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40B1 -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 Google Patents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40B1
KR101966140B1 KR1020170142702A KR20170142702A KR101966140B1 KR 101966140 B1 KR101966140 B1 KR 101966140B1 KR 1020170142702 A KR1020170142702 A KR 1020170142702A KR 20170142702 A KR20170142702 A KR 20170142702A KR 101966140 B1 KR101966140 B1 KR 10196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ooling
heating
fluid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훈
윤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2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난방작용, 냉방작용 및 습도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온실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창의 개방에 따른 온실 내부환경의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체조화장치에 있어서, 통 형상의 몸체에 유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조화장치본체; 및 복수의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이동로는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통로와, 유체를 가온하는 가온통로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되는 냉각부와,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되는 가온부를 구비한 열교환부; 및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희망하는 경로를 따라 유동 된 후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통로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FLUID CONDITIONER AND GREENHOUS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난방작용, 냉방작용 및 습도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온실 등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창의 개방에 따른 온실 내부환경의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는 토질, 기후 조건, 계절 등에 맞는 작물을 선택하여 노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상기온에 따른 불확실성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연중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설원예산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시설원예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온실 내부에 구성한 재배지에 작물을 식재하고, 작물의 재배에 이상적인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을 유지하도록 환경을 관리하면서 재배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조화장치가 시설되어 있다.
예컨대, 공기조화장치는 동절기에 온실 내부에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시스템이나 하절기와 같은 더운 날씨에 내부온도를 쿨링시키는 냉방시스템이 마련되어 있고,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07045호로 개시된 '유리온실 냉난방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78101호로 개시된 '유리 온실용 지열 동시 냉난방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92430호로 개시된 '비닐하우스 냉난방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78187호 '온실용 공기조화 구조' 등 다양한 공기조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시스템은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난방 및 냉방장치는 부피와 중량이 커서 많은 점유공간이 요구되므로 설치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과도한 설비비와 유지보수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난방장치는 통상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이 높은 히터가 내장된 구조이고, 냉방장치는 증발, 압축, 응축, 팽창과정을 통해 냉매를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를 통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 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을 방식으로서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공기조화시스템은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습기와 같은 별도의 습도조절 설비를 갖추어야 하지만 대면적의 온실에 적절한 제습기를 갖추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설비비가 요구되므로 습도조절 설비를 갖추지 않고 온실의 측면에 형성된 측창이나 천정창을 개방하는 방식 등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습도조절 방식은 춥고 더운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온실 내부의 환경도 급변하게 되므로 농작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온실 내부의 에너지 손실로 인해 냉,난방비의 증가에 따른 농작물 재배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707045호 '유리온실 냉난방시스템'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78101호 '유리 온실용 지열 동시 냉난방 장치'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78187호 '온실용 공기조화 구조'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결, 단순하면서도 난방작용, 냉방작용 및 습도조절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실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창의 개방에 따른 온실 내부환경의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체조화장치에 있어서, 통 형상의 몸체에 유입부와 배기구가 형성된 조화장치본체; 및 복수의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이동로는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통로와, 유체를 가온하는 가온통로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되는 냉각부와,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되는 가온부를 구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체조화장치에 있어서, 통 형상의 몸체에 유입부와 배기구가 형성된 조화장치본체; 및 복수의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이동로는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통로와, 유체를 가온하는 가온통로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되는 냉각부와,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되는 가온부를 구비한 열교환부; 및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유체가 희망하는 경로를 따라 유동 된 후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통로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연결커버몸체에 상기 제1 냉각연결통로 및 제1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된 제1 연결커버부재; 및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커버몸체에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냉각통로에 상기 유입구가,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가온통로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제2 연결커버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냉각통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1 유입구, 및 상기 가온통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2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된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1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된 제2 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상기 제2 유입구, 상기 제2 배기구 및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측기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온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측기판을 포함하는 열전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구획벽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냉각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각측기판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가온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방열측기판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은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면에 고정되고 모듈설치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에 설치되되 상기 냉각측기판이 상기 냉각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열측기판이 상기 가온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설치공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과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냉각통로를 