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50B1 - A Top-Down Escape Apparatus - Google Patents

A Top-Down Escap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50B1
KR101966850B1 KR1020180064130A KR20180064130A KR101966850B1 KR 101966850 B1 KR101966850 B1 KR 101966850B1 KR 1020180064130 A KR1020180064130 A KR 1020180064130A KR 20180064130 A KR20180064130 A KR 20180064130A KR 101966850 B1 KR101966850 B1 KR 10196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ope
lid
le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순랑
정대하
Original Assignee
손순랑
정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랑, 정대하 filed Critical 손순랑
Priority to KR102018006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50B1/en
Priority to PCT/KR2019/006402 priority patent/WO20192357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down evacuation apparatus installed on a slab dividing upper and lower floors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p-down evacuation apparatus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by an external electric signal inputted from a fire alarm and a switch, and unfolds a slope to the lower floor to allow fast evacuation.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down evacuation apparatus comprises: a frame penetrating and fixed to a bottom layer dividing upper and lower floors to from a passage, having a space formed to allow an evacuee to stay therein, and having an opened par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layer; a cover to open/close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passage of the frame; the slope hinge-coupled to an opened region of the frame to be unfolded to the lower floor or to be upwardly rotated so as to be folded; and a lever connecting the slope and the cover, and transferring kinetic energy for downwardly moving the slope to the cover to open the cover.

Description

하향식 피난장치{A Top-Down Escape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본 발명은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Slab)에 설치되는 하향식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경보기 및 스위치 등에서 입력된 외부 전기적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며 슬로프가 아래층으로 펼쳐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down type evacuation device installed in a floor slab that separates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and is automatically opened by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a fire alarm, a switch, etc., Respectively.

공동주택의 경우 화재 발생 시에 대피를 위한 대피시설이 설치된다. In the case of apartment buildings, evacuation facilities are set up for evacuation.

대피시설은 대피자가 능동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시설로서, 세대 간의 구획을 정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피난장치와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바닥층에 설치되는 피난장치 등이 있다.An evacuation facility is a facility that the evacuee can actively evacuate. There are evacua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walls defining the compartments between the generations, and evacua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to evacuate to the lower level.

본 발명은 바닥층에 설치되어 위층의 세대원이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구성한 하향식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down evacuation apparatus that is installed in a bottom floor and is constructed so that a member of the upper floor can evacuate to a lower floor.

종래의 하향식 피난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292호(공고일; 2012.02.22)에 기술된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가 공개되어 있다.A conventional top-down type evacuation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11292 (Announcement: Feb. 22, 2012), which is an evacuation ladder for a top-down type evacuation port.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는 사다리박스(31)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32)가 사다리박스(31)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사다리박스의 내부에는 절첩된 사다리(34)가 장착된다.A conventional upper escape ladder for an evacuation type escarpment is constructed such that an upper lid 32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a ladder box 31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ladder box 31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 ladder 34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향식 피난구용 피난 사다리를 통해 대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부 덮개(32)를 열고, 사다리(3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해체하면 절첩된 사다리가 하향으로 레일을 따라 펼쳐져 대피자가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In order to evacuate through the escape ladder for a conventional top-down type evacuation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upper lid 32 is opened, and when the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ladder 34 is dismantled, the folded ladder unfolds downward along the rails, So that the user can escape to the lower floor.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난 사다리는 대피를 위해서 상부 덮개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노약자 또는 어린이는 힘이 약하여 상부 덮개를 개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설령 상부 덮개를 개방하였다 하더라도 대피자가 절첩된 사다리를 하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으로 대피하기 위해서는 대피자의 몸을 사다리로 옮겨야 하지만, 층간 높이가 클 경우 시각적으로 아래층의 바닥이 보임에 따라 추락의 두려움이 앞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escape ladder configured in this manner is required to open the upper lid for evacuation, but the elderly person or the child may have difficulty in opening the upper lid due to weak force. Even if the upper lid is opened, in order to escape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ladder with the folded ladder extending downward, the evacuee must transfer the body of the great pizza to the ladder. However, if the floor height is large, Fear of falling can not be evacuated ahead of time.

