경우에는 수용부(235)로부터 입출부(237)를 일정 길이 인출하여 실외기(10)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맞출 수 있고, 실외기(10)의 좌우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입출부(237)를 수용부(235)로 인입시켜 실외기(10)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차양유도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깃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깃부재(240)는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에어컨 실외기(10)의 상부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10)에 대해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를 지지하며,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깃부재(240)는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의 폭 방향 일 측 단부에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제1훅부(241)가 형성되고, 제1블레이드(231) 또는 제2블레이드(233)의 폭 방향 타 측 단부에 걸어 결합할 수 있도록 제2훅부(242)가 형성되며, 하부는 실외기(10)의 상면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깃부재(240)는 제1블레이드(23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실외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일 면에 부딪치면서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길이방향으로 흩어지거나 해당 부근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블레이드(231) 하부의 공간을 제1블레이드(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며, 각각 구획된 공간을 따라 열풍이 제1블레이드(231)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깃부재(240)는 제2블레이드(233)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실외기(10) 상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차양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실외기
11 : 배출구
100 : 가드부
110 : 제1지지브라켓
120 : 제2지지브라켓
130 : 가드플레이트
200 : 차양유도부
210 : 제1고정브라켓
220 : 제2고정브라켓
230 : 블레이드
231 : 제1블레이드
233 : 제2블레이드
235 : 수용부
237 : 입출부
240 : 깃부재
241 : 제1훅부
242 : 제2훅부

Claims (6)

  1.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에 설치되어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실외기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에 간섭되어 상기 실외기 상부 주변의 공기를 상기 실외기의 상방으로 방출되는 열풍과 함께 상기 실외기의 상측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차양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양유도부는
    상기 실외기의 상부에 상기 실외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실외기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제2고정브라켓과,
    상기 실외기의 좌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실외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제1고정브라켓 및 제2고정브라켓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실외기의 전방 측을 향해 일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상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상부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에어컨 실외기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깃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각각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유도부는 상기 실외기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일 측이 상기 제1고정브라켓 또는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일 측이 상기 제2고정브라켓 또는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수용부의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를 따라 입출되는 입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실외기 전방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차양유도부의 블레이드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외기의 배출구 전방에 설치되는 가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KR1020190005177A 2019-01-15 2019-01-15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KR10197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77A KR101970311B1 (ko) 2019-01-15 2019-01-15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77A KR101970311B1 (ko) 2019-01-15 2019-01-15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311B1 true KR101970311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77A KR101970311B1 (ko) 2019-01-15 2019-01-15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460A1 (en) * 2022-05-02 2023-11-08 M & G Group Europe B.V. Cover for an outdoor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950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조
JPH11159809A (ja) * 1997-11-28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コン室外機の日除け屋根
KR100294735B1 (ko) 1996-08-05 2001-09-17 가부시끼가이샤가네미쯔 판금제통형상부재의통부성형방법
KR100356679B1 (ko) 2000-11-15 2002-10-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피로하중 시험장치
KR100849250B1 (ko) * 2007-08-31 2008-07-29 고영신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 배출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735B1 (ko) 1996-08-05 2001-09-17 가부시끼가이샤가네미쯔 판금제통형상부재의통부성형방법
KR19980018950U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조
JPH11159809A (ja) * 1997-11-28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コン室外機の日除け屋根
KR100356679B1 (ko) 2000-11-15 2002-10-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피로하중 시험장치
KR100849250B1 (ko) * 2007-08-31 2008-07-29 고영신 에어컨 실외기용 공기 배출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460A1 (en) * 2022-05-02 2023-11-08 M & G Group Europe B.V. Cover for an outdoor unit
NL2031756B1 (en) * 2022-05-02 2023-11-13 M & G Group Europe B V Cover for an outdoo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8925C2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PT1596138E (pt) Método e aparelho para o pré-aquecimento do ar de ventilação de um edifício
JP2019504273A (ja) パッシブ屋根排気システム
EP2884191A2 (en) Air handl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air handler
KR101970311B1 (ko) 에어컨 실외기 차광장치
WO2008094748A1 (en) Shield for air conditioner
CN104566636A (zh) 风管机及具有该风管机的空调器
CA2559641C (en) Solar air heating system
US20110030395A1 (en) Inlet air flow guide for acdx fan coil
KR102353884B1 (ko) 자연냉각 구조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594728B1 (ko) 공기 조화기
KR101173502B1 (ko) 도로용 톨부스
CN205546362U (zh) 一种散热电柜
US20230213214A1 (en) Hybrid window air conditioning unit
KR102325063B1 (ko) 버스정거장 부스용 에어커튼장치
CN210348397U (zh) 一种计算机导风罩
KR100931749B1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KR1009773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 시스템 장치
KR102331909B1 (ko) 천장 팬의 블레이드
CN210292082U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3527360B2 (ja) ペリメータゾーンの空調方法及びペリメータゾーン用空調装置
CN207732723U (zh) 高效散热太阳能电池板
JP3817063B2 (ja) 建物用ルーバ
CN102865655B (zh) 窗式空调风量调节装置
CN217685763U (zh) 进风栅、空调室内机及空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