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706B1 -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706B1
KR101966706B1 KR1020180019792A KR20180019792A KR101966706B1 KR 101966706 B1 KR101966706 B1 KR 101966706B1 KR 1020180019792 A KR1020180019792 A KR 1020180019792A KR 20180019792 A KR20180019792 A KR 20180019792A KR 101966706 B1 KR101966706 B1 KR 10196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holder
fitting
rail groov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8001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이나 공간을 막고 가리기 위한 가림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된 받침다리와, 싱크대의 밑판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홈이 길이(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받침다리와 마주하는 한쪽 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레일홈과 대응 결합되어 그 길이(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편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 ASSEMBLY OF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밑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틈이나 공간을 막고 받침다리를 가리기 위한 가림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싱크대 바닥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찬장 따위의 각종 주방용 가구의 밑에는 통풍 및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하여 바닥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받쳐주고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다리는 대개 나사 조임 방식으로 좌우로 돌러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하는 접이식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가구의 설치 시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가 가구의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싱크대의 밑에는 일명 걸레받이(baseboard)라고 불리는 가림판을 장착하여 싱크대와 주방의 바닥 사이 공간으로 쓰레기나 음식물 등의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아울러 안쪽의 싱크대 다리 등이 밖으로 보이지 않아 외관도 깔끔하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가림판이 장착된 싱크대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가림판(P)의 상부가 싱크대 다리(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클립(30)의 체결부(31)에 끼워져 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가림판(P)이 싱크대(S)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싱크대 다리(10)에 클립(30)을 먼저 결합한 후 가림판(P)을 클립의 체결부(31)에 끼워야 하는데, 가림판(P)을 클립의 체결부(31)에 끼우는 과정에서 싱크대 다리(10)를 감싸는 형태로 단순 결합된 클립(30)이 상하로 쉽게 승강 및 좌우로 회전됨으로 인해 장착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가림판(P)이 싱크대(S)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을 막는 형태적 특성상 작업자가 현장 여건 등으로 인해 자칫 싱크대 다리(10)를 싱크대(S)에 정확하고 올바르게 장착하지 못하거나 실수로 싱크대 다리(10)에 클립(30)을 결합하지 않고 싱크대(S)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먼저 가림판(P)을 밀어넣을 경우 가림판(P)을 꺼내고, 싱크대 다리(10)를 싱크대(S)에 다시 장착하거나 싱크대 다리(10)에 클립(30)을 결합한 후 가림판(P)을 클립의 체결부(31)에 끼우면서 세워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EP 0066335 A2(1982.05.19) KR 10-1170831 B1(2012.07.27) KR 93-008027 B1(1993.01.15) JP특개평9-140487 A(1997.06.03) KR 20-2001-0002131 U(2001.01.26) KR 20-2010-0008016 U(2010.08.1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싱크대 받침다리를 이용하여 가림판을 설치 시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싱크대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한 가림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싱크대의 설치 시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싱크대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한 가림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된 받침다리와, 싱크대의 밑판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홈이 길이(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홀더 및 상기 받침다리와 마주하는 한쪽 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움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레일홈과 대응 결합되어 그 길이(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편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싱크대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을 막기 위한 가림판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끼움돌기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멍은, 상기 끼움돌기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에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카운터싱크가 형성됨으로써 가림판을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레일홈은, 상기 홀더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앞뒤 방향으로 뚫은 안내구멍과, 상기 홀더의 상면에서 상기 안내구멍과 통하도록 형성된 슬롯과, 상기 안내구멍 및 상기 슬롯에 의해 형성된 레일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편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구멍 및 상기 슬롯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림판을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홀더가 클램프를 매개로 받침다리에 결합되어 싱크대 밑과 실내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림판을 한결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 밑과 주방의 바닥면 사이 공간으로 쓰레기나 음식물 등의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틈새와 받침다리를 가리기 위한 제 위치에 가림판을 더욱 쉽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더구나 작업자가 가림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클램프와 받침다리를 서로 정확하게 마주하도록 위치시키지 못하더라도 클램프의 끼움구멍 개수 및 형성 범위가 받침다리의 끼움돌기 개수 및 형성 범위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많고 넓기 때문에 홀더에 대하여 클램프를 어림잡은 일정 위치로 미끄럼 이동시켜서 받침다리와 수월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신속성과 편의성 및 능률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싱크대 받침다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받침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홀더와 클램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홀더와 클램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는,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을 통해 싱크대에 장착하는 받침다리(100)와, 싱크대의 밑판(F)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는 홀더(200)와, 받침다리(100)와 홀더(200)를 체결하여 가림판(P)을 지지하는 클램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다리>
