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639B1 - 연막 향균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연막 향균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639B1
KR101967639B1 KR1020180169961A KR20180169961A KR101967639B1 KR 101967639 B1 KR101967639 B1 KR 101967639B1 KR 1020180169961 A KR1020180169961 A KR 1020180169961A KR 20180169961 A KR20180169961 A KR 20180169961A KR 101967639 B1 KR101967639 B1 KR 10196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odorant
heat
outsid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이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구 filed Critical 이성구
Priority to KR102018016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washing or drying articles, e.g. clothes, motor c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he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막 향균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간편하게 조작하여 차량 내부를 향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시켜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외부로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분사호수의 내부에 탈취제의 잔여물이 쌓여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량된 연막 향균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액상 탈취제를 연무발생분사부로 공급하는 탈취제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공급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상 탈취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킴에 따라 연막을 발생하여 분사하는 연무발생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무발생분사부는 상기 탈취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부; 상기 가열히터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탈취제공급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히터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 액상 탈취제를 유동시키는 노즐배관; 상기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잔존시켜주는 열보존부; 상기 열보존부의 외측에 감싸져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연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본체 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외측커버부;를 포함하는 연막 향균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막 향균 탈취장치{a smoke screen antimicrobial deodorant}
본 발명은 연막 향균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간편하게 조작하여 차량 내부를 향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시켜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외부로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분사호수의 내부에 탈취제의 잔여물이 쌓여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량된 연막 향균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막 탈취기는 펌프에서 가압한 액상의 탈취제를 배출관을 통해 압송함과 동시에 배출관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배출관을 경유하는 액상의 탈취제를 기화시켜 연기 상태로 분무되게 한다. 또한, 연막 탈취기 내부에는 히팅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되어 분무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막 탈취기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작동시키는 핸드형으로 탈취기 내부에 탈취제공급부와 연무발생분사부 및 펌프가 모두 설치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워 장시간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 소유자들이 연막 탈취기를 직접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보관유지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막 탈취기가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연막 탈취기는 본체 내부에 연무발생분사부와 탈취제공급부가 구비되어 연무발생분사부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본체에 연결된 분사호스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막 탈취기는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분사호스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킴에 따라 분사호수의 내부에 연무가 잔존하게 되고 일정시간 이후 잔존해있던 연무가 액체화되어 흘러내림에 따라 본체 내부로 유입됨은 물론 분사호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탈취제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가 얼어붙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6862호가 공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누구나 간편하게 조작하여 차량 내부를 향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시켜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외부로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분사호수의 내부에 탈취제의 잔여물이 쌓여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량된 연막 향균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액상 탈취제를 연무발생분사부로 공급하는 탈취제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공급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상 탈취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킴에 따라 연막을 발생하여 분사하는 연무발생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무발생분사부는 상기 탈취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부; 상기 가열히터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탈취제공급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히터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 액상 탈취제를 유동시키는 노즐배관; 상기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잔존시켜주는 열보존부; 상기 열보존부의 외측에 감싸져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연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본체 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외측커버부;를 포함하는 연막 향균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열히터부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발열봉; 상기 발열봉에 형성된 관통홀에 U자 형태로 감아지는 발열선; 및 상기 발열봉의 외측을 감싸주는 발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 상기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금액 및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작동버튼과 센서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버튼의 눌림에 따라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탈취제공급부와 연무발생분사부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부와 단열재의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본체 내의 공기를 배출되도록 공기이동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간편하게 조작하여 차량 내부를 향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시켜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외부로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연무발생분사부를 본체 내부에 구비시켜 연무발생분사부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분사호수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분사호수의 내부에 연무가 잔존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존해있던 연무가 액체화되어 흘러내림에 따라 본체 내부로 유입됨은 물론 분사호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내에 연무발생분사부를 통해 외부공기를 배출하거나 본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배출팬을 구비시킴으로써, 연무발생분사부를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무발생분사부의 폐열을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본체 내부를 보온시켜주어 기존에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탈취제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가 얼어붙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장치 전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무발생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장치 전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무발생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장치는 크게 본체(100), 탈취제공급부(200) 및 연무발생분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부 전면 외측에는 연무발생분사부(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10)과,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120)와, 동전투입구(120)로 투입된 금액 및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30)가 구비된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140)에는 잠금손잡이(1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는 상술한 작동버튼(110)과 센서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버튼의 눌림에 따라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탈취제공급부(200)와 연무발생분사부(300)를 작동 제어시키는 제어부(150)가 구비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동전투입구(120)와 센서에 의해 연결되어 동전투입구(120)로 동전이 투입되면 평상시 7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가열히터부(310)를 200℃의 온도로 상승시켜준다.
