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32B1 -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32B1
KR100940332B1 KR1020090059829A KR20090059829A KR100940332B1 KR 100940332 B1 KR100940332 B1 KR 100940332B1 KR 1020090059829 A KR1020090059829 A KR 1020090059829A KR 20090059829 A KR20090059829 A KR 20090059829A KR 100940332 B1 KR100940332 B1 KR 10094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ce
sunscreen
band member
mas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Priority to KR102009005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철 야외활동 시 얼굴 전체와 필요시 목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자외선과 같은 강한 태양광으로부터 얼굴 및 목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현상이 미연에 방지됨과 아울러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특히 황사가 얼굴의 코나 입을 통하여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착용상태에서 투명 또는 유색의 색상이 포함되는 약 투명의 마스크 부재를 통해 전방의 시야가 고스란히 확보될 뿐 아니라, 마스크 부재 안쪽의 사용자 얼굴을 가리지 않아 타인으로 하여금 이질감 및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안면 마스크 착용에 따른 활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아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과도한 활동으로 얼굴을 많이 움직이게 될 경우에도 착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고무, 압축스폰지, 천중 어느 하나를 선택사용하는 밴드 부재와 자외선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크 부재 자체의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땀이나 먼지 등이 밴드 부재나 마스크 부재에 스며들지 않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안면 마스크, 밴드 부재, 마스크 부재, 목 가리개, 호흡기마스크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The face mask of a screen ultraviolet rays}
본 발명은 여름철 야외활동 시 자외선과 같은 강한 태양광으로부터 얼굴 및 목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방지되게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에 차양 모가 결합 되어 신축 조절되는 밴드 부재에 투명 또는 연한 유색 색상이 포함되는 약 투명의 마스크 부재를 결합시킨 안면 마스크로 얼굴 전체를 가림으로써, 야외활동 중 얼굴을 유해 자외선으로부터 완전 차단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투명 또는 약 투명의 마스크 부재를 통해 전방의 시야가 고스란히 확보되도록 할 뿐 아니라 마스크 부재 안쪽의 사용자 얼굴을 가리지 않아 타인으로 하여금 이질감 및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상기 안면 마스크를 필요시 목까지 길게 연장하여 자외선과 같은 강한 태양광으로부터 얼굴 및 목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방지되게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어컨의 냉매, 스프레이 등에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의 사용 급증으로 지구의 오존층 파괴가 가속화됨에 따라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크게 늘고 있다.
최근 밝혀진 자외선 지수 분포도에 따르면 한여름 북반구의 경우도 북위 40도 이하의 거의 모든 지역이 피부 등에 극히 위험할 정도의 강한 자외선이 내리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한여름 땡볕의 자외선 지수는 10 안팎으로 평소 적도 지방의 자외선 지수에 근접하고 있어, 자외선 지수가 가장 높은 오전 10시~오후 4시 사이의 야외활동은 가급적 자재 하는 것이 좋다고 각종 방송매체를 통해 항상 접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자외선은 A, B, C로 나누어지는데 C 자외선은 단파장 자외선으로 지상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상에는 닿지 않으나 오존층의 파괴가 가일층 증가함에 따라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으며, B 자외선은 중파장의 자외선으로 선번(피부가 붉게 부어오르고 수포가 생기는 상태)과 선탠을 일으키는 생활 자외선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생활 자외선도 자외선 지수가 높은 자외선의 경우 피부암, 녹내장, 백내장, 피부노화 및 피부조직손상, 파괴, 피부염증, 색소침착, 기미, 주근깨 등의 잡티, 잔주름 등을 유발시키고,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암연구소(NCI)와 암협회(ACS)는 지난해 미국에서만 약 73만 명이 피부암에 걸려 이중 약 9천 2백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바 있으며, 이는 시간당 한 사람 이상이 피부암으로 사망하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미국해양 대기국(NOAA)에서는 최근 자외선이 인체에 크게 유해하다는 점을 인식, 1994년 부터는 자외선 지수 예보를 시작했으며, 올 봄 이를 정식으로 예보 종목에 채택했고, 아울러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부터는 자외선 예보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자외선의 심각한 피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자외선 차단용 썬 캡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종래 자외선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썬 캡은 얼굴을 햇볕으로부터 가려주거나 눈부심을 방지하는 기능으로서, 차양을 천, 합성수지 등의 불투명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며, 