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41B1 -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441B1
KR101969441B1 KR1020170107776A KR20170107776A KR101969441B1 KR 101969441 B1 KR101969441 B1 KR 101969441B1 KR 1020170107776 A KR1020170107776 A KR 1020170107776A KR 20170107776 A KR20170107776 A KR 20170107776A KR 101969441 B1 KR101969441 B1 KR 10196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body
mass
generating device
linear vibration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040A (ko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0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4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진동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의 워블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워블(wobble)이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가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질량체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는 경우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진동자의 워블현상에 따른 상기 진동자라 포함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wobble preventing structure of a vibra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의 워블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워블(wobble)이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가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질량체의 상측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는 경우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진동벨 등 내부에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이하, 진동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며, 상기 진동기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상기 진동기기 중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선형 진동발생장치가 포함하는 진동자의 상하진동이 진행할 경우, 상기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가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구동의 중심축이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며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워블(wobble)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 워블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상하구동시에 충격 및 노이즈가 발생하여, 상기 진동자를 포함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전체에 데미지가 누적되며,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동작 시 사용자가 이를 소음으로 인식하므로, 이와 같은 충격 및 소음을 절감하도록 하는 구조개선 기술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06416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선형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기기의 진동 구동시 선형 진동발생장치가 포함하는 진동자의 상하진동이 진행할 경우, 상기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가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구동의 중심축이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게 되어 상기 질량체를 포함한 진동자의 워블(wobble) 현상이 발생하며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발생장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코일을 둘러싸며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코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외곽에 배치되는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을 둘러싸며 고정되는 질량체를 포함하되, 상기 질량체는, 내경과 외경에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면 전체가 평평하고, 내경쪽으로는 높이가 일정하고 외경쪽으로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영역을 가지며, 질량체 외곽 수직 방향 표면의 가공이 수평 방향(중심축 방향) 보다는 수직 방향으로 더 크게 이뤄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거나,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과 하부가공면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질량체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거나,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질량체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과 하부가공면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조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진동자의 워블현상에 따른 상기 진동자라 포함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3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을 포함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인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인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선형 진동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의 워블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가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워블(wobble)이 발생하여 상기 상하진동하는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가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질량체의 상측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는 경우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워블(wobble)이란 진동자의 일 구성요소인 질량체 등의 무게 중심이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아 정확한 수직운동을 하지 않고 상하구동의 중심축이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며 상하진동과 더불어 좌우로의 진동을 병행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진동자가 포함하는 질량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진동자의 워블현상에 따른 상기 진동자라 포함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00);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300)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400); 상기 코일(4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코일(400)을 둘러싸며, 일단이 상기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스프링(500); 상기 코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외곽에 배치되는 마그넷(600); 및 상기 마그넷(600)을 둘러싸며 고정되는 질량체(700);를 포함하되, 상기 질량체는, 내경과 외경에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면 전체가 평평하고, 내경쪽으로는 높이가 일정하고 외경쪽으로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영역을 가지며, 질량체 외곽 수직 방향 표면의 가공이 수평 방향(중심축 방향) 보다는 수직 방향으로 더 크게 이뤄진 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질량체는 최외곽 표면의 테이퍼 가공 또는 돌출부 등의 가공에 의해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의 워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질량체의 상측단부(원형상의 둘레)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과 접촉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자세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설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호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 측면으로 돌출부 또는 계단구조의 돌출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나, 역으로 상부 외측 측면을 가공하여 일정깊이로 절삭가공된 형상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3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는 3개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의 구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단의 구조를 가지는 질량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큰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것이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적합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을 포함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부모서리에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을 포함하여, 워블현상에도 상기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구성이 게재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워블 현상에 따라 질량체가 상하구동하며 좌우로 미려하게 진동을 할 경우, 가장 큰 변위를 가지는 것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에 해당할 것이며, 따라서 상기 모서리부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테이퍼 가공을 수행할 경우, 전술한 다단구조에 의한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질량체의 구성에 따른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인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710)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700)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질량체가 구성될 수 있고, 위와 같은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으로 가공할 경우, 달성하고자 하는 케이스 내측과의 접촉이 극도로 절감되어 충격 및 소음의 발생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질량체의 측면을 에워싸고 형성된 돌출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질량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체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질량체의 형상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위와 같은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질량체 구성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질량체의 형상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는 원형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711) 및 하부가공면(712)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711)과 하부가공면(712)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는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가공을 하지 않으면서, 상부 및 하부의 소정 각도 테이퍼 가공을 통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원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사각 질량체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호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지는 사각 질량체는 상기 질량체의 외측 측면으로 돌출부 또는 계단구조의 돌출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나, 역으로 상부 외측 측면을 가공하여 일정깊이로 절삭가공된 형상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인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710)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700)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질량체가 구성될 수 있고, 위와 같은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이 전체 질량체의 높이의 1/3이상으로 가공할 경우, 달성하고자 하는 케이스 내측과의 접촉이 극도로 절감되어 충격 및 소음의 발생이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질량체의 측면을 에워싸고 형성된 돌출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사각 질량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량체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질량체의 형상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위와 같은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사각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질량체 구성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직경 또는 둘레를 가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질량체의 형상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 및 하부가공면이 위치하는 사각 질량체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711) 및 하부가공면(712)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711)과 하부가공면(712)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각 질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는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가공을 하지 않으면서, 상부 및 하부의 소정 각도 테이퍼 가공을 통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질량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이 잦은 상기 질량체의 상부 모서리부의 접촉빈도 및 접촉세기를 절감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브라켓
300 : FPCB
400 : 코일
500 : 스프링
600 : 마그넷
700 : 질량체
710 : 가공면
711 : 상부가공면
712 : 하부가공면
720 : 돌출부

