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997B1 -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997B1
KR101968997B1 KR1020180156229A KR20180156229A KR101968997B1 KR 101968997 B1 KR101968997 B1 KR 101968997B1 KR 1020180156229 A KR1020180156229 A KR 1020180156229A KR 20180156229 A KR20180156229 A KR 20180156229A KR 101968997 B1 KR101968997 B1 KR 10196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ase
individual
input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497A (ko
Inventor
김영정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정 filed Critical 김영정
Priority to KR102018015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9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블록은, 하나의 보드(10)에 제어부(11), 입력부(12) 및 출력부(13)가 모두 구성된 원 보드 형태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입출력보드를 케이스(50)의 내부에 구비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보드(10) 하나를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나눈 다음, 하나의 보드에는 제어부(11)를 장치한 메인보드(20) 및 다른 하나의 보드에는 입력부(12) 또는 출력부(13)를 장치한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로 구성하며,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가 각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투보드, 쓰리보드 구조를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시스템으로부터 원격지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이하 '터미널 블록'이라 함)이라 함은, PLC, HMI, 컴퓨터 시스템등(이하 '시스템'이라 함)에서 수신되는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하여 연결된 원격지 대상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시스템에 전송하는 원격측정 데이터에 의해 분산된 제어 시스템 또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과 같은 대상과 정보전송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입출력보드를 구비하는 케이스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에 구비되는 입출력보드는 원격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전송 가능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한 뒤 상위 대상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위 대상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시되는 작업 절차들을 원격지가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출력보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신호 감지 또는 측정에 사용되는 입력 채널, 판단과 명령 및 지시를 위한 제어 채널, 지시를 전달하는 출력 채널, 그리고 각 채널에 필요한 각종 통신 포트, 접속단자(이하 '단자'라 함), IC칩과 같은 부품 및 회로를 구비한 상태로 보드에 장착되고, 그 보드가 일련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며, 그 케이스로부터 보드에 장착된 단자가 외부의 접속단자와 접속 가능하도록 노출된 구조로 형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여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터미널 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입출력보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나의 보드(10)에 제어부(11)와 입력부(12), 출력부(13) 및 그에 필요한 부품과 회로 및 단자(14)가 모두 장착된 원 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종래의 원 보드 형태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용도에 따른 특성에 의해 그 터미널 블록이 사용자의 센서나, 드라이브할 부하(모터, 전구, 솔레노이드 장치 등)와 직접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오작업, 오배선 등에 의해 입출력보드의 고장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고장이 나면 고장이 나지 않은 고가의 부품들이 장착된 제어부까지 통째로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소비자, 제조자 모두 A/S 및 유지보수의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필드 환경에서의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입출력 터미널 블록 또한 다양한 파생 모델 제조가 필요하나, 원 보드 형태로는 수십 여종에 달하는 파생 모델 제조 시 수요가 많은 모델과 수요가 적은 모델의 제조 관리가 쉽지 않고, 수요가 적은 모델에도 고가의 부품들이 장착된 제어부가 악성 재고로 남는 것은 물론이며, 원 보드 형태로 다양한 파생 모델 제조에 따른 불합리한 점은 개발비, 제조, 재고 관리, 생산성, 인증비, A/S, 유지 보수 비용등으로 이어져 제조 원가 상승에 따른 제조자 및 소비자 모두에게 큰 문제점으로 발생하여 왔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터미널 블록"을 키워드로 하여 최근에 공개된 선행기술문헌 3건을 등재한 것으로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관한 발전상태 및 그 배경기술을 더욱더 면밀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838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8901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626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종래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구성 중 입출력보드가 원 보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단에 따르면 먼저 제어부와 입출력부를 각각 분리하고, 세부적으로는 한 개의 제어부 보드와 두 개의 입출력 보드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쓰리 보드 구조는 제조자,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제어부 보드로부터 여러 종류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 보드를 조합 선택하여, 다양한 파생 모델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개발, 제조, 재고 관리, 생산성, 인증, A/S, 유지보수 비용등 다양한 손실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터미널 블록에서와는 달리 소비자의 경우 고장 발생 시 소손된 입출력 보드만의 교체로 A/S 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제조자는 고가의 부품이 장착된 제어부 보드는 한 개로 관리하므로 각 파생 모델의 소요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큰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제안하는 쓰리보드 구조의 터미널 블록은 제조자 및 소비자의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도 1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보드를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보드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또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를 분해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 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 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보드를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드(10)에 제어부(11), 입력부(12), 출력부(13) 및 단자(14)가 모두 구성된 원 보드 형태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입출력보드를 케이스(50)의 내부에 구비하는 종래의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을 기초로 한다.
