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607B1 -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607B1
KR101965607B1 KR1020180100483A KR20180100483A KR101965607B1 KR 101965607 B1 KR101965607 B1 KR 101965607B1 KR 1020180100483 A KR1020180100483 A KR 1020180100483A KR 20180100483 A KR20180100483 A KR 20180100483A KR 101965607 B1 KR101965607 B1 KR 10196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powder
water
solid
dis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10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6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07B1/en
Priority to PCT/KR2019/010814 priority patent/WO20200459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id cleanser disintegr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wherein the solid cleanser comprises the following ingredients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phase hydrogel-powder complex: alginate;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ite; corn starch; a surfactant; an additive; and water. The alginate and the calcium sulfate form a discontinuous-phase hydrogel with water to function as a binder for powder particulates; the corn starch is gelatinized into viscous starch with water to function as an adhesive for the powder particulates; and the discontinuous-phase hydrogel and the viscous starch may form, with the powder particulates, a discontinuous-phase hydrogel-powder complex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solid cleanser disintegrable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handled and used due to high wa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high disintegrablity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can be formed into a single-use amount so as to prevent wasteful use of the product; has excellent cleansing power that enables deep cleansing of pores; and does not require double cleansing.

Description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ly 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a corn starch as a binding ag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xfoliant-

본 발명은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및 물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태로 함유하고, 알진 및 칼슘설페이트에서 유래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점착성 옥수수 전분이 규조토 등의 파우더 입자들의 결합제로서 작용하므로, 내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ly 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a bind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foliating solid cleanser compri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a corn starch as a binder,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and the discontinuous hydrogel and the sticky corn starch derived from alginate and calcium sulfate act as a binder of powder particles such as diatomaceous earth, A solid cleans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클렌저(Cleanser)는 화장을 지우거나 각질 제거 또는 피부에 묻은 기타 오염물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세면 용품을 의미하고, 클렌징(Cleansing)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속 노폐물을 제거하고 지친 피부를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면서, 피부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필요한 수분을 공급해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Cleanser means cleansing toiletries used to remove makeup, exfoliation or other contaminants on the skin, cleansing is used to remove make-up, as well as remove wastes from the skin and purify tired skin And removing unnecessary components from the skin and supplying the necessary moisture.

전통적으로 비누를 사용하여 클렌징하였지만, 클렌징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여러가지 형태의 클렌징 제품 및 다양한 클렌징 절차와 방식들이 제안되었고, 현재에는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클렌징 폼 등의 형태로 클렌징 제품들이 출시된다. As the importance of cleansing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various types of cleansing products and various cleansing procedures and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now, there have been proposed cleansing oils, cleansing creams, cleansing lotions, cleansing waters, cleansing gels, Cleansing products are available in the form of foam.

비누는 클렌징 제품이 활성화되기 전부터 가장 흔하게 사용해왔던 대표적인 세정제로, 알칼리작용으로 피부에 있는 노폐물을 제거하지만, 피부의 산성도를 변화시켜 알칼리성을 띄게 하고, 탈수, 탈지현상을 일으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민감성 피부, 건성 피부의 경우 순한 약산성 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오히려 다른 클렌징 제품의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비누는 물과 항상 닿아 있어 쉽게 물러지고 다시 사용할 때 흐물해진 비누의 사용감이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특히 공용으로 사용되는 화장실 등에 비치된 비누는 이제 그 누구도 사용하고 싶지 않은 제품이 되어버렸다.Soap is a typical detergent that has been used most often before the activation of cleansing products. It removes wastes from the skin by the action of alkalis, but changes the acidity of the skin to make it alkaline, dehydrating and degreasing, . For sensitive or dry skin, it is advisable to use mildly acidic soaps, and use of other cleansing products is recommended. In addition, the soap is always in contact with water and easily dismounted, and the feeling of use of the soap, which is worn out when used again, is discomforted. Especially, the soap which is used in public toilets has become a product that no one wants to use.

클렌징 제품들은 한 번에 클렌징이 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두 번, 세 번에 걸쳐 이중 세안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Cleansing products can not be cleans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troublesome to do double cleansing twice or three times.

클렌징 폼은 계면활성제 제형의 세안화장품으로 비누처럼 거품이 나는 제품으로, 비누의 단점인 피부당김이나 자극을 제거한 제품이지만, 폼을 사용후 닦아낸 다음 이중 세안이 필요하다. 클렌징 폼은 대부분 튜브 형태의 제품으로 원하는 만큼 짜서 사용하게 되는 제품이지만, 치약처럼 마지막 남은 내용물까지 짜내어 사용하기가 쉽지않고, 그냥 버려지는 양이 적지않아, 경제적인 측면에서 손실이 크다. 게다가 튜브캡을 열어보면 그 사이사이에 내용물이 끼어 있어 말라 비틀어지고 있거나 심지어 곰팡이가 피어 있는 경우도 종종 발견하게 된다. Cleansing foam is a surfactant-type cleansing cosmetic product. It is a product that bubbles like a soap. It is a product that removes the disadvantages of soap such as skin pull and irritation. However, it requires double cleansing after wiping out the foam. The cleansing foam is mostly a tube-shaped product that is worn as much as you want, but it is not easy to squeeze out the last leftovers like toothpaste, and there is not a lot of discarded amount, which is very costly. In addition, when you open the tube cap, you often find that the contents are caught between them, twisting, or even blooming.

클렌징 오일은 물과 친화력이 있는 오일성분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배합시킨 제품으로, 물에 쉽게 용해되어 진한 화장을 한 다음에 사용하기가 좋지만, 피부와 오랜 시간 접촉시에는 피부에 트러블을 야기하거나 노폐물을 잔존할 우려가 있다. 클렌징 오일은 주요 성분이 오일이므로, 물로 지우기 힘든 색조 화장을 지우는 역할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기초적인 세안 기능이 없어 이중 세안이 필요하며, 액상 타입으로 점도가 낮아 손바닥에 옮길 때 양 조절이 쉽지 않고 쉽게 흘러내릴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하다. Cleansing oil is a combination of water and oil with a surfactant. It is easy to use after thickening with water. However, it may cause trouble to your skin for a long time. There is a risk of remaining waste. Cleansing oil is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of cleansing oil, so it is most commonly used to cleanse the color makeup which is difficult to cleanse with water. But it does not have basic cleansing function and needs double cleansing. It is liquid type and has low viscosity.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can flow down.

클렌징 크림은 친유성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 크림 상태의 제품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세정력이 높지만 색조 화장과 같은 진한 메이크업을 지우기에 적합할 뿐이며, 기름 성질을 갖는 피부의 피지나 화장품을 클렌징 크림 속에 녹아 닦아내어져서, 피부 표면의 지방막이 제거되지만, 유분이 많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이중세안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The cleansing cream is a cream -based product made mainly of lipophilic oil. It is suitable for cleansing the dark make-up like high-gloss makeup with high cleansing power without flowing. It is also possible to dissolve sebum and cosmetics of oil-like skin in cleansing cream It is wiped off, and the fat film on the surface of the skin is removed,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double skin because there is a lot of oil.

클렌징 로션은 친수성의 밀크 타입의 제품으로 이중세안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세정력이 약하여 꼼꼼하고 세밀한 클렌징이 필요하다. Cleansing lotion is a hydrophilic milk type product. It does not require double cleansing but it is weak in washing power and requires careful and detailed cleansing.

이러한 상황에서, 이중 세안이 필요없을 정도로 우수한 세정력을 갖는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기 간편하면서 1회 사용분으로 성형할 수 있는 고형 제품으로 만들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In such circumstance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a cleansing product having a cleaning power that is sufficiently high that a double cleansing is unnecessary, as a solid product that can be easily used and molded into a single use.

특허문헌 1 (국제특허 공개공보 WO 2000/78857, 공개일 2000.12.28.)에는 친수성 겔화제 및 전분을 함유하는 고형 수성겔 및 이를 사용한 고형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무기염 및 무기 충전제 분말을 더욱 포함한다. 전술한 고형 수성겔은 전분 및 충전제 등의 분말의 결합제로서 작용하나, 하이드로겔의 연속상 내에 분말 입자들이 미세 분산되어 있는 물리적 구조를 갖고 있다. 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00/78857, published on December 28, 2000) discloses a solid water-based gel containing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starch and a solid cosmetic product using the gel. . The above-mentioned solid water-based gel acts as a binder for powders such as starch and filler, but has a physical structure in which powder particles are finely dispersed in a continuous phase of the hydrogel.

특허문헌 2 (국제특허 공개공보 WO 2013/175221, 공개일 2013.11.28.)에는 (ⅰ) 약 20% 내지 약 40%에 해당하는 양의 옥수수 전분; (ⅱ) 약 20% 내지 약 50%에 해당하는 양의 증량제; (ⅲ) 약 5% 내지 약 30%에 해당하는 양의 계면활성제; 및 (ⅳ) 약 15% 내지 약 30%에 해당하는 양의 글리세린이 존재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성형 가능한(mouldable) 부드럽고 퍼티(putty)같은 반죽을 형성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 상기 고형 조성물은 옥수수 전분에서 유래하는 젤과 점액을 이용해 기본 재료를 형성하고, 여기에 증량제(예컨대 탈크)와 계면활성제를 분산시켜 반죽을 형성하는 원리에 기초하여 고형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고형 조성물은 건조되어 딱딱하고, 쉽게 성형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글리세린이 첨가된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린은 제제에 사용되어도 물처럼 건조시키지 않기 때문에,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반죽과 유사한 부드러운 질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tent Document 2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13/175221, published on Nov. 31, 2013) discloses a composition comprising: (i) corn starch in an amount of about 20% to about 40%; (Ii) from about 20% to about 50% by weight of an extender; (Iii) a surfactant in an amount from about 5% to about 30%; And (iv) glycerin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from about 15% to about 30% is disclosed, thereby forming a mouldable, soft, putty-like dough. In Patent Document 2, the solid composition is prepared by using a gel and a mucus derived from corn starch to form a base material, and dispersing an extender (e.g., talc) and a surfactant to form a dough. do. The solid composition is dried and hard and can not easily be molded. To prevent this, glycerin is added. Since glycerin is generally not used to dry in water, it is known that a composition containing glycerin has a soft texture similar to dough.

특허문헌 3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83625호, 등록일 2014.04.03.)은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규조토를 이용할 경우 규조토의 비정질 특성에 기인하여 높은 흡유능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상술한 규조토와 함께 전분(Starch)을 이용할 경우 전분의 형태적 특징에 기인하여 상기 규조토의 사용에 의해 감소한 사용감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오일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 코팅된 파우더를 이용하더라도 화장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powder form oil-fre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atomaceous earth and starch. When diatomaceous earth is used, it has been found that due to the amorphous nature of diatomite, The use of starch in combination with the diatomaceous earth described above can remarkably increase the feeling of use reduced by the use of the diatomaceous earth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arch, It says that even if unused, uncoated powder is used, it is excellent in makeup persistenc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skin troubles.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고형 세정제나 고형 클렌저는 세정효과를 나타내는 계면활성제나 파우더들을 연속상 하이드로겔 내에 포함하는 형태를 하고 있어, 형태가 단단하지 못해 내충격성이 약하고, 손이나 피부에 접촉될 때 하이드로겔 특유의 촉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감이 낮고, 연속상 하이드로겔은 손으로 비비거나 문지르는 정도로는 물에 쉽게 풀리거나 붕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Most of the solid detergents and solid cleansers developed so far contain a surfactant or powders that exhibit a cleaning effect in a continuous phase hydrogel, so that they are not rigid in shape and have low impact resistance.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hands or skin The feeling of use is low due to the unique touch of the hydrogel, and the continuous hydrogel is not easily disintegrated or disintegrated into water by rubbing or rubbing by hand.

