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915B1 -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915B1
KR101968915B1 KR1020170110188A KR20170110188A KR101968915B1 KR 101968915 B1 KR101968915 B1 KR 101968915B1 KR 1020170110188 A KR1020170110188 A KR 1020170110188A KR 20170110188 A KR20170110188 A KR 20170110188A KR 101968915 B1 KR101968915 B1 KR 10196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quid shield
air
floa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847A (ko
Inventor
박명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밸콘 filed Critical (주)한국밸콘
Priority to KR102017011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915B1/ko
Priority to PCT/KR2018/009597 priority patent/WO2019045348A1/ko
Publication of KR2019002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20Arrangements or systems of devices for influencing or alter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e.g. for damping pulsations caused by opening or closing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과 연통되는 연결로가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관과 연통되는 공간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바디; 상기 공간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심폴; 상기 공간의 하부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중심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리퀴드실드; 상기 공간의 기압이 증가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1리퀴드실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리퀴드실드; 및 상기 제1리퀴드실드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1포링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MULTY-FUNCTIONAL DIGITAL AIR VENT}
본 발명은 배관에 설치된 순환펌프 전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플랜트, 상·하수도 등 각종 설비의 액체가 유동하는 배관시스템에는 에어밴트(Air Vent)가 설치된다.
그리고 에어밴트는 배관시스템에서 액체의 팽창 및 수축 현상에 의해 액체에서 포함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밴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4715호에 개시된 에어밴트에서는, 디스크(1)의 이동에 의해 시트(2)가 개폐되면, 플로트챔버(3) 내부의 에어는 선택적으로 에어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에 의해 플로트(5)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디스크(1)는 레버(6)에 의해 회전 상승하여 시트(2)의 하단에 밀착됨으로써 시트(2)를 통한 에어의 배출이 정지된다.
그리고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감소하면 플로트(5)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디스크(1)는 레버(6)에 의해 회전 하강하여 시트(2)의 하단에서 이격됨으로써 시트(2)를 통해 에어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에어밴트는, 플로트챔버(3) 내부의 액체가 에어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렇게 에어배출구(4)를 통해 액체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유출될 경우, 액체 내의 이물질에 의해 에어배출구(4)가 막히거나, 스케일(scale) 발생으로 인하여 에어밴트의 성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액체의 수질이 나쁘거나, 액체의 화학적 반응, 또는 액체가 고온일 때 빈번해 진다.
그리고 종래의 에어밴트는 외부에서 에어배출구(4)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밴트는 일반적으로 내부압력에 의하여 쉽게 공기와 액체가 동반 분출되므로 펌프장치의 흡입관에는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유체에서 액체와 공기를 분리하여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펌프장치의 흡입관에도 설치가 가능한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는, 배관과 연통되는 연결로가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관과 연통되는 공간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바디; 상기 공간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심폴; 상기 공간의 하부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중심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리퀴드실드; 상기 공간의 기압이 증가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1리퀴드실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리퀴드실드; 및 상기 제1리퀴드실드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1포링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제2리퀴드실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3리퀴드실드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와 상기 제3리퀴드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2포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바디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에 따르면, 유체에서 액체와 공기를 분리하여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는 내부에서 유체의 이동을 제1포링 및 제2포링에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는 차압조절부와 감압부를 구비하여 공기의 배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공기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제어부, 통신부 및 사용자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공기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바디(110), 중심폴(120), 및 플로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에는 내부에 공간(이하, 이를 “내부공간(110s)”이라고 함.)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0s)은 배관과 연통된다.
