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969B1 -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 Google Patents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969B1
KR101965969B1 KR1020170121579A KR20170121579A KR101965969B1 KR 101965969 B1 KR101965969 B1 KR 101965969B1 KR 1020170121579 A KR1020170121579 A KR 1020170121579A KR 20170121579 A KR20170121579 A KR 20170121579A KR 101965969 B1 KR101965969 B1 KR 10196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glass
face
adsorption filter
mou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149A (ko
Inventor
윤대웅
Original Assignee
윤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웅 filed Critical 윤대웅
Priority to KR102017012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9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에 착용되는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입과 코를 감싸서 입과 코 둘레에 밀착되며, 호흡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통공되어진 호흡구가 형성되고,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며, 얼굴의 피부측에 전달하기 위한 냉기 또는 온기를 일시적으로 지속시킴과 아울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온습도조절부재가 외측면에 마련되는,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코나 입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양을 위한 페이스글라스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2차적으로 공기정화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를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난입하는 미세먼지와 냄새를 페이스글라스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3차적으로 얼굴에 밀착되는 흡착필터가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흡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청정의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페이스글라스의 디자인 구현에 의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차양 기능을 하는 페이스글라스가 안면으로부터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통공된 호흡구를 통해서 호흡을 편하게 하도록 하며, 구조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통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착용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Adsorption filter and face glass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조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통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착용감을 크게 개선시키며, 냉기와 온기 제공과 함께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지압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겨울철 보온용이나 노약자들의 기관지 보호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산업발달과 함께 화석연료 연소량 증가 등으로 인해, 대기 오염 물질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황사로 인해 대기 오염이 날로 심해지면서, 계절이나 남녀노소 구분없이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자외선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자외선은 피부 노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주름이나 피부 질병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인해 햇빛 차단용 마스크의 사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먼지 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크와 관련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햇빛 차단을 위한 기존의 선글라스나 안면을 덮는 차양은 착용자의 안면을 향해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차양은 코와 입이 밀폐되지 않아서 코와 입을 통해 직접 공기가 흡입되며, 이에 따라 공기 중에서 비산되는 미세먼지와 냄새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입과 코로 직접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코와 입 주위를 밀폐시키고, 밀폐시킨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장치와 배출하는 배기장치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 경우 코와 입이 밀폐되어 호흡하기가 어렵고, 답답한 착용감을 가지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는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공기를 직접 코와 입으로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와 입 주변을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는 호흡하기가 불편하고, 답답한 착용감을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는 필터를 구비한 흡기구와 호흡을 발산하는 배기구를 구비한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마스크 역시 코와 입이 밀폐되어, 호흡하기가 어렵고, 답답한 착용감을 가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한 선그라스나 안면을 덮는 차양은 사용자에게 미세먼지가 혼합된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선글라스나 차양이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코와 입을 덮으면서 공기가 난입되지 않도록 안면과 밀착되는 구성을 가져야 하고, 이와 함께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흡기구 및 배기구의 구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용감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은 마스크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 기능을 가지지 못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을 개선시키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4622호(2017.07.20 공개)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0332호(2010.01.27 등록)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햇빛을 차단하는 페이스글라스가 안면과 밀착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난입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흡착필터에 의해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흡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며, 심미감과 착용감을 높이도록 하고, 구조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통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착용감을 크게 개선시키며, 냉기와 온기 제공과 함께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지압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얼굴에 착용되는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입과 코를 감싸서 입과 코 둘레에 밀착되며, 호흡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통공되어진 호흡구가 형성되고,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며, 얼굴의 피부측에 전달하기 위한 냉기 또는 온기를 일시적으로 지속시킴과 아울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온습도조절부재가 외측면에 마련되는,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가 제공된다.