특허문헌 4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5-0049522호, 공개일 2016.10.18.)에는, 친수성 겔화제(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 겔화지연제(마그네슘 옥사이드), 증량제(규조토), 점착성 전분(옥수수 전분), 첨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클렌저가 개시되어 있는데, 파우더에 비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친수성 겔화제 및 물의 양을 파우더의 양에 비해 비교적 적게 조절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이 파우더의 분산매가 아니라 결합제로서 작용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49522, published on Oct. 18, 2016) discloses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lgin and calcium sulfate), a gelling retarder (magnesium oxide), an extender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additives, and purified water. It is known that the amount of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the water that forms the hydrogel as compared to the powder is relatively less than the amount of the powder, so that the hydrogel is not the dispersion medium of the powder Suggesting that it acts as a binder.

하지만 특허문헌 4에 따르면, 액상 성분과 파우더 성분을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제형을 제조하고 상기 반죽을 성형하여 구형의 고체 타입 클렌저를 수득하고 있으나, 상기 반죽은 친수성 겔화제와 물로부터 형성된 하이드로겔을 점착성 전분 및 규조토 등의 파우더와 혼합하여 제조되므로, 만족스러운 사용감 및 물성을 위해서는 구성 성분들의 분포 및 조성이 전체적으로 균질해야 하고, 따라서, 하이드로겔(친수성 겔화제와 물로부터 형성됨)과 파우더(점착성 전분 및 규조토 등)를 장시간 동안 매우 격렬하게 혼련해야 할 필요가 있어 공정 비용이 상당히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속상 하이드로겔을 분쇄 또는 파쇄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로 만들어도, 즉, 파우더를 포함하는 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파쇄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과 파우더가 혼재된 반죽 상태로 제조할 수 밖에 없지만, 연속상 하이드로겔에서 유래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은 파우더 입자들의 결합하거나 연결하는 강도는 약하기 때문에, 반죽이나 클렌저는 물성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기 어렵다는 문제가 여전히 있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a dough-shaped formulation is prepared by mixing a liquid component and a powder component, and the dough is molded to obtain a spherical solid-type cleanser. However, the dough is a hydrogel formed from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water The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nstituents must be uniform throughout, and therefore, the hydrogel (formed from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water) and the powder (the sticky starch And diatomaceous earth) must be kneaded very vigorously for a long period of time,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cess cost. In addition, even if the continuous hydrogel is pulverized or broken to be made into a discontinuous hydrogel, that is, the continuous hydrogel containing the powder is crushed to produce a kneaded state in which the discontinuous hydrogel and the powder are mixed, The discontinuous hydrogel derived from the continuous hydrogel has a problem that the dough or the cleanser hardly has excellent impact resistance because the powder particles are weakly bonded or connected.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내수성, 내충격성 및 외력붕해성이 우수하여 취급 및 사용에 문제가 없는 새로운 유형의 고형 클렌저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new type of solid cleanse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economical,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and is free from problems in handling and use.

국제특허 공개공보 WO 2000/78857(공개일 2000.12.28.)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00/78857 (published December 28, 2000) 국제특허 공개공보 WO 2013/175221(공개일 2013.11.28.)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13/175221 (Publication date 2013.11.28.)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83625호(등록일 2014.04.0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83625 (Registered on Apr. 201, 2014)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5-0049522호(공개일 2016.10.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9522 (published October 20, 2016).

본 발명자들은 액상이나 크림 타입이 아니라 1회 사용량의 고체 제형으로 성형할 수 있고 이중세안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세정력을 갖는 고형 클렌저를 제조함에 있어서, 내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생산, 저장, 운반 시에 특별한 주의나 추가 비용을 요구하지 않도록 제품 취급성이 우수하고, 손으로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클렌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외력붕괴성 등이 우수하여 제품 사용성이 뛰어난 고형 클렌저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계속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a solid cleanser which can be molded into a solid dosage form for a single use and not requiring a double cleansing process is manufactured in a liquid or cream type but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 Which is excellent in handleability of the product so as not to require special attention or additional cost in transportation, and is excellent in us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of excellent external force collapsibility such that it can function as a cleanser by simple operation such as rubbing or rubbing by hand In order to develop the research.

본 발명자들은, 친수성 겔화제(알긴, 칼슘 설페이트), 옥수수 전분, 규조토 등의 고체·파우더 원료들을 혼합 및 균질화하여 고형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물, 오일 및 액상 첨가제 등의 액체·액상 원료들을 혼합 및 균질화하여 액상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고형 원료 조성물에 상기 액상 원료 조성물을 1 : 0.2∼1의 중량비로 혼련함으로써, 내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외력붕해성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로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homogenizing solid and powder raw materials such as hydrophilic gelling agents (algin, calcium sulfate), corn starch and diatomaceous earth, and mixing liquid and liquid raw materials such as water, oil and liquid additives And homogenizing the mixture to prepare a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kneading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at a weight ratio of 1: 0.2 to 1 to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to obtain an externally disintegrating dis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osite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it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as an externally-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외력 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내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외력붕해성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되어 있어 취급성 및 사용편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1회 사용량으로 성형가능하므로 제품 낭비가 없고, 세정력이 우수하므로 이중세안이 필요하지 않고 모공까지 딥클렌징이 가능하다. Disclosed is an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nd is excellent in handling property and ease of use since it is formed as an externally disintegrating dis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osite. No need for double cleansing and deep cleansing to pores is possibl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상+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 및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구성을 각각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를 수작업으로 직경 약 1.5cm의 구상으로 성형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를 개방된 용기에서 일주일이 경과한 후의 형태 변화 및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구상 고형 클렌저를 낙하 테스트(1m, 1회, 콘크리트 바닥)한 후에 형태 변화 또는 파괴 여부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구상 고형 클렌저를 수중에서 붕해시험(실온, 10분)한 후에 형태 변화 또는 파괴 여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FIG. 1A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C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tinuous phase + dis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s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spectively.
3A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ally shaped into a spherical shape of about 1.5 cm in diameter,
FIG. 3B is a photograph showing a shape change and an internal state of the external force-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ne week has passed in an opened container,
FIG. 3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change or destruction after the external force deflashable spherical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a drop test (1 m, once, concrete bottom)
FIG. 3D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hape change or destruction after the disintegration test (room temperature, 10 minutes) of the exfoliating solid spherical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ater.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사용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를 제공하는 것으로,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foliating solid cleanser u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a binder,

상기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및 물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태로 함유하며,The external defibrillator solid cleanser comprises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surfactants, additives and water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상기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는 물과 함께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여 파우더 입자들의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물에 의해 점착성 전분으로 호화되어 상기 파우더 입자들의 점착제로 작용하고,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점착성 전분은 파우더 입자들과 함께 망상 구조를 갖는 3차원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Wherein the alginate and calcium sulfate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 together with water to act as a binder of the powder particles and the corn starch is rendered into a sticky starch by water to act as a tackifier for the powder particles and the discontinuous hydrogel And sticky starch together with the powder particles fo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network structure.

상기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는 물과 함께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여 파우더 입자들의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상기 옥수수 전분은 물에 의해 점착성 전분으로 호화되어 상기 파우더 입자들의 점착제로 작용하고,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점착성 전분은 파우더 입자들과 함께 3차원 구조를 갖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다. Wherein the alginate and calcium sulfate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 together with water to act as a binder of the powder particles and the corn starch is rendered into a sticky starch by water to act as a tackifier for the powder particles and the discontinuous hydrogel And tacky starch together with the powder particles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알진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칼슘 설페이트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 0.3∼3중량%, 바람직하게는 0.4∼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중량%, 규조토 30∼60중량%, 바람직하게는 35∼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옥수수 전분 6∼25 중량%, 바람직하게는 8∼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 계면활성제 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7∼1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 첨가제 10∼20 중량% 및 물 잔여량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force-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comprises 1 to 10 wt%, preferably 2 to 8 wt%, more preferably 3 to 5 wt%, calcium sulfate 1 to 10 wt% , Preferably 2 to 8 wt%, more preferably 3 to 5 wt%, magnesium oxide 0.3 to 3 wt%, preferably 0.4 to 2.5 wt%, more preferably 0.5 to 3 wt% By weight, preferably 8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15% by weight, of corn starch, It is possible to include 5 to 20% by weight, preferably 7 to 18%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15% by weight of surfactant, 10 to 20% by weight of additives and residual water content in the form of discontinuous hydrogel- have.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에서, 액체 또는 액상 원료(예. 물, 액상 계면활성제 및 액상 첨가제)는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예.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고형 계면활성제 및 고형 첨가제)의 0.05∼1배(중량), 바람직하게는 0.1∼0.75배(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배(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액체 또는 액상 원료 중의 물은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 중의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의 1∼10배(중량), 바람직하게는 2∼8배(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배(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the liquid or liquid feedstock (e.g., water, liquid surfactant and liquid additive) may be mixed with a solid or powder feedstock (eg,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Weight), preferably 0.1 to 0.75 times (weight), and more preferably 0.2 to 0.5 times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 The water in the liquid or liquid feedstock may be present in the solid or powder feedstock in amounts of 1 to 10 times (weight), preferably 2 to 8 times (weight), more preferably 3 to 6 times (weight) ≪ / RTI >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직경 1∼3cm의 구형일 때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when it is spherical with a diameter of 1 to 3 cm:

- 수중에서도 3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5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분 이상 경과 후에도 붕해되지 않는 내수성;- water resistance which does not disintegrate in water for at least 3 minutes, preferably at least 5 minutes, more preferably at least 10 minutes;

- 높이 0.5m 이상, 바람직하게는 1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 이상에서 나무 또는 플라스틱 바닥에 10회 이상 낙화 시험에도 파괴되지 않는 내충격성; 및 - Impact resistance which is not destroyed on the wood or plastic floor at least 10 times in the decarburization test at a height of 0.5 m or more, preferably 1 m or more, more preferably 1.5 m or more; And

- 수중이나 물로 적신 다음,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약한 외력(즉, 구 형태를 파괴하지 않을 정도의 외력)을 가할 때 3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2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에 80% 이상이 붕해될 정도의 외력붕해성. Preferably 80% or less within 3 minutes, preferably within 2 minutes, more preferably within 1 minute, when applying a weak external force (i.e., an external force not breaking the spherical shape) such as rubbing or rubbing, The external disintegration ability to such an extent that it disintegrates.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external force-disenflective solid cleanser, comprising the steps of:

(단계 1)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고형·파우더 원료 및 액체·액상 원료로 준비 및 구분하고, 바람직하게는 고체·파우더 원료는 조절된 입도를 갖는 것들 중에서 선택하고, (Step 1) A raw material including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surfactant, additive and water is prepared and divided into solid and powder raw materials and liquid and liquid raw materials, ≪ / RTI > is selected from those having controlled particle size,

(단계 2) 고체·파우더 원료로서 친수성 겔화제(알긴, 칼슘 설페이트), 옥수수 전분, 규조토 등을 혼합 및/또는 균질화하여 고형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바람직하게는 고형 원료 조성물이 조절된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고, (Step 2) A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 or homogenizing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lgin, calcium sulfate), corn starch, diatomaceous earth, etc. as a solid / powder raw material, and preferably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has a controlled particle size Crushed,

(단계 3) 액체·액상 원료(예. 에멀젼, 분산액, 현탁액 등)로서 물과 액상 첨가제를 혼합 및/또는 균질화하여 액상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Step 3) A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 or homogenizing water and a liquid additive as a liquid / liquid raw material (e.g., an emulsion, a dispersion, a suspension, etc.)

