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85B1 -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85B1
KR101966685B1 KR1020180106880A KR20180106880A KR101966685B1 KR 101966685 B1 KR101966685 B1 KR 101966685B1 KR 1020180106880 A KR1020180106880 A KR 1020180106880A KR 20180106880 A KR20180106880 A KR 20180106880A KR 101966685 B1 KR101966685 B1 KR 10196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ot device
power
switch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린
김영재
양국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더스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더스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더스플래닛
Priority to KR102018010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OE 스위치가 정전이 되더라도 그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시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의 서비스를 일정 시간 지속되도록 하면서 우선순위에 따라 IoT 장치들의 전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제공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을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감지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팩(103)과; 상기 전원공급부(101)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전원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스위치(104)와; 상기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패터리 팩(103)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POE SWITCH INCLUDING BUILT-IN BATTER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OE 스위치가 정전이 되더라도 그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시켜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의 서비스를 일정 시간 지속되도록 하면서 우선순위에 따라 IoT 장치들의 전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E(Power OVER Ethernet)라 함은 CAT5 이더넷 라인에 데이터와 함께 DC 전원을 실어서 보내는 기술로, IEEE에 의해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802.3af와 802.3at라는 두가지 표준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CCTV를 곳곳에 설치하려 한다고 할 때, 카메라의 전원을 위한 전력선과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선을 각각 가설해야 하는데, 영상신호는 디지털로 변환하여 이더넷으로 전송하고 카메라 구동을 위한 전력도 POE를 이용해서 전원을 공급한다면 회선 설치가 상당히 간단해질 수 있는 이유로, CCTV 외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IoT 기기(Internet of things), IP(Internet Protocol) 전화기, 무선 AP(Access Point), 센서 등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역시 회선 설치를 간단히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의 POE 스위치는 IoT 기기의 증가와 전원 공급의 편리함 그리고 케이블의 전송거리 한계로 인해서 점차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는 POE 스위치는 장치의 안정적 동작을 위해서 전원의 이중화가 필요하지만, 전력 요금이나 설치상의 애로사항을 고려할 때 보편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외부에 POE 스위치 설치시 보조 전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배터리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한 함체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함체가 설치될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공간 마련과 관련한 임대료가 발생하거나 별도의 시공에 따른 각종 자재 구매비, 인건비 등의 부대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OE 스위치는 하나의 케이블로 전원과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는 편리함 때문에 CCTV, IP 전화기, 다양한 IoT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의 POE 스위치 구조에 따르면 공급하는 전원부가 고장이 발생하거나 정전이 발생하면 POE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해 서비스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POE 스위치에는 다양한 장치가 연결되는데, 각각의 장치별로 전력 소모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까지는 체계적으로 POE 스위치의 전력 관리를 수행하는 방안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한된 전력 공급 상황에서 POE 스위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542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764 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POE 스위치에서 정전이나 고장이 복구되기 전까지 내장한 배터리를 통해 다른 접속 기기들에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OE 스위치 내장 배터리 전원의 지능적 관리를 위해 스위치와 연결된 기기들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사용 효율을 높이도록 기능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의 출력을 제1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팩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으로 전원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제1 감지센서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 전환 스위치를 제어하여 보조 패터리 팩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센서가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치 이하인 것을 감지하는 경우,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IoT 기기의 우선순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 설정모듈은 IoT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하며, 상기 IoT 기기는 우선순위에 따라 재난 감지기, 신체활동 감지기, 실시간 통신기, 인터넷 서비스 기기 및 기타 기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감지센서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출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이 없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제1 전환 스위치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 팩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감지센서를 통해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제2 