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400B1 - Chocks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Chocks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9400B1 KR101969400B1 KR1020170090145A KR20170090145A KR101969400B1 KR 101969400 B1 KR101969400 B1 KR 101969400B1 KR 1020170090145 A KR1020170090145 A KR 1020170090145A KR 20170090145 A KR20170090145 A KR 20170090145A KR 101969400 B1 KR101969400 B1 KR 101969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main body
- vehicle
- cover member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16—Hi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지면에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정차된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삼각기둥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목 고임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ump for stably supporting a vehicle stopped on an inclined surface by maximizing a fixing force on the groun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neck stumbling block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of a triangular prism, the pressing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portion to be fix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지면에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정차된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ump for stably supporting a vehicle stopped on an inclined surface by maximizing a fixing force on the groun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차량용 고임목은 차량의 주·정차 중에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바퀴 앞쪽이나 뒤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비탈진 경사면에서 차량이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The vehicle timber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r rear of the wheel of the vehicle in order to prevent abnormal departure during the parking and stopping of the vehicle, and is generally installe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pushed on the slope of the slope.
상기와 같은 고임목은 주로 목재로 제조되지만,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및 철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timber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made of wood, but is manufactured and used in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and steel such as rubber or plastic.
이러한 차량용 고임목의 일실시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753호에는 개량된 차량용 고임목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닿는 저면판(1)과,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2)과,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판(3) 및 차량의 바퀴에 닿으며 측면에서 볼 때 바퀴에 밀착되도록 호형 사면을 이루는 전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차량용 고임목에 있어서, 그 내부에는 복수의 파상 가로판 부재(10)와 세로판 부재(20)와 고정부(13)와 스파이크부(30)와 덮개부(14)가 구비되며 전면부에 차량의 바퀴가 밀착되었을 때에 저면판(1)의 하부로 스파이크가 돌출됨으로써 지면과 고임목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스파이크부(30)를 구성하는 스파이크들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인 구성이 너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vehicle chopping woo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9753 discloses an improved vehicle chopping wood,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is shown in Figure 1, the bottom plate (1) and the back contacting the ground, In the vehicle stump comprising a back plate (2) for supporting the side plate (3) and the side plate (3) for supporting both sides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to contact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form an arced slo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when viewed from the side, A plurality of wavy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스파이크부(30)의 상단을 구성하는 돌출부가 원만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타이어와 접촉되는 경우 스파이크부(30)의 하단을 구성하는 스파이크와 지면 사이의 접촉시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타이어에 돌출부에 의한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손상이 발생하거나 타이어에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타이어가 돌출부 상에서만 지지되므로 타이어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described that the protrusions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바퀴와 고임목 사이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도 고임목의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heel and the stump by a simple configuration for the vehicle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to the ground of the stump It is in providing the demise.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고임목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부재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igh-necked tree for the vehicle to use the cover member to safely and hygienic storage and at the same time to utilize the cover member as a mobile terminal holder such as a smart phon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삼각기둥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목 고임목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vehicle neck stump comprising a triangular prism-shaped main body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government.
이때,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일측 단부가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홈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to be hinged to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전,후방 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설치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누름부의 하단에는 단턱부에 의해 누름부의 상승 구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groove, the press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by the press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to limit the lift drive.