(단계 4) 상기 고형 원료 조성물에 10∼50℃의 온도에서 상기 액상 원료 조성물을 1 : 0.05∼1배(중량), 바람직하게는 1 : 0.1∼0.75배(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2∼0.5배(중량)의 비율로 첨가 및 혼련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Step 4)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added to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of 10 to 50 占 폚 in a weight ratio of 1: 0.05 to 1: 1, preferably 1: 0.1 to 0.75: 1, 0.2 to 0.5 times (weight), to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단계 5) 결과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임의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구형으로 성형하여 고형 클렌저를 수득하고, (Step 5) molding the resulting discrete hydrogel-powder composite into any shape, preferably spherical, to obtain a solid cleanser,

(단계 6) 경우에 따라서는, 결과된 고형 클렌저에서 물의 함량이 고형 클렌저의 5∼25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중량%가 될 때까지, 예를 들면 10∼50℃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Step 6) In some cases, until the amount of water in the resulting solid cleanser is 5 to 25 wt%, preferably 5 to 20 wt%, more preferably 5 to 15 wt% of the solid cleanser,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10 to 50 캜.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3 및 단계 4에서의 균질화는 조성의 균질화, 입도의 균질화 또는 조성과 입도의 균질화일 수 있으며, 고형 원료 조성물은 볼밀 등을 사용한 분쇄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액상 원료 조성물은 액상 혼합물의 교반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ogenization in the step 3 and the step 4 may be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homogenization of the particle size or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and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achieved by pulverization using a ball mill or the like And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can be achieved by stirring the liquid mixture or the like.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겔화제"는, 용매(분산매)의 존재 하에서, 많거나 적은 강력한 거대분자간 결합을 형성하고, 따라서 상기 용매(분산매)를 가둘 수 있는 삼차원의 네트워크를 유도하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친수성 겔화제"는 물에 용이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겔화제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 gelling agent "refers to a compound that,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dispersion medium), forms a large or small strong macromolecular linkage and thus induces a three dimensional network in which the solvent (dispersion medium) Quot; hydrophilic gelling agent "means a gelling agent capable of easily dissolving or dispersing in water to form a hydrogel.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하이드로겔'(hydrogel, 수화젤)은 물을 분산매로 하는 겔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친수성 겔화제와 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 hydrogel " (hydrogel) means a gel comprising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and can generally be formed from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wat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는 하이드로겔이 파우더 입자들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연결하여 파우더 입자들이 일정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파우더 입자들이 하이드로겔 연속상 매질 내에 존재하면서 하이드로겔-파우더가 일정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지칭하고, 파우더 입자들이 하이드로겔 불연속상 입자에 의해 연결되어 하이드로겔 입자-파우더 입자-하이드로겔 입자-파우더 입자 등의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의 불연속상 입자 내에 파우더 입자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파우더 입자들의 30% 이내, 바람직하게는 20%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내가 좋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hydrogel-powder composite " refers to a form in which a hydrogel form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powder particles by physically and chemically connecting powder particles. The fact that the powder particles are present in the hydrogel continuous phase medium while the hydrogel-powder forms a constant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referred to as a 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lex, and the powder particles are connected by hydrogel discontinuous phase particles, Particle-powder particle-hydrogel particle-powder particle can be referred to as a dis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lex. The proportion of the powder particles may be partially contained in the discontinuous phase particles of the hydrogel. The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within 30%, preferably within 20%, more preferably within 10% Is good.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입자들의 일부는 점착성 전분 입자로서, 파우더 입자들 사이에 점착성 전분 입자들이 균질하게 분포하여 3차원 구조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owder particles are tacky starch particles, and tacky starch particles are homogeneously distributed among the powder particles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결합제(binder)'는 가루로 된 화장품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정제나 케이크 형태로 압축하는 과정 또는 압축 후에 점착성을 제공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은 파우더 입자들을 서로 결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 binder " refers to a substance used to bind powdered cosmetic ingredients together, or a substance that provides tackiness after compression or compression after compression in the form of a tablet or cake, Thus, the hydrogel means that powder particles are bonded to each oth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점착성 전분(adhesive starch)'이란, 전분 입자의 표면이 물에 의해 호화되어 점액질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점착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성 전분은 파우더 입자들을 연결해주는 결합제로서도 작용하고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adhesive starch' means that the surface of the starch particles is gelatinized by water to form a mucus, thereby exhibiting stickin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y starch is a powdery particle It is also acting as a bonding agent to connect the two.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외력붕해성(external force-disintegratable)'이란 손으로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마찰력이나 위에서 누르거나 충돌하는 등의 물리력 등의 외력(external force)에 의한 붕해성을 의미하며, 내수성 및 물리적 내구성과 함께 언급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external force-disintegratable" refers to disintegration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frictional forces such as rubbing or rubbing with hands or physical forces such as pressing and striking from above, Water resistance and physical durability.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전분'은 글루코스(포도당)로 구성되는 다당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분입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 및 모양을 하고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starch " may refer to a polysaccharide composed of glucose (glucose), and in general, the starch particles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규조토(硅藻土)'는 일반적으로 주성분이 비정질(非晶質)의 무정형 함수규산인 규조의 유해(遺骸)로 만들어진 연질의 암석과 토양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암석과 토양을 여과, 정제 등의 가공 과정을 거쳐 파우더 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diatomaceous earth' may refer to soft rocks and soils made of diatomaceous earth which is mainly amorphous amorphous silicate,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product made by using the rock and the soil as a powder type cosmetic composition through a process such as filtration and purifica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파우더'는 미세한 가루, 주로 화장용 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파우더 형'은 미세한 가루 또는 화장용 분의 형태로 가공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powder " may refer to a fine powder, usually a cosmetic powder. Thus, the term "powder type" as used herein may mean processed in the form of fine powder or cosmetic powd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입도(grain size classification , 粒度)'는 입자(粒子)의 크기와 그 분포의 단계를 나타내는 척도(尺度)를 의미할 수 있으며, 대개는 선별에 사용하는 체의 눈발의 크기나 평균 입자 지름 등으로 입도(粒度)를 규정하고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grain size classification" may refer to a measure of the size of a particle and its distribution, And the particle size is defined by the size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흡유량(oil absorption , 吸油量)'은 안료 또는 증량제 등의 분말의 성능을 나타내는 한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분말을 기름과 반죽하여 단단한 반죽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기름의 양 이것을 제1 흡유량이라 하며, 풀빛으로 칠하기 가능한 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기름의 양을 제2 흡유량이라 한다. 분말 100g에 대한 기름의 g으로 표시한다. 흡유량은 분말의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이 거칠수록 많아진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oil absorption' may mean a factor indicating the performance of a powder such as a pigment or an extender. The amount of oil required to knead the powder with the oil to form a hard kneaded state. This is referred to as a first oil absorption amount, and the amount of oil required to be in a state of being able to be painted in a full color is referred to as a second oil absorption amount. Expressed in g of oil per 100 g of powder. The oil absorption increases as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becomes smaller and the surface becomes rougher.

(1) 하이드로겔 및 친수성 겔화제(1) hydrogel and hydrophilic gelling agent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겔화제인 알긴산나트륨(알긴 또는 소듐알기네이트)과 칼슘설페이트로부터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l is formed from sodium alginate (algin or sodium alginate), which is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calcium sulfate.

소듐알기네이트는 가교결합 이온(예, 칼슘이온)을 함유하는 가교제(예, 칼슘설페이트)가 겔-형성 시스템에 가해지기 전에는 겔을 형성할 수 없다. 알기네이트의 가교는 Ca2+, Mg2+, Sr2+ 및 Ba2+ 중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을 포함하는 가교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기네이트:가교제를 1:0.1∼3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Sodium alginate can not form a gel before a cross-linking agent (e.g., calcium sulfate) containing a cross-linking ion (e.g., calcium ion) is added to the gel-forming system. The crosslinking of the alginate is preferably carried out using a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a cation selected from Ca 2+ , Mg 2+ , Sr 2+ and Ba 2+ , and alginat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t a weight ratio of 1: 0.1-3.

또한, 가교제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서 폴리인산나트륨(예, 트리폴리인산 나트륨)을 겔-형성 시스템에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sodium polyphosphate (e.g., sodium tripolyphosphate) may be further added to the gel-forming system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본 발명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친수성 겔화제로서 다당류, 단백질 유도체,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합성 또는 반합성 겔,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다. 다당류 중에서, 하기물을 언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may further comprise or be replaced by a polysaccharide, a protein derivative, a synthetic or semi-synthetic gel of the polyester type, polyacrylates or polymethacrylates and derivatives thereof have. Of the polysaccharides, mention may be made of the following:

- 한천, 카라게닌 (이오타, 카파, 람다 카라게닌), 및 알기네이트, 특히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칼슘과 같은 해조류 추출물;Algae extracts such as agar, caragenin (iota, kappa, lambda carrageenin) and alginates, especially sodium alginate or calcium alginate;

- 크산탄 고무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상표명 'Rheosan"' (Rhodia Chimie 사)으로 시판되는 제품, 및 겔란과 같은 미생물의 삼출물;- xanthan gum and its derivatives, such as those sold under the trade name "Rheosan" (Rhodia Chimie), and exudates of microorganisms such as gellan;

- 펙틴과 같은 과일 추출물;- fruit extracts such as pectin;

- 동물 기원의 겔화제, 예컨대 단백질 유도체, 특히 소 또는 생선 젤라틴, 및 카제이네이트;Gelling agents of animal origin, such as protein derivatives, especially bovine or fish gelatin, and caseinates;

- 문헌 FR-A-2 759 377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곁사슬 및 6 개의 중성당을 함유하는 다당류;Polysaccharides containing side chains and six neutral saccharides, as disclosed in document FR-A-2 759 377;

- 및 상기물의 혼합물.- and a mixture of said wa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다당류에서 선택되는 친수성 겔화제를 알긴산나트륨의 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대체하거나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개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polysaccharides may be replaced by 1 to 20% by weight of the sodium alginate or may further contain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thereby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ogel.

(2) 옥수수 전분 및 점착성 전분(2) corn starch and tacky starch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메이쓰라고도 알려진)[Zea mays] 낱알의 전분을 의미하며, 옥수수 내엽 중심의 내배유에서 얻어진다. 또한, 옥수수 전분은 몇몇 국가에서 옥수수 분말(corn flour) 또는 메이쓰 전분(maize starch)으로 알려져 있다. 옥수수 전분은 콘밀(cornmeal)과 혼동되면 안된다. 콘밀은 거친 분말로, 건조된 메이쓰 또는 옥수수를 빻은 것이다. 영국에서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 분말로 알려져 있다. 옥수수 전분은 주로 음식에 사용되고 있으며, 소스나 커스터드에서 증점제로 사용된다. 화장품에 있어서, 주로 아기를 위한 탤컴파우더(talcum powder)로 사용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corn starch " means starch of corn (also known as Meizu) [Zea mays] grains and is obtained from endosperm oil centered on the inner lobes of corn. Corn starch is also known in some countries as corn flour or maize starch. Corn starch should not be confused with cornmeal. Cornmill is a coarse powder, dried meats or corn. In the UK corn starch is known as corn powder. Corn starch is mainly used in food and is used as a thickener in sauces and custards. In cosmetics, it is mainly used as talcum powder for babi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클렌저는 하기 물성을 나타내는 옥수수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corn starch which exhibits the following properties:

(a) 입도 : 3-10 ㎛;(a) Particle size: 3-10 탆;

(b) 흡유량 : 0.7-1.3 cc/g; 및(b) Oil absorption: 0.7-1.3 cc / g; And

(c) 비표면적 : 30.0-50.0 m2/g.(c) Specific surface area: 30.0-50.0 m 2 / g.