또 다른 것으로는 차양이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비닐류, 플라스틱제의 차양도 있으나 이들 모두는 햇볕을 가려주는 기능만 할 뿐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은 전혀 갖추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야외활동시 자외선 등과 같은 태양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차단마스크가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마스크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5042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직물지로 이루어지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를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결착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0255042호의 자외선 차단마스크는 직물지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할 경우 땀 등으로 인해 비위생적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활동으로 얼굴을 많이 움직이게 될 경우 마스크가 눈 부위를 가리게 되어 전방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결착끈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차단마스크를 머리 뒤로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착용에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가 주로 섬유 및 내자로 이루어짐에 따라 마스크의 착용시 땀과 먼지 등이 스며들면서 얼룩이 발생됨에 따라 마스크가 쉽게 오염되는바, 특히 마스크의 섬유부분이 제일 먼저 오염되어 마스크 착용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여름철 야외활동 시 얼굴 전체와 필요시 목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자외선과 같은 강한 태양광으로부터 얼굴 및 목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현상이 미연에 방지됨과 아울러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특히 황사가 얼굴의 코나 입을 통하여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착용상태에서 투명 또는 유색의 색상이 포함되는 약 투명의 마스크 부재를 통해 전방의 시야가 고스란히 확보될 뿐 아니라, 마스크 부재 안쪽의 사용자 얼굴을 가리지 않아 타인으로 하여금 이질감 및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안면 마스크 착용에 따른 활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아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과도한 활동으로 얼굴을 많이 움직이게 될 경우에도 착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고무, 압축스폰지, 천중 어느 하나를 선택사용하는 밴드 부재와 자외선차단 열가소성 필름을 여러겹으로 겹쳐 성형한 마스크부재 또는 레진에 자외선 차단물질을 혼합시켜 사출 성형한 마스크 부재 자체의 재질 특성으로 인하여 땀이나 먼지 등이 밴드 부재나 마스크 부재에 스며들지 않게 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투명 또는 불투명의 차양 모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자재 되고, 후방 착탈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직경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밴드 부재와; 상기 밴드 부재의 전방에 탈부착되어 얼굴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을 취하면서 얼굴 전체를 감싸는 마스크 부재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는 신축성이 있으면서 피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재질 예컨대 고무, 압축스폰지, 천중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며, 상기의 밴드 부재 전면에 자외선차단 열가소성 필름을 여러겹으로 겹쳐 진공 성형한 마스크부재 또는 레진(resin)에 자외선 차단물질을 포함시켜 사출성형한 마스크 부재를 상호 결합하되, 상기 결합은 하나의 힌지나사를 통해 내측부터 밴드 부재, 마스크 부재, 차양 모 순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상태에서 힌지나사의 조임 및 해체를 통해 밴드 부재에서 차양 모와 마스크 부재의 조정 및 탈부착이 가능케 되며, 이때 결합된 밴드 부재의 전면과 마스크 부재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면서 상기 간극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고, 상기의 마스크 부재는 투명 또는 연한 유색의 색상이 포함된 약 투명한 것으로서 그 테두리가 보호 천으로 박음질 되며, 마스크 부재의 양측 단부 중앙에는 요함부가 형성되고, 요함부 하부에는 착탈수단을 통하여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가 탈부착 되며, 상기 받침 부재는 연결 부재와 다른 착탈수단을 통해 밴드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부재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투명도와 자외선 차단율이 높은 PC(폴리카보네이트), PE(포리에틸렌), PET(폴리에스터),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TPE(THERMOPLASTIC ELASTOMER)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TPE는 PVC의 대체물질로 요즘 각광받는 물질로서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고온에서는 유연하여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재료이며, 가공중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수 있는 등 경제성과 가공성을 두루 갖춘 물질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는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고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하드코팅 