이러한 하나의 보드(10)에 다수의 IC칩(15)과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부(11)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1)에 각종 통신 포트와 접속단자(이하 '단자(14)'라 함)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1)의 일측에 다수의 IC칩과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12)와 출력부(13)가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12)와 출력부(13)에 각각 입출력용 단자(14)가 구비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보드는 일련의 케이스(50) 내부에 장착되고, 각 단자(14)와 케이스(50)로부터 노출되게 한 상태로 터미널 블록이 구성되고, 그 터미널 블록이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원격지와 연결된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에서 설명한 터미널 블록의 구성 중 그 터미널 블록의 내부에 탑재되는 보드(10)를 두 개로 나눠 개선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보드는 도 1의 보드(10)를 두 부분으로 나눈 다음, 하나의 보드에는 제어부(11)를 장치한 메인보드(20)로 구성하고, 또 다른 하나의 보드에는 입력부(12) 또는 출력부(13)로 이루어지는 개별보드(30)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은 투(Two) 보드를 갖는 구조와 쓰리 보드를 갖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투(Two) 보드를 갖는 구조는 하나의 보드(10)를 두 개로 분리하여 하나의 보드는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로 구성하여 이들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쓰리(Three) 보드를 갖는 구조는 메인보드(20)와 두 개의 개별보드(30)로 구성하여 이들 메인보드(20)와 두 개의 개별보드(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쓰리 보드를 갖는 구조는 메인보드(20)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개별보드(30)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 또는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개별보드가 두 개로 구성되는 선택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에서 개별보드(30)는 메인보드와 별개로 하나의 보드에 입력부(12) 또는 출력부(13) 또는 입력부(12)와 출력부(13)를 모두 장치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선택보드(40)일 수 있다.
즉, 선택보드(40)는 개별보드(3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입력부 또는 출력부 또는 하나의 보드로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 또는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는 커넥터(1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내부에 구성된 원 보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입출력보드를 쓰리 보드 형태의 구조로 개선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는 마주보는 일단에 커넥터(16)가 구비되고, 그 커넥터(16)의 끼움 삽입에 의해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가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터미널 블록을 생산함에 있어 일련의 케이스(50) 내부에 메인보드(20)는 공통으로 적용하고, 개별보드(30)는 입력부(12), 출력부(13), 입출력부는 선택적으로 장착한 개별보드(30)의 조합으로 다양한 터미널 블록을 생산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개별보드(30) 중 원하는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비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개별보드(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개별보드(30)가 고장 날 경우 그 고장 난 보드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제조자도 A/S 대응 등의 손실 비용 절감에도 효과가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는 가장 작은 단위의 입출력 채널을 도시한 것이며, 필요한 채널의 수에 따라 개별보드(30)의 수는 수십 종류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보드(30)는 원격 입출력 터미블블록의 하나로 센서나 스위치의 입력을 모니터하거나, 출력을 통한 모터나 LED전구등을 연결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쓰리 보드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로 두 부분으로 나눈 다음, 나눠진 두 개의 보드에 각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장치한 선택보드(40)를 구성한 후,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를 커넥터(16)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은 도 2에서의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의 투 보드 형태의 기판을 쓰리 보드 형태의 기판으로 개선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도 2에서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개별보드(30)인 입력부, 출력부, 입출력부에 대한 3종류의 보드 생산에서, 2종류의 보드 생산으로 줄일 수 있고, 하나의 메인보드(20)에 입력부(12)로 이루어지는 선택보드(40)와 출력부(13)로 이루어지는 선택보드(40)를 선택하거나 혼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시 교체할 수 있는 영역을 좁힐 수 있으므로 더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입출력부 선택보드(40)를 혼재하거나 장착 수를 한 개 또는 두 개로 조절하여, 입출력부의 채널 수와 파생 모델의 확장에 매우 용이하게 대응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50)는 장착판(51)과 덮개(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보드(20)는 단자(14)가 하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장착판(51)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선택보드(40)는 단자(14)가 상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메인보드(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장착판(51)에 