또한 피난 사다리는 벽체에 레일을 설치하거나 상부 덮개가 바닥층의 상면으로 돌출됨에 따라 대부분 피난 사다리를 발코니의 구석에 설치하게 되는데, 아래층 세대원이 발코니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물건을 발코니의 구석에 배치할 경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피난 사다리를 전개할 수 없어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scape ladder is installed in the corner of the balcony with the rails installed on the wall or the upper li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Most of the ladder is installed in the corner of the balcony. If the evacuee can not evacuate the escape ladder to the lower level, the evacuee can not evacu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1292호(공고일; 2012.02.22)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11292 (Notification date: Feb. 22, 2012)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에 이를 감지한 화재경보기 및 스위치 등을 통해 입력된 외부 전기적신호에 의해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슬로프가 자동으로 펼쳐져 노약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며 더불어 대피함에 있어 발생하는 추락의 두려움을 없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하향식 피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alarm system, And to provide a top-down evacuation device that is capable of rapid evacuation of elderly people by unfolding and capable of rapid evacuation by eliminating the fear of collapse occurring in evacu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는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에 관통 고정되어 통로를 형성하고 대피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층의 아래 쪽 일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프레임의 개방된 구역에 힌지 결합되어 아래층으로 펼쳐지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혀지는 슬로프와, 슬로프와 덮개를 연결하며 슬로프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덮개에 전달하여 덮개를 개방하는 지렛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wn-type evacuation device including a frame having a passageway formed through a bottom layer that separates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escapee can stay,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open passage of the frame, a slope hinged to the open area of the frame and spreading downward or folding upwardly and folded, a kinetic energy for moving the slope downward And a lever that opens the cover by transmitting the cover to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는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지렛대는 슬로프와 덮개를 연결하며, 슬로프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lever connects the slope and the cover. When the slope is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lid is turned upward to open the li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는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는 가로부와 상기 가로부의 끝단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만곡된 만곡부로 구분되며, 만곡부는 덮개에 고정되고 가로부의 끝단에는 인장재가 고정되어 슬로프와 연결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is divided into a transverse portion located inside the frame and a curved portion curved at the end of the transverse portion toward the cover, the curved portion being fixed to the cover and the tensile material being fixed To the slo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로프는 슬로프 판들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접힐 수 있으며, 슬로프의 일단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슬로프의 타단은 프레임에 고정된 잠금부에 잠금되어 프레임의 개방된 부위를 슬로프로 폐쇄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can be hingedly coupled with the slope plates so that one end of the slope is hing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lope is locked to the lock portion fixed to the frame, Closed site is slop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로프 판에는 인장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인장재의 타단은 지렛대에 고정되며, 아래층으로 펼쳐진 슬로프를 인장재가 지지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a tensi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lope plate,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material is fixed to the lever, and the slope stretched downward is supported by the tensil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전자석으로, 자력에 의해 슬로프의 단부가 부착 고정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ortion is an electromagnet, and the end portion of the slope is fixed by magnetic for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석은 전원이 공급되면 무자력 상태가 되고 무전원 상태에서 자력이 발생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 becomes a non-magnetic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and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a non-power st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로프 판에는 가로부를 받쳐주는 보강대가 형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plate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for supporting the transvers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장착된 도르래를 더 포함하며, 슬로프 판에는 인장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인장재의 타단은 지렛대에 고정되며, 인장재의 중간은 도르래에 지지된 상태로 인장재가 도르래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아래층으로 펼쳐진 슬로프를 지지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pulley mounted on a frame, wherein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slope plate,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to the lever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tension member is supported by the pulley The tensile material is redirected by the pulley to support the slope spread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는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에 관통 고정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하부를 개폐하는 계단판과, 계단판과 덮개를 연결하며 계단판이 하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덮개에 전달하여 덮개를 개방하는 지렛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own-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ame which is fixed by penetrating through a floor layer which separates the upper and lower layers to form a passage, a lid which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passage of the frame, And a lever for connecting the stair plate and the lid to transmit the kinetic energy of the stair plate moving downward to the lid to open the li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는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제1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프레임을 개폐하고, 지렛대는 계단판과 덮개를 연결하며, 계단판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is first hinged to one upper end of the frame to pivot in the up-and-down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rame, the lid connects the lid and the lid, When turning, the lever pivots around the hinge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frame and turns the cover upward to ope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에는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고정되고, 지렛대의 끝단에 고정된 힌지 축이 장공에 위치하여 지렛대의 선회에 따라 회전축이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덮개를 선회시킨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having a long hole is fixed to the lid, a hinge shaft fixed to an end of the lever is positioned in the long hole, and the rotary shaft moves along the long hole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lever,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렛대는 프레임이 고정된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단은 덮개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계단판에 힌지 결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is hinged to the cover at one end and hinged to the stair plate at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the fixed center of rotation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는 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프레임을 개폐하고, 지렛대의 양단은 덮개의 저면에 그리고 계단판의 끝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계단판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is hinged to the other upper end of the frame and pivots vertically to open and close the frame, both ends of the lever are hinged to the bottom of the lid and to the end of the ladder, When the stair plate is turn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levers pivot about the hinge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frame, and open the cover by pivoting upwar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단판은 지지판과 디딤판이 힌지 결합되고, 지지판은 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디딤판의 단부는 지렛대에 힌지 결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plate is hing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tread plate, the support plate is hinged to one lower end of the frame, and the end of the tread is hinged to the lev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단판은 프레임의 통로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계단판의 타단은 프레임 또는 바닥층에 고정된 잠금부에 잠금되어 고정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plate is locked and fixed to the lock portion fixed to the frame or the bottom layer, with the other end of the stepped plate clos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age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전자석으로, 자력에 의해 계단판의 단부가 부착 고정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portion is an electromagnet, and the end portion of the step plate is fixed by magnetic for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는 화재경보기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화재 발생에 따른 외부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에 따라 슬로프가 하향으로 펼쳐지며, 슬로프가 하향으로 펼쳐지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덮개를 개방시킴으로써, 노약자라도 개방된 덮개와 펼쳐진 슬로프를 통해 아래층으로 쉽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due to a fire is inputted through a fire alarm or a switch, the downward-type evacuation device spreads the slope downward according to the signal, and generates kinetic energy It is advantageous that even the elderly can easily escape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opened lid and the opened slo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는 프레임에 대피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개방된 덮개를 통해 아래를 보았을 때 프레임의 바닥면이 보이게 되어 대피자가 프레임의 바닥으로 내려감에 있어 두려움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에는 덮개가 개방되면 아래층의 바닥이 보이게 됨에 따라 추락의 두려움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바닥이 바닥층의 아래에 위치하여 시각적인 추락의 두려움 발생을 차단할 수 있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for allowing the escapee to stay in the frame is formed in 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ttom of the frame is seen through the opened cover, the escape is lower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 In other words, in the past,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bottom of the lower layer is visible, thereby causing the fear of falling.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bottom of the frame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는 슬로프가 인장재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의 각도로 아래층 바닥층을 향해 펼쳐짐에 따라 아래층 세대원이 피난장치의 아래에 물건을 배치하더라도 슬로프가 물건과 간섭없이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아래층 세대원의 발코니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down-type evac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pread the slop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bject even when the down-level household member places the object under the evacuation apparatus as the slope is extended toward the lower-floor floo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lope supported by the tension member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balcony space of the downstairs household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가 설치된 바닥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잠금부가 해제되었을 때에 덮개의 개방과 슬로프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잠금부의 해제되었을 때부터 슬로프가 전개되는 때까지의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향식 피난장치의 슬로프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계단판이 하향으로 완전 전개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향식 피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layer provided with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shown in Fig.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opening of the lid and the developed state of the slope when the locking portion shown in Fig. 2 is released,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equence from when the lock is released to when the slope is deployed, as shown in Figs. 4A and 4B.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ope of the downward-type evacuation apparatus shown in FIG. 6 is deployed.
8A and 8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pped plate shown in FIG. 9 when the stepped plate is fully downwardly expand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opened.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가 설치된 바닥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부가 해제되었을 때에 덮개의 개방과 슬로프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부의 해제되었을 때부터 슬로프가 전개되는 때까지의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B-B '.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of the lid and the developed state of the slope when the locking portion shown in Fig. 2 is release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rder from when the locking portion is released to when the slope is developed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장치(100)는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1)을 관통해 위치하며 바닥층(1)의 아래로 돌출된 부위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구조의 박스형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단 일측에 힌지(120H) 결합되어 상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덮개(120)와, 프레임(110)의 개방된 전방을 폐쇄하는 절첩 가능한 슬로프(130)와, 절첩 가능한 슬로프(130)의 끝단을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잠금부(160)와, 슬로프(130)에서 연장된 인장재(141)와, 상기 인장재(141)가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덮개(120)에 고정되어 슬로프(130)의 하중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면서 덮개(120)를 개방하는 지렛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vacuation apparatus 100 is disposed through a bottom layer 1 that separates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and a box- A lid 120 which is coupled to a hinge 120H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so as to be pivotally opened upward and a foldable slope 130 which closes the open front of the frame 110; A locking portion 160 for fixing the end of the foldable slope 130 to the frame 110, a tension member 141 extending from the slope 130, and a tension member 141 fixed to one end of the slope 130, And a lever 150 fixed to the slider 120 to open the cover 120 while being moved by the load of the slope 130.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하향식 피난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downward evacuation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장치(100)의 프레임(110)은 내부에 대피자가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약 1m정도의 높이를 갖는 박스형 구조로서, 바닥층(Slab)(1)을 관통해 고정된다. 바닥층(1)에 고정된 프레임(110)의 상단은 바닥층(1)의 상부로 돌출되며, 프레임(110)의 상단 일측에는 덮개(120)가 힌지(120H)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덮개(120)에 의해 프레임(110)의 상단은 폐쇄된다.1 to 3, the frame 110 of the evacuation apparatus 100 is a box-like structure having a height of about 1 m to the extent that the escape person can be located therein. The bottom layer (slab)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fixed to the bottom layer 1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layer 1. The lid 120 is coupled to the hinge 120H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is closed by the frame 120.