또한, 상기 고정부는 누름부의 저면과 설치홈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누름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본체부의 저면부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fixed spik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pene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누름부의 하부에 본체부의 저면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누름부와 승강판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지지스프링과, 상기 승강판의 저면과 설치홈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2지지스프링과,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승강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xing part is a lifting plate which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the first support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lifting plate, and the bottom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installation groove A second support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xed spike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한편, 상기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커버부재는 본체부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member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wherein the cover member is made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upport for supporting a portable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부에는 높이조절편이 힌지 결합되고, 커버부재의 저면판 내측에는 높이조절편이 선택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다수 개의 안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piece is hing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cover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ttling grooves which are selectively seated fixed.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누름부와,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성에 의해 바퀴와 고임목 사이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도 고임목의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ressing portion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groun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by a simple configura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heel and the timber, fixing force to the ground of the timber is improved. At the same tim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generating a uniform holding forc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고임목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부재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ver member to safely and hygienically stored in the wood and at the same time to enable the cover member to be used as a portable terminal holder such as a smart phone further has the effect that can be utilized for multipurpos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고임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의 (a),(b)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vegetation tre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의 (a),(b)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hock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chock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is an embodiment of a vehicle chock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igure 5 (a),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tu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a) and 7 (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지면에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정차된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본체부(110), 누름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바퀴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면에 닿는 저면부(112)와, 후면을 이루는 후면부(114) 및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상기 저면부(112)의 바닥에는 지면과의 마찰력 향상을 위한 다수 개의 홈부 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저면부(112)의 면적을 넓게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본체부(1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부(112)와 후면부(114)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ooves or uneven portion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측면부(116)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가 안치되는 상면부(118)의 경우 바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호 형상을 이루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후면부(114)에는 손잡이(114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손잡이(114a)는 본체부(110)의 파지 및 운반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커버부재(140)의 내측으로 본체부(110)를 수용하거나 커버부재(140)로부터 본체부(110)를 꺼내기가 수월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nd, the
다음, 상기 누름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후술할 고정부(130)가 지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부(118)에는 내측 방향을 향해 설치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20)는 그 상단부가 상면부(118)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홈(115)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가 누름부(1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하중에 의해 누름부(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상기 누름부(120)의 일측 단부 즉, 상면부(118)의 아래쪽에 위치한 단부는 본체부(110)에 힌지결합되는데, 이 경우 누름부(120)의 상부에 차량의 바퀴가 위치되면 차량의 하중에 의해 누름부(120)가 힌지결합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누름부(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치홈(115)에는 누름부(1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117)가 형성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상기 누름부(120)의 상면은 본체부(110)의 상면부(118)와 마찬가지로 바퀴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원호 형상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imilarly,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누름부(120)의 하면은 후술할 고정부(130)의 고정스파이크(134)와 지면과의 접촉 각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다음, 상기 고정부(130)는 누름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120)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본체부(110)가 지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130)는 지지스프링(132)과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스프링(132)은 누름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120)의 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누름부(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즉, 누름부(120)가 차량의 바퀴에 의해 가압될 경우 상기 지지스프링(132)은 누름부(120)의 힌지결합부(113)를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하강 구동에 의해 압축되고, 차량의 바퀴가 누름부(120)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압축된 지지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120)가 상승하면서 힌지결합부(11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132)은 도 4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120)의 저면과 본체부(110)에 형성된 설치홈(115)의 바닥면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누름부(120)의 네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가 설치되어 누름부(120)의 복귀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스파이크(134)가 지면과 충돌하였을때 발생되는 반발력을 지지스프링(132)을 통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다음, 상기 고정스파이크(134)는 누름부(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누름부(120)의 하강 구동시 하단에 형성되는 첨단부가 지면에 어느 정도 파고 들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지지력 즉,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Next, the
