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51B1 -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51B1
KR101967751B1 KR1020170054693A KR20170054693A KR101967751B1 KR 101967751 B1 KR101967751 B1 KR 101967751B1 KR 1020170054693 A KR1020170054693 A KR 1020170054693A KR 20170054693 A KR20170054693 A KR 20170054693A KR 101967751 B1 KR101967751 B1 KR 10196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ax
unit
image
light sourc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687A (ko
Inventor
이광훈
이동길
김양규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7012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4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02B27/2214
    • G02B27/2278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planes, e.g. depth samp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무안경방식 3D입체디스플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입체시 저해 요소를 개선하고 좁은 관찰자유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역형성광학계가 필요없는 시차조명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시역형성광학계부로 구성된 기존방식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발생하는 광특성 저하 문제를 개선하고, 인터랙티브 사용자 능동형 대응으로 수평, 깊이방향에 대한 관찰자유도를 확장시킴으로서 안경방식의 높은 자유도 특성과 2D/3D 전환이 가능한 무안경방식의 사용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시차조명 방식의 3D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NON OPTICAL PLATE MULTIVIEW 2D/3D CONVERSION PARALLAX LIGHTING SYSTEM }
본 발명은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찰자의 수평방향 및 깊이방향의 이동에 따른 능동적 입체시역을 형성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하는 안경식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및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안경식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가 있는데, 현재 무안경식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2시점의 무안경식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시역이 지나치게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시점 또는 초다시점 시역을 갖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왔는데, 이는 대표적으로 시차 장벽(parallax barrier) 및 렌티큐라 렌즈(lenticular lens)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시차 장벽 또는 렌티큐라 렌즈 등의 방식에서는, 인접한 시점의 시역들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많이 발생하여 구현되는 3차원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고, 3차원 시역이 제한되며, 시점 수가 증가할수록 3차원 영상의 단위 시점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관련기술문헌]
1. 오프라인 이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25179)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시 저해 요소를 개선함과 동시에 좁은 관찰자 유도를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역형성광학계가 필요없는 시차조명의 방식으로 인터랙티브 사용자 능동형 대응으로 수평 및 깊이 방향에 대한 관찰자유도를 확장시킴으로써, 관찰자의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시차조명 방식의 3D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광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은, 광원부에 삽입되어, 시차영상을 유발하는 시차 조명부; 시차 조명부를 이루는 선광원의 형태로, 단위 선광원의 수직 나열로 이루어져 있는 위상 변화형 선광원부; 및 관찰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선광원의 점등과 표시하고자 하는 시점영상을 동기화시키는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차 조명부는, 다시점의 경우, 시차 조명부내의 광원간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7041693881-pat00001
여기서, P는 단위화소의 주기이고, LP는 시차조명부내의 광원간 거리이고, n은 다시점 수이고, d는 두 소자 사이의 간격이고, V는 관찰거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상변화형 선광원부는, 단위 선광원의 형상은 깊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상값을 갖는 계단형태이고, 수직폭은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LLSV<Vtan(0.08de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는, 시차조명내 수평방향으로 나열된 선광원 배열은 최초 시역의 중심위치 간격(G)의 함수로 정의되고, 상기 관찰자가 시역의 중심위치에서 인접한 시점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설정된 선광원간 간격내에 추가 삽입된 선광원들을 점등하고, 상기 관찰자가 이동된 방향만큼 시차변화를 갖는 대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관찰위치에 따른 해당시역의 중심위치를 이동시켜 사기 관찰자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대응 시점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시차조명 사이에 위치하여, 확산도가 최대일 때 