프레임(110)의 상단은 바닥층(1)에 고정됨에 따라 프레임(110)의 대부분은 바닥층(1)의 아래 즉 아래층의 천장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한다.As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is fixed to the bottom layer 1, most of the frame 110 is positioned in a downwardly protruding form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layer 1,

아래층의 천장 아래로 돌출된 프레임(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110)의 연장부(110E)가 형성되며, 연장부(110E)의 전면과 바닥면은 개방된 상태로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된 슬로프(130)가 연장부(110E)의 전면과 바닥면을 폐쇄한다.An extended portion 110E of the frame 110 extending forward is formed in the frame 110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of the lower layer and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extended portion 110E are opened A slope 130 hinged to the frame 110 closes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extension 110E.

슬로프(130)는 연장부(110E)의 폭에 대응하는 가로 길이를 갖는 슬로프 판(131)들이 상호 힌지(131H) 결합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슬로프(130)의 일단은 프레임(110)의 개방된 바닥면에 힌지(131H) 결합되고, 슬로프(130)는 힌지(131H) 결합된 부위에서 연장부(110E)의 바닥면 그리고 전면으로 연장되어 연장부(110E)의 전면과 바닥면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슬로프(130)의 타단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잠금부(160)에 잠금된다. The slope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lope plates 131 having a transvers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110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131H so that one end of the slope 130 is connected to a side of the frame 110 And the slope 130 extends from the hinge 131H coupled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110E so that the fron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110E are closed do. In this state, the other end of the slope 130 is locked to the lock portion 160 mounted on the frame 110.

힌지(131H) 결합된 슬로프 판(131)들로 구성된 슬로프(130)의 일단은 프레임(110)에 힌지(131H) 결합되고 타단은 잠금부(160)에 잠금됨에 따라, 슬로프(130)는 프레임(110)의 연장부(110E) 전면과 바닥면에 대응하도록 그 길이 중간이 절곡된 형태로 위치하며, 잠금부(160)에서 잠금 해제되면 힌지(131H) 결합된 슬로프(130)는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즉 아래층의 바닥을 향해 펼쳐진다.One end of the slope 130 composed of the slope plates 131 coupled with the hinge 131H is coupled to the hinge 131H of the frame 110 and the other end is locked to the lock portion 160, The slope 130 coupled to the hinge 131H when the lock unit 160 is unlocked is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slope 130 is bent by gravity Downward to the floor of the lower layer.

여기에서 잠금부(160)는 슬로프(130)의 끝단을 잠금하는 부재로서, 다양한 잠금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locking portion 160 is a member for locking the end of the slope 130, and can be configured by various locking means.

본 발명에서 선택한 잠금부의 한 예로서, 잠금부(160)는 프레임(110)에 고정된 전자석(161)이다. 상기 전자석(161)의 경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력을 발생하고 일시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무자력 상태가 되는 전자석으로서, 프레임(110)의 끝단에 전자석(161)을 고정하고 슬로프(130)의 끝단을 전자석(161)에 부착 고정한 후에 화재경보기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전자석(161)에 일시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그로 인해 무자력 상태가 되면 부착 고정된 슬로프(130)가 하향으로 떨어지면서 펼쳐지도록 구성한다.As an example of the lock portion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portion 160 is an electromagnet 161 fixed to the frame 110. [ In case of the electromagnet 161, the electromagnet 161 is fixed to the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electromagnet 161 is fixed to the end of the slab 130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When an electric signal is inputted from a fire alarm or a switch after the end is fixed to the electromagnet 161, power is temporarily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61, and when the electromagnet 161 is in the non-magnetic state, the fixed slope 130 falls down .

여기에서 잠금부(160)는 전자석(161)으로 한정하지 않고, 모터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래치, 후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부를 전자석을 대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lock portion 160 is not limited to the electromagnet 161, and the lock portion may be formed in place of the electromagnet using a member such as a latch or a hook that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a motor.

한편, 펼쳐진 슬로프(130)가 프레임(110)에서 아래층의 바닥으로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과 각 슬로프 판(131)들은 인장재(141)에 의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10 and the slope plates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ension member 141 so that the opened slope 130 can be maintained to be inclined and spread from the frame 110 to the bottom of the lower layer.

인장재(141)는 펼쳐진 슬로프(13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잠금부(160)가 해제되어 슬로프(130)가 하향으로 펼쳐지면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렛대(150)로 전달하며, 하중에 의해 지렛대(15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그에 따라 덮개(120)가 개방된다.The tensile material 141 not only supports the unfolded slope 130 but also transfers the load generated when the lock portion 160 is released and the slope 130 is unfolded downward to the lever 150, 150 are changed in position, so that the lid 120 is opened.

지렛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약 180도 만곡된 구조이며, 만곡된 끝단은 덮개(120)의 힌지(120H)를 감싸 힌지(120H) 결합된 근처의 덮개(120)에 고정되고,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은 프레임(110)의 연장부(110E) 안쪽으로 연장되어 수평하게 위치하며,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에 인장재(141)가 연결된다. 2 and 3, the lever 150 is curved at an angle of about 180 degrees. The curved end of the lever 150 covers the hinge 120H of the cover 120, The end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110E of the frame 110 and is horizontally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A tension member 141 is connected.

지렛대(150)는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양측 지렛대(150)는 연결대(151)로 상호 연결되어 일체화 된다. 그리고 만곡된 끝단에는 덮개(120)에 연결되는 지지대(153)가 고정된다. 지지대(153)는 덮개(120)와 지렛대(15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levers 15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0 and the levers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ink 151 to be integrated. And a support 153 connected to the cover 120 is fixed to the curved end. The support 153 is intended to increase the durability by making the lid 120 and the lug 150 more rigid.