즉, 상기 고정스파이크(134)는 누름부(120)의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부(110)의 저면부(112)에는 상기 고정스파이크(134)가 통과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112a)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차량의 바퀴가 누름부(120)를 가압하게 되면 지지스프링(132)이 압축되면서 누름부(120)가 하강하고, 상기 고정스파이크(134)는 저면부(112)에 형성된 관통홀(112a)을 통해 하강하여 지면과 접촉되거나 지면을 파고들게 되어 지면에 대한 본체부(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heel of the vehicle presses the
이때, 상기 누름부(120)가 힌지결합부(113)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고정스파이크(134)는 설치 위치에 따라 이동 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누름부(120)의 하강시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134)가 동시에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스파이크(134)의 길이는 힌지결합부(113)로부터 멀어질수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상기 고정스파이크(134)의 첨단부는 신체의 부상이나 다른 물품의 파손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누름부(12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부(110)의 저면부(11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ip portion of the fixed
한편, 상기 고정부(130)의 다른 실시예로 누름부(120)의 하부에 승강판(136)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승강판(136)은 저면부(112)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고정스파이크(134)가 항상 지면에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136)은 본체부(110)의 형성된 설치홈(115)의 내측에 지면, 즉 저면부(112)와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누름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삽입 설치되고, 누름부(120)와 승강판(136)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제1지지스프링(137)이 삽입 설치되며, 승강판(136)과 설치홈(115)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2지지스프링(138)이 삽입 설치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a) and (b) of FIG. 5, the elevating
또한, 상기 승강판(136)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134)가 하나 이상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ed
이때, 상기 고정스파이크(134)는 본체부(110)의 저면부(112)에 형성된 관통홀(112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누름부(120)의 하면은 승강판(136)의 상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xed
즉, 차량의 바퀴가 누름부(120)를 가압하게 되면 누름부(120)가 힌지결합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제1지지스프링(137)을 압축시키면서 승강판(136)을 가압하게 되고, 승강판(136)의 하강에 의해 제2지지스프링(138)이 압축됨과 동시에 고정스파이크(134)가 관통홀(112a)을 통해 하강하여 지면과 접촉되거나 지면을 파고들게 됨으로써 지면에 대한 본체부(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heel of the vehicle presses the
또한, 바퀴에 의한 누름부(120)의 가압이 해제되면, 제1 및 제2지지스프링(137,138)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120)와 승강판(136)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스파이크(134) 또한 저면부(112)에 형성된 관통홀(112a)의 내측으로 인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120)가 하강 구동할 때, 고정스파이크(134)가 항상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촉되므로 지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고정스파이크(134)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고정스파이크(134)가 항상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설치홈(115)의 전,후방 단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인입되는 단턱부(115a)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120)의 하단에는 상기 단턱부(115a)에 의해 누름부(120)의 상향 구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스프링(132) 및 고정스파이크(134)가 설치되는 누름부(120)의 하단부는 본체부(110)의 저면부(112)와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누름부(120)에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되어 설치홈(115)의 전,후방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15a)에 의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승,하강 구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end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부재(140)는 내측으로 본체부(110)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고임목(100)을 보다 청결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chock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재(140)는 본체부(1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즉, 저면판(142), 후면판(높이조절편(144)), 측면판(146) 및 상면판(148)을 포함하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후면판은 그 상단부가 상면판(148)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저면판(142)의 후방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커버부재(140)의 덮개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상기 커버부재(140)의 상면 즉, 상면판(148)의 상부에는 지지구(1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구(141)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지지구(141)를 통해 커버부재(140)의 상면에 휴대 단말기를 안치 및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커버부재(140)를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14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후면판은 높이조절편(144)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이하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40)의 '후면판'을 '높이조절편(144)'이라 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40)의 저면판(142)과 상면판(148)은 서로 힌지 결합되고, 저면판(142)의 내측에는 상기 높이조절편(144)이 선택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안치홈(142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plate is to function as a height adjustment piece (144) (hereinafter, the 'back plate' of the
즉, 도 7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치홈(142a)은 높이조절편(144)과 저면판(142)이 수직을 이루는 지점으로부터 저면판(142)의 후방 단부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데, 높이조절편(144)과 저면판(142)이 수직을 이룰 경우 상면판(148)과 저면판(142)이 이루는 각도가 가장 커지게 되고, 높이조절편(144)의 하단부가 저면판(142)의 후방 단부 쪽으로 이동할수록 상면판(148)과 저면판(142)이 이루는 각도는 작아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the settling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커버부재(14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구(141) 상에 안치시킨 후, 커버부재(1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높이조절편(144)을 회전시켜 저면판(142)에 형성된 안치홈(142a)에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면 저면판(142)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된 상면판(148)의 기울기가 변화되므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user places the mobile terminal on the
이때, 상기 상면판(148)의 각도 변경 폭을 넓히기 위해서 커버부재(140)의 저면판(142)의 길이를 본체부(110)의 저면부(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하고, 그에 비례하여 높이조절편(144)의 길이를 길게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widen the angle change width of the
