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50B1 -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50B1
KR101966350B1 KR1020110025962A KR20110025962A KR101966350B1 KR 101966350 B1 KR101966350 B1 KR 101966350B1 KR 1020110025962 A KR1020110025962 A KR 1020110025962A KR 20110025962 A KR20110025962 A KR 20110025962A KR 101966350 B1 KR101966350 B1 KR 10196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cutout
emitting device
auxilia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285A (ko
Inventor
강호철
이승준
임혁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2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전극과,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마련된 유기물층과, 제 1 또는 제 2 전극의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보조 전극과, 보조 전극이 연결된 제 1 또는 제 2 전극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휘도를 갖는 대면적 유기 발광 소자(Orgnic Light Emitt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이하 "OLED"라 함)는 하부 및 상부 전극 사이에 유기막이 마련되고, 두 전극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 두 전극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홀이 유기막에서 결합하여 빛을 발생하는 능동 발광형 소자이다. 이러한 OLED는 얇고 가벼우며, 고휘도, 저전력 소비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O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으며, 백색광 및 단색광을 방출하는 조명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OLED는 광이 방출되는 방향의 전극으로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물질은 전기저항이 높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 전력 손실이 발생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의 선단과 후단 사이에 기전력 구배가 심하게 발생된다. 기전력 구배로 인하여 전극의 선단에서 멀어질수록 휘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런데, OLED가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면 작은 사이즈의 픽셀 단위로 구동되기 때문에 픽셀 내의 휘도 불균일 문제는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OLED가 조명으로 사용되면 대면적 발광이 가능해야 하고, 그에 따라 OLED 내의 전류 분포가 불균일할 경우 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불균일한 휘도는 2차적으로 OLED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열화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극 상에 금속 등을 이용한 보조 전극을 더 형성하여 전체적인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투명 전극의 측면에 Ag 등으로 보조 전극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전원이 인가되는 하부 전극의 선단에서 공급된 전류가 보조 전극을 통하여 흐르면서 하부 전극으로 흘러 발광시키게 된다. 그러나, 길이가 폭보다 긴 바(bar) 형태 또는 바 형태를 중첩한 대면적에서는 보조 전극의 전도도 보상만으로는 길이 방향으로의 전압 강하와 이에 따른 전류 밀도 감소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원의 인가되는 선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류 불균일에 따른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는 대면적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조 전극이 형성되는 연결되는 전극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류 불균일에 따른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는 대면적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발광 소자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마련된 유기물층;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극의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보조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유기물층, 보조 전극 및 절개부는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층 형성된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극의 어느 하나는 상기 유기물층에 홀을 공급하는 양극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유기물층에 전자를 공급하는 음극이다.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양극의 일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보조 전극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전극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보조 전극과 중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보조 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의 일변과 교차되는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변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전극의 서로 대향되는 두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대각 방향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전극의 상기 두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1 전극의 상기 두 일변을 따라 적어도 둘 형성된다.
동일 측의 일변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절개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두 일변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두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절개부는 서로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양극의 상기 일변의 길이에 대하여 1/64 내지 1/2의 길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는 비저항이 높은 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전극의 가장자리 상부에 보조 전극이 형성되고, 보조 전극과 이격되어 전극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절개부가 형성된다. 절개부가 형성되면,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보조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전압 강하가 최소화되어 전극의 중앙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중앙부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중앙부와 외곽부의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균일한 휘도의 대면적 발광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극의 형상에 따라 절개부의 형상이 변형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발광 소자에 적용 가능하며,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발광 소자와 서로 대각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특성 그래프.