통해 공기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측기판에 적층되는 소수성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체를 흡인한 후 배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흡배기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상기 냉각통로에 수집된 수분의 제거를 위해 형성되는 수분제거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은, 온실프레임; 상기 온실프레임에 설치되는 광투과성면상체; 전술한 유체조화장치; 및 온실 공간의 내부공기 또는 온실 외부공기를 흡인한 후 배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체조화장치에 설치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온실 내부의 재배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온도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수신된 재배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된 결과와 기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흡배기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의하면, 고온 다습한 온실 내부공기가 냉각통로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하강 됨과 동시에 수분이 제거되므로 습도조절이 가능하고, 가온통로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상승되어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된 후 온실내부로 재공급 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 시킬 수 있고 수분 과다로 인해 발생되는 딸기의 곰팡이병과 같은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온실의 측창을 개방하지 않아도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식물 성장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고 열손실을 줄임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도 난방작용, 냉방작용 및 습도조절 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온실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온도 및 습도조절 설비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에 의하면, 고온 다습한 공기가 냉각통로와 가온통로를 경유하면서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되는 작용은 물론이고, 고온 다습한 내부 공기를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하는 작용과, 저온의 외부 공기를 고온으로 변환하거나 고온의 외부 공기를 저온으로 변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공기조화작용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시설에 공기조화장치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4c 및 도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통로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9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 내지 도9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4c 및 도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통로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c는 제1 연결커버부재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4d는 제2 연결커버부재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의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과, 환기 등을 위한 장치로서 조화장치본체(1), 구획벽(2), 열교환부(3) 및 통로연결부재(4)가 구비되어 있다.
조화장치본체(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통로가 마련된 통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유체이동로 중에서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통로(c)와, 유체를 가온하는 가온통로(h)가 인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조화장치본체(1)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로(1c,2c)와 가온통로(3h,4h)가 인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고, 외관 형상은 삼각통, 사각통 등과 같은 다각형 통으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노즐 형태의 유입구(15)와 노즐 형태의 배기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화장치본체(1)의 내면에는 후술되는 열전모듈이 끼워지도록 복수의 끼움공(12)이 요입되어 있고, 조화장치본체(1)의 저부에는 지지프레임(9)이 설치되어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구획벽(2)은 조화장치본체(1)의 내부의 유체이동로가 복수 개로 나누어지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부(3)로서 적용되는 열전모듈(3a)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냉각측기판(32) 및 방열측기판(33)을 조화장치본체(1)의 내면에 실리콘수지와 같은 접착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부(3)는 냉각통로(c)에 형성되는 냉각부와, 가온통로(h)에 형성되는 가온부(3c)로 구성된 것으로, 냉각부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방출하는 냉각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가온부는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전열기기나 온수순환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3)는 구조가 간결, 단순해지고, 부피 및 중량이 최소화되면서도 제작비용,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저렴해지도록 열전모듈(3a)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열전모듈(3a)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류가 통전되면 펠티어(Peltier) 효과에 따라 일측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타측 접합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열전소자(31)와, 이 열전소자(31)의 일면에 구비되어 냉기를 발산함으로써 냉각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측기판(32)과, 열전소자(31)의 타면에 구비되고 열기를 발산하여 가온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측기판(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측 및 방열측 기판(32,33)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경우 용이한 조립성을 고려하여 열전도성 실리콘수지를 판형으로 성형한 것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3a)은 구획벽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체이동로를 따라 조화장치본체(1)의 내면에 실리콘수지와 같은 접착제나 체결수단 등에 의해 고정되되, 냉각통로(1c,2c)를 형성하도록 냉각측기판(3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가온통로(3h,4h)를 형성하도록 방열측기판(33)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냉각측기판(32)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냉기에 의해 용이하게 응축되어 맺히도록 소수성코팅층(35)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소수성코팅층(35)은 소수성화합물(Hydrophobic compounds)이 적층되는 것으로, 여기서, 소수성화합물(Hydrophobic compounds)은 물분자와 친화성이 있는 기를 갖지 않는 물질로서 공지된 다양한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통로연결부재(4)는 유입구(15)로 유입된 유체가 희망하는 경로를 따라 유동 된 후 배기구(16)로 배출되도록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 유입구(15)로 유입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냉각통로(1c,2c)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냉각됨과 동시에 수분이 제거된 다음 가온통로(3h,4h)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가온되어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된 후 배기구(16)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통로연결부재(4)는 도2, 도4c 및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1c,2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41),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가온통로(3h,4h)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42),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2c)와 가온통로(3h)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냉각연결통로(41), 제1 가온연결통로(42), 및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장치본체(1)의 양쪽 단부에 커버플레이트(14)를 결합하고 배관을 접속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4c, 도4d,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연결커버부재(4a)의 내부에 열십자형으로 형성된 차단벽(4a3)에 제1 냉각연결통로(41)와 제1 가온연결통로(4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커버부재(4b)의 내부에 형성된 차단벽(4b3)에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연결커버부재(4a,4b)는 조화장치본체(1)에 형성된 프랜지(4a2,4b2)에 조립되되,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촉면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가스켓(4c)이 내장되어 있다.