옥수수 전분은 화장료와 식품에서 사용된 역사가 아주 오래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재료로서, 머리와 모발을 세척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옥수수 전분의 끈적하고, 걸쭉하게 하는 효과는 조성물 내에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옥수수전분의 부드러움과 피부의 수분 흡수를 돕는 능력은 핵심 특징이다. 이론적으로 명확한 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옥수수전분은 물에 의해 호화되어 겔물질 또는 점액질을 형성하고, 이것이 점착성을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시스템이 다른 성분들을 결합하는 결합제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 시에, 물과 접촉하면 본 조성물의 옥수수 전분은 희석되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뿌연 용액이 제공된다.Corn starch is a very long-established, proven material used in cosmetics and foodstuffs, providing a foundation that can be made into a solid form, including surfactants that wash hair and hair. The sticky, thickening effect of corn starch allows it to be retained in the composition including other ingredients. In addition, the softness of corn starch and its ability to help absorb moisture in the skin is a key feature. Although not theoretically clear,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n starch is considered to be gelatinized by water to form a gel or mucilage, which provides tackiness. This allows the system to act as a binder to bind the other components. In use, upon contact with water, the corn starch of the composition is diluted and a cloudy solution is provided to soften the skin.

또한, 점착성 전분은 호화되어 점액질을 형성하여 파우더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하이드로겔의 수분의 이수(탈수)를 저해하거나 이수(탈수)된 수분을 포착하여 조성물 전체의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옥수수 전분은 다른 전분에 비해 점착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In addition, the tacky starch is hydrolyzed to form a mucilage, thereby enhanc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owder particles to inhibit hydration (dehydration) of the hydrogel, or to capture water that has been dehydrated (dehydrated) to maintain the moisture of the entire composition can do. Corn starch is known to be superior in adhesion to other starches.

일반적으로,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는 무수 글루코스(포도당) 단위체인 기본부로 구성된 중합체 형태의 거대분자로서, 상기 기본부와 이들의 집합체의 수에 따라 아밀로스 (직쇄 중합체) 및 아밀로펙틴 (측쇄 중합체)이 구별될 수 있다. 아밀로스 및 아밀로펙틴의 상대적인 비율 및 중합도는 식물학적 기원에 따라 다양하다.Generally, starch or starch derivatives are macromolecules in the form of polymers composed of a basic moiety that is an anhydroglucose (glucose) unit, and amylose (straight chain polymer) and amylopectin (branched polymer) are distinguish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base and the aggregates thereof . The relative proportions and degrees of polymerization of amylose and amylopectin vary depending on the botanical origin.

전분의 식물학적 기원은 곡물 또는 괴경식물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옥수수 전분, 쌀 전분, 카사바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수수 전분 및 콩 전분과 같은 천연(즉, 변형되지 않은) 전분이거나 변형 전분일 수 있다. 변형 전분으로는 예비조리된 전분, 가수분해된 전분, 가교결합된 전분(예를 들어, 메틸롤우레아 유도체 또는 옥테닐숙신산 무수물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가교결합된 전분), 에스테르화된 전분, 에테르화된 전분, 산화된 전분, 정제된 전분, 산의 존재 하에서 구워진 전분, 또는 그라프트된 전분,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 그라프트된 전분, 코팅된 전분, 예를 들어, 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전분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The botanical origin of the starch may be cereal or tuberous plants, such as natural (i.e., unmodified) starches such as corn starch, rice starch, cassava starch, potato starch, wheat starch, Modified starch. Modified starch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re-cooked starches, hydrolyzed starches, cross-linked starches (e.g., methylol urea derivatives or octenyl succinic anhydrides or starches crosslinked with epichlorohydrin), esterified starches, For example starch grafted in the presence of acid, starch baked in the presence of acid, or grafted starch, such as starch grafted with sodium polyacrylate, coated starch, e.g., amino acid Starch and / or mixtures thereof may be mentioned.

전분은 일반적으로 백색 분말의 형태이고, 이는 냉수에 불용성이고 기본적인 입자크기가 3 내지 100 미크론으로서, 가열되는 경우 호화되어 점착질을 형성하거나 겔을 형성기도 한다. Starch is generally in the form of a white powder, which is insoluble in cold water and has a basic particle size of 3 to 100 microns, which, when heated, is gelled to form a sticky or gel.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있는 전분 또는 변성 전분으로는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As commonly used starches or modified starches, the following may be mentioned:

- 상품명 'Amidon de riz insoluble non mucilagineux [non-mucilaginous insolubel rice starch]' (Remy 사)으로 시판되는 변형된 전분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가교결합된 아밀로펙틴/아밀로스), Modified starch (amylopectin / amylose cross-linked with epichlorohydrin)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Amidon de riz insoluble non mucilagineux [non-mucilaginous insolubel rice starch]' (Remy)

- 상품명 'Waxy Corn' (Blattmann 사)으로 시판되는 천연 왁스성 옥수수 전분 (필수적으로 아밀로펙틴),- natural waxy corn starch (essential amylopectin)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Waxy Corn' (Blattmann)

- 상품명 'Midsol Krisp' (Midwest Grain Products 사)로 시판되는 변형 및 예비조리된 밀 전분,- modified and pre-cooked wheat starch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Midsol Krisp' (Midwest Grain Products)

- 상품명 'Midsol Adhere' (Midwest Grain Products 사)로 시판되는 변형 및 정제된 밀 전분,- modified and refined wheat starches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Midsol Adhere' (Midwest Grain Products)

- 상품명 'Midsol 35' (Midwest Grain Products 사)로 시판되는 변형된 밀 전분 분말,- Modified wheat starch powder sold under the trade name 'Midsol 35' (Midwest Grain Products)

- 상품명 'Perfectagel MPT' (Avebe 사)으로 시판된 변형된 감자 전분,- Modified potato starch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Perfectagel MPT' (Avebe)

- 제품 'Amidon de mais B [corn starch B]' (Roquette Freres 사 시판), 제품 'Corn starch' (National Starch 사 시판).- product 'Amidon de mais B [corn starch B]' (marketed by Roquette Freres), product 'Corn starch' (marketed by National Starch).

일반적으로 전분의 호화로부터 유래되는 점액질은 보습 특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도움을 된다. 전분 성분들은 화장료로서 유용하고 순하고(부드럽고) 효과적이어서, 아동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클렌저를 물에 적신 다음, 손바닥으로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 작은 외력을 가하여 붕해시킬 때, 겔 성분의 탄력과 끈적거림은 손바닥에 불편한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옥수수 전분의 순함(부드러움)은 손바닥에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글리세린이 조성물의 질감에 부드러움을 주는 반면, 옥수수전분은 손바닥의 느낌에 부드러움을 야기한다. Generally, the mucus derived from the starch gelification is excellent in moisturizing properties and helps the skin. Starch ingredients are a type of ingredient that can be used in children's products because they are useful, mild, and effective as cosmetics. When the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oaked in water and disintegrated by applying a small external force such as rubbing or rubbing with the palm of the hand, the elasticity and stickiness of the gel component may give an uncomfortable feeling to the palm, Gives a soft feeling to the palm. While glycerin softens the texture of the composition, corn starch causes softness in the feel of the palm.

본 발명에 있어서, 친수성 겔화제(예. 소듐알기네이트 및 칼슘설페이트)는 물의 존재 하에 수성겔 또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여 파우더 입자 등을 결합하는 결합제(binder)로서 작용하고,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는 물의 존재 하에 호화되어 점액질을 형성하여, 다른 분말 입자와 구성 성분들의 점착하는 점착제(adhesive)로서 작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ydrophilic gelling agents (e.g., sodium alginate and calcium sulfate) act as binders to bind powder particles or the like by forming aqueous gels or hydrogels in the presence of water, and starch or starch derivatives act as binders To form a mucus, which acts as an adhesive adhesive for other powder particles and constituents.

(3) 규조토 및 증량제(3) Diatomaceous earth and extender

규조토(硅藻土)는 단세포 식물의 잔해가 해저(海底)나 호저(湖底)에 퇴적한 집합체로 일종의 화석토이다. 수중환경에서 실리카(silica)를 추출해내어 자신의 단단한 골격 구조를 구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규조 골격의 퇴적물이 속성 작용을 받아 굳어져 형성된 규조토 퇴적암은 대부분이 함수 비정질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도는 3-10 ㎛, 흡유량 1.8-2.5 cc/g, 비표면적 40.0-60.0 m2/g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인 광물 실리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광물실리카가 구상의 모양을 가진 것에 비해 규조토는 판상, 침상, 구상 타입 등 다양한 모양이 혼합되어 있는 타입이다. 그로 인해 전연성(展延性)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나 고흡유능을 유지한 채 피부 부착성을 높여주고 가루날림을 완화시켜준다.Diatomaceous earth (diatomaceous earth) is a kind of fossil soil that is a collection of debris of a single-celled plant deposited on the seabed and bottom of the lake. The diatomaceous sedimentary rock formed by sedimentation of the diatomaceous skeleton by hardening of the diatomite sediments is composed mainly of hydrated amorphous silica and the particle size is 3-10 탆, an oil absorption of 1.8-2.5 cc / g,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40.0-60.0 m 2 / g. I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ordinary mineral silica, but diatomaceous earth is a mixture of various shapes such as plate, needle, and spherical types, while mineral silica has a spherical shape. As a result, the spreadability is relatively low, but the skin sticking property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ability to keep breathing, and the dusting of the powder is alleviated.

본 발명에 있어서, 규조토는 흡유성 증량제로서 사용된다. 용어 "증량제"는 일반적으로 고체 화장료 조성물의 질량과 형태에 기여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분말상(파우더) 또는 입자상이고, 불활성이고, 대부분 물에 불용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증량제는 물에 불용성인 불활성 입자상 물질, 예를 들면, 활석(탈크), 규조토, 점토, 벤토나이트 등의 천연 암석, 또는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금속 산화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용어 '불활성'이란 당해 분야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듯이, 화장용으로 활성이 없는 물질을 의미하고, 용어 '입자상' 또는 분말상은 당해 분야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듯이, 대개 아주 작은 입자로 구성된 물질을 의미하고, 용어 '불용성'은 35℃ 물에서 물질의 가용성이 1g/100mL 미만, 예를 들어 0.5g/100mL 미만, 예를 들어 0.1g/100mL 미만, 예를 들어 0.05g/100mL 미만, 예를 들어 0.02g/100mL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atomaceous earth is used as an oil absorbing extender. The term "extender" generally refers to a substance that contributes to the mass and form of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and is generally powdery (particulate) or particulate, inert, and mostly insoluble in water. Preferably, the extender is selected from inert particulate matter insoluble in water, such as talc (talc), natural rock such as diatomaceous earth, clay, bentonite, or inorganic metal oxides such as silica, titania, zirconia and the like. The term " inert " means a material that is not active for cosmetics, a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term " particulate " or powder, a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soluble " means that the solubility of the substance in water at 35 캜 is less than 1 g / 100 mL, for example less than 0.5 g / 100 mL, for example less than 0.1 g / 100 mL, for example less than 0.05 g / 100 mL, 0.02 g / 100 mL.

일반적으로, 증량제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거칠게 하지 않을 정도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평균 입도가 5㎛ 이하, 구체적으로 4㎛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일 수 있다. 평균 입도는 ISO 표준 9276-5 (입자 크기 분석 결과의 표현(Representaion of results of particle size analysis))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Gener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er has a particle size not to roughen the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example, the extender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 탆 or less, specifically 4 탆 or less, preferably 2 탆 or less, more preferably 1 Mu m or less. The average particle siz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ISO standard 9276-5 (Representation of results of particle size analysis).