받침다리(100)는 싱크대를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세우고 떠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사방 중 적어도 한쪽 측면에는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110)는 받침다리(100)의 양쪽 측면에 다수 개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클램프(300)의 끼움구멍(310) 속으로 수월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각각의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다리(100)는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는 제1부재(101)와, 제1부재(101)에 끼움 결합되어 싱크대의 밑판(F)을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쳐서 지지하는 제2부재(102) 및 제2부재(102)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부재(101)(102)를 승강시키어 싱크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3부재(1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부재(101)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는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심부에는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에 삽입하기 위한 원통형 고정체(120)가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확장되도록 다수 개로 분할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제2부재(102)와의 끼움 결합을 위한 중공관(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재(101)의 상면은 싱크대의 밑판(F)과 안정적인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넓이를 가지는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부재(101)의 가장자리에는 싱크대의 밑판(F)과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못구멍이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고정체(120)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에 견고하게 끼워져 박혀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돌기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뾰족한 톱니형 등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부재(102)의 중앙부 상면에는 고정체(120)의 중공 속에 삽입과 동시에 회전 시 고정체(120)를 외향으로 확장시키는 작동돌기(140)가 고정체(120)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하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는 제3부재(103)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나사부(150)는 싱크대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면서 수월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을 등변사다리꼴 등과 같이 쉽게 마모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부재(103)의 안쪽 둘레 면에는 제2부재의 수나사부(150)와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하면 중심부에는 바닥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 회전조작이 원활하도록 안내하는 피벗돌기(1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3부재(103)는 그 회전 조작에 따른 길이 가변을 통해 제1 및 제2부재(101)(102)를 동시에 승강시켜서 바닥면에 대한 싱크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제2부재의 수나사부(150)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3부재(103)의 하부 바깥쪽 면 둘레에는 작업자가 높낮이 조절에 따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요철은 제3부재(103)의 하부 바깥쪽 둘레 면을 손으로 잡고 돌릴 때 헛돌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로 또는 경사지게 톱니 모양 또는 깔쭉깔쭉하거나 우툴두툴한 자국을 낼 수 있고, 또는 평면상에서 볼 때 외주면이 세레이션(serration), 스플라인(spline),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제2부재(102)의 하부 바깥쪽 면 둘레와, 제3부재(103)의 상부 안쪽 면 둘레에 암수형 나사산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제2부재(102)의 의 하부 안쪽 면 둘레와, 제3부재(103)의 상부 바깥쪽 면 둘레에 암수형 나사산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제2부재(102)의 하단부가 제3부재(103)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서로 맞물리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홀더>
홀더(200)는 싱크대의 밑판(F)과 바닥면 사이의 틈을 차단 및 가리기 위해 받침다리(100)의 한쪽 면 앞에 설치하는 가림판(P)을 잡아서 지지하는 것으로, 가림판(P)이 싱크대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가림판(P)의 상부에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00)의 상면에는 클램프(300)와 끼움 결합을 위한 레일홈(210)이 길이(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레일홈(210)의 상면 한쪽 가장자리에는 싱크대의 밑판(F)과 접촉 시 탄성에 의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연질 소재의 밀착부(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더(200)의 밀착부(220)는 탄성 또는 유연성을 갖도록 이종의 플라스틱 재료를 조합하여 이중사출 성형공법으로 제작함으로써, 설계 오차나 설치장소의 여건 등에 의해 싱크대 밑판(F)과 가림판(F) 사이에 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자연스럽게 막아서 가림판(P)이 싱크대의 밑판(F)과 바닥면 사이의 틈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등 한층 더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홈(210)의 하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홈(210)은 홀더(200)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앞뒤 방향으로 뚫은 안내구멍(211)과, 홀더(200)의 상면에서 안내구멍(211)과 통하도록 형성된 슬롯(212)과, 안내구멍(211) 및 슬롯(212)에 의해 형성된 레일헤드(213)로 이루어져 있다.