상기 온습도조절부재는 상기 흡착필터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흡착필터 외측면에 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온습도조절부재는, 금속편, 얼음팩, 물팩, 드라이아스팩, 찜질팩 및 핫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필터는, 중심부의 외측과 상기 페이스글라스의 중심부재 내측이 요철 결합, 접착, 스크루나 볼트의 체결,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및 상기 페이스글라스의 코받침에 걸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부착됨으로써, 양측으로 갈수록 상기 페이스글라스와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흡착필터는, 상기 페이스글라스와의 사이를 통해서 상기 호흡구로 유입되기 위한 청정공기를 분산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공기흐름유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착필터는, 인중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흡구는, 상기 흡착필터 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흡착필터가 얼굴에 밀착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텐션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로서, 입과 코를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얼굴에 착용되고, 햇빛을 차단하며, 내측에 상기 흡착필터가 마련되는,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가 제공된다.
상기 페이스글라스는, 인중을 지나는 수직의 중심부재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상기 흡착필터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는, 휨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는,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부에 의해 전후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윈도우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에 의하면, 1차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코나 입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양을 위한 페이스글라스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2차적으로 공기정화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를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난입하는 미세먼지와 냄새를 페이스글라스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3차적으로 얼굴에 밀착되는 흡착필터가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흡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청정의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페이스글라스의 디자인 구현에 의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차양 기능을 하는 페이스글라스가 안면으로부터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통공된 호흡구를 통해서 호흡을 편하게 하도록 하며, 구조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통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착용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냉기와 온기 제공과 함께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지압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정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배면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의 착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 분해사시도, 배면 분해사시도, 평단면도 및 착용모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서,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140)는 후술하게 될 얼굴에 착용되는 페이스글라스(110)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입과 코를 감싸서 입과 코 둘레에 밀착되며,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통공되어진 호흡구(141)가 형성되고,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며, 얼굴의 피부측에 전달하기 위한 냉기 또는 온기를 일시적으로 지속시킴과 아울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온습도조절부재(145)가 외측면에 마련된다.
흡착필터(140)는 가장자리부분이 입과 코의 둘레에 밀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면서, 중심부가 입과 코로부터 이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짐으로써 호흡에 필요한 챔버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흡착필터(140)는 얼굴 밀착형으로서, 페이스글라스(110)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오염된 공기를 유도함으로써,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청정공기가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흡착필터(140)는 미세먼지의 흡착을 위하여, 정전기를 가지거나, 섬모 구조를 가지거나, 유분기 등을 비롯한 액상흡착물질이 도포되거나, 그 밖의 미세먼지 흡착을 위한 다양한 재질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골격을 유지하는 모재가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흡착필터(140)는 중심부(142)의 외측과 페이스글라스(110)의 중심부(112) 내측이 결합홈(143) 및 결합돌기(114)에 의한 요철 결합, 접착제나 접착부재에 의한 접착, 스크루나 볼트의 체결,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및 페이스글라스(110)의 코받침에 걸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부착됨으로써, 양측으로 갈수록 페이스글라스(110)와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흡착필터(140)는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볼쪽에서 중심부측으로 흡착필터(140)의 면을 따라 공기가 더 많이 흐르게 되어 이물질 차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필터(140)는 코받침에 걸리기 위하여, 예컨대 코받침의 목부분에 끼워져서 걸림으로써 고정되기 위한 슬릿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릿이나 홈 구조는 흡착필터(140)에 직접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흡착필터를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후술하게 될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착필터(140)는 호흡구(141)가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상하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호흡구(141) 각각이 볼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으로부터 중심부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호흡을 위해 출입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흡착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흡착필터(140)는 페이스글라스(110)와의 사이를 통해서 호흡구(141)에 유입되기 위한 청정공기를 분산시키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흡착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공기흐름유도부(144)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흐름유도부(144)는 도트, 엠보싱, 물결모양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돌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흡착필터(14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기흐름유도부(144)가 흡착필터(1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흡착필터(14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흡착필터(14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흐름유도부(144)는 흡착필터(140)의 외측 또는 페이스글라스(11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습도조절부재(145)는 일례로 흡착필터(140)에서 코나 입 둘레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흡착필터(140)의 외측면에 홈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용부(146)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 수용부(146)는 전방으로 노출되는 홈 구조를 나타내나, 반드시에 이에 한하지 않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슬릿 구조를 비롯하여 온습도조절부재(145)의 수용을 위한 다양한 공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온습도조절부재(145)는 철이나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편, 얼음팩, 물팩, 드라이아스팩, 찜질팩 및 핫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냉기와 온기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팩은 얼음이나 물 등의 매체를 내측에 수용한 것으로서, 정형적인 형태를 가지는 리지드(rigid)한 용기 구조를 가지거나, 변형이 가능한 소프트 또는 플렉시블한 용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온습도조절부재(145)는 냉기 또는 온기를 흡착필터(140)를 통해 얼굴의 피부에 전달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냉각시키거나, 전자렌지 또는 중탕 등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가습 효과를 가지거나, 다른 예로서, 물이나 얼음 등으로 직접 이루어짐으로써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46)에 직접 채워짐으로써 수용부(146)의 개방측을 통해서 외부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서,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110)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분사부(120) 및 청정공기공급부(130)가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페이스글라스(110)는 얼굴에서 입과 코를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얼굴에 착용되고, 햇빛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페이스글라스(110)는 인중을 지나는 수직의 중심부재(112)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후술하게 될 흡착필터(140)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11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113)는 예컨대 중심부재(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홈(112b)에 억지 끼워짐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113) 구조에 의해 심미감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고품격 디자인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한다.
