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209B1 -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 Google Patents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209B1
KR101965209B1 KR1020170129219A KR20170129219A KR101965209B1 KR 101965209 B1 KR101965209 B1 KR 101965209B1 KR 1020170129219 A KR1020170129219 A KR 1020170129219A KR 20170129219 A KR20170129219 A KR 20170129219A KR 101965209 B1 KR101965209 B1 KR 10196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unit
presen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17012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2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storing and releas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warehouse. The storing and releasing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ost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ng uni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posts,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posts, and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a moving unit which vertically moves along the vertical post or at least a part thereof horizontally is moved back and forth toward a loading unit and in which a heavy object is mounted and unloaded; and a base member to which the pair of vertical posts and the moving unit is fixed and horizontally movable, 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loading frame on which a heavy object is loaded and which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and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loading frame.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has a movement restriction unit restricting movement of the loading frame.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 /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및 하역하는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ry and exit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ticles used in an automatic warehouse.

자동창고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는데, 다수의 적재 공간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수의 적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및 개수 등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저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An automatic warehouse is automatically managed by a computer.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a plurality of loading spaces, and the type and number of articles stored in a plurality of loading spaces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or stored by the computer Device.

자동창고는 중량의 물품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동시에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일예로, 수십 톤(TON)이 넘는 철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제품의 하중에 의해 자동창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물품을 운반하는 동안 자동창고의 일 부분이 손상되게 된다. When the automatic warehouse is used to transport heavy articles, there is a risk that it can be shaken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when moving. For example, when transporting iron products of tens of tons (TON) or more, when the part supporting the automatic warehouse moves back and forth by the load of the product, a part of the automatic warehouse is damag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goods.

다시 말해, 수직 포스트를 감싸면서 승하강하는 부품이 있다면 상기 수직 포스트에 접촉되면서 수직 포스트 또는 이와 접촉하는 다른 부품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re is a component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wrapping around the vertical p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rtical post or other parts contacting the vertical post are damag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또한, 중량물을 반출시에는 호이스트(hoist) 또는 크레인(crane)과 같은 장치로 반출하는데,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과 같은 설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로 반출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In addition, the heavy goods are transported to a device such as a hoist or a crane for transporting the heavy goods, but it is inconvenient to transport the heavy goods to the outside when the hoist or the crane is not provided.