또한,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본체(100)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공(101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일단부가 후술되는 탈취제공급부(200)와 연결된 연결관(40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후술되는 연무발생분사부(30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호스(1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연결호스(160)는 본체(100) 내에 구비된 전원공급부(도면에 미도시)와 연결관(400)에 각각 연결되는 발열선(312)과 노즐배관(330)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연결관(400) 3방향 연결관으로 일방향에는 탈취제공급부(200)가 연결되고, 다른 한 방향에는 연결호(160)가 연결되며, 또 다른 한 방향에는 흡입배출팬(500)이 설치된다.
탈취제공급부(200)는 본체(100)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액상 탈취제를 연무발생분사부(300)로 공급해주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탈취제공급부(200)는 액상의 탈취제가 저장되는 탈취제저장부(210)가 구비된다.
또한, 탈취제저장부(210)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를 노즐배관(330)을 통해 연무발생분사부(300)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해 탈취제저장부(210)에 연결되는 공급펌프(220)가 구비된다.
한편, 공급펌프(220)는 피스톤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펌프(220)가 작동됨으로써 액상의 탈취제를 소정의 압력으로 노즐배관(330)을 통해 가열히터부(310)로 공급된다.
연무발생분사부(300)는 전술한 탈취제공급부(200)와 연결관(400)을 통해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상 탈취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킴에 따라 연막을 발생하여 분사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연무발생분사부(300)는 크게 가열히터부(310), 온도센서(320), 노즐배관(330), 열보존부(340), 단열재(350) 및 외측커버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히터부(310)는 전술한 탈취제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하는 것으로, 가열히터부(310)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311a)이 형성된 발열봉(311)과, 발열봉(311)에 형성된 관통홀(311a)에 U자 형태로 감아지는 발열선(312) 및 발열봉(311)의 외측을 감싸주는 발열커버(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열선(312)은 본체 내에 구비된 전원부(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지속적으로 낮은 전류를 인가받아 70℃ 저온의 상태로 유지되고, 동전투입부(120)롤 동전을 투입시키면 제어부(150)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를 제어함으로써 발열선(312)으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높여줌에 따라 200℃의 고온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가열히터부(310)가 평상시에 70℃ 이내로 저온으로 예열된 상태로 구비되어있어서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하게 되면 신속하게 200℃의 고온으로 상승하므로 사용자가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온도센서(320)는 가열히터부(3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50)에 측정신호를 보내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발열선(312)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낮춰 온도를 낮추고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전류를 증가시켜 온도를 높여준다.
한편, 측정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의 차이는 15℃ 이내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가열히터부(310)의 과발열이 감지되면 제어부(150)에 감지신호를 보내 발열선(312)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완전히 차단시켜 작동을 중지시킨다.
노즐배관(330)은 일단부가 탈취제공급부(2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가열히터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 액상 탈취제를 유동시킨다.
즉, 노즐배관(330)은 공급펌프(220)를 통해 탈취제저장부(200)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가 노즐배관(330)의 내부에 흐르는 액상 탈취제가 가열되어 기화됨에 따라 연무가 발생된다. 따라서 발생된 연무는 외측커버부(360)의 배출구(3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열보존부(340)는 가열히터부(310)의 외측에 노즐배관(330)이 감긴 상태에서 가열히터부(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주물 형성되어 가열히터부(3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잔존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열재(350)는 가열히터부(3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측커버부(360)는 단열재(35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연무가 배출되는 배출구(36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본체(100) 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호스(160)와 연결되는 연결구(363)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구(361)의 외측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공(3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입공(362)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시킴에 따라 노즐배관(330)에서 배출되는 연무가 배출구(361)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기 위함이다.
또한, 외측커버부(36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36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커버부(360)와 단열재(350)의 사이에 해당하는 외측커버부(360)의 내측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본체(100)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이동로(365)가 형성된다.
즉,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흡입배출팬(500)의 구동함에 의해 공기이동로(365)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가열히터부(310)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본체(100) 내부를 보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기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동전투입구(120)로 동전을 투입시킨다. 그러면 표시부(130)에 투입된 금액이 카운팅되어 작동가능 시간이 표시됨과 동시에 가열히터부(3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온도를 높여준다.
그런 다음 작동버튼(110)을 누르면 공급펌프(220)가 구동되어 탈취제저장부(210)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를 노즐배관(330)을 통해 가열히터부(310)로 공급하여 가열히터부(310)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액상의 탈취제가 가열되어 기화됨에 따라 투입된 금액에 따른 작동시간 만큼 외측커버부(360)의 배출구(361)로 분사된다.
