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07U -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07U
KR20170004007U KR2020160002704U KR20160002704U KR20170004007U KR 20170004007 U KR20170004007 U KR 20170004007U KR 2020160002704 U KR2020160002704 U KR 2020160002704U KR 20160002704 U KR20160002704 U KR 20160002704U KR 20170004007 U KR20170004007 U KR 201700040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deodorizer
temperature
smoke
mo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중열
Original Assignee
곽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중열 filed Critical 곽중열
Priority to KR2020160002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07U/ko
Publication of KR20170004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구나 손쉽게 차량 내부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동작시간 및 예열률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는, 일정 크기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된 분사기를 포함하고, 본체의 상단 전면에는 작동 및 분사 버튼, 예열 버튼, 각각 예열률과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변 숫자 표시기(Flexible Numeric Display, FND), 및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화폐 투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에는, 화폐 투입구로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분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설치되며, 분사기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펌핑하는 펌프, 펌프로부터 펌핑된 약액을 가열하는 히팅기 및 히팅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히팅기에 의해 가열된 약액을 분사노즐을 통해 연막 형태로 분사시키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히팅기 내부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VEHICLE SMOKE ANTIBACTERIAL DEODORIZER}
본 고안은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손쉽게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차량 내부를 향균 및 탈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막 탈취기는 펌프에서 가압한 액상의 탈취제를 배출관을 통해 압송함과 동시에 배출관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배출관을 경유하는 액상의 탈취제를 기화시켜 연기 상태로 분무되게 한다. 또한, 연막 탈취기 내부에는 히팅기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되어, 분무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연막 탈취기는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설정하고 스위치 등을 통해 수동으로 히팅기의 온도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온도 변화 범위도 편차가 커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 소유자들이 연막 탈취기를 직접 구매하여 차량 내부를 탈취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었고 연막 탈취기를 이용하기에 적절한 공간도 없었다. 예를 들면, 아파트 단지와 같은 차량 주차구역에서 탈취기를 구동하는 것은 곤란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탈취기는 동작시간이나 예열률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막 탈취기들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성이나 접근성에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조작하여 사용가능한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 제어 방식을 통해 약액을 가열하는 히팅기의 과열 및 과전압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일정 크기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된 분사기를 포함하고, 본체의 상단 전면에는 작동 및 분사 버튼, 예열 버튼, 각각 예열률과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변 숫자 표시기(Flexible Numeric Display, FND), 및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화폐 투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의 내부에는, 화폐 투입구로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분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설치되며, 분사기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펌핑하는 펌프, 펌프로부터 펌핑된 약액을 가열하는 히팅기 및 히팅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히팅기에 의해 가열된 약액을 분사노즐을 통해 연막 형태로 분사시키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히팅기 내부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시키는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측정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의 차이가 20℃ 이내가 되도록 히터의 가열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막 탈취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저렴한 이용료로 차량 내부의 냄새 제거 및 항균을 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제어 방식으로 히팅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여, 연막 향균 탈취기의 사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10)는 일정 크기의 본체(20)와 본체(20)에 연결된 분사기(30)로 구성된다.
본체(2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의 크기는 대략 폭 400mm, 깊이 300mm, 높이 500mm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상단 전면에는 작동/분사 버튼(22), 예열 버튼(23), 적어도 두 개의 FND(24a, 24b) 및 화폐 투입구(25)가 형성된다. FND(24a)는 예열/작동시간 및 투입해야 할 금액을 표시하며, FND(24b)는 예열률 및 투입된 화폐의 금액을 표시한다. 한편, 본체의 상단 전면은 개폐가능한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0)의 측면에는 분사기(30)가 연결되어 있고, 연막 살균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분사기(30)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20)의 하단 후면에는 외부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전원플러그(29)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27)(Swti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설치되어 단자대(28)를 통해 또는 직접 메인보드(26)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연막 탈취기는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분사 버튼(22)이 형성된 본체(20)의 상단에는 퓨즈(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입력된 전원이 고전압인 경우 회로 보호와 화재 방지를 위해 끊어질 수 있다.
작동/분사 버튼(22), 예열 버튼(23), 적어도 두 개의 FND(24a, 24b) 및 화폐 투입구(25)는 본체(20)에 내장된 메인 보드(26)에 연결된다.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보드(26)는 적어도 두 개의 FND(24a, 24b)에 의해 작동시간, 투입금액 및 예열률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온도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히팅기(33)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메인 보드(26)는 공급되는 전원이 이상 고전압인 경우 TNR 소자를 이용하여 퓨즈가 끊어지도록 제어하거나, 고전압 충전소자(고압 커패시터)를 통하여 내부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20)에 연결된 분사기(30) 내부에는 약액 저장부(31), 펌프(32) 및 히팅기(33)가 구비된다.
약액 저장부(31)에는 약액이 저장되고 공급관을 통해 펌프(32)에 공급된다. 약액은 향균제, 탈취제 또는 방향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32)는 피스톤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며, 펌프(32)의 작동에 의해 약액이 소정의 압력으로 히팅기(33)로 공급된다. 펌프(32)는 약액 저장부(31)로부터 유입되는 약액을 히팅기(33)에 펌핑하여 전달하도록 소정의 시간 주기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약액이 가열되어 분사되는 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펌프(32)는 FND(24a)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분사 버튼(22)을 눌러도 작동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히팅기(33) 내부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작동에 의해 공급관 내부의 약액이 가열되고, 히터의 가열 정도에 따라 FND(24b)에 예열률이 표시되며 히터의 온도가 350℃에 도달하면 예열이 완료된다.
히터의 주위에는 액상의 약제가 유동하는 공급관이 나선형으로 감겨,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공급관으로 전달되어 공급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급격히 가열되어 기화된다. 기화된 약제는 분사기(30)의 전단부에 구비된 분사노즐(34)을 통해 연막 형태로 분사된다. 분사노즐은 직렬 노즐일 수 있다.
분사기(30)에는 분사 버튼과 손잡이가 형성되며(도시되지 않음), 분사 버튼을 누르면 약제가 연막 상태로 분사된다. 또한, 분사기(30)는 본체(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히팅기(33)에는 히터에 의한 히팅기(33) 내부의 가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히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의 차이는 20℃ 이내가 되도록 한다. 즉,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20℃ 이상 높으면 히터를 정지시키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20℃ 이상 낮으면 히터를 재가동한다. 또한, 히터의 가열 동작에 의한 과발열이 감지되면, 탈취기의 작동을 중지하고 알람을 간헐적으로 울리거나 FND를 통해 표시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작동/분사 버튼(22)을 누르면 FND(24a)에 예열을 위한 시간, 예를 들면, 120초가 표시된다. 그 후, 예열 버튼(23)을 누르면, 히팅기(33) 내부에 설치된 히터가 예열되고, FND(24a)에 표시된 숫자가 줄어들면서 시간이 역으로 카운팅된다. 즉, 타이머로서 기능한다.
대략 80초가 경과하여, 히터가 충분히 예열되면, FND(24a)의 표시가 전환되면서 투입해야 할 금액이 표시되고, 다른 FND(24b)에는 투입된 금액이 카운팅되어 표시된다.
투입해야 할 금액이 다 투입되면, FND(24a)의 표시가 다시 전환되어, 작동시간, 예를 들면, 30초를 표시하고 숫자가 줄어들면서 탈취제가 소정 시간 동안 분사된다. 이때, FND(24b)에는 히터의 예열률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그 후, 탈취제가 차량 안에서 확산될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소정 시간 동안 분사가 시작된다. FND(24a)의 표시가 0이 되면 분사가 중지되면서 작동 종료 알람이 울린다. 그 후, 연막 탈취기는 작동을 위한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작동시간과 분사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막 향균 탈취기는 주유소, 셀프 세차장 및 자동차 A/S센터와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셀프 방식으로 차량 내부의 탈취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렴한 이용료로 누구나 손쉽게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차량 내부의 에어컨, 시트 및 통풍구 등의 탈취 및 향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어떠한 구속도 되지 않는다. 또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연막 향균 탈취기 20: 본체
22: 작동/분사 버튼 23: 예열 버튼
24a, 24b: FND(가변 숫자 표시기)
25: 화폐 투입구 26: 메인 보드
27: 전원공급기 28: 단자대
29: 전원플러그 30: 분사기
31: 약액 저장부 32: 펌프
33: 히팅기 34: 분사노즐