중심부재(112)는 휨이 가능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윈도우(113)가 서로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며, 얼굴로부터 윈도우(113)까지의 거리를 쉽게 조절 내지 변경할 수 있다.
페이스글라스(110)는 전체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고, 글라스, 목재 또는 합성수재 등의 재질로 제작되거나, 이러한 재질들이 이종으로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고, 햇빛,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재질이나 구조 또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글라스(110)는 얼굴에 착용되기 위하여, 귀에 걸리기 위한 한 쌍의 다리부(111)가 접철이 가능하거나 고정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머리밴드나 두건 등의 머리 착용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리부(111)는 교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사부(120)는 페이스글라스(110)에 마련되고, 청정공기를 공급받아 얼굴 측으로 분사하고, 이러한 청정공기의 분사에 의해 에어커튼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페이스글라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한다.
분사부(120)는 페이스글라스(110)에서 얼굴측을 포함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청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윈도우(113) 각각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페이스글라스(110)의 윈도우(113)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청정공기공급부(130)로부터 청정공기가 공급되는 분사튜브(121)와, 분사튜브(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분사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튜브(121)는 페이스글라스(110)의 윈도우(113) 가장자리를 따라 청정공기의 분사통로(122)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청정공기공급부(130)로부터 청정공기를 공급받도록 일측에 공급구(123)가 형성되며, 제조의 용이함을 위하여 페이스글라스(110)와 함께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접착 내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분사구(124)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열굴을 향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얼굴을 향하는 방향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페이스글라스(110)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차단 및 밀어냄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위치와 분사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청정공기공급부(130)는 분사부(120) 각각에 청정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청정공기공급부(13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한 청정공기를 공급튜브(131)를 통해서 분사부(120)에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 일측에 공급튜브(131)가 연결되는 급기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배기구를 통해서 공급튜브(131)를 통해 분사부(1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필터링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필터와, 송풍팬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송풍팬의 동작을 조작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마련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배터리와 필터의 관리 내지 교체를 위하여 개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청정공기공급부(130)는 페이스글라스(110) 측에 이물질 차단을 위한 충분한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그 출력 및 사이즈 등이 정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210)는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부(212c)에 의해 전후로 구부림에 의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213)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례로 중심부재(212)는 중심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연결부재(212a)와, 연결부재(212a)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212c)에 의해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윈도우(213)가 각각 끼워져서 고정됨으로써, 윈도우(213)가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340)는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고정되고, 입과 코를 감싸서 입과 코 둘레에 밀착되며,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통공되어진 호흡구(341)가 형성되고,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며,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공기흐름유도부(344)가 형성되고, 온습도조절부재(345)가 마련되되, 이러한 온습도 조절부재(345)는 흡착필터(340)의 외측면에 접착제나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440)는 사용자의 얼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코에 놓여지는 코받침(447)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받침(447)은 흡착필터(440)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540)는 이전 실시례들과 마찬가지로, 중심부(542) 양측으로 통공되어진 호흡구(541), 공기흐름유도부(544)가 각각 마련되되, 공기흐름유도부(544)가 물결 문양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640)는 중심부(642)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통공되어진 호흡구(641)와 공기흐름유도부(644)가 각각 마련되되, 공기흐름유도부(644)가 흡착필터(640)의 외측 또는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패드는 자체의 체적이나 자체에 부여된 고유 형상 또는 