도 10 내지 도 15는 서로 대각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두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절개부의 길이에 따른 특성 그래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기판 측으로 광이 방출되고, 길이(L)가 폭(W)보다 긴 바(bar) 형태의 발광 소자를 예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기판(100)과, 기판(1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110)과, 제 1 전극(110) 상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보조 전극(120)과, 제 1 전극(110) 상부의 제 2 영역에 형성된 유기물층(130)과, 유기물층(130) 상부에 형성된 제 2 전극(140)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극(110, 140)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절개부(150)를 더 포함하는데, 절개부(150)는 보조 전극(120)과 유기물층(13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110) 상부에 보조 전극(120) 및 유기물층(13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보조 전극(120)과 유기물층(130) 사이에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기판(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 발광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기판(100)은 소자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휨 정도에 따라 경성(rigid) 기판 또는 연성(flexible) 기판을 이용할 수 있고, 전도성에 따라 절연성 기판, 반도체성 기판 또는 도전성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투광성에 따라 투광성 기판, 반투광성 기판 또는 불투광성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으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PE, PES, PET, PEN 등), 유리 기판, Al2O3 기판, SiC 기판, ZnO 기판, Si 기판, GaAs 기판, GaP 기판, LiAl2O3 기판, BN 기판, AlN 기판, SOI 기판 및 GaN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광이 기판(100) 측으로 방출되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의 경우 투광성 기판을 이용해야 한다. 또한, 반도체성 기판 또는 도전성 기판을 이용하는 경우 기판(100) 상에 절연막을 형성해야 하며, 하부 발광 방식의 경우 투명 절연막을 이용해야 한다.
제 1 전극(110)은 유기물층(130)에 홀을 공급하기 위한 양극의 역할을 한다. 제 1 전극(110)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티오펜(polythiophene)등을 포함한 화학적으로 도핑(chemically-doping)된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mer)들이 제 1 전극(11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10)은 서로 직교하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길이(L)가 폭(W)보다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전극(120)은 제 1 전극(110) 상부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보조 전극(120)은 제 1 전극(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전극(110)의 일 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조 전극(120)은 소정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데, 제 1 전극(110)과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전극(120)은 제 1 전극(110)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r, Mo, Ni, Pt, Au, Ag 등의 금속 또는 그 화합물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물층(130)은 홀과 전자가 결합되어 광을 생성하며, 보조 전극(120)과 이격되어 제 1 전극(110) 상부에 형성된다. 유기물층(130)은 유기 발광층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높은 발광 휘도나 효율을 얻기 위하여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물층(130)은 홀 주입층, 홀 전달층, 유기 발광층, 전자 전달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의 발광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저분자 물질로는 Alq3(hydroxyquinoline aluminum), DPVBi(4,4 -bis(2,2-diphenylethen-1-yl)-diphenyl)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분자 물질로는 PPV(poly(p-phenylenevinylene)), (PTh)s(poly(thiophene)s), 카오노-PPV(Cyano-PPV), PPP(poly(p-phenylene)), poly(fluorene)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은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색순도를 높이기 위해 도펀트를 도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PVBi 호스트에 루브렌(rubren)을 도핑하여 백색광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호스트 물질에 다양한 도펀트를 도핑하여 다양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홀 주입층은 CuPc(copper phthaloyanine)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홀 전달층은 α-NPD 등의 저분자 물질 또는 PVK(poly(n-vinylcarbazole)) 등의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전달층은 Alq3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전자 주입층은 LiF(lithium fluorine)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전극(140)은 유기물층(130)에 전자 주입을 위한 음극으로 이용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 전극(140)은 전기적 저항이 낮고 전도성 유기 물질과 계면 특성이 우수한 Al, Ag, Au, Pt, Cu 등의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유기물층(130) 사이에 형성되는 장벽(barrier)를 낮추어 전자 주입에 있어 높은 전류 밀도(current density)를 얻기 위하여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공기에 비교적 안정한 물질인 Al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150)는 제 1 및 제 2 전극(110, 14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제 1 전극(110)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스크라이빙 또는 에칭 등을 이용하여 소정 길이 및 폭으로 제 1 전극(110)을 제거함으로써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절개부(150)는 보조 전극(120)과 유기물층(13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전극(110)의 길이(L) 방향과 직교하는 폭(W)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제 1 전극(100)의 길이(L)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물층(130)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의 보조 전극(120)과 유기물층(130) 사이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50)는 제 1 전극(110)의 꼭지점으로부터 대각 방향의 좌상측과 우하측에 각각 하나 형성될 수 있고, 우상측과 좌하측에 각각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 방향의 상측 및 하측의 두 가장자리로부터 길이(L) 방향으로 각각 두개의 절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 측에 형성된 두 절개부(150)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에 형성되며 서로 대각 방향의 두 절개부(150)는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상측의 절개부(150a) 및 우하측의 절개부(150d)는 제 1 길이로 형성되고, 우상측의 절개부(150b) 및 좌하측의 절개부(150c)는 제 1 길이와 다른 제 2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150)의 길이는 단위 소자의 길이, 즉 제 1 전극(110)의 길이에 대하여 1/64 내지 1/2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일측에 두개의 절개부(150)가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절개부(150)가 제 1 전극(110)의 길이에 대하여 1/2의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절개부(150)는 1/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110)의 길이 방향으로 제 1 전극(110)의 가장자리 상부에 보조 전극(120)이 형성되고, 보조 전극(120)과 이격되어 제 1 전극(110)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이렇게 절개부(150)가 형성되면,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분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보조 전극(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제 1 전극(110)의 중앙부로 전압 강하가 최소화되어 빨리 공급된다. 