시차조명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무모화시켜 2D 영상을 구현하고, 확산도가 최저일 때,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보존시켜 시차영상 기반의 3D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2D/3D 구현부를 더 포함하는, 관찰자의 수평방향 및 깊이 방향의 이동에 따른 능동적 입체시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역형성을 담당하는 시역형성광학계부의 기능을 시차조명으로 대처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가 단순하고, 시역광학계로부터 발생하는 원천적인 입체시 광특성 저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로 관찰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속적 운동시차의 및 확장시차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수평방향의 입체시 시청범위를 확장하고, 단위 선광원 내 위상차를 갖는 점광원의 구조로서 깊이방향으로 확장된 시역을 제공하여 관찰자에게 수평, 깊이 방향에 대한 관찰자유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2D/3D 변환부로서 관찰자의 컨텐츠 시청 요구에 따라 기존의 2D 평면영상 또는 3D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례의 시차조명 방식의 시점영상을 구현하는 예 및 렌즈릿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선광원 구조의 시차조명 기반 3D 입체 디스플레이로부터 형성되는 깊이 방향의 입체시 시청 자유도가 확장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단위 선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단위 선광원으로 이루어진 시차조명의 세부적인 구현 예 및 깊이 방향 입체시 자유도 확장과 대응하는 위상차 단위 선광원 모듈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향의 연속적 운동시차를 유발하기 위한 선광원 배열구조 및 점등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 확산판에 의한 2D/3D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례의 시차조명 방식으로부터 형성되는 단위쌍 스테레오 시역의 모식도, 관찰거리, 시차조명부와 디스플레이부와의 거리, 시역의 중심간 거리의 함수로 정의되는 선광원간 수평방향의 이격량(선광원간 주기)의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시점의 경우로 확장하였을 시 시역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찰자 위치 및 관찰범위에 따른 선광원의 발산각 구속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종례의 시차조명 방식의 시점영상을 구현하는 예 및 렌즈릿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무안경 방식 3D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시역을 형성하는 시역형성부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출사된 각 시점영상을 이루는 단위화소의 광속들은 해당 시역형성광학계의 단위 광학계를 투과하여 집속 또는 집광 된 후 고정된 관찰자 위치의 관찰면 상에서 각 시점수와 비례하는 해당 시역들을 형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각 부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한 입체시 특성 저하를 유발한다. 이를 '구조적 입체시 특성 저하'문제라 칭하고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 부는 단수의 평판형 또는 투사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디스플레이는 주어진 해상도내에서 시점수에 반비례하는 해상도의 시점영상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제한된 해상도는 수평, 수직방향의 시점수가 증가할 수록 시점영상의 해상도는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관찰자는 시점수가 많은 다시점 영상일수록 해상도가 낮은 시점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둘째, 시역형성부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공되는 각 시점영상의 광속을 장벽간 개구 또는 단위 단축렌즈 배열형태를 갖는 시역형성광학계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시점영상의 광속들은 이를 투과하여 집속 또는 집광되고 관찰자 위치의 관찰선상에서 각 시역의 중심을 포함한 일정 면적의 연속적 나열형태로 각각의 시역을 형성한다. 이때, 각 시역의 중심위치는 미리 설계된 바에 의해 정해지므로 관찰자 위치변화에 따른 입체시 시청 가능 자유도의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기존 방식에서는 수평방향으로는 분절적인 운동시차를 제공하는 범위만큼의 자유도가 허락되는 반면, 그 외의 수직, 깊이방향은 추가적인 해상도 저하를 우려하여 단일 디스플레이 환경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의 디스플레이 또는 다수의 평판/투사광학계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시분할 깜박임 방식 및 수직방향의 해상도 손실을 감안하면서 수평방향의 유효 해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울어진 시역형성 광학계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원천적으로 제거가 어려운 입체시 저하 문제가 존재하는데, 이는 각 부가 결합된 시스템 자체에서 발생하는 구조적인 원인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각 부의 비정렬 및 시역형성광학계내의 단위 광학계의 비주기 배열로 인해 발생되는 인접시역간 중첩현상(이중상 문제)과, 기울어진 시역형성광학계 방식에서 해당 렌즈릿의 면적내에 해당 단위영상화소와 더불어 인접한 화소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해당 시역내에서 광학적 잡음(크로스톡)을 유발하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입체시 저해요소들은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제어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언급된 구조적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입체시 저해 요소를 개선하고, 기존의 무안경 방식의 좁은 관찰자유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역형성의 