재질적인 특성 등으로 인해 공기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면에 도트, 엠보싱, 물결 무늬, 다각형 등의 다양한 돌기 구조가 부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흐름의 가이드 효과를 더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패드는 거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흡착필터(640)의 외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거나, 페이스글라스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액상물이 함침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부착시키는 습식필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740)는 인중에 위치하는 프레임(75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부(751)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75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흡착필터(740) 각각에는 통공되어진 호흡구(741)가 형성됨과 아울러, 온습도조절부재(74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751)는 일례로 흡착필터(740)가 끼워지는 홈 구조를 가지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접착이나 볼트 등을 이용한 다양한 고정방식에 의해 흡착필터(7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필터(740)는 페이스글라스(미도시)와의 사이를 통해서 호흡구(741)로 유입되기 위한 청정공기를 분산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공기흐름유도부(744)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흐름유도부(744)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패드로 이루어져서 흡착필터(740)의 외측이나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750)은 흡착필터(740)가 얼굴에 밀착되어 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텐션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판스프링과 같은 작용에 의해 텐션을 가지도록 하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착필터(740)가 얼굴 측에 텐션을 가지고서 밀착되어 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840)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740)와 마찬가지로, 온습도조절부재(845)가 각각 마련되고, 공기흐름유도부(844)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패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프레임(85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851)에 결합되어 프레임(8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호흡구(852)가 흡착필터(840)가 아닌 프레임(850)에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1차적으로 오염된 공기가 코나 입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양을 위한 페이스글라스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2차적으로 공기정화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를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난입하는 미세먼지와 냄새를 페이스글라스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3차적으로 얼굴에 밀착되는 흡착필터가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흡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청정의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페이스글라스의 디자인 구현에 의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으며, 차양 기능을 하는 페이스글라스가 안면으로부터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통공된 호흡구를 통해서 호흡을 편하게 하도록 하며, 구조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통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착용감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냉기와 온기 제공과 함께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지압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 : 페이스글라스 111,311 : 다리부
112 : 중심부재 112b : 결합홈
113, 213 : 윈도우 114 : 결합돌기
120 : 분사부 121 : 분사튜브
122 : 분사통로 123 : 공급구
124 : 분사구 130 : 청정공기공급부
131 : 공급튜브 132 : 목줄
140,340,440,540,640,740.840 : 흡착필터
141,341,541,641,741 : 호흡구 142,542,642 : 중심부
143 : 결합홈
144,344,544,644,744,844 : 공기흐름유도부
145,345,745,845 : 온습도조절부재 146 : 수용부
212a : 연결부재 212b : 회동부재
212c : 힌지결합부 447 : 코받침
750,850 : 프레임 751,851 : 결합부
643, 752 : 결합홈 852 : 호흡구

Claims (11)

  1. 얼굴에 착용되는 페이스글라스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입과 코를 감싸서 입과 코 둘레에 밀착되며, 호흡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도록 통공되어진 호흡구가 형성되고,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며, 얼굴의 피부측에 전달하기 위한 냉기 또는 온기를 일시적으로 지속시킴과 아울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온습도 조절부재가 외측면에 마련되는 페이스글라스용 흡착필터; 및 상기 페이스 글라스용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 글라스로서 입과 코를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얼굴에 착용되고, 햇빛을 차단하며, 내측에 상기 흡착필터가 마련되는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 글라스; 및 상기 페이스 글라스는 인중을 지나는 수직의 중심부재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상기 흡착 필터를 볼 수 있도록 윈도우가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 글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휨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부에 의해 전후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윈도우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흡착필터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21579A 2017-09-21 2017-09-21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196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79A KR101965969B1 (ko) 2017-09-21 2017-09-21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79A KR101965969B1 (ko) 2017-09-21 2017-09-21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49A KR20190033149A (ko) 2019-03-29