본 발명에 있어서, 증량제로서 흡유성이 우수한 규조토를 사용함으로써, 결과된 고형 화장료는 클렌저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iatomaceous earth excellent in absorbency as an extender, the resulting solid cosmetic can exhibit excellent properties as a cleanser.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규조토에 더하여,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질화붕소, 나이론파우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우레탄, 보론 나이트라이드, 티탄 마이카, 벤토나이트, 아크릴 수지의 소구체, 이산화티탄, 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규산칼슘, 탄산칼슘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오일흡수능이 높은 탈크, 벤토나이트 등의 무기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규조토의 50중량%가 되는 양까지,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의 양에서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diatomite, there may be use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kaolin, sericite, boron nitride, nylon powder, silica, polymethylmethacrylate, synthetic fluorofluorophosphate, urethane, boron nitride, , A substa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tonite, small spheres of acrylic resin, titanium dioxide, iron oxide, ultramarine, tungsten, carbon black, zinc oxide, chromium oxide, chromium hydroxide, alumina, calcium silicate, calcium carbo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can do. Of thes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talc and bentonite, which have high oil absorbing ability, can be selected. The amount of these ad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elected in an amount of up to 50% by weight of the diatomaceous earth, and preferably in an amount of 10 to 40% by weight.

(4) 계면활성제(4) Surfactants

본 발명의 고형 클렌저는 세정용 화장품의 하나로서, 액상 또는 고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주로 당해 분야에서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하기 적합하다고 알려진 계면활성제들 중에서 선택된다. The solid clea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cleaning cosmetics, and includes a liquid or solid surfactant. Surfactants are mainly selected from surfactants known in the art to be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skin or hair.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카미드 DEA,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cocamide diethanolamine),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 소듐라우로일사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ion comprising as a surfactant sodium laureth sulfate, cocamidopropyl betaine, cocamide DEA, PEG-7 glyceryl cocoate, sodium lauryl sulfate cocamide diethanolamine for example, cocamide diethanolamine, lauryl betaine, sodium lauroyl sarcosinate, and mixtures thereof.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예. 비누·알킬벤젠설폰산염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예. 고급아민할로겐화물·4급암모늄염·알킬피리디늄염 등),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아미노산, 베타인계)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PEG 등)가 예시될 수 있다. In general, surfactants include anionic surfactants (eg, soaps, alkylbenzenesulfonates, etc.), cationic surfactants (eg, higher amine halides, quaternary ammonium salts, alkylpyridinium salts, etc.) Active agents (amino acids, betaine-based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PEG).

(5) 첨가제(5) Additives

본 발명의 고형 클렌저는, 첨가제로서, 다가 알콜, 천연추출물, 오일 성분, 향료,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피부 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pH 조절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숯가루, 포스파티딜콜린, 레시틴, 카페인 및 비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The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dditive which can be used as an additive such as polyhydric alcohol, natural extract, oil component, fragrance, colorant, ultraviolet absorber, skin conditioner, surfactant, wetting agent, pH adjuster, chelating agent, preservative, charcoal powder, phosphatidylcholine, Caffeine, and vitamins. ≪ Desc / Clms Page number 7 >

상기 다가 알코올은 하이드로겔에 흐름성을 부여하여, 다른 구성성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거나, 혼합물이 건조되어 딱딱하고, 쉽게 성형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다가 알콜은 조성물이 반죽과 유사한 부드러운 질감을 갖도록 하고 건조되는 것을 저해하므로, 너무 작게 사용되면, 수분의 휘산이 발생하여 표면이 딱딱해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겔화 고분자의 분산이 저해될 수 있고, 너무 많이 사용되면, 점성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원료 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The polyhydric alcohol is added in order to impart flowability to the hydrogel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other components or to prevent the mixture from being dried and hard and not easily molded. Such polyhydric alcohols have a soft texture similar to dough and inhibit drying, so that when they are used in an excessively small amount, water vaporization may occur, which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the surface of the polyhydric alcohol is hard, and dispersion of the gelling polymer If it is used too much, the viscosity increases excessively and there is an uneconomical problem due to an increase in raw material unit price. The polyhydric alcoho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sorbitol and xylitol.

특히 글리세롤은 화장품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수분공급성분으로서, 수분을 끌어당기면서(휴멕턴트) 동시에 수분의 증발을 막는 (에몰리언트) 두가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다소 끈적거리거나 무거운 사용감을 느낄수 있기 때문에 크림에서는 글리세린을, 산뜻한 사용감을 위한 제품에서는 글리세린과 같은 계열의 휴멕턴트 성분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glycerol is the most commonly found moisturizing ingredient in cosmetics, and has two moisturizing effects that simultaneously attract moisture (humectant) and prevent water evaporation at the same time (emollient). Glycerin can be used in creams and propylene glycol and butylene glycol components, which are humectant components of glycerin, such as glycerin, can be used in products for a feeling of fresh feeling because they can feel a somewhat sticky or heavy feel.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병풀, 알로에베라잎, 감초, 페퍼민트,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물질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The natural extrac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oe, green tea, cinnabar, aloe vera leaf, licorice, peppermint, ginseng, red ginseng, pearl, wood vinegar, pine needles, ginkgo leaf, propolis, mulberry leaf, silkworm, Caffeine, spirulina, salmon roe, giant kelp, packing, macheins, parasitoids, acerola, chlorella, mangosteen, guava, coriander, carrot, caffeine, squalane, caviar, broccoli, blueberry, One or mor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ulberry tree roots, raspberry, raspberries, tops, mulberry, edelweiss, chamomile, lavender, peppermint, eucalyptus, lemon balm, oregano, tea tree, May be derived from the material.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피부에 대한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수분 공급, 탄력 증가 등의 효과를 갖는 미용 성분,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skin active ingredient includes cosmetic ingredients having effects such as wrinkle improvement, skin whitening, ultraviolet ray blocking, anti-aging, anti-aging, moisture supply and elasticity enhancement to the skin, and drug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diseas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gredient capable of providing effects.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sk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tinol, retinyl palmitate, retinyl acetate, retinoic acid, coenzyme Q10, elastin, collagen, hyaluronic acid, ceramide, collagen, caffeine, chitosan, ascorbic acid, ascorbyl glucoside, , Tocopherol acetate, arbutin, niacinamide, adenosine, retinol acetate, vitamins A, D, E, and natural extracts.

상기 오일 성분은 자스민 오일, 라벤더 오일, 미네랄 오일 및 일랑일랑꽃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oil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asmine oil, lavender oil, mineral oil and ylang ylang flower oil.

상기 pH 조절제는 시트릭애씨드 및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pH adjust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tric acid and tetrasodium pyrophosphate.

상기 방부제는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및 소듐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최근들어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제기되고 있어 사용을 피할 수도 있다. The preservativ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chloroisothiazolinone, methyl isothiazolinone, and sodium benzoate. However, in recent years,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have been exposed to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so that use thereof may be avoided.

상기 보존제는 메틸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벤, 펜탄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The preservativ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paraben, phenoxyethanol, capryl glycols, paraoxybenzoic acid alkyl esters, parabens, pentanediol, ethylhexylglycerin, 1,2-hexanediol, caprylglycol tropolone, 3-trifluoromethyl-4,4'-dichlorocarbabanilide, and 2,4,4'-trichloro-2-hydroxydiphenyl ether.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천연 화장품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습성분으로서 호호바오일, 글리세롤, 토코페롤(비타민E), 아스코르브산(비타민C), 히알루론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백 성분으로서 알부틴, 화이텐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안티에이징 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 코엔자임Q10, 아스코르브산(비타민C)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성분으로서, 로즈플로랄워터, 올리브 리퀴드, 올리브유화 왁스, 알로에베라, 아카시아콜라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에센셜 오일로서, 로즈마리 오일, 라벤다 오일, 바질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can be included. Examples of the moisturizing ingredient include jojoba oil, glycerol, tocopherol (vitamin E), ascorbic acid (vitamin C), hyaluronic acid and the like (Vitamin C) and the like as the anti-aging component, and may contain, for example, rose floral water, olive oil, Olive oil wax, aloe vera, acacia collagen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s an essential oil, rosemary oil, lavender oil, basil oil and the like.

(6) 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불연속상 하이드로겔(6) Continuous-phase hydrogel and discontinuous phase hydrogel

친수성 겔화제로부터 형성되는 하이드로겔(hydrogel) 또는 수성겔(aqueous gel)은 많은 화장품에서 사용되어 왔다.Hydrogels or aqueous gels formed from hydrophilic gelling agents have been used in many cosmetics.

종래 기술에서는 하이드로겔이 연속상으로 형성되면서, 파우더 입자 및 액상 성분들이 하이드로겔 내에 포함되는데, 결과된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물리적 형태 및 기계적 구조는 연속상 하이드로겔의 강도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형태를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칭할 수 있다. In the prior art, as the hydrogel is formed into a continuous phase, the powder particles and liquid components are contained within the hydrogel, the physical form and mechanical structure of the resulting hydrogel-powder complex being governed by the strength of the continuous hydrogel. This form can be referred to as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로겔이 작은 크기의 불연속상으로 형성되면서, 액상 성분들은 하이드로겔 내에 포함되지만 파우더 입자들은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에 의해 결합, 점착 또는 연결되는데, 결과된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물리적 형태 및 기계적 구조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의 결합력 또는 점착력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형태를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ydrogel is formed into a small-sized discrete phase, the liquid components are contained in the hydrogel, but the powder particles are bound, adhered, or connected by the discontinuous hydrogel. The physical form of the resulting hydrogel- The mechanical structure is governed by the cohesion or cohesion of the discontinuous hydrogel. This form can be referred to as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

종래 기술의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는 과량의 물에 친수성 겔화제 및 다른 파우더 및/또는 액상 성분들을 차례로 또는 함께 첨가하여 겔화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겔화시킴으로써, 하이드로겔의 연속상 내에 파우더 및/또는 액상 성분들이 포함된다. The prior art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other powder and / or liquid ingredients are added sequentially or together in excess of water to produce a gelled composition and then gelled to form a powder in the continuous phase of the hydrogel And / or liquid components.

본 발명의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는 비교적 소량의 물을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균질화된 고형 원료에 첨가하여 겔화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겔화시킴으로써, 하이드로겔 불연속상이 파우더 입자들을 결합하게 된다.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dding a liquid raw material contain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to a homogenized solid raw material to prepare a gelled composition and then gelling the hydrogel discontinuous phase to bind the powder particles.

종래기술의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기계적 수단(혼합, 혼련, 반죽 등)으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로 변형시켜도, 연속상 하이드로겔에서 유래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은 점착력이 없거나 미약하기 때문에 파우더 입자들을 다시 결합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수득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Even though the prior art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is transformed into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by mechanical means (mixing, kneading, kneading, etc.), the discontinuous hydrogel derived from the continuous-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obtain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as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owdered particles can not be bonded again due to the absence or weakness of the particles.

따라서, 겔화 조성물을 겔화시키는 단계에서, 친수성 겔화제와 물이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면서 파우더 입자들 사이에 결합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고형 원료 조성물 및 액상 원료 조성물을 각각 별도로 형성시키고, 이들을 균질화한 다음에 혼합함으로써, 친수성 겔화제와 물이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in the step of gelling the gelled compos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water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 so that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the water have a binding force between the powder particl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are separately formed , They are homogenized and then mixed to make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water form a discontinuous hydrogel.