제1 연결커버부재(4a)는 프랜지(4a2)가 형성된 반구형의 제1 연결커버몸체(4a1) 내부에 사각통 형상의 제1 냉각연결통로(41) 및 제1 가온연결통로(42)가 차단벽(4a3)을 가로질러 냉각통로(1c,2c) 및 가온통로(3h,4h)가 서로 연통되도록 대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커버부재(4b)는 프랜지(4b2)가 형성된 반구형의 제2 연결커버몸체(4b1) 내부에 형성된 차단벽(4b3)에 냉각통로(2c)와 가온통로(3h)가 연결되도록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는 유입구(15)와 배기구(16) 형성되지 않은 냉각통로(2c)와 가온통로(3h) 사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입구(15)로 유입된 공기가 모든 냉각통로(1c,2c)를 모두 경유하고 가온통로(3h)로 유입된 후 이어지는 가온통로(4h)를 차례로 경유하고 배기구(16)를 통해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연결커버부재(4b)에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형성되지 않은 냉각통로(1c)에 유입구(15)가,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형성되지 않은 가온통로(4h)에 배기구(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배기수단(5)은 유체를 흡인한 후 배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유입구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16)에 설치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으로, 유체가 액체일 경우에는 펌프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로(1c,2c)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부(6)가 구성되어 있다.
수분제거부(6)는 냉각통로(1c,2c)와 연통되게 유체조화본체(1)에 설치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61)와, 이 밸브(61)와 연결된 배관에 설치되어 수분만을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가 구비된 드레인배출기(62,공압기술의 실무에서는 통상 오토 드레인 밸브(auto drain valve)로 호칭되는 기계요소로서 기호로 표시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과 그 작용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공기 유입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3의 A부 저면도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공기 유입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3의 B부 저면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와 같은 온실에 설치하여 온실 내부공기의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 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온실은 파이프, 형강재 등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결속하여 구성된 온실프레임(미도시)과 이 온실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고 투명유리나 투명비닐로 형성된 광투과성면상체(8)에 의해 내부에 온실공간이 마련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전술한 유체조화장치를 온실의 내부나 온실의 측벽 외부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 온실은 온실 내부의 재배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싱모듈(미도시)과, 이 센싱모듈(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온도, 습도 등의 재배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모니터링 하고 상기 모니터링 된 결과와 기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흡배기수단(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는 한편, 제어부에 흡배기수단의 작동을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와, 온도, 습도, 흡배기수단의 작동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모듈은 온실공간 내부의 재배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수적으로 온도센서, 습도센서가 설치되고, 그 외에 조도센서, PH측정센서, 전기전도도측정센서, CO2측정센서, 이미지촬상모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유체조화장치를 온실에 설치한 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 값과 희망하는 데이터 값이 다를 경우 흡배기수단(5)을 작동시켜 온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구(15)를 통해 유입시키게 되면,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냉각통로(1c), 제1 냉각연결통로(41), 두 번째 냉각통로(2c),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 첫 번째 가온통로(3h), 제1 가온연결통로(42), 두 번째 가온통로(4h) 순으로 유동된 후 배기구(16)를 통해 배기된다.
그리고, 유입구(15)를 통해 첫 번째 냉각통로(1c)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온실 내부공기는 냉각통로(1c)의 내부 양쪽에 배치된 냉각측기판(32)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 온도가 하강됨과 동시에 응축작용으로 냉각측기판(32)에 적층된 소수성코팅층(35)에 수분이 물분자로 맺힌 후 하방으로 미끄러져 이탈된다.