처리되고, 정전기에 의한 미세먼지 부착이 방지되게 대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부재는 얼굴의 형태에 따라 굴곡된 가면형으로 형성되고, 이럴 경우 코 부위와 입 부위는 호흡용 구멍과 대화용 구멍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부재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의 구멍을 통해 전방의 시야를 직접 보거나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장방형의 구멍을 통해 안경이 착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부재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볼록 및 오목의 렌즈부가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전방 시야의 물체 및 사물을 확대 및 축소시 켜 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 부재에는 일 측으로 이어폰의 줄이 거치 고정되는 이어폰 홀더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목 가리개를 마스크 부재 하방으로 더 연결하여 자외선이 목 둘레에 비춰지는 것을 차단하고, 목 가리개는 후방에서 착탈수단을 통해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부재의 요함부 하부에는 착탈수단을 통해 탈부착되어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 부재에는 필요에 따라 거즈 타입의 호흡기마스크가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단추형, 벨크로 테이프형, 보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의하면 여름철 등산, 낚시, 각종 레포츠 등의 야외활동 시 얼굴 전체와 목 둘레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 및 목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특히 황사가 얼굴의 코나 입을 통하여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이 간편하면서 착용상태에서 밴드 부재와 받침 부재가 이마와 하 관 양측에 밀착되어 연결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과도한 움직임에도 착용상태가 견고하여 활동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종래 대부분 썬 캡의 양측다리를 귀에 걸어 귀에 부담을 주거나 심할 경우 귀에 상처를 유발시키게 됨이 방지되어 그 착용감이 매우 안전하고 편안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 부재와 마스크 부재간의 사이에 공기가 유통되는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얼굴에 땀이 나거나 마스크 부재 표면에 김 서림 등이 방지되어 착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또는 연한 유색 색상이 포함되는 약 투명의 마스크를 통해 전방의 시야가 고스란히 확보될 뿐 아니라, 마스크 부재 안쪽의 사용자 얼굴 또한 가리지 않게 되어 타인으로 하여금 이질감 및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착용에 따른 활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인 눈높이 위치의 세로방향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구멍을 통해 전방의 시야를 직접 보거나 안경착용자의 경우 상기 장방형의 구멍을 통해 안경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인 눈높이 위치의 세로방향에 형성되는 볼록 및 오목의 렌즈부를 통해 전방 시야의 물체 및 사물을 확대 및 축소상태로 볼 수 있게 되어 그 기능 또한 다양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질 자체의 특성 예컨대 자외선차단 열가소성 필름을 여러겹으로 겹쳐 진공성형한 마스크부재 또는 레진에 자외선 차단물질을 포함시켜 사출 성형한 마스크부재와 압축스폰지, 고무, 천 등 신축성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밴드 부재가 이루어짐에 따라 땀이나 먼지 등에 의한 얼룩 발생이나 냄새가 베이는 것이 방지되어 안면 마스크가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성이 있고, 후방 착탈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춰 직경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밴드 부재가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관계없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그 착용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착용 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결합 사시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결합 측면 구성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착용상태 측면 구성도면이고, 도 6의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 측면 구성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투명 또는 불투명의 차양 모(4)가 결합되어 회전자재 되고, 후방 착탈수단(5a)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직경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밴드 부재(2)와; 상기 밴드 부재(2)의 전방에 탈부착되어 얼굴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을 취하면서 얼굴 전체를 감싸는 마스크 부재(3)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2)는 신축성이 있으면서 피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재질 예컨대 고무, 압축스폰지, 천중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며, 상기의 밴드 부재(2) 전방에 자외선차단 열가소성 필름을 여러겹으로 겹쳐 성형한 마스크 부재(3) 또는 레진에 자외선 차단물질을 포함시켜 사출성형한 마스크 부재(3)를 상기 밴드부재(2)에 결합 시키되, 상기 결합은 하나의 힌지나사(h)를 통해 내측부터 밴드 부재(2), 마스크 부재(3), 차양 모(4) 순으로 결합된다.