겔화 조성물의 겔화 단계에서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 및/또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성이 고형 클렌저의 물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이유는, 상술한 바처럼, 연속상 하이드로겔을 분쇄 또는 파쇄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로 만들어도, 즉, 파우더를 포함하는 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파쇄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과 파우더가 혼재된 반죽 상태로 변환시킬 경우, 연속상 하이드로겔에서 유래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은 점착력 및/또는 결합력이 약화되어 파우더 입자들의 물리적 결합 강도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결과된 반죽이나 고형 클렌저에서 내수성, 내충격성 및 외력붕해성 등도 저화되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formation of the "continuous-phase hydrogel-powder complex" and / or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in the gelling step of the gelled composition greatly affec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lid cleanser, When the gel is pulverized or broken into discrete phase hydrogels, that is, when the continuous phase hydrogel containing the powder is crushed to convert into a kneaded state in which the discontinuous phase hydrogel and the powder are mixed, The discontinuous hydrogel is weakened in adhesion and / or bonding force, so that the physical bonding strength of the powder particles is lowered, and as a result, wa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and the like in the resulting dough and solid cleanser are also lowered.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에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은 최장 직경이 일반적으로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의 최장 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크면 내부에 파우더 입자들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사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ontinuous hydrogel in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can be selected to have a maximum diameter of generally 200 μm or less, preferably 10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50 μm or less But they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I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discontinuous hydrogel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owder particles are contained in the discontinuous hydrogel, which may lower the feeling of use.

(7) 원료 혼합물의 균질화 (7) homogenization of the raw material mixture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더 원료와 액상 원료를 혼합하여 겔화 조성물을 제조하기 전에, 원료들을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와 액체 또는 액상 원료로 각각 분류하고, 고체·파우더 원료들을 함께 혼합 및 균질화하여 고형 원료 조성물을 수득하고, 액체·액상 원료들을 함께 혼합 및 균질화하여 액상 원료 조성물을 수득한 다음, 고형 원료 조성물을 교반하면서 액상 원료 조성물을 적가, 분무, 소량씩 붓기 등의 방식으로 첨가 및 혼련하여, 겔화 조성물을 반죽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비교적 소량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겔화 조성물을 반죽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겔화지연제를 사용함으로써 겔화 조성물을 혼련하여 반죽상태로 만들 때까지 겔화 조성물의 겔화를 어느 정도 지연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gelled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powder raw material and the liquid raw material, the raw materials are classified into solid or powder raw materials and liquid or liquid raw materials, and the solid and powder raw materials are mixed together and homogenized to prepare a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Mixing and homogenizing the liquid and liquid raw materials together to obtain a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then adding and kneading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by dropwise addition, spraying, small amount of pouring, etc. while stirring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And is produced in the form of dough.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the gelled composition can be made into a kneaded form, and the gelation of the gelled composition can be delayed to some extent until the gelled composition is kneaded and kneaded using the gelled composition .

참고로, 본 발명자가 출원한 선행기술인 특허문헌 4에 따르면, 친수성 겔화제, 겔화지연제,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규조토 및 물 등의 파우더 원료와 액상 원료를 단순히 혼합하여 겔화시켜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첫 번째 특징은 물을 비교적 소량으로 사용함으로써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반죽 형태로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 특징은 마그네슘 옥사이드와 같은 겔화 지연제를 사용하여 물과 겔화제의 혼합과 동시에 겔화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느 정도 혼합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4의 방법은, 혼합 단계에서, 파우더 원료와 액상 원료를 단순히 혼합하여 겔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혼련 단계에서, 반죽(페이스트)를 균질하게 혼련해야 하므로 높은 혼련 속도 및 긴 혼련 시간이 요구되며, 혼련 시간의 확보를 위해 겔화지연제를 사용하고 있다. 더욱 균질한 혼련을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혼련속도가 더욱 많은 혼련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더욱 강력한 혼련 속도를 위해서는, 혼련 비용이 급속히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고, 더욱 많은 혼련 시간을 위해서는, 겔화지연제의 첨가량을 높여야 하나, 지연가능한 시간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더욱 균질한 혼련을 위해 더욱 많은 겔화지연제를 첨가할수록 복합체의 물성이 더욱 많이 저하된다는 악순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특허문헌 4의 방법에서는 겔화 후에 "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가 상당량 형성된다는 단점을 피할 수 없고, 결과된 고형 클렌저는 물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which is a prior art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 a powder material such as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 gelling retarder, a starch, a surfactant, an additive, diatomaceous earth and water and a liquid raw material are simply mixed and gelled to form a hydrogel- In the preparation of the powder composite, the first feature is to make the hydrogel-powder complex into a dough form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and the second feature is to use a gelling retardant such as magnesium oxide to mix the water and the gelling agent To prevent gelation at the same time, thereby securing a mixing time to some extent. However, 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4, since the powder raw material and the liquid raw material are simply mixed and gelled in the mixing step, the kneading (paste) must be homogeneously kneaded in the kneading step, so that a high kneading speed and a long kneading time are required And a gelling retarder is used for securing the kneading time. For more homogeneous kneading, a stronger kneading speed requires more kneading time. However, in order to achieve a stronger kneading spe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eading cost is rapidly increase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kneading time, the addition amount of the gelling retardant must be increased but the delay time is limited. A problem of a vicious circle arises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are further deteriorated as many gelling retardants are added. Due to these problems, it is inevitable that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4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is formed after gelation, and the resultant solid cleanser is unsatisfactory in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방법과 특허문헌 4의 방법을 비교하면, 특허문헌 4의 방법에서는 파우더 원료들을 함께 혼합하여 균질화하는 단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파우더 원료와 액상 원료를 별도로 혼합하여 파우더 원료 혼합물과 액상 원료 조성물을 미리 형성시키지 않기 때문에, 겔화 조성물의 혼련 단계에서 파우더/파우더 성분들의 균질 혼련과 고형/액상 성분의 균질 혼련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고형 원료 조성물에서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들은 미리 균질하게 혼합되어 있고, 액상 원료 조성물에서 물 및 액상 원료들이 미리 균질하게 혼합되어 있어, 겔화 조성물의 혼련 단계에서 고형/액상 성분의 균질 혼련만을 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차이가 있다. Compar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4, there is no step of mixing and homogenizing the powder materials together 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4, and the powder material and the liquid material are separately mixed to form the powder material mixture and the liquid material composition Homogeneous kneading of the powder / powder components and homogenous kneading of the solid / liquid components must be simultaneously achieved in the kneading step of the gelled composition, whe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or powder raw materials are preliminarily homogenized And that the water and the liquid raw materials are homogeneously mixed in advance in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so that only the homogeneous kneading of solid / liquid ingredients is sufficient in the kneading step of the gelled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균질화는 혼합물의 조성의 균질화 및/또는 파우더들의 입도의 균일화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omogenization means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and / or uniformity of the particle size of the powders.

조성의 균질화는 혼합, 교반 및/또는 혼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형 원료 조성물은 다양한 입도 및 형상의 고체 원료 및/또는 파우더 원료를 함께 포함하는데, 이를 교반 또는 혼련함으로써 혼합물 전체적으로 조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액상 원료 조성물은 물, 오일, 추출액, 액상 추출물 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을 교반하여 유액(분산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로 만들어, 조성의 균일화를 달성할 수 있다.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can be achieved by mixing, stirring and / or kneading. For example,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includes solid raw materials and / or powder raw material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and shapes, which can be homogenized in the whole mixture by stirring or kneading, and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can be used as water, oil, Liquid extract, and the like. These may be stirred to form an emulsion (dispersion), a dispersion, a suspension, or a mixture thereof to achieve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고형 원료 및 파우더 입자들의 입도의 균일화는 볼밀 등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분과 규조토는 보통 수 ㎛ 내지 수십 ㎛ 정도의 평균입도를 갖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는 반면, 안료와 같은 고형 첨가제 및 고형 계면활성제 등은 평균입도가 수백 ㎛ 이상이거나 과립형태로 시판된다. 고형 원료 및 파우더 입자들의 입도 차이가 크면 조성의 불균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겔화 조성물에서 겔화가 불균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형 원료 및 파우더 입자들을 볼밀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입도로 분쇄하여 입도의 균일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uniformity of the particle size of the solid raw material and the powder particles can be attained by pulverization using a ball mill or the like. For example, starch and diatomaceous earth usually use commercial product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several micr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while solid additives such as pigments and solid surfactan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granular form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more than a few hundred micrometers . If the particl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solid raw material and the powder particles is lar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omposition is heterogeneous and the gelation of the gelation composition may occur heterogeneously. Accordingly, the solid raw material and the powder particles can be ground to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using a ball mill or the like to achieve uniform particle size.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파우더 입자들은 '구상(coccoid , 球狀)'또는 둥근 공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를 갖도록 분쇄 또는 균질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der particles may have a 'coccoid, spherical' or round ball shape, and a pulverization or homogenization method may be selected to have such a shape.

(8)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8)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알진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칼슘 설페이트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 0.3∼3중량%, 바람직하게는 0.4∼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중량%, 규조토 30∼60중량%, 바람직하게는 35∼5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옥수수 전분 6∼25 중량%, 바람직하게는 8∼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 계면활성제 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7∼18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 첨가제 10∼20 중량% 및 물 잔여량(또는 균형량)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force-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to 10% by weight, preferably 2 to 8%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5% by weight, and calcium sulfate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5 wt%, and magnesium oxide 0.3 to 3 wt%, preferably 0.4 to 2.5 wt%, more preferably 0.5 to 3 wt%, and diatomaceous earth 30 to 60 wt% More preferably 40 to 50 wt%, corn starch 6 to 25 wt%, preferably 8 to 20 wt%, more preferably 10 to 15 wt%, surfactant 5 to 20 wt% %, Preferably from 7 to 18 wt.%, More preferably from 10 to 15 wt.%, From 10 to 20 wt.% Of the additive and from the balance of water (or balance)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 hydrogel- .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에 있어서, 액체 또는 액상 원료(예. 물, 액상 계면활성제 및 액상 첨가제)는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예.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고형 계면활성제 및 고형 첨가제)의 0.05∼1배(중량), 바람직하게는 0.1∼0.75배(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배(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다르게는, 액체 또는 액상 원료 중의 물은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 중의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의 1∼10배(중량), 바람직하게는 2∼8배(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배(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an externally disintegrable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or liquid feedstock (e.g. water, liquid surfactant and liquid additive) may be a solid or a powdered raw material (eg,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Weight), preferably 0.1 to 0.75 times (weight), more preferably 0.2 to 0.5 times (weight) of the surfactant and the solid additive. Alternatively, the water in the liquid or liquid feedstock may be present in the solid or powder feedstock in an amount of from 1 to 10 times (weight), preferably from 2 to 8 times (weight), more preferably from 3 to 6 times ). ≪ / RTI >

액체 또는 액상 원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은 친수성 겔화제와 결합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옥수수 전분과 결합하여 점착성 옥수수 전분을 형성하고, 규조토 등의 파우더와 결합하여 이들을 습윤한다. 물의 양이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의 0.05배(중량)보다 적으면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일부가 분말로 변하거나 파우더가 습윤되지 못해 내충격성 및 외력붕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물의 양이 고체 또는 파우더 원료의 1배(중량)보다 많으면, 연속상 하이드로겔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져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혼련 공정에 비용이 많이 들고, 건조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결과된 고형 클렌저의 사용감 및 외력붕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게다가, 건조 과정을 통해 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건조 속도가 느리면 공정 비용이 소요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면 하이드로겔의 수분이 먼저 제거되어 하이드로겔이 분말화되고, 이에 따라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가 붕괴될 우려가 있다. The water, which occupies most of the liquid or liquid raw material, combines with the hydrophilic gelling agent to form a hydrogel, combine with corn starch to form tacky corn starch, and combine with powder such as diatomaceous earth to wet them. If the amount of water is less than 0.05 times (weight) of the solid or powder raw material, a part of the hydrogel-powder composite may not be converted into powder, or the powder may not be wetted, so that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amount of water is more than 1 time (weight) of the solid or powder raw material,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continuous hydrogel becomes high, and the kneading process for producing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is expensive, And the feeling of use and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of the resulting solid cleanser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although water can be removed through the drying process, if the drying rate is slow, the process cost is required. If the drying rate is high, the water of the hydrogel is first removed and the hydrogel is pulverized and the hydrogel- There is a concern.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직경 1∼3cm의 구형일 때,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The external force-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when it is spherical with a diameter of 1 to 3 cm:

- 수중에서도 3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5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분 이상 경과 후에도 표면이 파손되거나 붕해되지 않는 내수성;- water resistance such that the surface is not broken or disintegrated even after 3 minutes or more, preferably 5 minutes or more, more preferably 10 minutes or more, in water;

- 높이 0.5m 이상, 바람직하게는 1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 이상에서 나무 바닥 또는 콘크리트 바닥에 5∼10회 이상 낙화 시험에도 파괴되지 않는 내충격성; 및 - Impact resistance not less than 5 to 10 times the height of 0.5 m or more, preferably 1 m or more, more preferably 1.5 m or more, on a wooden floor or a concrete floor; And

- 수중이나 물로 적신 다음,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약한 외력(즉, 구 형태를 파괴하지 않을 정도의 외력)을 가할 때 3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2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에 90% 이상이 붕해될 정도의 외력붕해성. Preferably 90% or less within 3 minutes, preferably within 2 minutes, more preferably within 1 minute, when applying a weak external force (i.e., an external force not breaking the spherical shape) such as rubbing or rubbing, The external disintegration ability to such an extent that it disintegrates.