또한, 중량물을 이동 유닛에 적재하여 이동할 때 중량물이 비대칭으로 놓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중량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때 무게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중량물이 낙하할 수도 있고, 주변에 있는 다른 부품 또는 설비와 충돌하면서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movable unit, the weight may be placed asymmetrically. In this case, a weight unbalance occurs when the heavy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a heavy object may fall and may be damaged by collision with other peripheral parts or faciliti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운반시에 중량물의 비틀어짐이 없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rehousing and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a heavy object is not twisted when a heavy object is convey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적재부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며 중량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 및 이동 유닛이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rtical post, comprising: a pair of vertical pos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posts and formed laterally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 posts; A moving unit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post, or at least part of which moves back and forth toward the loading unit, and in which a heavy object is loaded and unloaded; And a base member to which the pair of vertical posts and the moving unit are fixed and which can be moved laterally, the moving unit comprising: a loading frame on which the heavy object is loaded and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tacking frame, and a movement restricting part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유압기구; 및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 hydraulic mechanism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stopp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ydraulic mechanism and rotatable by the hydraulic mechanism.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to sense the approach of the loading fra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L 형상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ay be L-shap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ack fram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guide member, and the groove may include a roller protruding toward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automatic warehouse input and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중량품(重量品)을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운반시에도 흔들림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haking is suppressed even when a heavy article (heavy article) is transported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수직 포스트에 고정시키고, 플레이트에 구름접촉하는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수직 포스트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동 유닛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can be suppressed without damaging the vertical post by fixing the plate to the vertical post and using rollers that come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롤러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being capable of supporting the mobile unit more sta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을 더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호이스트와 같은 설비가 없는 경우에 종래의 입출고장치에 추가적인 프레임을 구비하여 적재 및 반출 대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carry a heavy object by further providing a fixed frame. That is, when there is no equipment such as a hoi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dditional frame can be provided to a conventional I / O device so as to wait for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받침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정 프레임을 이용한 중량물 이송시에 입출고장치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 / O device from being shifted to one side when the heavy object is transferred using the fixed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에 의해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vy object from being separated by the guide memb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물을 적재 프레임에 적재한 다음 이송할 때 좌우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ffect of suppressing lateral twisting when a heavy object is loaded on a stacking frame and then transport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재 프레임의 비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주변 부품 또는 설비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peripheral components or equipment by preventing twisting of the stacking fram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과 고정 프레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 프레임 주변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받침부와 접촉되는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적재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동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제한부에 적재 프레임이 걸림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ide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periphery of a side support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ide support portion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pport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inside.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ide support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vertical post.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unit and a fixed fram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fram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9 viewed from the sid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r in contact with a receiving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art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15 and 16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6. 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spaced from a stacking fram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loading frame is hooked on a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be given or mixed with consideratio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distinguishes itsel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side support 14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ide support 14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plan view of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창고에 물품을 입출고시키는 장치가 개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 (이하 입출고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과 함께 승하강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감싸도록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의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 중 하나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 모두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tomatic warehouse input / output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goods to and from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vertical posts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vertical posts 11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A moving unit 130 that moves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along the vertical post 110 and loads and unloads the cargo an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130, The other side includes the outer side part 143, the inner side part 144, the front side part 141 and the rear side part 142 so as to surround the vertical post 110 and the outer side part 143 and the inner side part 144 ), The front portion 141 and the rear portion 142 have at least one And a side support 140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osts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though the lateral supports 140 are formed on one of the vertical posts 1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ateral supports 140 may be formed on both of 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sts 1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출고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중심으로 적재부(105)에 인접한 면을 전면(111)이라 칭하고, 전면(111)과 반대의 면을 후면(112)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111)과 후면(112)을 잇는 양 측면 중, 입출고장치(100)의 외측에 형성된 면을 외측면(113), 상기 외측면(113)과 반대의 면으로 입출고장치(1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내측면(114)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face adjacent to the loading unit 105 is referred to as a front face 111 and the face opposite to the front face 111 is referred to as a rear face 112 ). The outer surface 113 and the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 / O device 10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uter side surface 113 of the I / O device 100, between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rear surface 112, ) Will be referred to as an inner side surface 114. [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대향하는 전면부(141),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112)과 대향하는 후면부(142),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과 대향하는 외측부(143),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단부, 특히 외측부(143)의 상면은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side support 140 includes a front surface 141 facing the front surface 111 of the vertical post 110, a rear surface 142 facing the rear surface 112 of the vertical post 110, An outer side portion 143 facing the outer side surface 113 and an inner side portion 144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114 of the vertical post 110. The side supporting portion 1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ide support 140, particularly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143, is formed to have a certain size.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부(120)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이동 유닛(130)이 이동하면서 적재부(105)에 중량품(重量品)을 저장하거나 반출하기도 한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로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만약, 적재부(105)에 구비된 중량품이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되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전후 방향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이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측면지지부(140)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 포스트(110)의 넓은 영역에 걸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이동 유닛(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so that the moving unit 130 moves along the vertical posts 110, ) To save or export. The moving unit 130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and has a frame shape. The moving unit 130 moves up and down or back and forth with the weight mounted thereon. If the weight of the load unit 105 is mounted on the mobile unit 130, the mobile unit 130 may be slightly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mobile unit 130 is inclined, the side support 1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110, and in a severe case, the vertical post 110 may be damaged. 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post 110 is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110, the wide area of the vertical post 110 is damag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for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vertical post 110 and the mobile unit 130 is discl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수직 포스트(1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름가능한 롤러가 수직 포스트(110)의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51,152)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중량품을 이송하는 장치인 만큼 철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osts 110 are provided with plates 151 and 152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nd the side supports 14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The provision of the roller portions 161 and 163 prevents the moving unit 13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vertical posts 110 and allows the rollable rollers to contact the plates of the vertical posts 110. The plates 151 and 152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a plastic material, but are preferably made of a steel material because they are devices for transferring heavy articles.

상기 이동 유닛(130)은 프레임(frame) 형태의 골격을 가지거나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거나 전후 이동하게 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The mobile unit 130 may have a frame-like skeleton or a plate-like plate. The movable unit 130 is vertically moved or moved back and forth in a state in which the weight is mounted. The movabl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unit 140, and is moved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side support unit 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에 구비되고, 작동하기 전의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간 정도의 지점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최초 상태에서 승하강시에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중량품을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거나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재부(105)에 저장되어 있던 중량품을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은 최초 상태에서 상승한 다음 적재부(105)로 전진 이동하고 중량품이 적재되어 있는 적재 프레임(pallet)를 들어올린 다음 후진 이동하여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심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중량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유닛(130)과 연결되어 있는 측면지지부(140)의 내측면 중 일부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130)이 측면지지부(14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posts 110, and in the initial state before operation, a midpoint of the mobile unit 130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post 110, As shown in Fig. By arranging in this way, the mobile unit 130 can stably move along the vertical posts 110 when the mobile unit 130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initial state. If the heavy article is to be mounted on or unloaded from the mobile unit 130, the mobile unit 130 must move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weight unit stored in the loading unit 105 is to be mounted on the moving unit 130, the moving unit 130 moves up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loading unit 105, The pallet is lifted and then moved backward so that the center of the moving unit 130 is positioned on the line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descends. In this way, the mobile unit 130 can be slightly tilted for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eight unit while the mobile unit 130 moves forward. In this case,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140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1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ertical post 110, and in this state, the mobile unit 130 is coupled with the side support 140 .