마스크부재(3) 제조방법으로는 첫째, 열가소성 자외선차단 필름상태의 원단을 뽑아서 진공성형기에서 금형의 형상대로 성형하는 방법 둘째, 플라스틱이 열에 녹아 액체상태로 된 레진(resin)에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출성형기에 의해 금형 형상대로 성형하는 방식 등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공성형기는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서 압축과 진공을 병행해서 성형하는 방법과 진공만을 행하여 성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원하는 마스크부재의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크부재(3)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부재(3)의 양측 결합장공(8)에는 힌지나사(h)가 관통되어 밴드 부재(2)의 고정나사(h1)에 체결됨으로써, 밴드 부재(2)와 마스크 부재(3)가 결합된 상태에서, 마스크 부재(3)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결합장공(8)의 거리만큼 마스크 부재(3)의 높이가 조정되며,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나사(h)의 조임 및 해체를 통해 밴드 부재(2)에서 차양 모(4)와 마스크 부재(3)의 각도 및 높이조정 그리고 탈부착이 가능케 되고, 또한 결합된 밴드 부재(2)의 전면과 마스크 부재(3) 사이에는 간극(t)이 형성되면서 상기 간극(t)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며, 한편 상기의 마스크 부재(3)는 투명 또는 연한 유색의 색상이 포함된 약 투명한 것으로서 그 테두리가 보호 천(9)으로 박음질 되고, 마스크 부재(3)의 양측 단부 중앙에는 요함부(10)가 형성되며, 상기 요함부(10) 하부에는 착탈수단(5b)을 통하여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11)가 탈부착 되고, 상기 받침 부재(11)는 연결 부재(12)와 다른 착탈수단(5c)을 통해 밴드 부재(2)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마스크 부재(3)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투명도와 자외선 차단율이 높은 PC(폴리카보네이트), PE(포리에틸렌), PET(폴리에스터),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TPE(THERMOPLASTIC ELASTOMER)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TPE는 PVC의 대체물질로 요즘 각광받는 물질로서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고온에서는 유연하여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재료이며, 가공중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수 있는 등 경제성과 가공성을 두루 갖춘 물질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3)는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고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하드 코팅 처리되고, 정전기에 의한 미세먼지 부착이 방지되게 대전 처리되는 구성이다.
삭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얼굴의 형태에 따라 굴곡된 가면형으로 형성되고, 이럴 경우 코 부위와 입 부위에 호흡용 구멍(13)과 대화용 구멍(14)이 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3)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장방형 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전방의 시야를 직접볼 수 있게 되거나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안경을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3)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의 렌즈부(16)를 형성하여 상기 렌즈부(16)를 통해 전방 시야의 물체 및 사물을 확대 및 축소상태로 볼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밴드 부재(2)에는 일 측으로 이어폰의 줄이 거치 고정되는 이어폰 홀더(21)가 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1)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목 가리개(17)를 마스크 부재(3) 하방으로 더 연결하여 자외선이 목 둘레에 비춰지는 것을 차단하고, 목 가리개(17)는 후방에서 착탈수단(5d)을 통해 탈부착 되는 구성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3)의 요함부(10) 하부에는 착탈수단(5b)을 통해 탈부착되어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11)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 부재(11)에는 거즈 타입의 호흡기마스크(18)가 필요에 따라 탈부착 되는 구성이다.
상기 착탈수단(5a~5d)은 단추형, 벨크로 테이프형, 보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구성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9)는 통상의 운동용 모자, (20)은 안경을 지칭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먼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힌지나사(h)를 통해 내측부터 밴드 부재(2), 마스크 부재(3), 차양 모(4) 순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나사(h)의 조임 및 해체를 통해 밴드 부재(2)에서 차양 모(4)와 마스크 부재(3)의 각도 및 높이조정 그리고 탈부착이 가능케 되며, 밴드 부재(2)는 후방 착탈수단(5a)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직경이 자유롭게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 부재(2)는 신축성이 있으면서 피부와의 접촉이 부드러운 고무, 압축 스폰지, 천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고, 상기 밴드 부재(2)의 전방에 투명 또는 연한 유색의 색상이 포함된 약 투명한 마스크 부재(3)가 결합되며, 이때 결합된 밴드 부재(2)의 전면과 마스크 부재(3) 사이에는 간극(t)이 형성되어 상기 간극(t)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면서, 착용중 얼굴에 땀이나 마스크 부재(3) 표면에 김 서림 등이 방지된다.