이 상태에서 슬로프(130)가 하향으로 펼쳐지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는 인장재(141)를 통해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에 전달되고,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이 덮개(120)의 힌지(120H)를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180도 만곡되어 힌지(120H)를 감싸는 만곡부(150C)는 상향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만곡부(150C)와 지지대(153)의 끝단이 고정된 덮개(120)가 상향으로 개방된다.In this state,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when the slope 130 is downwardly spread is transmitted to the end of the lateral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through the tensile material 141, and the end of the lateral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The curved portion 150C surrounding the hinge 120H is bent upward by 180 degrees so that the curved portion 150C and the end of the support base 153 The fixed lid 120 is opened upward.

이와 같이 덮개(120)가 완전히 개방되면,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은 최하점에 위치하게 되고, 펼쳐진 슬로프(130)를 따라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내려감에 따른 지렛대(150)에 하중이 더욱 증가하더라도 덮개(120)가 프레임(110)의 상단을 덮는 방향으로 선회하지 않는다. 이는 약 180도로 만곡된 만곡부(150C)의 특징에 따라 덮개(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수직 하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When the cover 120 is completely opened, the end of the lateral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int and a load is applied to the lever 150 along the extended slope 130 The lid 120 does not turn in the direction of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even if it further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load applied to the lid 120 acts vertically downwa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urved portion 150C curved at about 180 degrees.

한편, 인장재(141)는 케이블, 로프 또는 절첩 가능한 금속 막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연한 케이블 및 로프의 경우에는 묵음된 상태에서 슬로프(130)가 펼쳐지는 하중에 의해 묶음이 풀리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케이블 및 로프를 타래에 감아둔 상태로 슬로프(130)가 펼쳐질 때에 풀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material 141 may be composed of a cable, a rope, or a foldable metal rod, and in the case of a flexible cable and a rope, the bundle may be configured to be unpacked by a load deployed by the slope 130 in a silent state, The cable and the rope may be wound around the tread and loosened when the slope 130 is unfolded.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하향식 피난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downward evacuation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평상 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60)인 전자석(161)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슬로프(130)의 끝단이 프레임(110)의 단부에 고정되며, 이 상태의 슬로프(130)는 프레임(110)의 연장부(110E)의 개방된 전면과 바닥면을 덮는 상태로 위치한다.2, the end of the slope 130 is fixed to the end of the frame 110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161 as the lock portion 160, and the slope 130 Is positioned to cover the open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extension 110E of the frame 110. [

그리고 덮개(120)는 프레임(110)의 상단을 덮은 상태로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는 바닥층(1)과 평행하게 위치한다.The lid 15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bottom layer 1 with the lid 120 covering the top of the frame 110.

이 상태에서 대피자가 화재를 인식하고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화재경보기가 작동하여 외부 전기적신호가 하향식 피난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고,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잠금부(160)인 전자석(161)에 일시적(약 1~60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In this state, the evacuee recognizes the fire and activates the switch or the fire alarm activates, so that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top-down evacuation apparatus 100. When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input, (About 1 to 60 seconds).

전자석(161)에 일시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전자석(161)은 무자력 상태가 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3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향으로 떨어지며 펼쳐지는데, 이때 각 슬로프 판(131)에 연결된 인장재(141)가 펼쳐지면서 슬로프(130)의 하중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인장재(141)를 통해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에 전달되어 지렛대 또한 하향으로 선회하게 된다.When the electric power is temporarily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61, the electromagnet 161 becomes a non-magnetic state by the supplied electric powe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lope 130 falls downward due to its own load At this time, the tensile material 141 connected to each slope plate 131 is unfolded so that the kinetic energy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the slope 130 is transmitted to the end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through the tensile material 141, And it turns to the downward direction.

지렛대(150)는 덮개(120)에 연결되어 있어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덮개(120)의 힌지(120H)를 중심으로 지렛대(150)의 타단에 고정된 덮개(120)는 힌지(120H)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선회하여 프레임(110)이 개방된다.The lever 150 is connected to the lid 120 so that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is moved downward and the lid 15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150 about the hinge 120H of the lid 120, The frame 120 is pivoted upward about the hinge 120H and the frame 110 is opened.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이 하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끝단에 연결된 인장재(141)는 긴장된 상태로 펼쳐진 슬로프(130)에 연결되어 슬로프(13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지지한다.The tension member 141 connected to the end is connected to the slope 130 which is stretched in a tense state so that the slope 13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lope 13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do.

대피자는 덮개(120)가 선회함에 따라 개방된 프레임(110)을 통해 프레임(110) 안쪽으로 내려온다. 이때 대피자가 위층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110)의 바닥면이 보임에 따라 추락 등의 공포심 없이 프레임(110)의 안쪽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evacuator descends into the frame 110 through the open frame 110 as the lid 120 is pivoted. At this time, when the escapee sees the upper floor, the floor surface of the frame 110 can be seen, and can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without fear of falling or the like.

프레임(110)의 안쪽 공간에 위치한 대피자는 전방으로 펼쳐진 슬로프(130)를 타고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한다.The evacuator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is safely evacuated to the lower layer on the slope 130 spreading forwar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1실시예에서는 지렛대가 덮개의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잠금부의 잠금해제에 의해 슬로프가 펼쳐지거나, 만약 침입자가 덮개를 강제 개방하려고 할 경우 지렛대가 선회하여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lever is configured to pivot around the hinge of the lid, the slope is unfolded by unlocking the lock, or if the intruder tries to forcibly open the lid, the lever can be turned and the lock can be unlocked have.

제2실시예에서는 덮개를 강제로 개방할 경우 지렛대가 선회하지 않도록 내부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슬로프를 펼쳤을 때에 보강대는 슬로프의 디딤판의 기능을 수행하여 대피자가 쉽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ver is internally reinforced so as not to turn when the cover is forcibly opened. When the slope is unfolded, the reinforcing bar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tread of the slope so that the escapee can easily escape to the lower layer will be.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고 제1실시예에서 병기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given.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향식 피난장치의 슬로프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lope of the top-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30)를 형성하는 슬로프 판(131)들에는 보강대(133)가 형성된다. 6 and 7, the slab plates 131 forming the slope 130 are formed with a reinforcing bar 133. [

그리고 보강대(133)는 잠금 상태에서의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를 아래에서 받쳐준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10E)의 전면에 위치한 슬로프 판(131)에서 연장된 보강대(133)는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의 끝단 저면을 받쳐주며, 연장부(110E)의 바닥에 위치한 슬로프 판(131)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보강대(133)는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저면을 받쳐준다. And the reinforcing bar 133 supports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in the locked state from below.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bar 133 extending from the slope plate 131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10E supports the bottom end of the lateral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ended portion 110E. The reinforcing strip 133 extending upward from the slope plate 131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of the lever 150.

그리고 지렛대(150)의 만곡부(150C)를 받쳐주는 보강대(133)에는 만곡부(150C)의 반경보다 큰 반경의 홈(133H)이 형성되어 만곡부(150C)와 간격을 둔 상태로 위치한다.A groove 133H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curved portion 150C is formed in the rib 133 for supporting the curved portion 150C of the lever 15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150C.