상기 적재부(105)에 중량품을 적재하기 위한 과정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적재부(105)로 저장하는 과정에서는 적재부(105)에서 반출하는 과정과는 반대로, 측면지지부(140)와 수직 포스트(110)가 접촉하는 면이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151,152)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161,163)를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배치하였다.The same problem arises in the process for loading the weight on the loading unit 105. [ However, in the process of storing in the loading unit 105, contrary to the process of taking out from the loading unit 105, the side where the side supporting unit 140 and the vertical post 110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revers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s 151 and 152 are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the roller portions 161 and 163,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plates 151 and 152,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151)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1 롤러부(161)라 칭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152)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2 롤러부(163)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는 각각 상기 외측부(143)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며 쌍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측면지지부(140)의 전면부(141)와 후면부(142)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를 감싼 상태의 사시도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롤러부(163)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다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보다 견고하게 수직 포스트(1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는 각각 3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oller portion contacting the first plate 15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ost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roller portion 16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152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ost 110 Is referred to as a second roller portion 163.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ide support 140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pport 140 is remo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side 143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inside. 4 and 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161 and 163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de portion 143 in the vertical direc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support 140 in a state where the front support part 140 and the rear support part 140 of the side support part 140 are covered with the vertical support 110. As shown in FIG. 4, Since the second roller portions 163 are form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support portions 140 can be more firmly contacted with the vertical posts 110, and the forces acting on the rollers can be uniformly disper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er 161 and the second roller 163 include three roll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의 롤러들은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외측부(143)의 외부에서 관통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리벳 등의 부품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rollers of the first roller portion 161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163 are fixed to the outer side portion 143 by a fixing member penetrating outside the outer side portion 143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 The fixing member may be a bolt, a rivet, or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51)와 제2 플레이트(152)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고정되며, 용접 또는 다른 접착수단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151) 및 제2 플레이트(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을 전부 덮을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소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are fixed to the vertical posts 110 by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may be attached to the vertical posts 110 by welding or other adhesive means .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do not need to completely cover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somewhat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re extended to the outer ends of the vertical posts 110, And a third roller part (165) formed in a rolling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152).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인데,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거나 수직 포스트(110)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3 is a plan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ide support 14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roller 165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40, Are formed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s forming the thicknesses of the protrusions 151 and 152,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may be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vertical posts 110 or may protrude more than the vertical posts 110.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동시에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를 포함하는데, 상기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결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65b,165d)는 상기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sid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side,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ide supporting por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vertical post. Referring to FIGS. 5 and 6, 165 includes a pair of rollers 165a that simultaneously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The pair of rollers 165a are coupled to one support member 165b Or the rollers 165c may be fixed to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165d.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s 165b and 165d are fixed to the outer side portion 143.

만약,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는 지지부재에(165b)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롤러는 후술하는 제4 롤러부(167)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If the pair of rollers 165a are fix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by the single support member 165b, the pair of rollers 165a and 165b may be in pair with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The roller 165a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by a support member 165b. Her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re protruded more than the outer ends of the vertical posts 110, though not shown in detail, and the third roller unit 16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respectively. The roller at this time may be the same as the fourth roller portion 167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 분리된 독립된 지지부재(165d)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각각의 롤러(165c)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의 내측벽(147)에 홀(148)이 형성되고, 상기 홀(148)을 관통하여 한 쌍의 롤러(165c)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rollers 165c are fix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by separate separated support members 165d, respective rollers 165c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165d And is fix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in a state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side part 143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side, FIG. 6 is a side view of the side supporting part 14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upled to the vertical post 110, A pair of rollers 165c as shown can be coupled to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165d. More specifically, a hole 148 is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147 of the outer side portion 143, and a pair of rollers 165c pass through the hole 148 to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

이때, 상기 제3 롤러부(165)도 앞선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부(143)의 상면에는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143)의 중간 일 영역(지점)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분리 형성된 한 쌍의 롤러(165c)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제3 롤러부(165)가 외측부(143)의 상면과 중간 일 지점의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3 롤러부(165)의 롤러 형성 개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third roller 165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161 and 163.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llers 165a are formed on one support member 165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ide portion 143, and a pair of rollers 165a and 165b,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nd a pair of rollers 165c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165d are formed at an intermediate region (point) of the outer side portion 143. In addition, 6,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is formed at two posit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143, but the roller forming portion of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별개의 평판 플레이트(미도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제3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제3 플레이트와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 플레이트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separate flat plate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vertical post 110. That is, a third plat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a third roller 165 is provided on the side support 140 in a rolling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can do. If the third plate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vertical post 110,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may not protrude from the outer end of the vertical post 110 desirable.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롤러부(161), 제2 롤러부(163) 또는 제4 롤러부(167)와 같이 하나의 롤러가 제3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다. Further, if the third plate is formed, the third roller 165 may include one roller. That is, one roller, such as the first roller 161, the second roller 163, or the fourth roller 16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ird pla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4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에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는 롤러를 설치하는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에도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내측부(144)에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롤러부(167)의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의 롤러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이루는 면에 구름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에 제4 플레이트(154)를 형성하여 상기 제4 플레이트(154)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플레이트(154)를 설치하여 제4 롤러부(167)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is provided in a side support portion 140 formed to surround four sides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contacts the vertical post 110. Inside the vertical post 110, A roller may also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144 facing the side 114. That is, the automatic warehouse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ner side portion 144 and the inner side surface 114 of the vertical post 110 or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n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roller portion 167 in rolling contact. The rollers of the fourth roller portion 167 may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such as the rollers of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The fourth plate 154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14 of the second plate 110 so as to form a fourth roller portion 167 which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ourth plate 154. Of course, as shown in FIG. 3, the fourth plate 154 may be installed to prevent the fourth roller portion 167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114 of the vertical post 11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의 롤러들의 접촉만 이루어지면 충분하므로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후면(112)을 모두 덮을 필요는 없으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롤러부(165)와의 접촉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서부터 내측 단부까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내측 일 지점까지만 형성되면 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51 and 152 are only requi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oller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161 and 163, the front surface 111 and the rear surface 112 of the vertical post 110 It is not necessary to cover all of them, 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from the outer end to the inner end of the vertical post 110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is simultaneously possible, as shown in Figs. 3 and 6, Only one point should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에 작용하는 힘이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를 구성하는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를 구성하는 롤러보다 크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orces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161 and 163 are greater than the forces acting on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and the fourth roller portion 167,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161 and 163 Is larger than the rollers constituting the third roller portion 165 and the fourth roller portion 167 and is fixed more firmly.