상기 내수성 시험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는 물보다 비중이 적어, 구성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고 대략 10~20%는 물 위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수성을 시험하면, 상기 시간 내에는 외관에 어떠한 손상이나 변형이 없으며, 상기 시간 내에 물에서 꺼내어 자연 건조시키면 원래의 제품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With respect to the above water resistance test, the exfoliating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and varies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components, but it can be exposed to water in an amount of about 10 to 20% without being completely immersed in water. When the water resistance is tested in such a state, there is no damage or deformation to the appearance within the time, and when the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water and dried naturally within the time, it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the original product.

상기 내충격성과 관련하여, 낙하시험은 나무, 플라스틱, 시멘트, 석재 및 금속으로 된 바닥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내 인테리어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제 바닥에서 수행할 수 있다. 내충격성 시험은 시판용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일정 개수 이상의 구상의 구형 클렌저를 충전한 상태에서 낙하 시험을 수행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된 구상의 고형 클렌저의 개수 또는 비율을 산정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With respect to the impact resistance, the drop test may be carried out on a floor made of wood, plastic, cement, stone and metal, preferably on a wooden or plastic floor, which is often used as an interior flooring material. The impact resistance test may be performed by estimating the number or proportion of spherical solid cleansers broken or deformed by performing a drop test in a state where a commercially available transparent plastic container is filled with a spherical cleanser of a certain number or more.

상기 외력붕해성과 관련하여, 물로 적신 손바닥 사이에 직경 1∼3cm의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를 넣고 비비거나 문지르면, 구슬의 대부분은 쉽게 붕해되나 직경이 대략 0.3∼0.5cm 이하로 줄어들면 손바닥으로 비비거나 문질러도 잘 붕해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구상 고형 클렌저의 대략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95% 이상이 붕해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80% 이상의 외력붕해성은 비파괴 외력붕해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형 클렌저를 손바닥으로 압착하거나 눌러서 파괴한 후에 손바닥으로 비비거나 문질러서 마착력 등의 외력을 가하면 더욱 신속하게 붕해시킬 수 있다. Regarding the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property, if a bead type solid cleanser having a diameter of 1 to 3 cm is inserted between palms soaked with water and rubbed or rubbed, most of the beads are easily disintegrated but if the diameter is reduced to about 0.3 to 0.5 cm or less, Or rubbing does not occur.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time until about 80% or more, preferably about 9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95% or more of the spherical solid cleanser is disintegrated is measured. The above-mentioned external disintegration property of 80% or more means non-destructive external disintegration property. When the solid cleanser is crushed or pressed by the palm of the hand, it can be disintegrated more quickly by rubbing or rubbing with the palm and applying external force such as maraging force.

상기 고형 클렌저의 외력붕해성은, 물 또는 오일의 습윤에 의한 붕해성이 아니라 손으로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마찰력이나 위에서 누르거나 충돌하는 등의 물리력 등의 외력(external force)에 의한 붕해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택한 시험 항목이다. The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property of the solid cleanser is not a disintegration property due to the wetting of water or oil but a disintegration property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ing or rubbing with hands or physical force The test items selected by the present applicant.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클렌저에 있어서, 규조토 및 전분을 이용함으로써 민감성 피부에서 트러블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오일을 최대한 배제시킬 수 있다는 또다른 이점이 있다. 비정질 규조토 및 옥수수 전분을 사용함으로써 부드러운 감축을 제공하면서 피지 흡수에 따른 피부 당김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피지 조절능력을 바탕으로 클렌저의 화장제거능력 및 세안능력을 향상시켰다.In the solid clea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diatomaceous earth and starch has another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iminate the oil that can cause troubles and irritation in sensitive skin to the utmost. Amorphous diatomaceous earth and corn starch are used to provide soft cuts while preventing skin puckering due to sebum absorption and improving sebum removal ability and cleansing ability of the cleanser based on the continuous sebum control ability.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lf-evident.

실시예 1Example 1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를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An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was prepared as follows.

(단계 1) 원료의 준비(Step 1) Preparation of raw materials

하기 표 1과 같이,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원료를 준비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below, raw materials for an external force-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were prepared.

구분 division 성분 ingredient 실시예 1Example 1
(중량%)(weight%)
실시예 2Example 2
(중량%)(weight%)
실시예 3Example 3
(( 중량%weight% ))
1One 알진Algin 2.02.0 1.601.60 1.801.80 22 칼슘 설페이트 Calcium sulfate 2.02.0 1.601.60 1.801.80 33 마그네슘 옥사이드 Magnesium oxide 0.80.8 0.900.90 0.700.70 44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10.010.0 12.0012.00 10.0010.00 55 글루코오스 Glucose 10.010.0 12.0012.00 9.009.00 66 규조토Diatomaceous earth 45.045.0 40.0040.00 48.0048.00 77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Sodium laureth sulfate 2.52.5 10.0010.00 9.009.00 88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Cocamidopropyl betaine 2.52.5 2.502.50 3.003.00 99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PEG-7 glyceryl cocoate 2.52.5 0.900.90 0.800.80 1010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Tetrasodium pyrophosphate 1.01.0 1.001.00 0.500.50 11 11 디소듐 EDTA Disodium EDTA 0.10.1 0.050.05 0.050.05 12 12 시트르산 Citric acid 0.10.1 0.100.10 0.100.10 1313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0.50.5 0.500.50 0.300.30 1414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Tocopheryl acetate 0.50.5 0.300.30 0.200.20 1515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0.30.3 0.300.30 0.300.30 1616 벤조페논-9 Benzophenone-9 -- 0.030.03 0.030.03 1717 소듐 벤조에이트 Sodium benzoate -- << 0.01<< 0.01 << 0.01<< 0.01 1818 숯가루 Charcoal powder -- 0.300.30 0.200.20 1919 적색 산화철 (CI77491) Red iron oxide (CI77491) -- << 0.01<< 0.01 << 0.01<< 0.01 2020 울트라마린 블루(CI77007) Ultra Marine Blue (CI77007) -- << 0.01<< 0.01 << 0.01<< 0.01 21 21 크롬하이드록시드 그린Chrome Hydroxide Green -- << 0.01<< 0.01 << 0.01<< 0.01 22 22 정제수 Purified water 잔량 Balance 잔량Balance 잔량Balance 2323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미드 Cocamide diethanolamide 2.52.5 2.002.00 1.001.00 2424 글리세린 glycerin 1.51.5 1.501.50 2.002.00 2525 라벤더 오일 Lavender Oil 0.20.2 0.150.15 0.150.15 2626 녹차 추출물 Green tea extract -- 0.400.40 0.300.30 2727 알로에베타잎 추출물 Aloe Beta leaf extract -- 0.300.30 0.200.20 2828 페퍼민트 추출물 Peppermint extract -- 0.300.30 0.300.30 2929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Hydrolized Collagen -- 0.300.30 0.200.20 3030 향료 Spices -- << 0.01<< 0.01 << 0.01<< 0.01 합계Sum 100100 100100 100100

(단계 2) 상기 표 1의 원료 중에서, 규조토, 친수성 겔화제(칼슘설페이트, 알진), 옥수수전분, 글루코오스, 고형 계면활성제류, 산화물 및 염(마그네슘 옥사이드, 염화나트륨, 디소듐 EDTA, 테트라소듐 피로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등의 고체·파우더 원료들을 분말 혼합기에 도입하고, 실온에서 평균 입도 500 ㎛ 이하로 분쇄하여, 고형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tep 2) In the raw materials in Table 1, diatomaceous earth, a hydrophilic gelling agent (calcium sulfate, algin), corn starch, glucose, solid surfactants, oxides and salts (magnesium oxide, sodium chloride, disodium EDTA, tetrasodium pyrophosphate ), Ascorbic acid, and tocopheryl acetate were introduced into a powder mixer and pulverized at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00 mu m or less at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단계 3) 상기 표 1의 원료 중에서, 물(정제수), 글리세린, 액상 계면활성제(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미드), 오일상 원료(라벤더 오일 등), 액상 추출물 등의 액체·액상 원료들을 액상 혼합기에 도입하고, 50℃로 가온 및 교반하에 미세 분산시켜, 액상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tep 3) The liquid / liquid raw materials such as water (purified water), glycerin, liquid surfactant (cocamide diethanolamide), oil-based raw materials (lavender oil, etc.) And the mixture was finely dispersed under heating and stirring at 50 DEG C to prepare a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단계 4)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고형 원료 조성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단계 3)에서 액상 원료 조성물을 10분 동안 조금씩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형성시켰다. (Step 4) While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2 is stirred,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added in small increments for 10 minutes in the step 3, and then stirred for 1 hour to obtain a discontinuous hydrogel- / RTI &gt;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형성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손으로 직경 1∼3cm의 구슬 형태로 성형하였다. (Step 5)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formed in (step 4) was manually shaped into beads of 1 to 3 cm in diameter.

(단계 6) 상기 (단계 5)에서 형성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를 수분 함량 대략 10%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Step 6) A bead-shaped solid cleanser formed in (step 5) was dried until the water content reached approximately 10%.

결과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는 하기 물성을 나타내었다:The resulting bead type solid cleanser exhibited the following properties:

(i) 수중에서도 5분 경과 후에도 표면이 파손되거나 붕해되지 않는 내수성;(i) water resistance such that the surface is not broken or disintegrated even after 5 minutes in water;

(ii) 높이 1m 에서 마루 바닥에 10회의 낙화 시험과 시멘트 바닥에 5회의 낙하 시험에도 파괴되지 않는 내충격성;(ii) impact resistance not to be destroyed by 10 times of dropping test on the floor at the height of 1 m and 5 times of drop test on the cement floor;

(iii) 수중이나 물로 적신 다음,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약한 외력(즉, 구 형태를 파괴하지 않을 정도의 외력)을 가할 때 1분 이내에 80% 이상이 붕해될 정도의 외력붕해성. (iii) an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such that 80% or more of the disintegrant is disintegrated within 1 minute when applied with a weak external force such as rubbing or rubbing after wetting with water or water (i.e., an external force not breaking the spherical shape).

실시예 2 및 3Examples 2 and 3

상기 표 1에 기재된 원료를 사용하고, 건조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materials listed in Table 1 were used and the drying step was not carried out.

결과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는 하기 물성을 나타내었다. The resulting bead type solid cleanser exhibited the following properties.