전환 스위치를 제어하여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POE 스위치에 IoT 기기 연결 시,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IoT 기기의 MAC 정보를 POE 스위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POE 스위치에 등록된 MAC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IoT 기기에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부여할 시에 MAC 테이블에 해당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는 종래의 POE 스위치 구조를 POE 스위치에 배터리를 내장하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중요한 센서가 내장된 IoT 기기나 범죄 지역의 CCTV 등에 전원이 복구되기 전까지 중단없이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OE 스위치의 각 포트에 연결된 IoT 기기, CCTV 등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배터리 전원 사용 시 중요도의 우선순위에 따라 연결된 기기의 전원을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배터리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단전 상황에서도 POE 스위치와 연결된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오랫동안 외부전원 공급 없이 지속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의 제어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기의 전원공급 우선순위 결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을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감지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전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치에서 보조 배터리 팩(103), 제1 전환 스위치(104), 마이크로컨트롤러(105)를 포함시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oT 기기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팩(103)과, 전원공급부(101)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전원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스위치(104)와,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 팩(103)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전원공급부(101)가 POE 스위치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가운데, 이러한 전원공급부(101)의 전원 공급 상황을 제1 감지센서(102)가 모니터링하게 되는 한편, 정전 또는 전원공급부(101) 계통의 이상 발생으로 인해 POE 스위치로 전원이 공급 불가한 상황을 제1 감지센서(102)가 감지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제1 전환 스위치(104)를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전환시켜 POE 스위치의 구동과 IoT 기기로의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POE 스위치의 구성요소인 PSE 컨트롤러(Power Sourcing Equipment Controller), 이더넷 디바이스(Ethernet Device), RJ45를 통해 IoT 기기를 포함한 외부 기기로의 전원 공급과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게 되는데, PSE 컨트롤러는 IoT 기기와 같은 PD(Powered Device)에 전원 및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하거나 데이터만 제공하도록 지원하고, 이더넷 디바이스는 IoT 기기간 데이터와 관련된 통신을 지원하며, RJ45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과 함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포트를 제공한다.
또한, POE 스위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DC로 변환하거나 DC 전원을 DC로 변환하기 위한 AC to DC 또는 DC to DC 변환부가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감지센서(106)는 단독으로 보조 배터리 팩(103)의 성능이나 충전 상태 등과 관련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제2 전환 스위치(107)와 연계하여 IoT 기기로의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감지센서(106)가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그 수준이 설정치 이하인 것을 감지하는 경우,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전환 스위치(10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전류가 설정치 이하인 것을 제2 감지센서(106)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확인하게 되면 IoT 기기로 전원 공급 또는 차단되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2 전환 스위치(107)의 제어에 의해 PoE 스위치와 연결된 IoT 기기의 전원공급을 순차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는 IoT 기기의 우선순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설정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우선순위 설정모듈은 제조사별 IoT 기기의 용도에 따른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분류하기 위한 MAC 테이블로 저장하게 되며, MAC 테이블은 POE 스위치에 연결되는 IoT 기기에 대해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설정할 경우 그 IoT 기기의 추출된 MAC 정보(제조사 정보 포함 가능)와의 비교를 통해 IoT 기기의 우순순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IoT 기기는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전원공급을 위한 우선순위에 따라 재난 감지기, 신체활동 감지기, 실시간 통신기, 인터넷 서비스 기기 및 기타 기기(상위 우선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순위 IoT 기기 서비스 정의 IoT 기기 종류의 예
1 재난 감지기
(Human Safe and Save Service)
CCTV, 화재 감재기, 침입 감지기
2 신체활동 감지기
(Health Care Service)
심박 측정기, 혈당 측정기, 환자 동작 감지기
3 실시간 통신기
(Real Time Communication Service)
IP 전화기, IPTV 셋탑박스
4 인터넷 서비스 기기
(Internet Data Service)
WiFi 무선장치, 유선모뎀(ONT)
5 기타 기기