한편,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측면지지부(140)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는 체인(19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 및 이동 유닛(130)이 승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외측부(143)에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제1 체결구(171) 및 제2 체결구(172)에 체인(195)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195)은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에 체인 결합하면서 상기 이동 유닛(130)과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195)은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홀(14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A lower sprocket 191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portion 143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side supporting portion 140 by a chain 195 and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st 110,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and the movable unit 130 are lift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upper sprocket 192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20. One or more flanges 145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portion 143 and both ends of the chain 195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71 and 172 formed on the flange 145 And the chain 195 is chain-coupled to the lower sprocket 191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utomatic warehouse I / O device 100 and the upper sprocket 192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The side support portion 140 is moved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chain 195 is formed through the hole 146 formed in the flange 145.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70)의 일측에는 제1 구동부(19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연결된 체인(198)에 의해 회전축(19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스프로킷(19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체인(195)에 의해 상기 하부 스프로킷(191)을 회전시킴으로써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97)은 상기 연결부(120)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구비되는 구동 스프로킷(196a)과 상기 회전축(197) 상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로킷(197a)이 상기 체인(198)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97)이 회전하게 된다.14, a first driving part 19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70 and the rotating shaft 197 is rotated by a chain 198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art 196 The upper sprocket 192 is rotated and the lower sprocket 191 is rotated by the chain 195 to move the side support 140 up and down. The rotation shaft 197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ar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riving sprocket 196a of the first driving part 196 and the driven sprocket 197a are connected to the chain 198, and the rotation shaft 197 is rot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35)을 횡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 포스트(110), 이동 유닛(130), 지지 프레임(135) 및 연결부(120)가 일체로 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7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180)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부 레일(102)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post 110 for moving the supporting frame 135 laterally is provided, and the vertical The post 110, the mobile unit 130, the support frame 135, and the connection portion 120 are moved in an integrated manner transversely. A pair of rollers 180 are provided below the support unit 170 to prevent the movement unit 130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when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rail 102. [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과 고정 프레임(200)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고정 프레임(200) 주변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rehouse I / 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unit 130 and the stationary frame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stationary frame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에서는 고정 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도 7 이하에서는 고정 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Although the fixed frame 200 is not shown in FIGS. 1 to 6 described above, FIG. 7 and FIG. 7 are different in that the fixed frame 200 is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warehouse input and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 및 이동 유닛(130)이 고정되며 하부 레일(101)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106)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에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을 받치는 고정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이격 배치된다. The automatic warehouse input and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osts 11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moving unit 130 which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vertical post 110 and is loaded and unloaded from the vertical post 110, A base member 106 fixed to 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and the movable unit 130 and mov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lower rail 101 and a base member 106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st 110, And a stationary frame 200 for supporting the heavy object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unit 130 or when the heavy object is taken out of the mobile unit 130. The fixed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member 106.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량물(重量物)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거나 적재부(105)로부터 반출하기 위한 이동 유닛(130) 이외에, 상기 이동 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량물을 상기 이동 유닛(130)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이송받는 고정 프레임(200)을 더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적재부(105)에 중량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고정 프레임(200)에 놓여진 중량물을 이동 유닛(130)에 이동시키거나, 적재부(105)로부터 중량물을 반출하는 과정에서 이동 유닛(130)에 놓여진 중량물을 고정 프레임(200)에 이동시키게 된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oving unit 130 for loading or unloading a heavy object on the loading unit 105, the moving unit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30 And a fixed frame 200 for moving the heavy object to or from the mobile unit 130.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heavy object placed on the fixed frame 200 to the moving unit 130 or removing the heavy object from the loading unit 105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heavy object on the loading unit 105, 130 are moved to the stationary frame 200.

이는 이동 유닛(130)에 중량물을 싣거나 내릴 때 천정에 매달려 있는 호이스트(hoist)와 같은 설비가 없는 경우에는 지게차(fork lift)와 같은 장비로 중량물을 운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적재 설비로써 고정 프레임(200)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중량물을 탑재하거나 탑재된 중량물을 외부로 반출하도록 한다.If there is no equipment such as a hoist hanging from the ceiling when loading or unloading a heavy object to or from the mobile unit 130, the heavy object must be carried by equipment such as a fork lift. (200). That is, the heavy object is mounted on the fixed frame 200 or the heavy object mounted on the fixed frame 200 is taken ou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6) 및 상기 이동 유닛(130)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데, 상기 베이스부재(106) 및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최초 상태 또는 제1 상태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때는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대면(對面)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이동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200)과 베이스부재(106)는 정면으로 대면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즉, 최초 상태를 제1 상태, 그 외의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106 and the mobile unit 130 mov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se member 106 and the mobile unit 130 are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frame 200 The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in the vicinity is referred to as an initial state or a first state. At this time, the base member 106 and the fixed frame 200 face each other. Thereafter, when the base member 106 is moved, the stationary frame 200 and the base member 106 are not faced with each other. This state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That is, the initial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tate, and the other state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ate.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유닛(130)과 연계하여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이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대면(對面)한 제1 상태에서 상기 이동 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에 상기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이동 유닛(130)으로부터 중량물을 반출시 상기 중량물이 안착된다. The stationary frame 200 is fixed to the ground, and is capable of transporting a heavy object in conjunction with the movable unit 130. The fixed frame 2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unit 130 in a first state where the fixed frame 200 faces the base member 106 to load the heavy object in the mobile unit 130, The heavy object is seated.