한편, 마스크 부재(3)의 양측 결합장공(8)에는 힌지나사(h)가 관통되어 밴드 부재(2)의 고정나사(h1)에 체결됨으로써, 밴드 부재(2)와 마스크 부재(3)가 상호 결합 된 상태에서, 마스크 부재(3)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결합장공(8)의 거리만큼 마스크 부재(3)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의 마스크 부재(3)는 그 테두리가 보호천(9)으로 박음질 되어 상기 보호천(9)의 부드러운 안쪽면이 얼굴 피부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마스크 부재(3)의 양측 단부 중앙에는 요함부(10)가 형성되고, 요함부(10) 하부에는 착탈수단(5c)을 통한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되는 받침 부재(11)가 탈부착 되며, 상기 받침 부재(11)는 연결 부재(12)와 착탈수단(5d)을 통해 밴드 부재(2)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밴드 부재(2)를 이마에 두른 후, 마스크 부재(3)를 안면의 정 위치에 세팅시킨 상태에서 마스크 부재(3)의 요함부(10) 하부에 착탈수단(5c)을 통해 부착된 양 받침 부재(11)를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시킨 상태로 받침 부재(11)와 밴드 부재(2)를 연결 부재(12)로 연결하게 되면 안면 마스크(1)가 간편하게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 되는데, 이때 도 6a 에서와 같이 요함부(10)에는 사용자의 귀가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차양 모(4)를 떼어내고 밴드 부재(2)와 마스크 부재(3)만 착용하거나 또는 차양 모(4) 대신에 통상의 운동모자(19)를 착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받침 부재(11)에는 거즈 타입의 호흡기마스크(18)가 필요에 따라 탈부착 사용됨으로써 매연이나 먼지 특히 황사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마스크 부재(3)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투명도가 뛰어난 PC(폴리카보네이트), PE(포리에틸렌), PET(폴리에스터),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TPE(THERMOPLASTIC ELASTOMER)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TPE는 PVC의 대체물질로 요즘 각광받는 물질로서 열가소성 탄성체로서, 고온에서는 유연하여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재료이며, 가공중 생기는 찌꺼기를 다시 쓸수 있는 등 경제성과 가공성을 두루 갖춘 물질이다.
상기 마스크 부재(3)는 투명도 좋으나 가능한 연한 유색의 색상을 갖도록 소정의 색소를 혼합하여 약 투명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으면서 고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하드 코팅 처리되고, 정전기에 의한 미세먼지의 부착이 방지되게 대전 처리되므로 마스크 부재(3) 자체가 유색 선글라스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자외선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마스크 부재(3)는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인 둥근 형상으로 제작되어 착용상태에서 얼굴과 일정간극을 유지하게 되거나, 얼굴의 세부적인 형상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이 가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럴 경우 필요에 따라 코 부위와 입 부위에 호흡용 구멍(13)과 대화용 구멍(14)을 천공하게 되면 그 사용이 더욱 효과적이나 반드시 호흡용 구멍과 대화용 구멍을 천공할 필요는 없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6c에서와 같이 마스크 부재(3)에는 눈높이 위치 세로방향에 장방형 구멍(15)을 천공하여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전방의 시야를 직접 볼 수 있게 하거나 안경(2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안경(20)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 6d에서와 같이 마스크 부재(3)에는 눈높이 위치 세로방향으로 볼록 및 오목의 렌즈부(16)를 형성하여 이 렌즈부(16)를 통하여 전방 시야의 물체 및 사물을 확대시켜 보거나 축소시켜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e에서와 같이 밴드 부재(2)일 측에는 이어폰 홀더(16)가 형성되어 MP3등의 이어폰의 줄을 상기의 이어폰 홀더(21)에 고정하게 되면 야외활동중 사용자가 동작이 큰 활동을 하여도 이어폰 줄이 귀에서 빠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f에서와 같이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1)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목 가리개(17)를 마스크 부재(3) 하방으로 더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자외선이 목 둘레에 비춰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6g에 표기된 것과 같이, 마스크 부재의 양측 결합장공에는 힌지나사(h)가 관통되어 밴드부재(2)의 고정나사(h1)에 체결되고, 힌지나사(h)를 통해 내측으로 밴드부재(2), 마스크부재(3), 차양모(4)로 순차 결합되고, 마스크 측면 하단에는 착탈수단을 사용하여 밴드부재(2')로 목부를 감싸안아 머리부가 흘러내리지 않고, 마스크부재 및 차양모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착용상으로도 편리한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리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결합 측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의 착용상태 측면 구성도
도 6의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다른 실시 예의 착용상태 측면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면 마스크 2 : 밴드 부재
3 : 마스크 부재 4 : 차양 모
5a~5d : 착탈수단 6 : 결합공간
7 : 안내돌기 8 : 결합장공
9 : 보호천 10 : 요함부