(Others)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안전 및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기의 전원이 가장 나중에 차단되는 것으로 우선순위 1 내지 우선순위 5를 정의하며, 이러한 등급으로 구분되는 우선순위의 설정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의 제어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제어 방법은 전원공급부(101) 출력 확인 단계와,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IoT 기기 전원을 전환하는 단계와, 보조 배터리 팩(103)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우선순위에 따라 IoT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전원공급부(101)의 출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이 없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 팩(103)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와, 제2 감지센서(106)를 통해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와,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제2 전환 스위치(107)를 제어하여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전원공급부(101)가 주전원으로 동작 중에 제1 감지센서(102)에서 전원공급이 없음을 인지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105)는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전환하여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연결된 IoT 기기들에 전원공급을 시작하며, 제2 감지센서(106)는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전류가 설정치 이하로 변화가 있는지 감시하다가 변화가 있으면 마이크로컨트롤러(105)를 통해 제2 전환 스위치(107)를 전환 시켜 우선순위에 따라 RJ45 포트별로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POE 스위치 제어 과정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1) 전원공급부(101)가 IoT 기기의 주전원으로 동작
2) 제1 감지센서(102)가 전원공급부(101)의 전원공급 여부 모니터링
3) 전원공급부(101)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는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IoT 기기의 전원 전환
4) 보조 배터리 팩(103)이 IoT 기기에 전원 공급 개시
5) 제2 감지센서(106)가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전류 모니터링
6) 전압, 전류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는 제2 전환 스위치(107)를 제어하여 미리 규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IoT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순차적으로 차단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OE 스위치에 IoT 기기 연결 시,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부여하는 단계와, IoT 기기의 MAC 정보를 POE 스위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POE 스위치에 등록된 MAC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하는 단계와, IoT 기기에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부여할 시에 MAC 테이블에 해당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은 상기 IoT 기기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과정에 따라 IoT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수동으로 우선순위를 등록하거나, 사전에 IOT 기기의 사용 용도를 등급별로 POE 스위치에 등록하여 IoT 기기가 연결되면 MAC 정보를 자동 검색하여 우선순위별로 IoT 기기들을 분류함으로써 자동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는 방식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POE 스위치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 팩(103)의 효율적 전원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기의 전원공급 우선순위 결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IoT 기기의 우선순위 결정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1) 제조사 IoT 기기의 용도에 따라 MAC 정보를 POE 스위치에 등록
2) 등록된 MAC 정보를 IoT 기기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
3) POE 스위치 동작
4) POE 스위치에 IoT 기기 연결
5) IoT 기기의 우선순위 자동 또는 수동 설정 여부 확인 후, 수동 설정이면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등록
6) 자동 설정인 경우, IoT 기기의 제조사 정보 및 MAC 정보를 추출
7) 등록된 MAC 테이블에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있는지 확인
8) MAC 테이블에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없으면 우선순위 5등급으로 설정
9) MAC 테이블에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있으면 해당 우선순위 등급으로 설정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을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감지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전원 및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POE(Power Over Ethernet)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팩(103)과;
    상기 전원공급부(101)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103)으로 전원을 전환하기 위한 제1 전환 스위치(104)와;
    상기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이 없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패터리 팩(103)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05);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센서(106)가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치 이하인 것을 감지하는 경우,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전환 스위치(10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의 우선순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설정모듈은 IoT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우선순위에 따라 재난 감지기, 신체활동 감지기, 실시간 통신기, 인터넷 서비스 기기 및 기타 기기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102)를 통해 전원공급부(101)의 출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공급부(101)의 출력이 없는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제1 전환 스위치(104)를 제어하여 보조 배터리 팩(103)이 IoT 기기 전원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감지센서(106)를 통해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 배터리 팩(103)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105)가 제2 전환 스위치(107)를 제어하여 IoT 기기에 미리 규정된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적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OE 스위치에 IoT 기기 연결 시,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IoT 기기의 MAC 정보를 POE 스위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POE 스위치에 등록된 MAC 정보를 전원공급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하여 MAC 테이블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에 전원공급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부여할 시에 MAC 테이블에 해당 IoT 기기의 MAC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제어 방법.