(i) 수중에서도 5분 경과 후에도 붕해되지 않는 내수성;(i) water resistance that does not disintegrate after 5 minutes in water;

(ii) 높이 1m에서 마루 바닥에 10회의 낙화 시험과 시멘트 바닥에 5회의 낙하 시험에도 파괴되지 않는 내충격성;(ii) impact resistance not to be destroyed by 10 times of dropping test on the floor at the height of 1 m and 5 times of drop test on the cement floor;

(iii) 수중이나 물로 적신 다음, 비비거나 문지르는 등의 약한 외력(즉, 구 형태를 파괴하지 않을 정도의 외력)을 가할 때 1분 이내에 80% 이상이 붕해될 정도의 외력붕해성. (iii) an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such that 80% or more of the disintegrant is disintegrated within 1 minute when applied with a weak external force such as rubbing or rubbing after wetting with water or water (i.e., an external force not breaking the spherical shape).

비교예 1 (특허문헌 4의 실시예 1에 따른 고형 클렌저의 제조) Comparative Example 1 (Production of solid cleanser according to Example 1 of Patent Document 4)

특허문헌 4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근거로 하면서 추정되는 후속 가공 방법에 따라 고형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A solid cleanser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ost-processing method estimated based on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of Patent Document 4.

표 1(실시예 2)에 기재된 고형 원료 및 액상 원료들을 혼합 및 혼련하여 반죽 형태의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제조하고, 직경 1∼2cm의 구슬 형태로 성형하여 고형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A solid cleanser was prepared by mixing and kneading the solid raw materials and the liquid raw materials described in Table 1 (Example 2) to prepare a dough-like hydrogel-powder composite and molding it into beads having a diameter of 1 to 2 cm.

결과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는 내부에 작은 덩어리 형태의 하이드로겔(즉, 연속상 하이드로겔)의 존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파쇄 시에 습윤 또는 결합되지 못한 파우더가 가루 형태로 발생하는 등, 전체 조성이 균질하지 못하였으며, 고형 클레저에 요구되는 내수성, 내충격성 및 외력붕해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The resultant bead-shaped solid cleanser was able to visually confirm the presence of a small-lump-shaped hydrogel (i.e., a continuous hydrogel) therein, and a powder not wetted or bonded at the time of disintegration occurred in powder form, The overall composition was not homogeneous and did not exhibit the wa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required for the solid compac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2의 절차를 반복하였지만, 사용된 파우더 원료의 전체 중량과 비슷한 양의 물을 추가로 사용하였으며, 결과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의 일부는 40∼50℃의 온도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수분 함량이 대략 10∼15%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다른 일부는 실온에서 감압 하에 수분 함량이 대략 10∼15%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단계를 수가로 수행하였다. The procedure of Example 2 was repeated but an additional amount of water was used in an amount similar to the total weight of the powder raw material used and some of the resulting bead type solid cleanser had a moisture content in the dryer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40-50 C Was dried until approximately 10-15%, and the other part was dried at room temperature under reduced pressure until the moisture content was approximately 10-15%.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의 내부 및 외부의 건조 속도의 차이로 인해, 결과된 구슬 형태의 고형 클렌저의 표면은 분말화되어 외관이 손상되었고, 내부에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연속상 하이드로겔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Due to the difference in drying speed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ad type solid cleanser, the resulting bead type solid cleanser surface was pulverized and damaged in its appearance, and a small, lumpy continuous hydrogel was visually confirmed inside .

결과된 고형 클렌저는 표면의 분말화 및 내부의 연속상 하이드로겔로 인해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고형 클렌저로서의 물성(내수성, 내충격성 및 외력붕해성)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웠다. The resultant solid cleanser was difficult to use due to surface powdering and internal continuous hydrogel, and it was difficult to measure physical properties (wa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external force disintegration) as a solid cleanser.

Claims (10)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및 물을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의 형태로 함유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1) 알진, 칼슘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규조토, 옥수수 전분, 계면활성제, 첨가제 및 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준비하고,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원료들 중에서 고체·파우더 원료들을 혼합 및 균질화하여 고형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단계 3) 상기 단계 1의 원료들 중에서 액체·액상 원료들을 혼합 및 균질화하여 액상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단계 4)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고형 원료 조성물에, 상기 단계 3에서 수득된 액상 원료 조성물을 1 : 0.05∼1배(중량)의 비율로 첨가 및 혼련하여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수득하고,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수득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성형하여 고형 클렌저를 수득함;
상기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는 물과 함께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하여 파우더 입자들의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전술한 옥수수 전분은 물에 의해 점착성 전분으로 호화되어 전술한 파우더 입자들의 점착제로 작용하고,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점착성 전분은 파우더 입자들과 함께 3차원 구조를 갖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를 형성하며,
상기 단계 2 및 단계 3의 균질화는 볼밀을 사용하는 기계적 분쇄를 통하여 조성의 균질화, 입도의 균질화 또는 조성과 입도의 균질화이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A process for producing an exfoliating solid cleanser which contains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surfactants, additives and water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lex,
Comprising the steps of:
(Step 1) A raw material including algin, calcium sulfate, magnesium oxide, diatomaceous earth, corn starch, a surfactant, an additive and water is prepared,
(Step 2) A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homogenizing the solid / powder raw materials among the raw materials of the step 1,
(Step 3) Mixing and homogenizing liquid / liquid raw materials among the raw materials of step 1 to prepare a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Step 4) To the solid raw material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2, the liquid raw material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3 is added and kneaded at a ratio of 1: 0.05-1 times (weight) to obtain a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and,
(Step 5) molding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obtained in step 4 to obtain a solid cleanser;
The above-mentioned corn starch acts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he above-mentioned powder particles and is gelled as water-soluble tacky starch by the formation of the discontinuous phase hydrogels together with water, The hydrogel and tacky starch together with the powder particles form a discrete hydrogel-powder complex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homogenization of the step 2 and the step 3 is carried out by mechanical grinding using a ball mill,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homogenization of the particle size or homogenization of the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a binder A process for producing a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는 알진 1∼10중량%, 칼슘 설페이트 1∼10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 0.3∼3중량%, 규조토 30∼60중량%, 옥수수 전분 6∼25중량%, 계면활성제 5∼20중량%, 첨가제 10∼20 중량% 및 물 잔여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iscrete hydrogel-powder composite comprises 1 to 10 wt% of algin, 1 to 10 wt% of calcium sulfate, 0.3 to 3 wt% of magnesium oxide, 30 to 60 wt% of diatomaceous earth, 6 to 25 wt% of corn starch, To 20% by weight of an additive, 10 to 20% by weight of an additive, and a residual water conte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에서, 물은 알진 및 칼슘 설페이트의 1∼10배(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scontinuous hydrogel-powder composite, wat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10 times (weight) of alginate and calcium sulf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상 하이드로겔-파우더 복합체에서 불연속상 하이드로겔은 최장 직경이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ontinuous phase hydrogel in the discontinuous phase hydrogel-powder composite has a maximum diameter of 100 mu 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클렌저에서 물의 함량이 5∼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id cleanser has a water content of 5 to 25% by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의 제조 방법:
(단계 6) 결과된 고형 클렌저에서 물의 함량이 고형 클렌저의 5∼25중량%가 될 때까지 건조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comprising a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a b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tep 6) until the water content in the resulting solid cleanser is 5 to 25% by weight of the solid cleanser.
삭제delete
KR1020180100483A 2018-08-27 2018-08-27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65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83A KR101965607B1 (en) 2018-08-27 2018-08-27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19/010814 WO2020045908A1 (en) 2018-08-27 2019-08-23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containing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483A KR101965607B1 (en) 2018-08-27 2018-08-27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07B1 true KR101965607B1 (en) 2019-04-04

Family

ID=6610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483A KR101965607B1 (en) 2018-08-27 2018-08-27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5607B1 (en)
WO (1) WO2020045908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08A1 (en) * 2018-08-27 2020-03-05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containing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GB2587700A (en) * 2019-07-10 2021-04-07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GB2587884A (en) * 2019-07-10 2021-04-14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WO2024035145A1 (en) * 2022-08-10 2024-0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arch hydrogel in which aldehyde and catechol groups are introduced, and us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9363B (en) * 2022-01-24 2023-11-24 中国地质调查局成都地质调查中心(西南地质科技创新中心) Multifunctional soft rock disintegration measur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857A1 (en) 1999-06-18 2000-12-28 L'oreal Solid aqueous gel comprising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starch,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uses
WO2013175221A2 (en) 2012-05-25 2013-11-28 Cosmetic Warriors Limited Composition
KR101383625B1 (en) 2011-12-26 2014-04-14 한국콜마주식회사 Powder Form Oil-Fre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atomaceous earth and Starch
KR20150049522A (en)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Insertion tool of speed nut for battery pack
JP2016516023A (en) * 2013-03-13 2016-06-02 ネオキュティス エスアー Peptides for skin renewal and methods of using said peptides
KR20160120470A (en) * 2015-04-08 2016-10-18 최영덕 Cleanser with solid type
JP2018509455A (en) * 2015-03-27 2018-04-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Fibrin composition, method and wound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289A (en) *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Cosmetic and skin external preparation
KR101965607B1 (en) * 2018-08-27 2019-04-04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857A1 (en) 1999-06-18 2000-12-28 L'oreal Solid aqueous gel comprising a hydrophilic gelling agent and starch,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uses
KR101383625B1 (en) 2011-12-26 2014-04-14 한국콜마주식회사 Powder Form Oil-Fre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atomaceous earth and Starch
WO2013175221A2 (en) 2012-05-25 2013-11-28 Cosmetic Warriors Limited Composition
JP2016516023A (en) * 2013-03-13 2016-06-02 ネオキュティス エスアー Peptides for skin renewal and methods of using said peptides
KR20150049522A (en) 2013-10-30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Insertion tool of speed nut for battery pack
JP2018509455A (en) * 2015-03-27 2018-04-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Fibrin composition, method and wound article
KR20160120470A (en) * 2015-04-08 2016-10-18 최영덕 Cleanser with solid typ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08A1 (en) * 2018-08-27 2020-03-05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Externally disintegrating solid cleanser containing discontinuous hydrogel and corn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GB2587700A (en) * 2019-07-10 2021-04-07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GB2587884A (en) * 2019-07-10 2021-04-14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GB2587700B (en) * 2019-07-10 2021-12-15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GB2587884B (en) * 2019-07-10 2023-02-08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US11701321B2 (en) 2019-07-10 2023-07-18 Henkel Ag & Co. Kgaa Solid hair cosmetic composition
WO2024035145A1 (en) * 2022-08-10 2024-02-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arch hydrogel in which aldehyde and catechol groups are introduced,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908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607B1 (en) External force-disintegrable solid cleanser comprising discontinous phase hydrogel and adhesive starch as bin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6364403B2 (en) Composition
JP7058944B2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and cosmetics
EP1071395B1 (en) Mildly abrasive skin cleaning agents
EP2116219A1 (en) Oral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JP6646993B2 (en) Foaming skin external preparation
JP2012506431A (en) Powder makeup composition and method
JP2016008181A (en) Kit for skin external preparation
WO1999020386A1 (en) Emulsifying composition and emulsions
EP3324920B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compact powder,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s thereof
JP2001131054A (en) Scrubbing agent and its production
JP2004217590A (en) Cosmetic composition
WO2021174183A1 (en) Encapsulated cleansing composition
EP3525749B1 (en) Polished talc microbeads
JP2001019612A (en) Cosmetic
JP6275495B2 (en) Cosmetics containing water-insoluble particles
JP2003238337A (en) Powdery cosmetic
JP2019178257A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 and cosmetics
KR20190104590A (en) Micro Spherical Lip
EP4201392A1 (en) Solid personal care product and method to obtain such product
JP5663778B2 (en) Crystalline composit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1439005B (en) Toothbrushing agent
JP7240720B2 (en) Solid powder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solid powder cosmetic
JP2001048746A (en) Skin cleansing preparation
JP2003113072A (en) Face scr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