즉, 레일홈(210)은 단면의 형상이 홈형강의 가장자리를 다시 접은 형태를 갖는 마치 립 홈형강(lip cha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
클램프(300)는 가림판(P)이 받침다리(100)의 한쪽 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다리(100)와 홀더(200)를 체결하는 것으로, 받침다리(100)와 마주하는 한쪽 면에는 끼움돌기(110)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움구멍(310)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홀더(200)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레일홈(210)과 대응 결합되어 그 길이(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편(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편(320)은 레일홈(210)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구멍(211) 및 슬롯(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슬라이더편(320)의 상하 두께 및 좌우 폭은 레일홈(210)의 상하 간격 및 좌우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클램프(300)는 횡단면이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마치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수직부상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구멍(310)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상의 하면에 횡단면의 형상이 마치 'ㅗ' 자형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편(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끼움구멍(310)은 특정 위치에 상관없이 끼움돌기(110)와의 끼움 결합이 한결 자연스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그 내경이 끼움돌기(1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아울러 끼움돌기(110)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끼움돌기(110)는 상하 3개를 좌우 3줄로 배열하여 총 9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끼움구멍(310)은 상하 6개를 좌우 18줄로 배열하여 총 102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310)들에는 가림판(P)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도 끼움돌기(110)에 끼울 수 있고, 혹은 비스듬히 세운 상태로도 끼움돌기(110)에 끼우기가 쉽도록 하기 위해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카운터싱크(3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중 받침다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 안으로 제1부재(l01)의 고정체(120)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상면을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부재(102)를 조이거나 강하게 때리어 박음으로써 싱크대의 밑판(F)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의 밑판(F)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싱크대에 장착 시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이고 효율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가림판(P)의 상단에 홀더(200)를 끼운 상태로 그 레일홈(210) 상에 클램프(300)의 슬라이더편(320)을 끼운 후, 클램프의 끼움구멍(310)을 받침다리의 끼움돌기(110)에 선택적으로 맞춰 끼움으로써 가림판(P)이 견고하게 설치 및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가림판(P)이 받침다리(100)와 홀더(200) 및 클램프(300)에 의해 지지 및 안정적으로 세워지므로 외력을 받더라도 싱크대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300)는 홀더의 레일홈(210)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위치 이동이 자유롭고, 아울러 끼움구멍(310)의 개수가 끼움돌기(110)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많은 구조이기 때문에 클램프(300)와 받침다리(100) 상호 간의 결합 및 장착이 한결 수월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설치현장 여건이나 작업자의 미숙 등으로 인해 클램프(300)의 위치가 받침다리(100)와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싱크대 밑과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가림판(P)을 밀어넣고 똑바로 세운 상태로 클램프(300)의 끼움구멍(310)에 받침다리의 끼움돌기(110)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끼울 수 있어 작업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싱크대의 설치 높이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피벗돌기(170)의 윤활 작용으로 제3부재(103)의 마찰면적이 최소화되어 쉽게 미끄러지면서 부드럽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받침다리(100)의 승강 작동이 한층 더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는, 홀더(200')의 레일홈(210)이 받침다리(100)와 마주하는 측면, 즉 클램프(300')와 마주하는 면에 그 길이(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 결합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클램프(300')의 슬라이더편(320)이 그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싱크대의 밑판(F)과 가림판(P)의 상단 사이에서 서로 대응 결합되는 레일홈(210)과 슬라이더편(320)에 비하여 마찰이 적어 미끄럼 이동이 한결 원활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클램프(300')와 받침다리(100) 간의 결합이 더욱 빠르고 용이하여 가림판(P)을 정확한 위치에 한층 더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싱크대를 비롯하여 장롱, 찬장, 책장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밑면에 장착하여 가구를 바닥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받쳐주고 지지하기 위한 받침다리로 이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받침다리 110: 끼움돌기
200: 홀더 210: 레일홈
300: 클램프 310: 끼움구멍
P: 가림판 F: 싱크대 밑판

Claims (6)

  1.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다리(100);