고정된 슬라이드블록(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납되며, 상기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는 마주보는 일단에 각자 커넥터(16)가 구비되어 수납 시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덮개(52)는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의 각 단자(14)가 노출되도록 개구부(520)를 형성한 상태로 덮여져 장착판(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50) 형태를 이루며, 상기 선택보드(40)는 덮개(52)의 개구부(520)를 통해 케이스(5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선택보드(40)는 케이스(5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될 때 일단이 덮개(52)의 내측에 탄지되어 걸려지고, 타단을 누르면 그 걸림이 해제되어 케이스(50)로부터 착탈되게 하는 락(7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케이스(50)의 부피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케이스(50)의 개구부(520)를 통해 선택보드(40)가 수납되므로 케이스(5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락(70)에 의해 선택보드(40)의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한 구성은 도 3의 선택보드(40) 대신 도 2의 개별보드(30)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고, 그렇게 선택된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는 또 다른 작은 케이스의 내부에 탑재시켜 케이스(50)의 내부로 수납할 수 있으며, 락(70)은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은 고출력 전류 드라이브로 추가 전류 확장 모듈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종래의 출력부(13)를 통해 모터, 전구등 구동 시 출력 확장 모듈 추가로 설치 공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라 장착판(51)을 히트싱크로 활용하여 출력부(13) 파워스택의 효율을 높여 기존 대비 약 4배의 출력 전류 드라이브가 가능한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달성하기 위해 출력 드라이브 전류를 파워스택과 히트싱크에 의한 방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출력 드라이브 구성에 의하면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의 입출력보드에 있어 더 높은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성은 입력부 또는 출력부에서의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와 방열패드(80), 장착판(5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의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판(51)과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 사이 수mm 공간에 방열패드(80)를 삽입하여 방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열패드(80)는 합성 수지피막, 비닐 필름, 비닐리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한 재질의 제1 레이어에 1 내지 5 W/mk의 열전도도를 갖는 열가소성 물질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저온인 알루미늄 재질의 장착판(51)을 히트싱크 역할로 사용하여 출력부(13) 파워스택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을 부연 설명하면, 메인 PCB는 공용으로 하고, I/O PCB를 이중으로 분리하여 설계한 구조로서, I/O PCB는 이중 조합에 의해 다양한 파생 모델의 구성이 매우 용이하며, 재고 관리, 유지보수, 제조공정, 개발 및 제조 원가를 대폭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의 응용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아도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라 보이며, 이에 본 발명의 청구항은 상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하여 권리범위를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청구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 및 이와 연관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해당분야에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말미암아 이 기술분야 및 이와 연관된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보드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출력부
14: 단자
15: IC칩
16: 커넥터
20: 메인보드
30: 개별보드
40: 선택보드
50: 케이스
51: 장착판(히트싱크)
52: 덮개
520: 개구부
60: 슬라이드블록
70: 락
80: 방열패드

Claims (4)

  1. 하나의 보드(10)에 제어부(11), 입력부(12) 및 출력부(13)가 모두 구성된 원 보드 형태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입출력보드를 케이스(50)의 내부에 구비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를 장치한 메인보드(20); 및
    상기 입력부(12) 또는 출력부(13)를 장치한 개별보드(3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보드(20)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개별보드(30)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 또는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개별보드가 두 개로 구성되는 선택보드(40)를 포함하는 쓰리(Three) 보드 구조를 갖되,