즉, 제 1 전극(110)에 절개부(150)를 형성함으로써 절개부(150)의 길이 정도로 전류 이동 경로가 단축되어 전압 강하가 최소화되어 제 1 전극(110)의 중앙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전극(110) 중앙부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중앙부와 외곽부의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기판(100)과, 기판(1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110)과, 제 1 전극(110) 상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보조 전극(120)과, 보조 전극(120)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막(125)과, 보조 전극(120)을 포함한 제 1 전극(110) 상부에 형성된 유기물층(130)과, 유기물층(130) 상부에 형성된 제 2 전극(140)과, 보조 전극(120) 내측의 제 1 전극(110)에 형성된 절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보조 전극(120)이 제 1 전극(110)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고, 보조 전극(120)을 포함한 전체 상에 유기물층(130)이 형성된다. 이때, 보조 전극(120)의 상부 및 측부에는 보조 전극(120)과 유기물층(13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막(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막(125)은 투명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120)의 내측으로 절개부(150)가 형성되며, 절개부(150)는 유기물층(13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해서도 절개부(150)가 형성된 부분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보조 전극(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제 1 전극(110)의 중앙부로 전압 강하가 최소화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제 1 전극(110) 중앙부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중앙부와 외곽부의 휘도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발광 소자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즉,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발광 소자와 절개부의 위치 및 길이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시뮬레이션하고 그에 따른 전압 강하를 비교하였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길이가 700㎜이고 폭이 300㎜인 바 형태를 이용하였으며, 5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도 7은 제 1 전극에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는 종래의 발광 소자의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8 및 도 9는 서로 대각 방향의 두 영역의 제 1 전극에 절개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즉, 도 8 및 도 9는 각각 소자 길이의 3/8 및 1/2의 길이로 좌하측 및 우상측에 각각 하나의 절개부만을 형성형성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 소자는 전원이 인가되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전압 강하가 증가하였으며, 중앙부에서 약 1.6V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었다. 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가장자리에서 소정 위치까지 전압 강하가 증가하였으나, 그 위치부터 전압 강하량이 유지되었다. 즉, 소자 길이의 3/8의 길이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도 8의 경우 약 1.3V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었으며, 소자 길이이 1/2의 길이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도 9의 경우 약 1.4V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제 1 전극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본 발명이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는 종래보다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로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두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였으며, 대각 방향의 두 절개부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경우의 전압 강하 그래프이다. 여기서도 길이가 700㎜이고 폭이 300㎜인 바 형태의 발광 소자에 5V의 전압을 인가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도 10은 소자 길이의 각각 1/4 및 1/32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고, 도 11은 소자 길이의 각각 1/4 및 1/24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며, 도 12는 소자 길이의 각각 1/4 및 1/16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또한, 도 13은 소자 길이의 각각 3/8 및 1/32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고, 도 14는 소자 길이의 각각 3/8 및 1/24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며, 도 15는 소자 길이 방향으로 각각 3/8 및 1/16의 절개부가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하가 약 0.8V이고, 도 11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하가 약 0.5V이며, 도 12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자가 약 0.8V이다. 또한, 도 13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하가 약 0.7V이고, 도 14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하가 약 0.4V이며, 도 15의 경우 중앙부에서 전압 강하가 약 0.8V이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경우 절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으며, 절개부가 일 측에 두개 형성되는 경우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ITO 등을 이용한 제 1 전극(110)이 유기물층(130) 하부에 마련되어 기판(100)측으로 발광되는 하부 발광형 발광 소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 1 전극(110)이 유기물층(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기판(100)의 반대 방향으로 발광되는 상부 발광형 발광 소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제 1 전극(110), 보조 전극(120), 유기물층(130) 및 제 2 전극(140)이 적층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의 양면 상에 상기 구조들이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판 110 : 제 1 전극