KR1020180106880A 2018-09-07 2018-09-07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66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80A KR101966685B1 (ko) 2018-09-07 2018-09-07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80A KR101966685B1 (ko) 2018-09-07 2018-09-07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685B1 true KR101966685B1 (ko) 2019-04-08

Family

ID=6616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80A KR101966685B1 (ko) 2018-09-07 2018-09-07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360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작업 현장에서 유해가스와 화재를 감지하는 IoT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98431A (ko) 2021-12-24 2023-07-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시 가용 전력의 선별적인 공급시스템
WO2023225688A1 (en) * 2022-05-20 2023-11-23 Peak Roots, Inc. Horticulture autom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17389401A (zh) * 2023-12-11 2024-01-12 西昌学院 一种计算机内置断电保护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764A (ko) 2008-06-10 2009-10-22 강민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10054199A (ko) * 2009-11-17 2011-05-25 (주)텔콤코리아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KR20110072912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316336A1 (en) * 2010-06-24 2011-12-29 Toru Okubo Device mounted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KR20130066100A (ko) * 2011-12-12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6542B1 (ko) 2007-08-10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E를 이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과 그 전원장치 및전원제어방법
KR20150040894A (ko) * 2012-07-31 2015-04-15 커샘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전력 그리드에 대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와 그리드 엘리먼트들의 네트워크 관리
KR20160031216A (ko) * 2014-09-12 2016-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60102410A (ko) * 2013-12-19 2016-08-30 비티유 리서치 엘엘씨 PoE 장치로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42B1 (ko) 2007-08-10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E를 이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시스템과 그 전원장치 및전원제어방법
KR20090110764A (ko) 2008-06-10 2009-10-22 강민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10054199A (ko) * 2009-11-17 2011-05-25 (주)텔콤코리아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KR20110072912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316336A1 (en) * 2010-06-24 2011-12-29 Toru Okubo Device mounted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KR20130066100A (ko) * 2011-12-12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40894A (ko) * 2012-07-31 2015-04-15 커샘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전력 그리드에 대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와 그리드 엘리먼트들의 네트워크 관리
KR20160102410A (ko) * 2013-12-19 2016-08-30 비티유 리서치 엘엘씨 PoE 장치로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216A (ko) * 2014-09-12 2016-03-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360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작업 현장에서 유해가스와 화재를 감지하는 IoT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76393B1 (ko) * 2020-12-24 2022-12-1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작업 현장에서 유해가스와 화재를 감지하는 IoT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98431A (ko) 2021-12-24 2023-07-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시 가용 전력의 선별적인 공급시스템
WO2023225688A1 (en) * 2022-05-20 2023-11-23 Peak Roots, Inc. Horticulture autom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17389401A (zh) * 2023-12-11 2024-01-12 西昌学院 一种计算机内置断电保护系统
CN117389401B (zh) * 2023-12-11 2024-02-23 西昌学院 一种计算机内置断电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685B1 (ko) 배터리 내장형 poe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385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uninterruptible power to a PoE device
US7081827B2 (en) Power over Ethernet-prioritized active splitter
US7886165B2 (en) Power management for Power-over-Ethernet-capable switch
TWI474666B (zh) 電源管理方法及電源管理裝置
US9019114B1 (en) Device management module, remote management module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employing same
US8749095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suitable for audio visual apparatus
US20070254609A1 (en) Wireless Switch Wi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201000015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ckup power
JP2009153339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US7446654B2 (en) Monitored voltage inverter for security system
US11082243B2 (en) Power management device for immediate start-up during power negotiation
KR20110054199A (ko) 전원 공급 메니지먼트 poe허브
KR10211516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led 조명 관제 시스템
CN210518368U (zh) PoE供电系统
KR100954812B1 (ko) 내부 통신망 관리 시스템
JP200917792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アウトレット
US11564114B2 (en) Premises communication hub
JP2009159654A (ja) 直流機器およびdc配電システム
JP2007102637A (ja) 緊急通信用宅内装置
CN114339836A (zh) 一种服务器的通信管理设备
WO2018009481A1 (en) Supplying uninterruptible power to a poe device
JP2002009986A (ja) 電子交換機における局給電対応isdn加入者回路の消費電力低減方法および電子交換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