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021B1 - 선재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선재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021B1
KR101968021B1 KR1020170168104A KR20170168104A KR101968021B1 KR 101968021 B1 KR101968021 B1 KR 101968021B1 KR 1020170168104 A KR1020170168104 A KR 1020170168104A KR 20170168104 A KR20170168104 A KR 20170168104A KR 101968021 B1 KR101968021 B1 KR 10196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ole
connecting bar
pin
rotary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열
김철수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4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선재권취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권취장치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권취공간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권취공간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권취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선재가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 및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의 타측 각각이 복수개의 연결유닛 각각을 통하여 연결되는 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권취장치{APPARATUS FOR WINDING WIRE ROD}
본 발명은 선재를 코일형태로 권취하는 선재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재권취장치는 열간 압연된 선재를 코일형태로 권취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선재권취장치에는 상부가 개방된 권취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일측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림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회전드럼의 권취공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드럼이 회전되면 복수개의 포크부재도 함께 회전되어 권취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권취공간에 유입되는 선재가 복수개의 포크부재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된다.
종래, 이러한 선재권취장치에서는 복수개의 포크부재 둘레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할 수 없으며, 복수개의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5999호 (2011.11.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재권취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선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연결유닛에 의해서 림부재에 연결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면서도 복수개의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선재권취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권취장치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권취공간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권취공간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권취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선재가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 및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의 타측 각각이 복수개의 연결유닛 각각을 통하여 연결되는 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크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유닛에 의해서 상기 림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포크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에는 제1핀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핀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제2핀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핀부재가 상기 제1핀관통구멍과 제2핀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포크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핀관통구멍은 상기 회전드럼의 반지름방향으로 긴 장공이어서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연결부재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림부재는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림부재에는 제1연결바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연결부재에는 제2연결바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연결바관통구멍과 제2연결바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림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바관통구멍과 상기 제2연결바관통구멍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바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의 제1거리와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상기 림부재 사이의 제2거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조절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조절너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상기 림부재 사이의 상기 연결바의 부분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조절너트 중 적어도 하나는 링형상의 상기 림부재의 링 안쪽의 상기 연결바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선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연결유닛에 의해서 림부재에 연결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면서도 복수개의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에 선재가 권취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1과 같은 종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4가지 다른 작동모드를 나타내는 도2와 같은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재권취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연결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에 선재가 권취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1과 같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의 일실시예의 4가지 다른 작동모드를 나타내는 도2와 같은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100)의 일실시예는 회전드럼(200),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림부재(400) 및, 연결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드럼(200)에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권취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권취공간(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LM)가 권취공간(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회전드럼(200)은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드럼(200)에는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200)의 회전축에 구비된 기어는 회전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다른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모터의 기어와 회전드럼(200)의 회전축의 기어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구동모터가 구동되면, 회전드럼(200)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드럼(200)이 회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회전드럼(200)에는 선재(LM)가 권취공간(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권취공간(210)에 유입되면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된 선재코일(CL)을 받치는 받침부재(2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포크부재(300)는 회전드럼(200)의 권취공간(2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크부재(300)는 회전드럼(200)의 권취공간(210)에 서로 소정 각도 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포크부재(300)의 일측은 회전드럼(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크부재(300)는 회전드럼(2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200)의 권취공간(2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권취공간(210)에 유입된 선재(LM)가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재(300)의 하단부가 회전드럼(200)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포크부재(300)의 상단부는 연결유닛(500)에 의해서 림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핀관통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핀관통구멍(310)에는 핀부재(PM)가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연결유닛(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포크연결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핀관통구멍(3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200)의 반지름방향으로 긴 장공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단부가 회전드럼(200)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드럼(200)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드럼(200)과 함께 포크부재(300)가 회전되면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원심력에 의해서 회전드럼(200)의 반지름 바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200)과 함께 포크부재(300)가 회전되지 않으면, 포크부재(300)의 상단부는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회전드럼(200)의 반지름 안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림부재(400)는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의 타측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의 상단부 각각이 복수개의 연결유닛(500) 각각에 의해서 림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림부재(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일 수 있다. 림부재(4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관통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바관통구멍(410)에는 연결유닛(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연결바(520)가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연결유닛(500)의 포크연결부재(510)가 연결바(520)에 의해서 림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500)은 포크부재(300)의 타측을 림부재(400)에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유닛(500)은 포크부재(300)의 상단부를 림부재(400)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닛(500)은 복수개의 포크부재(300)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에 권취되는 선재코일(CL)의 내경(DI)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유닛(500)은 포크연결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포크연결부재(510)에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포크연결부재(510)에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핀관통구멍(310)에 대응되는 제2핀관통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핀부재(PM)가 포크부재(3OO)의 제1핀관통구멍(310)과 포크연결부재(510)의 제2핀관통구멍(511)을 관통하는 것으로,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포크연결부재(510)에 연결될 수 있다.
포크연결부재(5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포크연결부재(510)에는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에는 후술할 연결바(520)가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크연결부재(510)가 연결바(520)에 의해서 림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500)은 연결바(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520)는 림부재(400)의 제1연결바관통구멍(410)과 포크연결부재(510)의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520)에는 수나사산(5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바관통구멍(410)과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에는 수나사산(521)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바(520)는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닛(500)은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는 연결바(5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조절너트(530)에 의해서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바(520) 사이의 제1거리(DT1)와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너트(530) 중 적어도 하나는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연결바(52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조절너트(530) 중 적어도 하나는 링형상의 림부재(400)의 링 안쪽의 연결바(52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연결부(520)의 부분에는 하나의 조절너트(530)가 구비되고, 림부재(400)의 링 안쪽의 연결바(520)의 부분에는 2개의 조절너트(5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는 고정하고,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바(520) 사이의 제1거리(DT1)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300)에 권취되는 선재코일(CL)의 내경(DI)을, 회전드럼(200)의 회전속도에 따라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장공인 제1핀관통구멍(310)에 의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정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가 편심회전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중 일부의 상단부가 장공인 제1핀관통구멍(310)에 의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으로,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는 고정하고,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바(520) 사이의 제1거리(DT1)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바(520)가 포크연결부재(510)의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을 관통하여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제1거리(DT1)가 O이 되도록 함으로써,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에 권취되는 선재코일(CL)의 내경(DI)이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개의 포크부재(300)가 편심회전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중 일부의 상단부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를 조절하고,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바(520) 사이의 제1거리(DT1)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에 권취되는 선재코일(CL)의 내경(DI)을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의 범위와 회전드럼(200)의 회전속도에 따른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장공인 제1핀관통구멍(310)에 의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정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가 편심회전하는 경우에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장공인 제1핀관통구멍(310)에 의해서 소정 범위 내에서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으로,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를 조절하고,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와 연결바(520) 사이의 제1거리(DT1)는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바(520)가 포크연결부재(510)의 제2연결바관통구멍(512)을 관통하여 포크부재(30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제1거리(DT1)가 O이 되도록 함으로써 포크부재(300)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포크부재(300)에 권취되는 선재코일(CL)의 내경(DI)을 포크연결부재(510)와 림부재(400) 사이의 제2거리(DT2)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개의 포크부재(300)가 편심회전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조절너트(530)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300) 중 일부의 상단부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재권취장치를 사용하면,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선재가 둘레에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를 연결유닛에 의해서 림부재에 연결하여, 복수개의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면서도 복수개의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선재권취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선재권취장치 200 : 회전드럼
210 : 권취공간 220 : 받침부재
300 : 포크부재 310 : 제1핀관통구멍
400 : 림부재 410 : 제1연결바관통구멍
500 : 연결유닛 510 : 포크연결부재
511 : 제2핀관통구멍 512 : 제2연결바관통구멍
520 : 연결바 521 : 수나사산
530 : 조절너트 LM : 선재
CL : 선재코일 DI : 내경
PM : 핀부재 DT1 : 제1거리
DT2 : 제2거리