이와 같이 첫 번째 냉각통로(1c)에서 1차적으로 냉각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두 번째 냉각통로(2c)로 유입된 후 냉각측기판(32)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에 의해 2차적인 냉각과정과 소수성코팅층(35)의 작용에 의한 2차적인 수분 제거작용이 수행된다.
이후,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를 경유하여 첫 번째 가온통로(3h)로 유입되는 방열측기판(33)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온도가 1차 상승 된 다음 제1 가온연결통로(42)를 경유하여 두 번째 가온통로(4h)로 유입되고 2차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서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되어 온실 내부로 배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식으로 습도를 조절하게 되면 식물의 성장촉진을 물론이고, 수분 과다로 인해 발생되는 딸기의 곰팡이병과 같은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고, 온실의 측창을 개방하지 않아도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농작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고 열손실을 줄임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조화장치본체(1), 구획벽(2), 열교환부(3) 및 통로연결부재(4)가 구비되되, 구획벽(2)은 복수의 모듈설치공(211)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1)로 구성되고, 열전모듈(3a)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고정플레이트(21)의 모듈설치공(211)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1)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판재를 대략 열십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열교환 용량을 대용량으로 구성할 경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체조화장치의 용량을 대용량으로 제작하고자 할 경우 조화장치본체(1)와 함께 열전모듈(3a)을 크게 구성하여야 하지만 단일 열전모듈의 크기를 무한정 크게 제작할 수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열전모듈을 복수 개 배치하는 방식으로 대용량의 유체조화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7a는 공기 유입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3의 A부 저면도이고, 도7b는 공기 배기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3의 B부 저면도이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조화장치본체(1), 구획벽(2), 열교환부(3) 및 통로연결부재(4)가 구비되되, 열교환 용량과 습도 제거효율의 향상을 위해 냉각통로(1c,2c,3c,4c)와 가온통로(5h,6h,7h,8h)를 다수 개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냉각통로(1c,2c,3c,4c)와 가온통로(5h,6h,7h,8h)를 각각 4개로 구성하였지만 구획벽(2) 및 열교환부(3) 수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더 많은 수량의 냉각통로와 가온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로연결부재(4)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1c,2c,3c,4c) 사이(1c와 2c 사이, 3c와 4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44),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가온통로(5h,6h,7h,8h) 사이(5h와 6h 사이, 7h와 8h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45),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2c,3c)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냉각연결통로(46),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형성되고 가온통로(6h,7h)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가온연결통로(47),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4c)와 가온통로(5h)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8)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공기 유입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의 공기 배출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8 내지 도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화장치본체(1), 구획벽(2), 열교환부(3) 및 통로연결부재(4)가 구비되되, 고온 다습한 공기가 냉각통로와 가온통로를 경유하면서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되는 작용은 물론이고, 고온 다습한 내부 공기를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하는 작용과, 저온의 외부 공기를 고온으로 변환하거나 고온의 외부 공기를 저온으로 변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등의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로연결부재(4)는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1c,2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41), 조화장치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고 가온통로(3h,4h)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42), 조화장치본체(1)의 타측에 형성되고 냉각통로와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5)는 냉각통로(1c)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입구(15a)와, 가온통로(3h)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유입구(15b)로 구성된 것으로, 제2 유입구(15b)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설치된 가온통로(3h)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구(16)는 제2 유입구(15b)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가온통로(4h)에 형성된 제1 배기구(16a), 및 제1 유입구(15a)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냉각통로(2c)에 형성된 제2 배기구(16b)로 구성된 것으로, 제2 배기구(16b)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가 설치된 냉각통로(2c)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제2 유입구(15b), 제2 배기구(16b) 및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71,72,73)가 설치된 특징이 있다.