이때, 도 10는 도 9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유닛(13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unit 13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unit 13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벨트가 구비되며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와, 상기 제1 벨트부(132)와 분리되어 상기 제1 벨트부(132)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7 to 12, the moving unit 130 includes a pair of first belts (not shown) having a belt for moving the weight loaded on the moving unit 130, And a moving frame 131 separated from the first belt part 132 and moving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belt part 132.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중량물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제1 벨트부(132)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벨트부(132)보다 더 큰 영역을 차지하는 이동 프레임(1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1 벨트부(132)와는 높이가 중첩된 상태로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since the moving unit 130 has to support a heavy object, the pair of first belt portions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moving frame 131 occupying a larger area. When the moving frame 131 is lowered, the first belt portion 132 is overlapped with the height.

상기 제1 벨트부(132)는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좌우로 이동시에 베이스부재(106)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측면지지부(14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가 상기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부재(106) 이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106), 상기 제1 벨트부(132)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belt part 132 is fixed to the base member 106 so that the first member part 132 moves left and right integrally with the base member 106 when the base member 106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able frame 131 is connected to the pair of vertical posts 110 by side support portions 140 and the vertical posts 110 are fixed to the base member 106, 106 and the base member 106 and the first belt part 132 when they are moved.

나아가,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벨트부(132)와는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발생시킨다. 상기 이동 프레임(131)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133)과, 상기 적재 프레임(133)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적재부(105)를 향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중량물을 상기 적재부(105)로 인입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은 상기 이동 프레임(131),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 프레임(133)에 탑재된 상태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적재 프레임(133)이 적재부(105)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적재부(105)에 중량물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후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35)에 걸림부(137)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137)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외측 단부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미끄러지는 경우에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moving frame 131 moves up and down to generate a height difference relative to the first belt portion 132. [ The moving frame 131 includes a loading frame 133 on which the heavy object is loaded and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supporting frame 135 for supporting the loading frame 133. The stacking frame 133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stacking unit 105 on the support frame 135 to draw or draw a heavy object into or from the stacking unit 105.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heavy object in the loading unit 105, the heavy object moves upwar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moving frame 131, more specifically, the loading frame 133, The stacking frame 133 is moved toward the stacking unit 105. As shown in FIG. When the loading of the weight on the loading part 105 is completed, the loading frame 133 is moved back on the supporting frame 135. In this c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part 137 is formed on the supporting frame 135 to prevent the loading frame 133 or the heavy object from moving excess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when the stacking frame 133 or the heavy object slips because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t the outer end of the frame 135.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동 유닛(130)은 제1 벨트부(132), 적재 프레임(133), 및 지지 프레임(135)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과는 분리된 채로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35)은 이동 유닛(130) 중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일체로 승하강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35)은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하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적재 프레임(133)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As such, the mobile unit 13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lt portion 132, a loading frame 133, and a support frame 135. [ The supporting frame 135 is a part of the moving unit 130 that is movable in the loading frame 133. The supporting frame 135 is a part of the supporting frame 135, ) And the part that ascends and descends together with it. The support frame 135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and at the same time surrounds the outer frame of the stacking frame 133.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이동 유닛(13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면에 가로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136)가 구비되어 있다.The input and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220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mobile unit 130, more specifically,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elt unit 132 And a roller 13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lt portion 132 to rotat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2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접촉부(221)와, 일 단부는 상기 접촉부(221)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의 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 상에서 구름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에 접촉함으로써 중량물이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량물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13, the receiving unit 220 includes a contact portion 221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flat, one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221, And the roller 136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belt portions 132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21. In this way, when the heavy material is mounted on the moving unit 130, the heavy material can be supported by the roller 136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unit 130 by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221.