KR101965969B1 true KR101965969B1 (ko) 2019-04-04

Family

ID=6589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79A KR101965969B1 (ko) 2017-09-21 2017-09-21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11A (ko) * 2018-12-13 2020-06-23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157371B1 (ko) * 2019-12-04 2020-10-20 주식회사 퓨레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79270B1 (ko) 2020-06-19 2021-07-20 백기선 안면보호창이 조립 설치되는 페이스 쉴드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281B1 (ko) * 2019-11-28 2020-10-15 이해곤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장치
KR102447557B1 (ko) * 2019-11-28 2022-09-26 이해곤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장치
KR102192707B1 (ko) * 2020-04-27 2020-12-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
KR102192708B1 (ko) * 2020-04-27 2020-12-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KR102361838B1 (ko) * 2021-04-09 2022-02-14 에스엠이노베이션(주) 안경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장치
KR102363553B1 (ko) * 2021-08-19 2022-02-15 김명숙 산소 마스크 가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613A (ja) 2003-06-11 2005-01-06 Makoto Tajiri マスク
KR200422090Y1 (ko) * 2006-03-08 2006-07-24 조규연 뒤집는 마스크
KR101509612B1 (ko) 2014-07-11 2015-04-09 김종기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KR101648577B1 (ko) 2015-11-18 2016-08-16 박종모 먼지 차단 및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32B1 (ko) 2009-07-01 2010-02-05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20130041435A (ko) * 2011-10-17 2013-04-25 김성응 필터가 구비된 황사 및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KR101314838B1 (ko) * 2011-11-08 2013-10-04 배준철 프레임 마스크
KR20150107037A (ko) * 2014-03-13 2015-09-23 정정대 방진 마스크
KR101810603B1 (ko) * 2015-09-11 2017-12-22 김성응 고글 마스크
KR101792117B1 (ko) 2016-01-12 2017-11-07 유태곤 얼굴 가리개
KR20170085627A (ko) * 2016-01-14 2017-07-25 베이스식스 리미티드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613A (ja) 2003-06-11 2005-01-06 Makoto Tajiri マスク
KR200422090Y1 (ko) * 2006-03-08 2006-07-24 조규연 뒤집는 마스크
KR101509612B1 (ko) 2014-07-11 2015-04-09 김종기 방독면용 외측렌즈 장착기구
KR101648577B1 (ko) 2015-11-18 2016-08-16 박종모 먼지 차단 및 김 서림 방지용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11A (ko) * 2018-12-13 2020-06-23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308884B1 (ko) * 2018-12-13 2021-10-06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157371B1 (ko) * 2019-12-04 2020-10-20 주식회사 퓨레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79270B1 (ko) 2020-06-19 2021-07-20 백기선 안면보호창이 조립 설치되는 페이스 쉴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49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969B1 (ko)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JP2011516155A (ja) コンバーチブル型の頭部被覆部材を包含するレスピレータシステム
KR200486660Y1 (ko) 휴대용 공기 청정 마스크
KR20170127743A (ko) 휴대용 공기 청정 마스크
KR101863286B1 (ko) 안면 마스크
KR20190028895A (ko)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CN106267508B (zh) 一种空气加湿装置
KR20160094153A (ko) 필터 마스크
CN205730013U (zh) 面罩及用于面罩的净化组件
KR20190048715A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안전헬멧
CN205516071U (zh) 一种微正压多功能鼻罩式呼吸器
KR20090003159U (ko) 마스크
US20180147424A1 (en) Nasal air filter device
KR200389362Y1 (ko)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CN205005981U (zh) 可替换液体过滤式口罩
KR20180121114A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차양모자
JP6952642B2 (ja) 結露水吸水保水不織布を装着するための切込又は穴を設けたcpapマスク,nppvマスク及び結露水吸水保水不織布を装着したcpapマスク,nppvマスク
KR20200114249A (ko) 청정에어 블러워형 마스크
KR200398312Y1 (ko) 가습 마스크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KR102417414B1 (ko) 팬 착탈형 공기청정 헤드폰
CN106621106B (zh) 穿戴式呼吸装置
KR101819144B1 (ko)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KR20100077105A (ko) 편리한 공기정화 코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