예컨대, 상기 바디(110)의 하부에는 커넥터(1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111)는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111)에는 배관과 연결된 연결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관의 유체는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0s)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10s)의 상측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중심폴(120)은 상기 내부공간(110s)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130)는 상기 내부공간(110s)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중심폴(1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공간(110s)의 유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공간(110s)에 기압이 증가하면, 상기 내부공간(110s)의 하측의 위치한 액체의 수위는 낮아지고, 이때, 상기 플로트(130)는 상기 중심폴(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센서는 하측으로 이동된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를 감지하여, 후술된 공기 배출부(140)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공기 배출부(140)는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10s)의 기압이 설정된 수준으로 증가하면,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40)에는 배출구(140a)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14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부(140)는, 상기 플로트(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로트(130)가 설정된 높이로 낮아졌을 때, 상기 배출구(140a)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40)는 상기 바디(1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140a)를 선택적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부(140)는 솔레노이드(141)와 마그넷(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42)은 상기 바디(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142)은 상기 바디(110)에 설치된 탄성체와 상기 솔레노이드(141)에 의해 직선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체크볼(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볼(143)은 공기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크볼(143)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이 달라질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크볼(143)은, 상기 내부공간(110s)의 기압에 따라 상기 배출구(140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140a)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게 하거나, 외부에서 배출구(140a)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0s)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140a)의 단부에는 차압조절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압조절부(144)는 상기 배출구(140a)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배출구(140a)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구(140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제1리퀴드실드(150)와, 제2리퀴드실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는 상기 플로트(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10s)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는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의 중심은 중심폴(1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의 외주는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는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10s)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120)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외주는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내주는 상기 중심폴(120)로부터 이격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120)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제1포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링(170)은 표면에 복수의 타공홀 형성된 원통이며, 실리콘, 유리등, 특수재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포링(170)은 복수개가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제3리퀴드실드(180)와 제2포링(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는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10s)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중심은 중심폴(120)에 결합되고,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외주는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는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포링(190)은 표면에 복수의 타공홀 형성된 원통이며, 실리콘, 유리등, 특수재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포링(190)은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와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 및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일측은 각각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 및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일측이 각각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면,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 및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상면에 유체는 하측으로 흘러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10s)의 유체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은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 및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상면에서 각각 하측으로 흘러 내려, 상기 내부공간(110s)의 유체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이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 및 상기 제3리퀴드실드(180)의 상면에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드레인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112)는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와 상기 제1리퀴드실드(1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0s)의 에어를 필요시 임의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감압부(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부(161)는 상기 제2리퀴드실드(1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분산시켜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압부(161)는 데미스터(demist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압부(161)에서는 상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서 공기만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감압부(161)의 데미스터(demister)는 상측으로 유동하는 액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스크린(1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111a)은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크린(111a)은 상기 커넥터(111)의 연결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내부공간(110s)의 내벽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의 제어부, 통신부 및 사용자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제어부(101), 통신부(102) 및 사용자단말(10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3)로 상기 솔레노이드(141)의 작동 횟수, 작동 여부에 관한 정보(이하, 이를 “동작 데이터”라고 함.)