만약, 상기 롤러(136) 및 받침부(220)가 없다면 중량물에 의해 상기 이동 유닛(130)이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이동 유닛(130)을 포함한 입출고장치(100)가 손상되게 된다.If the roller 136 and the receiving unit 220 are absent, the moving unit 130 may be tilted to one side by a heavy object. If the phenomenon is repeated,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cluding the moving unit 130 It becomes damag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유닛(130)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 7은 입출고장치(10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최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 이동 유닛(130), 베이스부재(106)가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기 위하여 베이스부재(106)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프레임(131)이 상승한다. 이때는 좌로 이동과 위로 이동하는 것의 조합인데, 베이스부재(106)가 좌로 이동한 후 이동 프레임(131)이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131)이 먼저 위로 상승한 후 베이스부재(106)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순서를 정하여 순서대로 한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다른 단계를 작동시키게 되면, 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하였다. 물론, 이는 베이스부재(106)의 이동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rame 131 and the base member 106 are simultaneously moved to shorten the moving time of the moving unit 130. 7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s not operating, and the fixed frame 200, the moving unit 130, and the base member 106 are disposed closest to each other . 8, the base member 106 is moved to the left side and the movable frame 131 is raised to load the heavy object on the loading section 105. The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he left movement and the upward movement allows the movable frame 131 to move upward after the base member 106 moves to the left, It can also be moved. In this case, since it takes more time to set the movement order and operate the other steps after completing one step in order, the movement frame 131 and the base member 106 move simultaneously Respectively. Of course, this means movement of the base member 106.

이와 같이,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벨트부(13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136)는 반드시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22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21)과의 슬라이딩 접촉 구간이 작으면 상기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 상에서 불안정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22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When the movable frame 131 and the base member 106 move simultaneously, the roller 136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elt portion 132 necessarily moves left and right, . At this time, if the sliding contact interval with the contact portion 221 is small, the roller 136 can contact unstably on the contact portion 221. Accordingly, the contact portion 2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136)가 상기 접촉부(221)에 매끄럽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221)의 양 단부가 경사지도록 형성하였다. 즉, 상기 접촉부(221)의 단부는 경사면(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22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러(136)가 접촉부(221)와 최초로 접촉하는 시점에서 큰 충격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221 ar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roller 136 smoothly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221. That is, the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1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24.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224 in this way, the roller 136 comes into smooth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21 at the time when the roller 136 first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221 without generating a large impac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량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고정 프레임(200)에서 이동 유닛(130)으로 이동하거나, 이동 유닛(130)에서 고정 프레임(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13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벨트부(21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제2 벨트부(210) 외에도 상기 제2 벨트부(2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곽 프레임(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fixed frame 200 and the moving unit 13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ourse of loading or unloading a heavy object, the heavy object moves from the fixed frame 200 to the moving unit 130 Or moves from the mobile unit 130 to the fixed frame 200. 10, the fixing frame 200 includes a pair of first belt portions 132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pair of first belt portions 132, Two belt portions 210 are included. The fixing frame 20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frame 215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belt unit 210 in addition to the second belt unit 210.

만약,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의 높이가 상이하게 되면 상기 중량물이 이동시에 덜컹거리게 되어 중량물과 입출고장치(100)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If the heights of the first belt part 132 and the second belt part 2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heavy object may become jittery during the movement and damage the heavy objects and the I / O device 100.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135)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 간의 중량물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송 롤러(1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롤러(139)는 평상시에는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을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하나,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송 롤러(139)가 내려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A conveying roller 139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135 to smoothly transfer the heavy material between the stationary frame 200 and the movable unit 130. The conveying roller 139 normally functions to prevent the stacking frame 133 from moving. However, when the stacking frame 133 moves, the conveying roller 139 is set to move down.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량물을 반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중량물이 탑재되고, 중량물이 탑재된 상태로 적재 프레임(133)이 정면을 항하여 지지 프레임(135)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걸림부(137)까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전후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베이스부재(106)가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대면되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 프레임(131)이 상하 이동과 동시에 좌우 이동을 하여,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일직선 상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For example, a process of moving the heavy object in a state where the mobile unit 130 does not face the fixed frame 2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loading frame 133 is loaded with a heavy object and the loading frame 133 is moved to the supporting frame 135 in a state where the heavy object is loaded. The loading frame 133 is moved to the locking portion 137. When the loading frame 133 is moved back and forth, the base member 106 moves to face the fixed frame 200 At the same time, the moving frame 131 moves up and down. That is, the moving frame 131 moves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as the up and down movement, so that the loading frame 133 and the fixed frame 200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belt portion 132 and the second belt portion 210 are generally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located on a straight line.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고정 프레임(200)이 서로 정면으로 마주보게 되면, 이동 프레임(131)이 보다 하강하게 되어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상기 이송 롤러(139)의 높이가 같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제1 벨트부(132)로 안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벨트부(13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제1 벨트부(132) 및 이송 롤러(139)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벨트부(210)도 제1 벨트부(132)와 함께 구동된다. When the stacking frame 133 and the stationary frame 200 face each other, the moving frame 131 is lowered so that the height of the first belt 132 and the conveying roller 139 are equal to each other do. In this process, the loading frame 133 is seated on the first belt part 132. Then, when the first belt part 132 is driven, the loading frame 133 is moved to the fixing frame 200 by the first belt part 132 and the conveying roller 139. At this time, the second belt portion 210 is also driven together with the first belt portion 132.

중량물을 적재부(105)에 적재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을 거꾸로 진행하면 된다.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heavy object on the loading unit 105, the above process may be rever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량물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과 이동 유닛(130)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17)는 상기 이동 유닛(130) 및 고정 프레임(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 217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heavy object not to be separated when the heavy object moves between the fixed frame 200 and the moving unit 13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obile unit 130 and the fixed frame 200.