    싱크대의 밑판(F)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수평) 방향으로 레일홈(210)이 형성된 홀더(200); 및
    상기 받침다리(10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끼움돌기(110)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움구멍(310)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홀더(200)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레일홈(210)과 대응 결합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편(320)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110)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310)은, 상기 끼움돌기(110)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에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카운터싱크(3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210)은, 상기 홀더(200)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앞뒤 방향으로 뚫은 안내구멍(211)과, 상기 홀더(200)의 한쪽 면에서 상기 안내구멍(211)과 통하도록 형성된 슬롯(212)과, 상기 안내구멍(211) 및 상기 슬롯(212)에 의해 형성된 레일헤드(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편(320)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구멍(211) 및 상기 슬롯(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200)는, 상기 레일홈(210)의 상면 한쪽 가장자리에 싱크대의 밑판(F)과 접촉 시 탄성에 의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밀착되도록 연질 소재의 밀착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10)의 하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리(100)는,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 중심부에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에 삽입하기 위한 원통형 고정체(120)가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확장되도록 다수 개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하면에 중공관(130)이 형성된 제1부재(101);
    상기 제1부재(101)의 중공관(130)에 끼움 결합되어 싱크대의 밑판(F)을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쳐서 지지하고, 상면에 상기 고정체(120)의 중공 속에 삽입과 동시에 회전 시 상기 고정체(120)를 외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상기 고정체(120)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작동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수나사부(150)가 형성된 제2부재(102); 및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재(101)(102)를 승강시키어 싱크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안쪽 둘레 면에 상기 제2부재의 수나사부(150)와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160)가 형성되고, 하면 중심부에 바닥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 회전조작이 원활하도록 안내하는 피벗돌기(170)가 형성된 제3부재(103);
    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2.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된 받침다리(100);
    싱크대의 밑판(F)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받침다리(100)와 마주하는 측면에 길이(수평) 방향으로 레일홈(210)이 형성된 홀더(200); 및
    상기 받침다리(10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끼움돌기(110)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끼움구멍(310)이 다수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쪽에 상기 레일홈(210)과 대응 결합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편(320)이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돌기(110)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310)은, 상기 끼움돌기(110)의 개수보다 적어도 2배수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에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원뿔형으로 넓어지는 카운터싱크(3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210)은, 상기 홀더(200)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앞뒤 방향으로 뚫은 안내구멍(211)과, 상기 홀더(200)의 한쪽 면에서 상기 안내구멍(211)과 통하도록 형성된 슬롯(212)과, 상기 안내구멍(211) 및 상기 슬롯(212)에 의해 형성된 레일헤드(2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편(320)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구멍(211) 및 상기 슬롯(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200)는, 상기 레일홈(210)의 상면 한쪽 가장자리에 싱크대의 밑판(F)과 접촉 시 탄성에 의해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밀착되도록 연질 소재의 밀착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210)의 하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가림판(P)의 상단을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잡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리(100)는, 상면이 싱크대의 밑판(F)에 밀착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면에 끼움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며, 상면 중심부에 싱크대의 밑판(F)에 형성된 장착구멍(G)에 삽입하기 위한 원통형 고정체(120)가 외력을 받을 시 탄력적으로 확장되도록 다수 개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하면에 중공관(130)이 형성된 제1부재(101);