이와 같이 구성된 하향식 피난장치(100)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120)를 침입자가 강제로 들어올리려고 할 경우, 그 힘은 지렛대(150)를 통해 가로부(150H)가 하향으로 선회하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When the intruder intends to forcibly lift the lid 120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frame 110 in the thus configured downward type evacuating apparatus 100, the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ver 150 to the transverse portion 150H downward As a force to turn.

이때 보강대(133)가 없는 경우라면 침입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가로부(150H)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동이 주기를 갖고 반복되어 커질 경우 잠금부(16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특히 슬로프 판(131)과 전자석(161)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경우, 강자성체인 슬로프 판(131)에 작용하는 전자석(161)의 자력은 급격히 약해짐에 따라 침입자가 반복적으로 덮개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경우 잠금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absence of the reinforcing bar 133, the force of the intruder causes the flow of the lateral portion 150H, and when the flow repeats with the period, the lock portion 160 can be unlocked. Particularly, whe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lope plate 131 and the electromagnet 161,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61 acting on the slope plate 131, which is a ferromagnetic body, abruptly weakens so that the intruder repeatedly lifts the lid If the force is applied, it may be unlock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로프 판(131)에 형성된 보강대(133)가 가로부(150H)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가로부(150H)의 흔들림 즉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침입자에 의한 잠금부(160)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wing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from being generated by supporting the transverse portion 150H by the reinforcing bar 133 formed on the slope plate 13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한편, 화재경보기 또는 스위치 등에서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잠금부(160)가 해제되어 슬로프(130)가 펼쳐지는데, 슬로프(130)에는 보강대(133)가 형성됨에 따라 슬로프 판(131)을 딛고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대피자는 슬로프 판(131)에 수직으로 돌출된 보강대(133)를 디딤판으로 하여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다.When the external alarm signal is inputted from the fire alarm or the switch, the locking part 160 is released and the slope 130 is opened. On the slope 130, the slope plate 131 is lowered Is safely movable with the reinforcing bar 133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slope plate 131 as a step plate.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잠금부(160)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슬로프(130)가 펼쳐지고 그 하중에 의해 덮개(120)가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노약자라도 개방된 덮개를 통해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 가능하다.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locking portion 160 is unlocked by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slope 130 is unfolded and the cover 120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load, It is safe to escape downstairs through an open lid.

또한 프레임(110)의 높이만큼 대피자가 위치할 공간이 프레임(110)의 안쪽에 형성됨에 따라 대피자가 개방된 덮개(120)를 통해 아래 쪽으로 보이는 부위가 제한되어 추락의 공포심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어 대피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escape person is to be positioned by the height of the frame 11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110, the part where the escape person can see downward through the opened lid 120 is limi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evacuation can be done easily.

또한 슬로프(130)가 펼쳐지는 방향을 발코니의 면적 중심부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아래층 세대원이 물건을 프레임(110)의 아래에 배치하더라도 슬로프가 펼쳐지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발코니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130 is expanded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rea of the balcony,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slope is unfolded even when the lower-level members place the object under the frame 110.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balcony can be increased.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하향식 피난 사다리의 덮개 및 프레임의 내부에는 차음부재가 채워지며 특히 바닥층의 저면에는 프레임과 바닥층의 사이 또는 프레임을 통해 소음이 상층 또는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패드가 부착된다.In the mean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d of the top-down type escape ladder and the frame described above are filled with a sound insulating member. In particular, the floor of the bottom floor is prevented from transmitting noise to the upper or lower floor, A soundproofing pad is attach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제1실시예의 하향식 피난장치와 대비하여 살펴보면, 동일한 덮개의 개방방향에 있어 다른 방향으로 슬로프가 전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slope is developed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ame cover.

도면에서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에 따른 피난장치는 슬로프가 좌측방향으로 전개됨에 있어 덮개는 좌측방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Th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ver is pivotally opened in the left direction when the slope is deployed in the leftward direction.

이에 반해 제3실시예에 따른 피난장치(100)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30)가 우측방향으로 전개됨에도 덮개(120)는 좌측방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다.On the contrary, the evacu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ver 120 is pivotally opened to the left, even when the slope 130 is deployed to the right as shown in FIGS. 8A and 8B.

제1실시예의 피난장치 또는 제3실시예의 피난장치는 피난장치를 설치하는 장소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선택하여 바닥층에 장착할 수 있다.The evacuation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evacuation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can be selected and installed in the bottom layer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the evacuation device is installed.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슬로프(130)가 개방됨에 있어 덮개(120)가 좌측방향으로 선회하여 개방되기 위해서는 슬로프(130)에 연결된 인장재(141)가 지렛대(150)의 가로부(150H) 끝단에 연결됨에 있어 슬로프(130)가 하향으로 전개되는 운동에너지를 지렛대(150)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 내부에 도르래(113)를 장착한다.8A and 8B, in order for the lid 120 to open and open in the left direction due to the opening of the slope 130 in the rightward direction, the tension member 141 connected to the slope 130 is moved to the left The pulley 113 is mounted inside the frame 110 so that kinetic energy of the slope 130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lever 15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ateral portion 150H.

도르래(113)를 감싼 인장재(141)가 가로부(150H)와 슬로프(130)를 연결함에 있어서, 슬로프(130)가 하향으로 내려감에 따라 인장재(141)로 연결된 가로부(150H)의 끝단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이동하도록 도르래(113)가 인장재(141)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tension member 141 wrapping around the sheave 113 connects the transverse portion 150H and the slope 130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transverse portion 150H connected to the tension member 141 as the slope 130 descends downward The pulley 113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nsile material 141 so as to be turned and moved downward.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잠금부가 해제됨에 따라 슬로프가 펼쳐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4실시예에서는 계단판이 절곡된 형태로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대피자가 계단판을 딛고 아래층으로 대피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slope is unfolded as the lock is released. However, in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the stepped plate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in a bent form so that the stepped- .