상기 제1 벨트부(132)와 제2 벨트부(210)는 상면이 넙적한 다수의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물이 안착된 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중량물이 안착된 적재 프레임(pallet)(133)이 상기 세그먼트들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The first belt part 132 and the second belt part 210 are made up of a number of segments which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art so that they can move while the heavy material is seated. the pallet 133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eg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벨트부(210)의 벨트(21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213)가 고정 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213)가 스프로킷(212)을 구동시키면, 연결축(2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다른 스프로킷(212)도 동시에 구동되어 제2 벨트부(210)가 작동되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2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frame 200 to drive the belt 211 of the second belt unit 210 and the driving unit 21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procket 212 The other sprockets 212 connected by the connecting shaft 214 are simultaneously driven so that the second belt portion 210 is operated.

이는 상기 제1 벨트부(132)의 경우에도 동일하며, 상기 제1 벨트부(13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131)의 단부에는 이동 프레임(131)의 보호를 위한 충돌 방지부(138)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driving part (not shown) for driving the first belt part 132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post 110. Also, at the end of the moving frame 131, an anti-collision part 138 for protecting the moving frame 131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중량물이 놓여진 상태로 이동시에 좌우 비대칭으로 비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적재되는 과정에서 좌우 비대칭으로 되거나, 이동 중에 마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좌우 비대칭으로 놓여지게 되면 중량물로 인하여 지지 프레임(135)과 같은 지지구조가 불균형하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가이드부재(217)와 같은 부품에 손상을 가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vy object is placed on the stacking frame 133, it may be distorted asymmetrically. This may be left-right asymmetric in the process of being loaded on the stacking frame 133, or may be caused by unbalance of friction during movement. As such, when the stacking frame 133 is placed asymmetrically, the support structure such as the support frame 135 may be unbalanced due to the heavy weight. In addition, due to unevenness of the stacking frame 133, the stacking frame 133 or the heavy object may damage the parts such as the guide member 21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정위치로 놓여지도록 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loading frame 133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적재 프레임(13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이동 제한부(2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제한부(240)에 적재 프레임(133)이 걸림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16,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oading frame 133 is separated from the loading frame 133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oading frame 133 is hooked on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9.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유닛(130) 중 지지 프레임(135)의 일측에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240,240a,240b)를 배치하였다. 상기 이동 제한부(240)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선단부가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적어도 두 지점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동 제한부(240)가 한 지점에서만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면 좌우 불균일한 적재 프레임(133)의 배치를 교정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제한부(240)를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선단부의 두 지점에 접촉하도록 지지 프레임(135)에 설치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ment limiting units 240, 240a and 240b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35 of the mobile unit 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is formed so as to contact at least two points of the support frame 135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ip end portions of the stacking frames 133 come to the same position. If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oading frame 133 at only one point, it is impossible to correct the arrangement of the left and right unloading frames 133. [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35 so as to contact the two point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이때,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지지 프레임(135)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벨트부(132)와 같은 이동수단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을 이격되어 있는 두 지점에서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제1 벨트부(132)를 작동시키게 되면 비틀어져 있던 적재 프레임(133)의 좌우가 이동 방향을 따라 대칭을 이루게 된다. 엄밀하게는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사선이 아닌 정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정위치란 적재 프레임(133)의 선단부가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위치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loading frame 133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frame 135, and can independently move independently of the supporting frame 135. The moving frame 133 can be moved independently of the supporting frame 135, To move forward or backward. When the first belt portion 132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is restricted at two points apart from the stacking frame 133, the right and left of the stacking frame 133, which is twisted, Symmetry. It is strict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ther than the oblique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 Here, the fixed position means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stacking frame 13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비틀어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 제한부(240)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닿게 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 중 이동 제한부(240)에 먼저 접촉한 부분은 더 이상 전진하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에 구비되어 있는 이동 제한부(240)에 적재 프레임(133)이 접촉하게 되는 순간이 되면 작동을 멈춘다. 즉, 두 개의 이동 제한부(240) 모두에 적재 프레임(133)이 접촉하게 되는 순간까지 적재 프레임(133)을 강제로 이동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비틀어져 있던 적재 프레임(133)을 이동 방향을 따라 정위치로 정렬시킨다. 이는 마치 마차 또는 전차가 좌우측 중 한쪽 바퀴는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다른쪽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면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것과 마찬가지 원리이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stacking frame 133 is moved in a twisted state, the stacking frame 133 first reaches any one of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240. The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which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is moved to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a state where the portion of the stacking frame 133 which is not moved forward, When it comes to the moment, it stops working. That is, the stacking frame 133 is moved or rotated forcibly until the moment when the stacking frame 13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of the two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240, so that the stacking frame 133, which has been twisted, . 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when a carriage or a train is aligned toward the front by rotating the other wheel in a state where one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is stationary.

상기 이동 제한부(240)는 적재부에 인접한 지지 프레임(135)에 구비되는데, 이는 적재부에 적재하기 전에 정면을 향해 정렬된 상태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200)의 단부에는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근접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부로 반출하기 전에도 좌우 정렬이 필요한 경우라면, 고정 프레임(200)의 외측 단부에 상기 이동 제한부(2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 중 지지 프레임(135)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한 쌍의 이동 제한부(240)가 설치되어 외부로 가지런히 반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is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135 adjacent to the loading portion, for bringing it in a state aligned toward the front before being loaded on the loading portion.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ixed frame 2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35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rame 133 so as to restrict further movement. If the left and right alignment is necessary even before the removal, the movement restricting part 240 may be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fixed frame 200. More specifically, a pair of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240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fixed frame 200 remote from the support frame 135 so that the pair of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240 may be carried out in a straight line.