120 : 보조 전극 130 : 유기물층
140 : 제 2 전극 150 : 절개부

Claims (16)

  1.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마련된 유기물층;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극의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보조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보조 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일변과 교차되는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일변 방향으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기물층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발광 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발광 소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보조 전극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발광 소자.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서로 대향되는 두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대각 방향의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발광 소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절개부는 동일 길이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상기 두 타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1 전극 또는 상기 제 2 전극의 상기 두 일변을 따라 적어도 둘 형성되는 발광 소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동일 측의 일변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절개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두 일변으로부터 서로 직교하는 두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절개부는 서로 동일 길이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전극의 상기 일변의 길이에 대하여 1/64 내지 1/2의 길이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1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개부;
    상기 절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 1 전극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보조 전극;
    상기 보조 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물층;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대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발광 소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유기물층 사이에 형성된 발광 소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을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절연층 및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소자.
  14. 기판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전극의 소정 영역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조 전극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대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25962A 2011-03-23 2011-03-23 발광 소자 KR101966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62A KR101966350B1 (ko) 2011-03-23 2011-03-23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62A KR101966350B1 (ko) 2011-03-23 2011-03-23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85A KR20120108285A (ko) 2012-10-05
KR101966350B1 true KR101966350B1 (ko) 2019-08-19

Family

ID=4727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962A KR101966350B1 (ko) 2011-03-23 2011-03-23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1594B (zh) * 2015-05-28 2023-07-21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集成电路的布线方法以及集成电路结构
KR102399030B1 (ko) * 2015-09-10 2022-05-18 주성엔지니어링(주)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674A (ja) 2001-08-02 2003-02-14 Seiko Instrument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KR100605152B1 (ko) 2005-02-16 2006-07-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9076341A (ja) 2007-09-21 2009-04-09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875B1 (ko) * 2001-11-19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61490B2 (ja) * 2004-12-24 2010-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80093172A (ko) * 2007-04-16 2008-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674A (ja) 2001-08-02 2003-02-14 Seiko Instrument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KR100605152B1 (ko) 2005-02-16 2006-07-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9076341A (ja) 2007-09-21 2009-04-09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85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2408B (zh) 有機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46999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510560B2 (ja) 有機発光素子
US2016007209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3236507B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235202B1 (ko) 개선된 밝기 균일성을 가지는 전계발광 장치
US98252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1644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218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EP2592672A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0828516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2013004894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15843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KR10203781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350B1 (ko) 발광 소자
KR2015007518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15136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20042435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515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399030B1 (ko)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6149B1 (ko) 유기발광소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776917B1 (ko) 샌드위치형 미세패턴 복합 발광소자
KR100674028B1 (ko) 스캔 연결 전극 상에 접촉부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20039425A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1968205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