    상기 제1부재(101)의 중공관(130)에 끼움 결합되어 싱크대의 밑판(F)을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쳐서 지지하고, 상면에 상기 고정체(120)의 중공 속에 삽입과 동시에 회전 시 상기 고정체(120)를 외향으로 확장시키도록 상기 고정체(120)의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작동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의 바깥쪽 둘레 면에 수나사부(150)가 형성된 제2부재(102); 및
    회전 조작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재(101)(102)를 승강시키어 싱크대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안쪽 둘레 면에 상기 제2부재의 수나사부(150)와 대응 결합되는 암나사부(160)가 형성되고, 하면 중심부에 바닥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줄여 회전조작이 원활하도록 안내하는 피벗돌기(170)가 형성된 제3부재(103);
    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9792A 2018-02-20 2018-02-20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KR10196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92A KR101966706B1 (ko) 2018-02-20 2018-02-20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92A KR101966706B1 (ko) 2018-02-20 2018-02-20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706B1 true KR101966706B1 (ko) 2019-04-08

Family

ID=6616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92A KR101966706B1 (ko) 2018-02-20 2018-02-20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70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335A (ja) 1986-08-30 1988-03-25 ヴエ−・ライネルス・フエルヴアル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紡績機とワインダとの間の循環内に存在する巻管の数を一定に保つための装置
KR930008027A (ko) 1991-10-10 1993-05-20 아더 엠. 킹 실리콘 폴리에테르 알킬 코폴리머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9140487A (ja) 1995-11-23 1997-06-03 Nifco Inc 支持脚
KR20010002131U (ko) 1999-06-30 2001-01-26 이철수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EP1362530A1 (en) * 2002-05-17 2003-11-19 SCILM S.p.A. Device for coupling the baseboard of a piece of furniture to the foot of said piece of furniture
KR20100008016U (ko) 2009-02-03 2010-08-12 김종원 싱크대의 다리 설치구조
KR20110025457A (ko) *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월드테크 가구용 받침대
KR101170831B1 (ko) 2008-10-17 2012-08-02 김종원 가림판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싱크대 다리
KR20150132911A (ko) * 2014-05-19 2015-11-27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335A (ja) 1986-08-30 1988-03-25 ヴエ−・ライネルス・フエルヴアル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紡績機とワインダとの間の循環内に存在する巻管の数を一定に保つための装置
KR930008027A (ko) 1991-10-10 1993-05-20 아더 엠. 킹 실리콘 폴리에테르 알킬 코폴리머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9140487A (ja) 1995-11-23 1997-06-03 Nifco Inc 支持脚
KR20010002131U (ko) 1999-06-30 2001-01-26 이철수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EP1362530A1 (en) * 2002-05-17 2003-11-19 SCILM S.p.A. Device for coupling the baseboard of a piece of furniture to the foot of said piece of furniture
KR101170831B1 (ko) 2008-10-17 2012-08-02 김종원 가림판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싱크대 다리
KR20100008016U (ko) 2009-02-03 2010-08-12 김종원 싱크대의 다리 설치구조
KR20110025457A (ko) *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월드테크 가구용 받침대
KR20150132911A (ko) * 2014-05-19 2015-11-27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7214A (en) Shelves
CN109041576B (zh) 用于连接组件的两件插入式联接器
US9486113B2 (en) Bathtub apron assembly
KR101966706B1 (ko) 싱크대의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KR20110033631A (ko) 가구용 받침대
KR102241841B1 (ko) 싱크대 바닥 가림판용 마운팅 어셈블리
CA3061998A1 (en) Rail profile with attachment mechanism and related methods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CA3061999A1 (en) Rail profile with attachment mechanism and related methods
KR20190131674A (ko) 싱크대 바닥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CA3034500A1 (en) Hanging rack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KR102133409B1 (ko) 싱크대 바닥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KR20190090245A (ko) 가림판 장착형 싱크대 받침다리
US20070199272A1 (en) No tool locking key-hole plug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CA2584946A1 (en) Mounting assembly with releasable lock
KR102214743B1 (ko) 싱크대 바닥 가림판용 마운팅 어셈블리
JP6534346B2 (ja) 浴室部材の締結構造
CA2355537C (en) Handle grommet assembly
KR200484207Y1 (ko)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KR102199822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0163611Y1 (ko) 주방가구용 마감재의 설치기구
KR20100089420A (ko) 싱크대 다리
JP6611285B1 (ja) 壁掛けバー及びその取付構造
KR101162580B1 (ko) 싱크대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