기능을 영상부의 후조명에 삽입한 시차조명부, 깊이방향의 입체시 시청자유도를 확장하기 위한 위상변화형 선광원부, 관찰자의 수평/수직방향의 이동에 따라 능동적으로 해당 시점영상 및 해당 광원을 구동하는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반응부 그리고 선택적 확산판을 응용한 2D/3D 구현부로 이루어진 '관찰자의 수평, 깊이방향의 이동에 따른 능동적 입체시역을 형성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발명은 시역형성광학계가 제거된 단순 구조의 무안경 방식 3D 입체디스플레이로서, 언급된 각 부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천적인 입체시 광특성 저하 문제를 제거하고, 수평, 수직 그리고 깊이방향에 대한 관찰자유도를 확장시킴으로서 안경방식의 높은 자유도 특성과 2D/3D 전환이 가능한 무안경방식의 사용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선광원 구조의 시차조명 기반 3D 입체 디스플레이로부터 형성되는 깊이 방향의 입체시 시청 자유도가 확장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단위 선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단위 선광원으로 이루어진 시차조명의 세부적인 구현 예 및 깊이 방향 입체시 자유도 확장과 대응하는 위상차 단위 선광원 모듈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향의 연속적 운동시차를 유발하기 위한 선광원 배열구조 및 점등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택적 확산판에 의한 2D/3D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시점의 경우로 확장하였을 시 시역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찰자 위치 및 관찰범위에 따른 선광원의 발산각 구속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구성된 시스템의 각 부의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차조명부(910)는 LCD와 같은 투과형 영상표시소자의 광원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기존 무안경 방식 3D 입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각 시점의 시역을 형성하기 위한 '시역형성 기능'을 광원부에 삽입하여 시차영상을 유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점의 경우, 각 시점영상간 시차의 유발은 해당 영상표시소자의 단위화소의 주기(P)와 시차조명부내의 광원간 거리(LP), 다시점 수(n), 그리고 두 소자 사이의 간격(d)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두 소자 사이의 간격(d)은 또한 관찰거리(V)의 함수이며, 관찰거리는 영상표시소자의 최종면으로부터 관찰자 위치의 관찰면 까지를 잇는 서로 수직한 법선방향의 직선 거리로 정의된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시차영상만을 구현할 경우(Horizontal Parallax Only), 시차조명부내의 광원들의 특성은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선의 형태를 띈 선광원의 수평방향 1차원 배열구조이다. 각 선광원간 간격은 앞서 언급된 관계에 의해 입체시 구현의 중요 구속조건이 된다.
위상변화형 선광원부(310)는 시차조명부를 이루는 선광원의 형태로서, 선의 형태를 이루는 단위 선광원의 수직 나열로 이루어져 있고, 각 단위 선광원의 형상은 깊이방향으로 단일 또는 다수의 위상값(dF,dM,dN)을 갖는 계단형태이고, 수평방향의 폭은 좁고 수직방향으로는 관찰거리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선광원을 육안으로 관찰할 시 각 단위 선광원의 이격량을 인지할 수 없는 수직폭(LLSV<Vtan(0.08deg)을 갖는다. 위상변화를 갖는 단위 선광원은 각 위상에 해당하는 독립적 광원으로 점등이 가능하고, 또는 위상에 관계없이 단위 선광원으로 점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일 경우, 단위 선광원의 위상 수에 비례하여 깊이 방향으로 각기 다른 위치에 시역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하므로, 각 위상의 광원과 동기화하여 다 초점 영상을 구동할 시 관찰자는 관찰자의 깊이방향의 위치변화에 따른 수동적인 초점변화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후자일 경우, 동일 영상에 대한 깊이 방향의 시역폭의 증가로 깊이방향에 따른 관찰 자유도가 확장된다.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510)는 관찰자가 수평,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 최초 제안된 입체시 시청범위를 벗어날 경우, 관찰자의 해당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선광원의 점등과 표시하고자 하는 시점영상을 동기화 시켜 안경방식 수준의 관찰자유도를 확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는 대표적으로 사용자 위치검출 기능이 수반되며, 관찰자 위치에 따른 시차조명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차조명내 수평방향으로 나열된 선광원 배열은 최초 시역의 중심위치 간격(G)의 함수로 정의되며, 관찰자가 해당 시역의 중심위치에서 인접한 시점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시, 최초 정의된 선광원간 간격내에 추가 삽입된 선광원들을 점등하고, 이와 동시에 이동된 방향만큼 시차변화를 갖는 대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관찰위치에 따른 해당시역의 중심위치를 이동시켜 관찰자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대응 시점영상을 구현한다. 이로써 최초 설계되었던 시점수 영상 외에도 관찰자 이동에 따른 확장 시차영상을 제공하여 분절적 운동시차를 부드러운 연속적 시차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위치가 최 외각 시점영상의 시청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앞서 연속적 운동시차 영상의 구현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장 시차영상을 생성함으로서 한정된 입체시 시청영역의 확장이 가능하다. 둘째, 관찰자의 깊이방향 이동에 따른 대응은 단위 선광원내에 분할된 위상을 갖는 점광원과 대응 점등시키고, 이와 동시에 깊이방향 변화에 따른 대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관찰자의 깊이방향 위치에 대응하는 깊이영상을 구현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방법으로서 수평방향에 대한 연속적 운동시차 구현 및 입체시 시청영역이 확장되고, 깊이방향에 대한 자유도가 확장된다.