이후 작동시간이 끝나면 분사가 중지됨과 동시에 가열히터부(310)로 인가되는 전류를 낮춰줌은 물론 흡입배출팬(500)을 작동시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거나 배출시키므로 가열히터부(310)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고온상태(200℃)의 가열히터부(310)를 평상시의 저온상태(70℃)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가열히터부(310)의 폐열을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본체 내부를 보온시켜주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탈취제저장부(210)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가 얼어붙게 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장치는 주유소 및 세차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차량운전자가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셀프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무발생분사부와 탈취제공급부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경량화 및 소형화시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연무발생분사부를 외부로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연무발생분사부를 본체 내부에 구비시켜 연무발생분사부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분사호수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분사호수의 내부에 연무가 잔존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존해있던 연무가 액체화되어 흘러내림에 따라 본체 내부로 유입됨은 물론 분사호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내에 연무발생분사부를 통해 외부공기를 배출하거나 본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흡입배출팬을 구비시킴으로써, 연무발생분사부를 냉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무발생분사부의 폐열을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본체 내부를 보온시켜주어 기존에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탈취제저장부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가 얼어붙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 연막 향균 탈취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연막 향균 탈취장치
100 : 본체
110 : 작동버튼
120 : 동전투입구
130 : 표시부
140 : 도어
150 : 제어부
160 : 연결호스
200 : 탈취제공급부
210 : 탈취제저장부
220 : 공급펌프
300 : 연무발생분사부
310 : 가열히터부
320 : 온도센서
330 : 노즐배관
340 : 연보존부
350 : 단열재
360 : 외측커버부
400 : 연결관
500 : 흡입배출팬

Claims (4)

  1.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액상 탈취제를 연무발생분사부로 공급하는 탈취제공급부 및 상기 탈취제공급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상 탈취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킴에 따라 연막을 발생하여 분사하는 연무발생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무발생분사부는,
    상기 탈취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탈취제를 가열하는 가열히터부;
    상기 가열히터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탈취제공급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히터부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 액상 탈취제를 유동시키는 노즐배관;
    상기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잔존시켜주는 열보존부;
    상기 열보존부의 외측에 감싸져 가열히터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부에는 연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본체 내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연결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외측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부와 단열재의 사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본체 내의 공기를 배출되도록 공기이동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향균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부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발열봉;
    상기 발열봉에 형성된 관통홀에 U자 형태로 감아지는 발열선; 및
    상기 발열봉의 외측을 감싸주는 발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향균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무발생분사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투입구;
    상기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금액 및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작동버튼과 센서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버튼의 눌림에 따라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탈취제공급부와 연무발생분사부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향균 탈취장치.
  4. 삭제
KR1020180169961A 2018-12-26 2018-12-26 연막 향균 탈취장치 KR10196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61A KR101967639B1 (ko) 2018-12-26 2018-12-26 연막 향균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961A KR101967639B1 (ko) 2018-12-26 2018-12-26 연막 향균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639B1 true KR101967639B1 (ko) 2019-04-10

Family

ID=661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961A KR101967639B1 (ko) 2018-12-26 2018-12-26 연막 향균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3413A1 (de) * 2021-07-23 2023-01-25 KSU A-Technik AG Bedien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bedien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054A (ja) * 2000-02-23 2001-08-31 Sanyo Netsukogyo Kk ヒータ
KR20130096862A (ko) 2012-02-23 2013-09-02 강정영 업소용 탈취 자판기
KR20150078666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휴대용 연무 소독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60142523A (ko) * 2015-06-03 2016-12-13 곽중열 차량용 연막 항균 탈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7054A (ja) * 2000-02-23 2001-08-31 Sanyo Netsukogyo Kk ヒータ
KR20130096862A (ko) 2012-02-23 2013-09-02 강정영 업소용 탈취 자판기
KR20150078666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엔이세이버 휴대용 연무 소독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60142523A (ko) * 2015-06-03 2016-12-13 곽중열 차량용 연막 항균 탈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3413A1 (de) * 2021-07-23 2023-01-25 KSU A-Technik AG Bedien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bedien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046A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2650264C (en) Hydrogen peroxide vaporizer
US2987259A (en) Water heating and spray apparatus
KR200429109Y1 (ko) 스팀세차기
KR101967639B1 (ko) 연막 향균 탈취장치
CA2844524C (en) Hydrogen peroxide vaporizer with heated diffuser
US20090242656A1 (en) Evaporator spray system for automobile cabin aroma enhancement
US10981079B1 (en) Fog machine
KR101994804B1 (ko) 스팀 세차 장치
KR20110092405A (ko) 스팀 분사장치
KR20150078666A (ko) 휴대용 연무 소독기 및 그 작동방법
US6435419B1 (en) Liquid air freshener dispensing device for a duct
GB2469018A (en) Vapour Misting Apparatus
JP2015027656A (ja) 清掃装置
US20170254080A1 (en) Automatic film washout system
WO2014053741A1 (fr) Procédé de traitement interne d'une installation de chauffage/climatisation par couplage à un dispositif de traitement d'air
KR2009011234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세척장치
KR200485094Y1 (ko) 아로마 분사장치
US20040020519A1 (en) Heated wheel/tire applicator for car washes
KR20160142523A (ko) 차량용 연막 항균 탈취기
US6360964B1 (en) Pressure washer
JPH11514247A (ja) 流体物を使う燻蒸装置
KR20170004007U (ko)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US20240034282A1 (en) Temperature Controlled Applicator for Car Washes
JP4084158B2 (ja) 蒸気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