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플로트(130)와 상기 공기 배출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01)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가 내장된 기기 제어용 기판인 아두이노(arduino)를 구비하여, 상기 플로트(130) 및 상기 공기 배출부(140)의 상기 솔레노이드(14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1)는 상기 플로트(130) 높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4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103)에는 에어벤트 관리정보 시스템(이하, “관리 앱”이라고 함.)이 설치된다. 상기 관리 앱은 상기 통신부(102)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동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내부공간(110s)의 공기 배출량, 상기 공기 배출부(140)의 정상 작동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2)와 상기 사용자단말(103)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02)와 상기 사용자단말(103)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중앙서버(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2)와 중앙서버(104)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여 서로 지그비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104)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03)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104)에는 PLC 단자 또는 USB 포트 등이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102)로부터 상기 중앙서버(104)에 전달된 상기 동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103)에는 상기 통신부(102)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중앙서버(104)로부터 상기 동작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중앙서버(104)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 및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에 구비된 제1제어부와,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에 구비된 제2제어부와, 상기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에 구비된 제3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제3제어부는 각각 상기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104)로 상기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 및 상기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의 동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104)는 상기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 및 상기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의 동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단말(103)에 설치된 상기 관리 앱을 실행시켜, 상기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 및 상기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 전체의 동작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104)는 상기 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제3제어부를 각각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중앙서버(104)는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의 솔레노이드(141) 의 작동 오류로 인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에서 배관 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디지털 에어벤트(100b)와 인접한 상기 제1 디지털 에어벤트(100a)의 솔레노이드(141)와, 상기 제3 디지털 에어벤트(100c)의 솔레노이드(141)의 작동 횟수를 증가시켜, 배관의 배관 내 공기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110: 바디
120: 중심폴
130: 플로트
140: 공기 배출부
150: 제1리퀴드실드
160: 제2리퀴드실드
170: 제1포링
180: 제3리퀴드실드

Claims (5)

  1. 배관과 연통되는 연결로가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배관과 연통되는 공간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바디;
    상기 공간의 상측에 고정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심폴;
    상기 공간의 하부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중심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리퀴드실드;
    상기 공간의 기압이 증가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제1리퀴드실드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중심폴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리퀴드실드; 및
    상기 제1리퀴드실드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1포링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리퀴드실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외측으로 안내하는 제3리퀴드실드와,
    상기 제2리퀴드실드와 상기 제3리퀴드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를 분산시키는 제2포링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체크볼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KR1020170110188A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KR10196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88A KR101968915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PCT/KR2018/009597 WO2019045348A1 (ko) 2017-08-30 2018-08-21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188A KR101968915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847A KR20190023847A (ko) 2019-03-08
KR101968915B1 true KR101968915B1 (ko) 2019-04-15

Family

ID=6552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188A KR101968915B1 (ko) 2017-08-30 2017-08-30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8915B1 (ko)
WO (1) WO20190453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59B1 (ko) * 2014-06-11 2016-02-16 (주)한국밸콘 전자식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815Y2 (ja) * 1992-07-24 1999-02-03 前澤工業株式会社 空気弁
KR200195147Y1 (ko) * 1997-11-11 2001-01-15 정태희 급속 공기 밸브의 이물질 방지장치
KR200364715Y1 (ko) * 2004-06-28 2004-10-12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에어벤트 밸브
KR101036821B1 (ko) * 2010-10-20 2011-05-25 (주) 삼진정밀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59B1 (ko) * 2014-06-11 2016-02-16 (주)한국밸콘 전자식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348A1 (ko) 2019-03-07
KR20190023847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9486A (zh) 减压设备
CN102498323A (zh) 减压阀
KR101968915B1 (ko) 다기능성 디지털 에어밴트
CN203686262U (zh) 矿用潜水泵出口逆止阀
JP4781787B2 (ja) 排気弁
CN210858690U (zh) 一种用于气井排液工艺中的三相分离器系统
EP2014963A3 (en) A pressure relief valve and a method for regulating pressure
NZ538338A (en) Vent valve
KR100598111B1 (ko) 레귤레이터 및 이를 사용하여 가스를 공급하는 방법
US2019016813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Liquid-Liquid Extraction Column Using Pressure Equilibrium
CN201420897Y (zh) 泡沫型恒流节水起泡器
KR20180124413A (ko) 유체 및 스팀용 디지털 에어벤트 시스템
JP2006316940A (ja) 排気弁
CN100408771C (zh) 具有弯管的冲洗阀组件
EP3495572B1 (en) Feeding device for a flush tank
CN110821551A (zh) 自动放水器
JP4292060B2 (ja) 常閉形フロート式オートドレン
US9695987B2 (en) Ball tap
KR100472568B1 (ko) 다단진공 하수수집 시스템
KR20090129828A (ko) 이탈방지용 개폐밸브를 갖춘 팽창탱크를 포함하는 온수기및 이에 사용되는 온수기용 팽창탱크
JP2006316939A (ja) 排気弁
CN220891189U (zh) 安全阀及热泵供水管道
CN110006181B (zh) 高压加热器疏水液位控制辅助装置
KR20190101098A (ko)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시스템
KR102182743B1 (ko) 에어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