2D/3D 구현부(520)는 전기적 신호로 확산도의 조절이 가능한 선택적 확산판(PDLC)를 활용하여 2차원 평면영상 및 3차원 입체영상을 관찰자의 선택에 의해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 부로서, 디스플레이와 시차조명 사이에 위치하고 확산도가 최대일 때 시차조명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무모화시켜 2D 영상을 구현하고, 확산도가 최저일 때,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보존시켜 시차영상 기반의 3D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광원부에 삽입되어, 시차영상을 유발하는 시차 조명부;
    상기 시차 조명부를 이루는 선광원의 형태로, 단위 선광원의 수직 나열에 따라 복수개의 위상을 갖는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 상의 단위 선광원은 동시에 점등되어 깊이방향의 다중 입체시역을 동시에 형성하는 위상 변화형 선광원부;
    관찰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선광원의 점등과 표시하고자 하는 시점영상을 동기화시키는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 및
    전기적 신호로 확산도의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2D/3D 변환을 수행하는 선택적 확산판(PDCL)을 포함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조명부는,
    다시점의 경우, 상기 시차 조명부내의 선광원간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Figure 112018096174011-pat00016

    여기서, P는 단위화소의 주기이고, LP는 시차조명부내의 광원간 거리이고, n은 다시점 수이고, d는 선광원부와 영상표시소자 사이의 간격이고, V는 관찰거리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화형 선광원부는,
    상기 단위 선광원의 형상은 깊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상값을 갖는 계단형태이고,
    수직폭(LLSV) 및 관찰거리(V)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위상 변화형 선광원부에서 영상 표시 소자까지 직선으로 전송되는 광에 따라 3D 입체시역을 형성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LLSV<Vtan(0.08deg)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사용자 위치 반응부는,
    상기 시차 조명부내 수평방향으로 나열된 선광원 배열은 최초 시역의 중심위치 간격(G)의 함수로 정의되고, 상기 관찰자가 시역의 중심위치에서 인접한 시점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설정된 선광원간 간격내에 추가 삽입된 선광원들을 점등하고, 상기 관찰자가 이동된 방향만큼 시차변화를 갖는 대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관찰위치에 따른 해당시역의 중심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관찰자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른 대응 시점영상을 구현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차조명부 사이에 위치하여, 확산도가 최대일 때 시차조명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무모화시켜 2D 영상을 구현하고, 확산도가 최저일 때, 출사된 광속의 지향성을 보존시켜 시차영상 기반의 3D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2D/3D 구현부를 더 포함하는,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KR1020170054693A 2016-04-27 2017-04-27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KR101967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1799 2016-04-27
KR1020160051799 201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87A KR20170122687A (ko) 2017-11-06
KR101967751B1 true KR101967751B1 (ko) 2019-04-10

Family

ID=6038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93A KR101967751B1 (ko) 2016-04-27 2017-04-27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41A1 (en) * 2022-01-28 2023-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im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4375A (ja) * 2010-11-10 2012-05-31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31B1 (ko) * 2011-10-06 2013-05-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차원 영상표시장치 및 이것에서 수행되는 3차원 영상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4375A (ja) * 2010-11-10 2012-05-31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41A1 (en) * 2022-01-28 2023-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photographic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87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587B2 (ja) 画像提示装置および画像提示方法
EP1421797B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observer tracking
JP5342017B2 (ja) 三次元映像表示装置
CN102692805B (zh) 基于多层液晶的投影式三维显示装置和方法
CN110035274B (zh) 基于光栅的三维显示方法
KR101292513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 입체 화상 표시 방법 및 입체 화상 결정 장치
CN103197428B (zh) 基于弧形背光与透镜的裸眼立体影像显示光学装置
JP5762998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4395818A (zh) 光学成像系统和3d显示设备
KR20110139549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102566250B (zh) 一种裸眼自由立体显示的投影系统及显示器
JP5439686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11128633A (ja) 3次元表示装置
CN109725429B (zh) 一种实聚混合成像的立体显示装置
JP2007304248A (ja) 3次元表示装置
KR101967751B1 (ko) 무광학판 다시점용 2d/3d 변환 시차조명 시스템
JP6624513B2 (ja) 3次元像表示装置及び3次元像表示方法
JP5031909B2 (ja) 3次元表示装置
Minami et al. Portrait and landscape mode convertible stereoscopic display using parallax barrier
JP2012222549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20100092791A (ko) 입체 방향 표시기
JP2005091447A (ja) 立体表示装置
US11652979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nd projector
KR101086305B1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103710B1 (ko) 투사광학계를 이용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