도면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계단판이 하향으로 완전 전개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ownward-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when the stepped plate shown in FIG. 9 is fully downwardly deploy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장치(100)는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1)을 관통해 위치하며 상하부로 개방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단 일측에 제1힌지(180a) 결합되어 프레임(110)의 상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향으로 선회하여 프레임(110)의 상단을 개방하는 덮개(120)와, 프레임(110)의 하단 일측에 제2힌지(180b) 결합되어 프레임(110)의 하단을 폐쇄하며 하향을 선회하여 프레임(110)의 하단을 개방하는 계단판(170)과, 덮개(120)에 고정된 브래킷(121)과 계단판(170)의 끝단을 연결하며 받침점에 해당하는 회전 중심점(181)이 프레임(110)에 고정된 지렛대(150)와, 계단판(170)이 펼쳐져 프레임(110)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프레임(110)에 장착된 잠금부(160)를 포함한다.9, the evacuation device 100 includes a frame 110 which is opened through the bottom layer 1 that separates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is ope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second hinge 180b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The first hinge 180b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A stepped plate 170 that closes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and opens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by turning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bracket 121 fixed to the lid 120 and an end of the step plate 170 And a locking part 150 mounted on the frame 110 to unfold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so that the stepped plate 170 is unfolded to unfold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The lock part 150 is fixed to the frame 110 by a rotation center point 181, (160).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하향식 피난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downward evacuation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사각 구조로서, 바닥층에 고정되며 프레임(110)의 안쪽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대피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rame 110 has a rectangular structure, which is fixed to the floor layer and evacuates to the lower floor through a space formed inside the frame 110. Fig.

프레임(110)의 일측 상단에는 프레임(110)의 상단을 덮개(120)가 제1힌지(180a) 결합되며, 덮개(120)는 상향으로 선회하여 프레임(110)을 개방한다. 그리고 덮개(120)의 저면에는 제1힌지(180a) 근처에 하향으로 브래킷(121)이 고정되며 브래킷(121)에는 장공(121H)이 형성된다.A cover 120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180a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at one side of the frame 110 and the cover 120 is pivoted upward to open the frame 110. [ The bracket 12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20 downward near the first hinge 180a and the bracket 121 is formed with a slot 121H.

한편, 프레임(110)의 일측 하단에는 계단판(170)이 제2힌지(180b) 결합된다. 계단판(170)은 지지판(173)과 디딤판(171)으로 구분되며, 지지판(173)과 디딤판(171) 또한 제3힌지(180c) 결합되고 지지판(173)은 프레임(110)의 일측 하단에 제2힌지(180b) 결합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판(170)의 지지판(173)과 디딤판(171)이 프레임(110)의 아래에 평면 형태로 펼쳐짐으로써 프레임(110)의 하부를 폐쇄하고, 프레임(110)의 일측 하단에 결합된 제2힌지(180b)를 중심으로 지지판(173)이 수직으로 위치하고 지지판(173)에 대해 직각으로 디딤판(171)이 위치함으로써 프레임(110)의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하부와 디딤판(171)이 마주하게 된다.Meanwhile, the step hinge 170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180b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0. The step plate 170 is divided into a support plate 173 and a tread plate 171. The support plate 173 and the tread plate 171 are also engaged with the third hinge 180c and the support plate 17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second hinge 180b is engaged. 10, the support plate 173 of the step plate 170 and the tread plate 171 are unfolded in a planar form under the frame 110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The support plate 173 is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180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tread plate 171 is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support plate 173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and the tread 171 face each other.

계단판(170)의 지지판(173)과 디딤판(171)이 평면 상태로 프레임(110)의 하부를 폐쇄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에 고정된 잠금부(160)가 디딤판(171)의 끝단을 고정한다. 잠금부(16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석(161) 또는 모터를 이용한 래치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16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160 fixed to the frame 110 closes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with the support plate 173 of the step plate 170 and the tread plate 171 in a flat state, Fix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ocking part 160 can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locking part 160 by using a latch or a hook using an electromagnet 161 or a motor.

잠금부(160)를 전자석(161)으로 할 경우 강자성체의 디딤판(171)은 전자석(161)에 부착된 상태로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일시적으로 무자력 상태가 되어 계단판(170)이 전자석(161)에서 떨어져 하향으로 선회하게 된다.When the lock portion 160 is used as the electromagnet 161, the tread 171 of the ferromagnetic body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161 when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input thereto, ) And is turned downward.

제4실시예에 따른 피난장치의 지렛대(150)는 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된 회전 중심점(181)을 기준으로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는 지렛대로서, 일단은 디딤판(171)의 끝단에 제4힌지(180d) 결합되고, 지렛대(15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축(180e)은 브래킷(121)의 장공(121H)에 삽입되어 지렛대(150)의 선회에 따라 힌지축(180e)이 장공(121H)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이동한다.The levers 150 of th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levers whose both ends are pivo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181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110, And the hinge shaft 180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150 is inserted into the slot 121H of the bracket 121 so that the hinge shaft 180e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150 And moves in a rotatable state along the long hole 121H.

여기에서 덮개(120)는 프레임(110)의 상단 일측에 장착된 제1힌지(180a)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지렛대(150)는 회전 중심점(181)을 기준으로 선회함에 있어서 상호 반경에 따라 겹치는 부위만큼 힌지축(180e)이 장공(121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선회 궤도의 간섭되는 길이만큼 보상한다.Here, the lid 120 is pivoted about a first hinge 180a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and the levers 15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mutual radii in turn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181 The hinge shaft 180e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21H and compensates for the interfering length of the orbit.

아래에서는 제4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평상 시에는 프레임(110)의 상부는 덮개(120)로 덮여 폐쇄되고, 펼쳐진 계단판(170)이 잠금부(160)에 잠금되어 프레임(110)의 하부를 폐쇄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0 is covered with the lid 120 and closed and the opened stepped plate 170 is locked to the locking portion 160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0. [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경보기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화재 발생에 따른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60)가 잠금해제되고 계단판(170)이 프레임(110)과 연결된 제2힌지(180b)를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면서 지렛대(150)는 도면 상에서 회전 중심점(18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s input through a fire alarm or a switch, the lock 160 is unlocked and the step plate 170 is unlocked The lever 15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181 while rotating the second hinge 180b connected to the frame 110 downward.

이때 회전 중심점(181)에서 지렛대(150)와 계단판(170)이 연결된 제4힌지(180d))까지의 길이가 제한됨에 따라 하향으로 선회한 계단판(170)은 디딤판(171)과 지지판(173)의 제3힌지(180c) 결합된 부위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게 된다.The stepped plate 170 which is turned downward due to the limited length from the rotation center point 181 to the fourth hinge 180d to which the lever 150 and the step plate 170 are connected is restricted by the tread plate 171 and the support plate 173 are bent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the third hinge 180c.

한편, 지렛대(150)가 도면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렛대(150)의 끝단이 브래킷(121)을 상향을 밀어올리면서 덮개(120)가 프레임(110)과 연결된 제1힌지(180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선회하여 프레임(110)을 개방한다.When the lever 150 rotates clockwise on the drawing and the end of the lever 150 pushes up the bracket 121 upwardly, the lid 120 moves to the first hinge 180a connected to the frame 110 The frame 110 is pivoted upward to open the frame 110.