Claims (9)

  1.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케이스(100);
    상기 선형 진동발생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는 브라켓(200);
    상기 브라켓(200)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어 FPCB(300)로부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코일(400);
    상기 코일(4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코일(400)을 둘러싸며, 일단이 상기 브라켓(200)에 고정되는 스프링(500);
    상기 코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외곽에 배치되는 마그넷(600); 및
    상기 마그넷(600)을 둘러싸며 고정되는 질량체(700);를 포함하되,
    상기 질량체(700)는,
    내경과 외경에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면 전체가 평평하고,
    내경쪽으로는 높이가 일정하고, 외경쪽으로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영역을 가지며,
    질량체 외곽 수직 방향 표면의 가공이, 수평 방향(중심축 방향) 보다는 수직 방향으로 더 크게 이뤄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 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710)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700)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원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711) 및 하부가공면(712)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711)과 하부가공면(712)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에 테이퍼 가공된 가공면(710)의 높이가 상기 질량체(700)의 전체 높이의 1/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띠 형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일정너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돌출부(72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0)는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700)는,
    횡단면의 외측이 사각형상을 가지는 도넛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질량체(700)의 외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테이퍼 가공된 상부가공면(711) 및 하부가공면(712)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공면(711)과 하부가공면(712)이 접하여 가공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 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20170107776A 2017-08-25 2017-08-25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96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76A KR101969441B1 (ko) 2017-08-25 2017-08-25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76A KR101969441B1 (ko) 2017-08-25 2017-08-25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40A KR20190022040A (ko) 2019-03-06
KR101969441B1 true KR101969441B1 (ko) 2019-04-16

Family

ID=6576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76A KR101969441B1 (ko) 2017-08-25 2017-08-25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98Y1 (ko) * 2009-04-28 2010-01-25 김정훈 사각형상의 초소형 선형 진동장치
KR101744029B1 (ko) 2016-12-27 2017-06-07 주식회사 블루콤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18B1 (ko) * 2004-06-25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질량을 이용한 공진주파수 보정 방법 및 그 수직진동자
KR101480410B1 (ko) 2008-12-04 2015-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스포츠 자세 교정 장치 및 방법
KR20120051504A (ko) * 2010-11-12 2012-05-22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354744B1 (ko) * 2011-08-04 2014-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장치
KR20150053106A (ko) * 2013-11-07 2015-05-15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98Y1 (ko) * 2009-04-28 2010-01-25 김정훈 사각형상의 초소형 선형 진동장치
KR101744029B1 (ko) 2016-12-27 2017-06-07 주식회사 블루콤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40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28B1 (ko) 댐퍼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및 댐퍼
KR101478992B1 (ko) 수평 진동 모터
KR101354744B1 (ko) 선형진동장치
KR20100111368A (ko) 진동 장치
KR101157396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2026901B1 (ko)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103573B1 (ko) 선형 진동기
JP2008107374A (ja) 振動体
KR101952301B1 (ko) 밴딩부를 갖춘 플레이트형 스프링을 구비하는 리니어 진동모터
KR20190010354A (ko) 진동 발생장치
KR101969441B1 (ko) 진동자의 워블로 인한 충격감소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650162B1 (ko) 선형진동 발생장치
KR101171619B1 (ko) 진동발생장치
US10637340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943569B1 (ko) 이음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744029B1 (ko)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970708B1 (ko) 진동 발생장치
KR102020603B1 (ko) 탄성부재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선형 진동모터
CN208128109U (zh) 线性振动发生设备
KR20140051503A (ko) 선형진동 발생장치
KR20150096364A (ko) 선형 진동자
KR2018005538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00609B1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기
US11070121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20180019622A (ko) 진동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