상기한 제어밸브(71,72,73)는 수조작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자동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밸브(71,72,73)는 개폐동작을 통해 고온 다습한 내부 공기를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하는 작용과, 저온의 외부 공기를 고온으로 변환하거나 고온의 외부 공기를 저온으로 변환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온실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하여 온실 내부로 재유입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2 유입구(15b), 제2 배기구(16b)에 설치된 제어밸브(71,72)를 폐쇄 시키고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에 설치된 제어밸브(73)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흡배기수단(5)을 작동시키게 되면 온실 내부의 공기가 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되어 첫 번째 냉각통로(1c), 제1 냉각연결통로(41), 두 번째 냉각통로(2c),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 첫 번째 가온통로(3h), 제1 가온연결통로(42), 두 번째 가온통로(4h) 순으로 유동된 후 배기구(16)를 거치게 되면서 중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된 후 배기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온실 내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 계절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온실 재배환경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유입구(15b), 제2 배기구(16b)에 설치된 제어밸브(71,72)를 개방 시키고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에 설치된 제어밸브(73)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배기수단(5)을 작동시키게 될 경우 온실의 내부의 고온 다습한 내부 공기를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환하는 한편, 저온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환기하면서 고온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8 내지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입구(15b), 제2 배기구(16b)에 설치된 제어밸브(71,72)가 개방 상태이고,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에 설치된 제어밸브(73)가 폐쇄 상태이면 온실 내부의 공기가 제1 유입구(15a)를 통해 유입되어 첫 번째 냉각통로(1c), 제1 냉각연결통로(41), 두 번째 냉각통로(2c)로 유동된 후 제2 배기구(16b)로 배출된다. 이때, 내부공기는 공기의 냉각과 함께 수분이 제거되는 2개의 냉각통로(1c,2c)만을 거치게 되고 가온통로(3h,4h)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저온 건조한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 유입구(15b)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첫 번째 가온통로(3h), 제1 가온연결통로(42), 두 번째 가온통로(4h)로 유동된 후 제1 배기구(16a)로 배출된다. 이때, 외부공기는 2개의 가온통로(3h,4h)만을 거치게 되고 냉각통로(1c,2c)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습도의 제거작용 없이 온도가 상승되면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조화장치는 제2 유입구(15b), 제2 배기구(16b) 및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43)에 장착된 제어밸브(71,72,73)를 적절하게 개폐하면서 온실 등에서 공기조화장치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조화장치본체 14:커버플레이트
15:유입구 16:배기구
15a:제1 유입구 15b:제2 유입구
16a:제1 배기구 16b:제2 배기구
2:구획벽 21:고정플레이트
3:열교환부 3a:열전모듈
31:열전소자 32:냉각측기판
33:방열측기판 35:소수성코팅층
4:통로연결부재 4a:제1 연결커버부재
4b:제2 연결커버부재 4c:가스켓
41,44:제1 냉각연결통로 42,45:제1 가온연결통로
43,48:냉각 및 가온연결통로 46:제2 냉각연결통로
47:제2 가온연결통로 5:흡배기수단
6:수분제거부 61:밸브
62:드레인배출기 71,72,73:제어밸브
c,1c,2c,3c,4c:냉각통로 h,3h,4h,5h,6h,7h,8h:가온통로

Claims (16)

  1. 삭제
  2. 유체조화장치에 있어서,
    통 형상의 몸체에 유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조화장치본체; 및
    복수의 유체이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유체이동로는 유체를 냉각하는 냉각통로와, 유체를 가온하는 가온통로가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되는 냉각부와,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되는 가온부를 구비한 열교환부; 및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희망하는 경로를 따라 유동 된 후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는 통로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연결커버몸체에 상기 제1 냉각연결통로 및 제1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된 제1 연결커버부재; 및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연결커버몸체에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냉각통로에 상기 유입구가,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가온통로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 제2 연결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냉각통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1 유입구, 및 상기 가온통로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제2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상기 가온통로에 형성된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1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또 다른 상기 냉각통로에 형성된 제2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 상기 제2 배기구 및 상기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연결부재는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냉각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가온연결통로,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통로와 상기 가온통로 사이에 연결되는 냉각 및 가온연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8.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냉각측기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온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열측기판을 포함하는 열전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구획벽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냉각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냉각측기판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가온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방열측기판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상기 조화장치본체의 내면에 고정되고 모듈설치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에 설치되되 상기 냉각측기판이 상기 냉각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열측기판이 상기 가온통로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설치공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과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측기판에 적층되는 소수성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유체를 흡인한 후 배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로에 수집된 수분의 제거를 위해 형성되는 수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
  15.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에 있어서,
    온실프레임;
    상기 온실프레임에 설치되는 광투과성면상체;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유체조화장치; 및
    온실 공간의 내부공기 또는 온실 외부공기를 흡인한 후 배기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체조화장치에 설치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
  16. 제15항에 있어서,
    온실 내부의 재배환경 데이터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온도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모듈;
    상기 센싱모듈로부터 수신된 재배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된 결과와 기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흡배기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조화장치를 구비한 온실.