    상기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 또는 메인보드(20)와 선택보드(40)는 마주보는 일단에 구비된 커넥터(16)의 끼움 삽입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50)는 장착판(51)과 덮개(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보드(20)는 단자(14)가 하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장착판(51)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장착판(51)과 덮개(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보드(20)는 단자(14)가 하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장착판(51)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는 단자(14)가 상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메인보드(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장착판(51)에 고정된 슬라이드블록(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납되며, 상기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는 마주보는 일단에 각자 커넥터(16)가 구비되어 수납 시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기 덮개(52)는 메인보드(20)와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의 각 단자(14)가 노출되도록 개구부(520)를 형성한 상태로 덮여져 장착판(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50)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장착판(51)과 덮개(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보드(20)는 단자(14)가 하부 또는 측면을 향한 상태로 장착판(51)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는 덮개(52)의 개구부(520)를 통해 케이스(5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납되며, 상기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는 케이스(5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될 때 일단이 덮개(52)의 내측에 탄지되어 걸려지고, 타단을 누르면 그 걸림이 해제되어 케이스(50)로부터 착탈되게 하는 락(70)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전달하도록 하는 방열패드(80)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50)의 알루미늄 장착판(51)과 개별보드(30) 또는 선택보드(40) 사이 공간에 상기 방열패드(8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KR1020180156229A 2018-12-06 2018-12-06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KR10196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229A KR101968997B1 (ko) 2018-12-06 2018-12-06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229A KR101968997B1 (ko) 2018-12-06 2018-12-06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34 Division 201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497A KR20190029497A (ko) 2019-03-20
KR101968997B1 true KR101968997B1 (ko) 2019-04-15

Family

ID=6603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229A KR101968997B1 (ko) 2018-12-06 2018-12-06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668A (ko) 2021-10-01 2023-04-10 이백산 블록식 pcb 기판 기반의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547A (ja) 2000-07-06 2002-01-25 Nec Eng Ltd 電子機器の基板のプラグイ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950Y2 (ja) * 1988-10-24 1995-05-15 松下電工株式会社 制御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H05275872A (ja) * 1992-03-30 1993-10-22 Toky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配線基板の取付装置
KR101462611B1 (ko) 2014-04-03 2014-11-20 주식회사 크래비스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KR101589018B1 (ko) 2014-10-07 2016-01-27 주식회사 우리기술 터미널블록
KR101638385B1 (ko) 2016-02-16 2016-07-1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547A (ja) 2000-07-06 2002-01-25 Nec Eng Ltd 電子機器の基板のプラグイン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7668A (ko) 2021-10-01 2023-04-10 이백산 블록식 pcb 기판 기반의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497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165B2 (en) Laminated electronic card assembly
EP2208922B1 (en) High power led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201700B1 (en) Box design for maximum heat dissipation
US20080170371A1 (en) Combination assembly of led and heat sink
KR101968997B1 (ko)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CN103493613A (zh) 包括热电模块的电路组件
TW200642550A (en) Power module package structure
CN112640592A (zh) 接合装置、用于制造接合装置的方法以及容纳接合装置的多层结构
US8749990B2 (en) Multiple-board power converter
US20120097988A1 (en) LED Module
KR102617351B1 (ko)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EP1342305A2 (en) Modularized power supply
ATE328370T1 (de) Leistungsteiler/-kombinierer
US8213472B2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communications device
CN211184078U (zh) 摄像头模组散热结构
JP5607838B2 (ja) Ledブロ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
US10527238B1 (en) Lamp
CN101142867B (zh) 用于从控制装置传递热的设备和方法
CN105224045B (zh) 刀片式服务器
CN207555524U (zh) 一种铝基灌胶覆铜板及led灯具
CN215582319U (zh) 一种运动控制器
US6239381B1 (en) Circuit board f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8258034U (zh) 智能音箱
CN205900586U (zh) 多层led光引擎结构
CN205510516U (zh) Led光源复合pcb电路板及光电一体化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