한편, 상기 커버부재(140)의 저면판(142) 하부에는 커버부재(140)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착수단(14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흡착수단(143)으로는 탈부착 및 재사용이 가능한 실리콘젤 재질의 접착수단이나 일명 큐방이라 불리는 흡착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실리콘 젤 재질의 접착수단이 흡착수단(143)으로 사용될 경우 미사용시 흡착수단(143)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145)를 흡착수단(143)의 외측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silicone gel adhesive means is used as the adsorption means 143,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임목(100)에 의하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누름부(120)와, 누름부(120)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단순한 구성에 의해 바퀴와 고임목(100) 사이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면서도 고임목(100)의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한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140)를 이용하여 고임목(100)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커버부재(140)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지면에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사면에 정차된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고임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ump for stably supporting a vehicle stopped on an inclined surface by maximizing a fixing force on the groun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100 : 고임목 110 : 본체부
112 : 저면부 112a : 관통홀
113 : 힌지결합부 114 : 후면부
114a : 손잡이 115 : 설치홈
115a : 단턱부 116 : 측면부
117 : 공간부 118 : 상면부
120 : 누름부 122 : 걸림턱
130 : 고정부 132 : 지지스프링
134 : 고정스파이크 136 : 승강판
137 : 제1지지스프링 138 : 제2지지스프링
140 : 커버부재 141 : 지지구
142 : 저면판 142a : 안치홈
143 : 흡착수단 144 : 높이조절편
145 : 덮개 146 : 측면판
148 : 상면판100: dead wood 110: main body
112:
113: hinge coupling portion 114: rear portion
114a: Handle 115: Installation groove
115a: stepped part 116: side part
117: space portion 118: upper surface portion
120: pressing portion 122: locking jaw
130: fixing part 132: support spring
134: fixed spike 136: lifting plate
137: first support spring 138: second support spring
140: cover member 141: support
142:
143: adsorption means 144: height adjustment
145: cover 146: side plate
148: top plate
Claims (7)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되,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일측 단부가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홈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고정부는 누름부의 하부에 본체부의 저면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누름부와 승강판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지지스프링과, 상기 승강판의 저면과 설치홈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2지지스프링과,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승강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스파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In the vehicle stump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of a triangular prism,
A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press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so that one end is hinged to the main body,
The fixing part is provided on a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so as to be level with the bottom part of the body part, a first support spring inserted between the pressing part and the lifting plate,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 support spring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spring, and a plurality of fixed spike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ing plate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portion.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되,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전,후방 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설치홈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누름부의 하단에는 단턱부에 의해 누름부의 상승 구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In the vehicle stump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of a triangular prism,
A press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press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driven up by the pressing portion. Vehicle st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formed protruding.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부재는 본체부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cover member is made of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 vehicular high timb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부에는 높이조절편이 힌지 결합되고, 커버부재의 저면판 내측에는 높이조절편이 선택적으로 안착 고정되는 다수 개의 안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임목.
The method of claim 6,
Height adjustment piece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cover member, a vehicle stumbling blo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ottom plate of the cover member a plurality of settling grooves are selectively seated fixed height adjust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0145A KR101969400B1 (en) | 2017-07-17 | 2017-07-17 | Chocks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0145A KR101969400B1 (en) | 2017-07-17 | 2017-07-17 | Chocks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601A KR20190008601A (en) | 2019-01-25 |
KR101969400B1 true KR101969400B1 (en) | 2019-08-13 |
Family
ID=6528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0145A KR101969400B1 (en) | 2017-07-17 | 2017-07-17 | Chocks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94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4616B1 (en) * | 2021-08-13 | 2023-01-31 | 강호재 | Tire supporting apparatus for vehicle |
KR102691516B1 (en) * | 2022-09-16 | 2024-08-05 | 한국전력공사 | Safety block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1062Y1 (en) * | 2004-03-31 | 2004-09-06 | 안창수 | Safety apparatus of tir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9753B1 (en) * | 2010-07-08 | 2012-12-07 | 최동식 | Improved chock for vehicle |
-
2017
- 2017-07-17 KR KR1020170090145A patent/KR1019694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1062Y1 (en) * | 2004-03-31 | 2004-09-06 | 안창수 | Safety apparatus of t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601A (en) | 2019-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400B1 (en) | Chocks for vehicles | |
US4087895A (en) | Device for rapidly exchanging an accumulator battery on an electric vehicle | |
KR100741464B1 (en) | Shock-absorbing type caster | |
US7096798B2 (en) | Shock absorbing pod | |
KR101209753B1 (en) | Improved chock for vehicle | |
US2450648A (en) | Vehicle lift | |
KR20130042112A (en) | Book truck | |
US862953A (en) | Table-mat. | |
US2697494A (en) | Wheel chock unit | |
US20220227171A1 (en) | Caster swivel restriction structure | |
US4155423A (en) | Kick-stool | |
US20070158886A1 (en) | Spring element for rail vehicles | |
US2300781A (en) | Sheet work support | |
US20170290427A1 (en) | Wheel-Mounted Carpet Protector | |
TWI621581B (en) | Heightening Block For A Vehicle Lifter | |
KR20180007882A (en) | Landing apparatus of latch type for Movable structure of multipurpose | |
WO2007114756A1 (en) | A stackable element for different traffic protection devices | |
KR200361062Y1 (en) | Safety apparatus of tire | |
CN110857211A (en) | Elevator base with telescopic wheels | |
US1095945A (en) | Stepping-stool. | |
EP2402283B1 (en) | A levelling device | |
KR101808263B1 (en) | Suit case | |
CN210680835U (en) | Arrester transport vechicle | |
US9586796B1 (en) | Axle lifting implement | |
CN212135819U (en) | Displa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