KR1020170142702A 2017-10-30 2017-10-30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KR10196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02A KR101966140B1 (ko) 2017-10-30 2017-10-30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02A KR101966140B1 (ko) 2017-10-30 2017-10-30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140B1 true KR101966140B1 (ko) 2019-08-14

Family

ID=6762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02A KR101966140B1 (ko) 2017-10-30 2017-10-30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702A (ko) * 2021-10-29 2023-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2777A (ja) * 1988-12-15 1990-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電装置および熱電装置の製造方法
JPH08256612A (ja) * 1995-03-24 1996-10-08 Kyosan Electric Mfg Co Ltd 植物栽培装置
JP2005536976A (ja) * 2002-08-23 2005-12-02 ビーエスエスティー エルエルシー コンパクトで高効率な熱電システム
JP2010200634A (ja) * 2009-02-28 2010-09-16 Tomita Technology Kk 温室用空調装置
KR20140147385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디앤에스 온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온실 열회수 기능 및 열원공급용 공조기
KR101478101B1 (ko) 2013-09-23 2014-12-31 (주)유원 유리 온실용 지열 동시 냉난방 장치
KR101578187B1 (ko) 2015-05-06 2015-12-16 주식회사 제이앤지 온실용 공기조화 구조
KR101652578B1 (ko) * 2014-04-22 2016-08-31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1707045B1 (ko) 2015-06-09 2017-02-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온실 냉난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2777A (ja) * 1988-12-15 1990-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電装置および熱電装置の製造方法
JPH08256612A (ja) * 1995-03-24 1996-10-08 Kyosan Electric Mfg Co Ltd 植物栽培装置
JP2005536976A (ja) * 2002-08-23 2005-12-02 ビーエスエスティー エルエルシー コンパクトで高効率な熱電システム
JP2010200634A (ja) * 2009-02-28 2010-09-16 Tomita Technology Kk 温室用空調装置
KR20140147385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디앤에스 온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온실 열회수 기능 및 열원공급용 공조기
KR101478101B1 (ko) 2013-09-23 2014-12-31 (주)유원 유리 온실용 지열 동시 냉난방 장치
KR101652578B1 (ko) * 2014-04-22 2016-08-31 황익현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KR101578187B1 (ko) 2015-05-06 2015-12-16 주식회사 제이앤지 온실용 공기조화 구조
KR101707045B1 (ko) 2015-06-09 2017-02-1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온실 냉난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702A (ko) * 2021-10-29 2023-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KR102542422B1 (ko) * 2021-10-29 2023-06-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4975B (zh) 用于模块化数据中心的冷却模块和包括该冷却模块及至少一个服务器模块的系统
US9459015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US10925219B2 (en)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horticulture
US9677777B2 (en)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FI108962B (fi) Laitekaapin jäähdytysjärjestelmä
US20030005626A1 (en) Plant cultivat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205690636U (zh) 聚合物间接蒸发式数据中心冷却系统
US5209286A (en) Ground open-air heat exchange, open-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1231485B1 (ko) 가습, 제습 및 난방 기능이 있는 창호 시스템
CN105954177A (zh) 一种高温高湿型氙灯试验箱
US20210298246A1 (en) Liquid dessicant cooler system and method
CN104858000A (zh) 一种生化培养箱
CN204544215U (zh) 一种生化培养箱
KR101966140B1 (ko) 유체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온실
KR20050042108A (ko) 응축기와 증발기가 변환되는 제습기.
CN114364252A (zh) 温室
KR101231306B1 (ko) 다기능 복합 창호 시스템
JP5116051B2 (ja) 温室の温湿度管理システム及び温湿度管理方法
CN107988069A (zh) 一种医疗用微生物检验检疫用培养装置
KR20170007891A (ko) 이중 비닐하우스의 냉기 순환장치
JP2011188785A (ja) 施設園芸ハウス用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CN205643115U (zh) 一种氙灯耐侯试验箱
KR101655354B1 (ko)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1655351B1 (ko)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
ATE348986T1 (de) Klimagerä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