11 : 받침 부재 12 : 연결 부재
13 : 호흡용 구멍 14 : 대화용 구멍
15 : 장방형 구멍 16 : 렌즈부
17 : 목 가리개 18 : 호흡기마스크
19 : 운동용 모자 20 : 안경
21 : 이어폰 홀더 h : 힌지나사
h1 : 고정나사 t : 간극

Claims (11)

  1. 전방에 투명 또는 불투명의 차양 모(4)가 결합되어 회전자재 되고, 후방 착탈수단(5a)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직경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밴드 부재(2)와; 상기 밴드 부재(2)의 전방에 탈부착되어 얼굴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을 취하면서 얼굴 전체를 감싸는 마스크 부재(3)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2)는 신축성이 있으면서 피부와의 접촉시 부드러운 재질인 고무, 압축스폰지, 천중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며,
    상기의 밴드 부재(2) 전방에 자외선차단 열가소성 필름을 여러겹으로 겹쳐 압축진공성형기에 의해 성형한 마스크부재(3) 또는 레진(resin)에 자외선 차단물질을 포함시켜 사출 성형한 마스크 부재(3)를, 상기 밴드부재(2)에 결합시키되,
    상기 결합은 하나의 힌지나사(h)를 통해 내측부터 밴드 부재(2), 마스크 부재(3), 차양 모(4) 순으로 결합되는데, 이때 마스크 부재(3)의 양측 결합장공(8)에는 힌지나사(h)가 관통되어 밴드 부재(2)의 고정나사(h1)에 체결됨으로써, 밴드 부재(2)와 마스크 부재(3)가 결합된 상태에서, 마스크 부재(3)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결합장공(8)의 거리만큼 마스크 부재(3)의 높이가 조정되며,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나사(h)의 조임 및 해체를 통해 밴드 부재(2)에서 차양 모(4)와 마스크 부재(3)의 각도 및 높이조정 그리고 탈부착이 가능케 되고, 또한 결합된 밴드 부재(2)의 전면과 마스크 부재(3) 사이에는 간극(t)이 형성되면서 상기 간극(t)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며, 상기의 마스크 부재(3)는 투명 또는 연한 유색의 색상이 포함된 약 투명한 것으로서 그 테두리가 보호 천(9)으로 박음질 되고, 마스크 부재(3)의 양측 단부 중앙에는 요함부(10)가 형성되며, 상기 요함부(10) 하부에는 착탈수단(5b)을 통하여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11)가 탈부착 되고, 상기 받침 부재(11)는 연결 부재(12)와 다른 착탈수단(5c)을 통해 밴드 부재(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투명도와 자외선 차단율이 높은 PC(POLYCARBONATE,폴리카보네이트), PE(POLYETHYLENE,포리에틸렌), PET(POLYESTER,폴리에스터), PP(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 PVC(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TPE(THERMO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고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하드 코팅 처리되고, 정전기에 의한 미세먼지 부착이 방지되게 대전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얼굴의 형태에 따라 굴곡된 가면형으로 형성되고, 코 부위와 입 부위는 호흡용 구멍(13)과 대화용 구멍(14)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장방형 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전방의 시야를 직접 볼 수 있게 되거나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는 장방형 구멍(15)을 통해 안경(20)이 착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는 눈높이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볼록 및 오목의 렌즈 부(16)를 형성하여 렌즈부(16)를 통해 전방 시야의 물체 및 사물을 확대 및 축소상태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2)에는 일 측으로 이어폰의 줄이 거치 되어 고정되는 이어폰 홀더(21)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1)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목 가리개(17)를 마스크 부재(3) 하방으로 더 연결하여 자외선이 목 둘레에 비춰지는 것을 차단되고, 목 가리개(17)는 후방에서 착탈수단(5e)을 통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부재(3)의 요함부(10) 하부에는 착탈수단(5c)을 통해 탈부착되면서 얼굴의 양측 하관에 밀착된 받침 부재(11)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 부재(11)에는 거즈 타입의 호흡기마스크(18)가 착탈수단(5d)을 통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5a~5c)은 단추형, 벨크로 테이프형, 보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11. 제 1항에 있어서,
    마스크 부재(3)의 양측 결합장공에는 힌지나사(h)가 관통되어 밴드부재(2)의 고정나사(h1)에 체결되고, 힌지나사(h)를 통해 내측으로 밴드부재(2), 마스크부재(3), 차양모(4)를 순차 결합하고, 마스크 측면 하단에는 착탈수단에 연결된 밴드부재(2')로 목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1020090059829A 2009-07-01 2009-07-01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10094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29A KR100940332B1 (ko) 2009-07-01 2009-07-01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29A KR100940332B1 (ko) 2009-07-01 2009-07-01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332B1 true KR100940332B1 (ko) 2010-02-05

Family