Claims (3)

  1. 차량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로서,
    일정 크기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분사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 전면에는 작동 및 분사 버튼, 예열 버튼, 각각 예열률과 작동시간을 표시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변 숫자 표시기(Flexible Numeric Display, FND), 및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화폐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화폐 투입구로 투입되는 화폐를 인식하여 상기 분사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기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부, 상기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약액을 가열하는 히팅기 및 상기 히팅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기에 의해 가열된 약액을 분사노즐을 통해 연막 형태로 분사시키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히팅기 내부에 설치된 히터의 가열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시키는,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와 상기 설정된 온도의 차이가 20℃ 이내가 되도록 상기 히터의 가열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시키는,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 향균 탈취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KR2020160002704U 2016-05-18 2016-05-18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KR201700040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04U KR20170004007U (ko) 2016-05-18 2016-05-18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04U KR20170004007U (ko) 2016-05-18 2016-05-18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07U true KR20170004007U (ko) 2017-11-28

Family

ID=6048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04U KR20170004007U (ko) 2016-05-18 2016-05-18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6B1 (ko) * 2021-02-18 2021-11-24 고슬아 실내용 연무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46B1 (ko) * 2021-02-18 2021-11-24 고슬아 실내용 연무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761B1 (en) Vehicle air freshener
US11285290B2 (en) Respiratory assistance apparatus
WO2009060212A2 (en) Adaptive emanator of a fluid
US4903583A (en) Aerosol air and duct treatment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s
KR20150078666A (ko) 휴대용 연무 소독기 및 그 작동방법
US20210060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on
JP2003506157A (ja) 芳香または消毒物質を遊離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20220226524A1 (en) Fogging system and methods for enclosed chambers
KR20170004007U (ko) 차량용 연막 향균 탈취기
KR100966187B1 (ko) 연막 소독기
KR20160142523A (ko) 차량용 연막 항균 탈취기
CN207445243U (zh) 一种温控雾化处理装置
RU26547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й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эндоскопов
CN106822956A (zh) 温控雾化处理装置
JP2011010912A (ja) 消毒装置
KR10143163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세척장치
WO2022000075A1 (en) Sanitization device and systems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vehicles and method of using same
GB2530256A (en) Hand sanitisers
KR102068722B1 (ko) 차량용 연막 분사기
JP2006200809A (ja) 空気調和機
KR102523035B1 (ko) 연무기
HU230171B1 (hu) Eljárás automatikus klímatisztító rendszer működtetésére
JP2008018356A (ja) 液体噴霧装置
KR100501685B1 (ko) 자동차용 실내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87327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