Claims (11)

  1.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권취공간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권취공간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권취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선재가 둘레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복수개의 포크부재; 및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의 타측 각각이 복수개의 연결유닛 각각을 통하여 연결되는 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가 편심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부재에 권취되는 선재코일의 내경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드럼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유닛에 의해서 상기 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포크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림부재에는 제1연결바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연결부재에는 제2연결바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연결바관통구멍과 제2연결바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림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바관통구멍과 상기 제2연결바관통구멍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바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연결바 사이의 제1거리와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상기 림부재 사이의 제2거리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조절너트를 더 포함하며, 복수개의 상기 조절너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포크연결부재와 상기 림부재 사이의 상기 연결바의 부분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조절너트 중 적어도 하나는 링형상의 상기 림부재의 링 안쪽의 상기 연결바의 부분에 구비되는 선재권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에는 제1핀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포크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핀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제2핀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핀부재가 상기 제1핀관통구멍과 제2핀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포크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선재권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관통구멍은 상기 회전드럼의 반지름방향으로 긴 장공이어서 상기 포크부재의 상단부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선재권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연결부재는 'ㄷ'자 형상인 선재권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재는 링형상인 선재권취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68104A 2017-12-08 2017-12-08 선재권취장치 KR10196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04A KR101968021B1 (ko) 2017-12-08 2017-12-08 선재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04A KR101968021B1 (ko) 2017-12-08 2017-12-08 선재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021B1 true KR101968021B1 (ko) 2019-04-10

Family

ID=6616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04A KR101968021B1 (ko) 2017-12-08 2017-12-08 선재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99B1 (ko) 2009-11-02 2011-11-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재 권취 장치
KR101197808B1 (ko) * 2010-11-12 2012-11-05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장치
KR20160106978A (ko) * 2015-03-03 2016-09-13 김필주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99B1 (ko) 2009-11-02 2011-11-2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재 권취 장치
KR101197808B1 (ko) * 2010-11-12 2012-11-05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장치
KR20160106978A (ko) * 2015-03-03 2016-09-13 김필주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0008B (zh) 支架
US8413390B2 (en) Polygon mast
US9517916B2 (en) Mandrel with wire retainer
JP6500110B2 (ja) 電気遮断器用の連結要素
US8555944B2 (en) Anti-flex assembly
US2971721A (en) Construction of coil blocks
KR101968021B1 (ko) 선재권취장치
JPS6020001B2 (ja) 傾動式傘の巻取り装置
US6196489B1 (en) Umbrella wire-winding device
PT2128877E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enrolar um fio plano
DE102018203449A1 (de) Rotorbremsmechanismus für Spinnrolle
CN211769398U (zh) 一种镍铬合金丝的卷绕设备
KR200489919Y1 (ko) 전선권취용 릴
CN209006428U (zh) 一种制作变压器铜丝用放线器
US1762620A (en) Toy
CN204369308U (zh) 线盘转绕机
US1088127A (en) Winding-reel for dynamo-electric-machine coils.
US1932598A (en) Extensible reel for unspooling of hanks
CN220449331U (zh) 高强度地下电缆铺设的放卷机
WO2018155466A1 (ja) 脱落防止具
WO2018090808A1 (zh) 云台电机、云台和飞行器
CN103710902A (zh) 一种绕线辊胀器
CN217478728U (zh) 一种绕线装置
CN105281145A (zh) 新型便携式转接线
JP2010022126A (ja) 柱状体装着器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柱金具の柱状体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