ID=4208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29A KR100940332B1 (ko) 2009-07-01 2009-07-01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3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895A (ko) 2017-09-11 2019-03-20 윤대웅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20190033149A (ko) 2017-09-21 2019-03-29 윤대웅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2013744B1 (ko) * 2018-10-02 2019-08-23 주식회사 솔릭스 마스크 및 마스크 제조 방법
KR20200084312A (ko) 2020-06-17 2020-07-10 (주) 삼덕티엠피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2163639B1 (ko) * 2020-04-10 2020-10-12 김영대 보호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고정부재
RU201087U1 (ru) * 2020-10-06 2020-11-26 Игорь Вадимович Гусак Защитная экран-маска для лица
KR20210000416U (ko) 2021-01-29 2021-02-22 (주) 삼덕티엠피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2225421B1 (ko) * 2020-06-19 2021-03-09 백기선 페이스 쉴드 프레임의 투명보호창에 조립되는 위생 쉴드 마스크
KR102232891B1 (ko) * 2020-06-01 2021-03-26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페이스 실드
KR102279270B1 (ko) * 2020-06-19 2021-07-20 백기선 안면보호창이 조립 설치되는 페이스 쉴드 프레임
WO2021230411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맥바이오테크 Uv와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안면 보호 마스크
WO2021260957A1 (ja) * 2020-06-22 2021-12-30 朗 高野 衛生シールド
KR20220074195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스텍 얼굴 전면보호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65Y1 (ko) 2002-08-22 2002-11-29 주식회사 루트 마스크 부착형 자외선 차단 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65Y1 (ko) 2002-08-22 2002-11-29 주식회사 루트 마스크 부착형 자외선 차단 모자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895A (ko) 2017-09-11 2019-03-20 윤대웅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20190033149A (ko) 2017-09-21 2019-03-29 윤대웅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2013744B1 (ko) * 2018-10-02 2019-08-23 주식회사 솔릭스 마스크 및 마스크 제조 방법
KR102163639B1 (ko) * 2020-04-10 2020-10-12 김영대 보호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고정부재
WO2021230411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맥바이오테크 Uv와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안면 보호 마스크
KR102232891B1 (ko) * 2020-06-01 2021-03-26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페이스 실드
KR20200084312A (ko) 2020-06-17 2020-07-10 (주) 삼덕티엠피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2279270B1 (ko) * 2020-06-19 2021-07-20 백기선 안면보호창이 조립 설치되는 페이스 쉴드 프레임
KR102225421B1 (ko) * 2020-06-19 2021-03-09 백기선 페이스 쉴드 프레임의 투명보호창에 조립되는 위생 쉴드 마스크
WO2021260957A1 (ja) * 2020-06-22 2021-12-30 朗 高野 衛生シールド
RU201087U1 (ru) * 2020-10-06 2020-11-26 Игорь Вадимович Гусак Защитная экран-маска для лица
KR20220074195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스텍 얼굴 전면보호 마스크
KR102594754B1 (ko) * 2020-11-27 2023-10-27 주식회사 스텍 얼굴 전면보호 마스크
KR20210000416U (ko) 2021-01-29 2021-02-22 (주) 삼덕티엠피 페이스 실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332B1 (ko) 자외선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KR102137590B1 (ko)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KR102392117B1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US6282721B1 (en) Headwear with slots for glasses
US20200187579A1 (en) Ultimate Hat
US20220160057A1 (en) Combined face shield and mask assembly
KR20210011129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4582B1 (ko) 황사차단 모자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200445739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KR101482881B1 (ko) 회전가능한 차양막을 갖는 머리띠형 썬캡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200436303Y1 (ko) 자외선차단 차양모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0469916Y1 (ko) 차양이 구비된 마스크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210026312A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KR200323339Y1 (ko) Uv 차단 기능을 갖는 1회용 안면 마스크
KR101261478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231986Y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