이와 같이 지렛대(150)에 밀려 덮개(120)가 상향으로 개방됨에 있어 덮개(120)는 프레임(110)에 연결된 제1힌지(180a)을 기준으로 선회하고, 지렛대(150)는 회전 중심점(181)을 기준으로 선회함에 따라 선회하는 궤도가 상호 겹치는 부위의 길이만큼 힌지축(180e)이 브래킷(121)의 장공(121H)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lid 120 pivots about the first hinge 180a connected to the frame 110 while the lid 120 is pivoted by the lever 150 so that the lever 150 rotates about the rotation center point 181 The hinge shaft 180e moves along the slot 121H of the bracket 121 by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orbitals.

이와 같이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면 잠금부(160)의 잠금해제를 통해 계단판(170)이 프레임(110) 아래에 절곡된 상태로 위치함에 따라 대피자는 프레임(110)을 통해 계단판(170)의 디딤판(171)으로 내려오고 디딤판(171)에서 아래층 바닥으로 내려올 수 있다.When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input, the escape person is folded over the frame 110 through the stepped plate 170 as the stepped plate 170 is folded under the frame 110 through the unlocking of the lock 160, And descend from the tread 171 to the bottom floor.

만약 디딤판(171)과 아래층의 바닥의 사이가 너무 높아 대피가 어려울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로프를 디딤판의 단부에 설치하고, 프레임의 내부에 인장재의 끝단을 고정하고 슬로프 판에 인장재를 연결하여 디딤판에서 슬로프를 따라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tread 171 and the bottom of the lower layer is too high to evacuate, the slop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ead, th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is fixed inside the frame and the tensi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lope So that it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lower layer along the slope in the tread.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의 피난장치는 지렛대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5실시예에서는 지렛대가 덮개에 설치되며, 덮개의 개방이 반대 방향인 예이다.Although the leaning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being hinged to the frame, in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the lever is provided on the lid and the lid is op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면에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피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향식 피난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down type evacu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1 is opened.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층(1)을 관통해 설치된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덮개(120)가 제1힌지(180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덮개(120)에 의해 프레임(110)의 상단이 개폐된다.11 and 12, a lid 120 is mounted on one side of a frame 110 installed through the bottom layer 1 so as to be vertically pivotable by a first hinge 180a,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0 is opened and closed.

프레임(110)의 타측 하단에는 계단판(170)이 제2힌지(180b) 결합되어 계단판(170)이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110)의 하단을 폐쇄하거나 계단판(170)이 절곡된 상태로 개방된다.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by the second hinge 180b be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110 is closed, Is opened.

계단판(170)은 제2힌지(180b)에 결합된 지지판(173) 그리고 상기 지지판(173)과 제3힌지(180c) 결합된 디딤판(171)을 포함하며, 디딤판(171)의 끝단과 덮개(120)의 저면을 지렛대(150)가 연결된다.The step plate 170 includes a support plate 173 coupled to the second hinge 180b and a tread plate 171 coupled with the support plate 173 and the third hinge 180c. The lever 15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구체적으로 디딤판(171)의 끝단과 지렛대(150)의 일단은 제4힌지(180d)에 의해 결합되고, 지렛대(150)의 타단과 덮개(120)의 저면은 제5힌지(180e)에 의해 결합되며, 지렛대(150)의 길이 중간은 절곡된다.The other end of the lever 150 and the bottom of the lid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fth hinge 180e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150 is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lever 150 by the fourth hinge 180d. And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lever 150 is bent.

이와 같이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하향식 피난장치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20)가 하향 선회하여 프레임(110)의 상부를 폐쇄할 경우 덮개(120)의 저면에 제5힌지(180e) 결합된 지렛대(150)는 도 11에 보이듯이 바닥층(1) 방향으로 선회하여 위치하게 되고, 지렛대(150)의 끝단에 제4힌지(180d) 결합된 계단판(170)의 디딤판(171) 또한 바닥층(1)의 저면으로 선회하여 계단판(170)이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110)의 저면을 폐쇄한다.11, when the lid 120 is pivoted downward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0, a fifth hinge (not show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20, The joining lever 150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layer 1 as shown in FIG. 11 and the tread plate 171 of the step plate 170 coupled with the fourth hinge 180d at the end of the lever 150 ) Als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10 is closed with the step plate 170 being unfolded by turn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layer 1.

계단판(170)이 펼쳐진 상태로 프레임(110)의 저면을 폐쇄할 경우 강자성체의 디딤판(171)은 바닥층(1)의 저면에 고정된 잠금부(160)에 잠금된 상태로 고정된다.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110 is closed with the step plate 170 being unfolded, the tread 171 of the ferromagnetic body is locked in the locked portion 16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layer 1.

이 상태에서 외부 전기적신호가 입력되어 잠금부(160)가 잠금 해제할 경우, 계단판(170)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제2힌지(180b)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렛대(150) 또한 제5힌지(180e)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선회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unlock the locking portion 160, the step plate 170 is pivoted about the second hinge 180b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is turned downward about the fifth hinge 180e.

이때 지렛대(150)의 길이 제한에 따라 계단판(1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73)과 디딤판(171)이 제3힌지(180c)에 의해 절곡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restriction of the lever 150, the step plate 170 is positioned with the support plate 173 and the tread plate 171 bent by the third hinge 180c as shown in FIG.

한편, 계단판(170)과 지렛대(150)가 하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덮개(120)는 제1힌지(180a)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프레임(1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Meanwhile, as the step board 170 and the lever 150 are rotated downward, the cover 120 is rotated upward about the first hinge 180a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10.

100 : 피난장치
110 : 프레임
120 : 덮개
130 : 슬로프
131 : 슬로프 판
133 : 보강대
141 : 인장재
150 : 지렛대
160 : 잠금부
170 : 계단판
180a ~180d : 힌지
180e : 힌지축
181 : 회전 중심점
100: Evacuation device
110: frame
120: Cover
130: Slope
131: slope plate
133: Reinforcing bar
141: Tension material
150: Lever
160:
170: stair plate
180a to 180d: a hinge
180e: Hinge shaft
181: rotation center point

Claims (17)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에 관통 고정되어 통로를 형성하고 대피자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층의 아래 쪽 일부가 개방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프레임의 개방된 구역에 힌지 결합되어 아래층으로 펼쳐지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혀지는 슬로프와,
슬로프와 덮개를 연결하며 슬로프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덮개에 전달하여 덮개를 개방하는 지렛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A frame having a lower part of the bottom layer opened to form a passageway through which a floor space fo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floors is formed,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art of the opened passage of the frame,
A slope that is hingedly coupled to the open area of the frame to be folded downward or folded upward,
And a lever for connecting the slope and the cover to transmit the kinetic energy of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lope to the cover to open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덮개는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지렛대는 슬로프와 덮개를 연결하며, 슬로프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lever connects the slope and the cover, and when the slope rotat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lever pivots upward by turning the cover around the hinge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지렛대는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는 가로부와 상기 가로부의 끝단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만곡된 만곡부로 구분되며, 만곡부는 덮개에 고정되고 가로부의 끝단에는 인장재가 고정되어 슬로프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part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a curved part bent toward the cover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the curved part is fixed to the cover and the tensile material is fixed to the end part of the horizontal part to connect with the slope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로프는 슬로프 판들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접힐 수 있으며, 슬로프의 일단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슬로프의 타단은 프레임에 고정된 잠금부에 잠금되어 프레임의 개방된 부위를 슬로프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s are hinged together so that the slope plates can be hinged together and one end of the slope is hing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lope is locked to the locking part fixed to the frame to close the open part of the frame with a slope Top-down evacu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슬로프 판에는 인장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인장재의 타단은 지렛대에 고정되며, 아래층으로 펼쳐진 슬로프를 인장재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lope plate,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material is fixed to the lever, and the tensile material supports the slope spreading to the lower layer.
제4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전자석으로, 자력에 의해 슬로프의 단부가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s an electromagnet, and the end portion of the slope is fixedly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제6항에 있어서,
전자석은 전원이 공급되면 무자력 상태가 되고 무전원 상태에서 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in a non-magnetic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and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a non-electric state.
제6항에 있어서,
슬로프 판에는 가로부를 받쳐주는 보강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lope plate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for supporting the transvers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장착된 도르래를 더 포함하며,
슬로프 판에는 인장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인장재의 타단은 지렛대에 고정되며, 인장재의 중간은 도르래에 지지된 상태로 인장재가 도르래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아래층으로 펼쳐진 슬로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ulley mounted on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a tensi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lope plate,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material is fixed to the lever,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tensile material is supported by the pulley so that the tensile material is redirected by the pulley to support the slope spreading to the lower layer Device.
위층과 아래층을 구획하는 바닥층에 관통 고정되어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프레임의 개방된 통로의 하부를 개폐하는 계단판과,
계단판과 덮개를 연결하며 계단판이 하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덮개에 전달하여 덮개를 개방하는 지렛대를 포함하며,
계단판은 지지판과 디딤판이 힌지 결합되고, 지지판은 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디딤판의 단부는 지렛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A frame which is fixed by penetration through a bottom layer which separates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art of the opened passage of the frame,
A stepped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part of the opened passage of the frame,
And a lever for connecting the stair plate to the lid and opening the lid by transmit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step plate moving downward to the lid,
Wherein the step plate is hing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tread plate, the support plate is hinged to one lower end of the frame, and the end of the tread plate is hinged to the lever.
제10항에 있어서,
덮개는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제1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프레임을 개폐하고,
지렛대는 계단판과 덮개를 연결하며, 계단판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d is first hinged to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rame to pivot in a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rame,
Wherein the levers connect the ladder plate and the lid, and when the ladder plate is turn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ladle revolves around the hinge connecting the lid and the frame and pivots upward to open the lid.
제11항에 있어서,
덮개에는 장공이 형성된 브래킷이 고정되고, 지렛대의 끝단에 고정된 힌지 축이 장공에 위치하여 지렛대의 선회에 따라 회전축이 장공을 따라 이동하며 덮개를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bracket with a long hole is fixed to the lid, and a hinge shaft fixed to an end of the lever is located in the long hole, and the rotary shaft moves along the long hole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lever, thereby turning the lid.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지렛대는 프레임이 고정된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단은 덮개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계단판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lever is hinged to the cover at one en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at which the frame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tair plate.
제10항에 있어서,
덮개는 프레임의 타측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프레임을 개폐하고,
지렛대의 양단은 덮개의 저면에 그리고 계단판의 끝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계단판이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면 지렛대는 덮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덮개를 상향으로 선회시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id is hinged to the other upper end of the frame and pivo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rame,
Both ends of the lever are hinged to the bottom of the lid and to the end of the stair plate,
Wherein when the stepped plate is turn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lever is pivoted about a hinge connecting the lid and the frame, and the lid is pivoted upward to open the lid.
삭제delete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단판은 프레임의 통로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계단판의 타단은 프레임 또는 바닥층에 고정된 잠금부에 잠금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11, 12, and 14,
And the other end of the step plate is locked and fixed to a lock portion fixed to the frame or the floor layer, with the stepped plate cl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ageway of the frame.
제16항에 있어서,
잠금부는 전자석으로, 자력에 의해 계단판의 단부가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피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s an electromagnet, and the end portion of the step plate is fixedly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KR1020180064130A 2018-06-04 2018-06-04 A Top-Down Escape Apparatus KR101966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30A KR101966850B1 (en) 2018-06-04 2018-06-04 A Top-Down Escape Apparatus
PCT/KR2019/006402 WO2019235774A1 (en) 2018-06-04 2019-05-29 Downward evacu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30A KR101966850B1 (en) 2018-06-04 2018-06-04 A Top-Down Escap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50B1 true KR101966850B1 (en) 2019-04-08

Family

ID=6616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30A KR101966850B1 (en) 2018-06-04 2018-06-04 A Top-Down Escap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835A (en)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Double ceilings refuging device
KR101111292B1 (en) 2011-06-24 2012-02-22 (주)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Emergency ladder
KR101161561B1 (en) * 2010-01-26 2012-07-03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Guardrail on Which a Rotary Type Rescue Ladder is Attach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835A (en) * 1992-11-30 1994-06-14 Naka Ind Ltd Double ceilings refuging device
KR101161561B1 (en) * 2010-01-26 2012-07-03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Guardrail on Which a Rotary Type Rescue Ladder is Attached
KR101111292B1 (en) 2011-06-24 2012-02-22 (주)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Emergency lad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420B1 (en) Shelter apparatus of high floor building
KR101782139B1 (en)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615728B1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101966850B1 (en) A Top-Down Escape Apparatus
KR20130103132A (en) Eemergency shelter apparatus a hatch type
KR101225755B1 (en) Guardrail of veranda for evacuating
KR102252742B1 (en) Fire Escaping Apparatus for Two Neighbors
KR102193664B1 (en) Top-down evacuation ladder for interfloor escape
JPS5926758B2 (en) Rotating evacuation device
KR101141297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017078B1 (en) Escaping apparatus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JPH10127796A (en) Refuge hatch in construction structure
KR101702044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JP4829666B2 (en) Waterproof device
KR101496969B1 (en) The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for building
JPH043990B2 (en)
JPS5929735Y2 (en) Building evacuation device
KR102441598B1 (en) Boxes for installing fire escape ladders
JP3689315B2 (en) Opening and closing floor equipment in buildings
KR101037582B1 (en) Evacuation device having improved collapsible ladder
JPH0921275A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evacuation hatch
KR100702150B1 (en) Escaping means for apartment balco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