한편, 상기 이동 제한부(240)에 의해 좌우 정렬된 적재 프레임(133)은 적재부(105)로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이동 제한부(240)에 의해 이동이 막혀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이동 제한부(240)가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제한부(240)는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241)과, 상기 지지판(241)에 연결되는 유압기구(243)와,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기구(243)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기구(243)에 의해 회전가능한 스토퍼(245)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유압기구(243)로부터 상기 스토퍼(245)에 힘을 전달하는 로드(246)(rod)가 구비된다. Meanwhile, since the left and right stacked frames 133 are moved to the loading unit 105 by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should not block the movement.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by selectively exposing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To this end, the movement restricting par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24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35, a hydraulic mechanism 243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241,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mechanism 243 so as to include a stopper 245 rotatable by the hydraulic mechanism 243. [ Further, a rod 246 for transmitting a force from the hydraulic mechanism 243 to the stopper 245 is provided.

상기 지지판(241)은 좁은 공간에 평면을 구비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135)에 쉽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단면은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일면은 지지 프레임(135)에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유압기구(243)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압기구(243)에 의해 상기 스토퍼(245)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선상에 노출되거나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선상의 아래로 위치하게 된다.The support plate 241 is for easily fixing to the support frame 135 having a flat surface in a narrow space, and has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That is, one surface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35 an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hydraulic mechanism 243, and the stopper 245 is rotated by the hydraulic mechanism 243, Exposed on the line or below the movement line of the loading frame 133. [

상기 스토퍼(245)가 회전하게 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스토퍼(245)의 일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유압기구(243)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유압기구(243)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246)가 움직임으로써 상기 스토퍼(245)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245)의 중심을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스토퍼(245)의 외주연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4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45)는 상기 로드(246)의 전후 이동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principle that the stopper 245 rotates is as follows. One end of the stopper 245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3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mechanism 243 so that the rod 246 provided in the hydraulic mechanism 243 moves The stopper 245 rotates. 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245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stopper 245 is fixed, the stopper 245 rotates. The stopper 245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od 246.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45)는 대략 L 형상으로 되어 있어 회전함에 따라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선상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스토퍼(245)가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선상 위로 노출되어 있다가 적재 프레임(133)을 적재부(105)로 이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245)가 회전하여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선상의 아래로 위치하게 되어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 제한부(240)를 지나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245 is substantially L-shaped and selectively exposed on the movement line of the stacking frame 133 as it rotates. When the stopper 245 is normally exposed above the movement line of the stacking frame 133 and the stacking frame 133 is to be transferred to the stacking unit 105, the stopper 245 rotates to rotate the stacking frame 133 So that the stacking frame 133 passes through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24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제한부(24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에 의해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block)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movement restricting unit 240 can block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by rotation.

한편,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근접해옴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센서(247)가 상기 스토퍼(245)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서(247)에서 적재 프레임(133)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다른 부품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Meanwhile, a sensor 24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245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stacking frame 133.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is restricted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stacking frame 133 by the sensor 247 so that the stacking frame 133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other parts.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35)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7)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217)에는 다수의 홈(219)이 형성되고, 상기 홈(219)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35)을 향하여 돌출되는 롤러(218)가 구비되어 있다.A guide member 21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35. The guide member 217 has a plurality of grooves 219 formed therein, (219) is provided with a roller (218) protruding toward the support frame (135).

상기 롤러(218)가 없다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상기 가이드부재(217)에 직접 접촉하여 가이드부재(217)를 훼손시킬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부재(217)에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217)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적재 프레임(133), 적재 프레임(133) 또는 중량물이 가이드부재(217)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부재(217), 중량물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 roller 218 is not provided, the stacking frame 133 may directly contact the guide member 217 and damage the guide member 217. However, when the stacking frame 13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217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amage of the guide member 217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at is, the stacking frame 133, the stacking frame 133, or a heavy object is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guide member 217,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guide member 217 and heavy object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내측과 외측에 각각 이동 제한부(240a,240b)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이동 제한부(240a,240b)의 외측에는 각각 가이드부재(217,217') 및 롤러(218,2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17)도 유압기구(미도시)에 의해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재 프레임(133)이 지지 프레임(135)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17,217')가 세워져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vy objects of different sizes can be transported. Referring to FIGS. 15 and 16,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240a and 240b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respectively. Guide members 217 and 217 'and rollers 218, 218 '. The guide member 217 can also be raised or lowered by a hydraulic mechanism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stacking frame 133 moves back and forth on the support frame 135, the guide members 217 and 217 'are rais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133.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출고장치, 101: 하부 레일, 102: 상부 레일, 105: 적재부, 106: 베이스부재, 107: 롤러, 110: 수직 포스트, 111: 전면, 112: 후면, 113: 외측면, 114: 내측면, 120: 연결부, 130: 이동 유닛, 131: 이동 프레임, 132: 제1 벨트부, 133: 적재 프레임, 135: 지지 프레임, 136: 롤러, 137: 걸림부, 138: 충돌 방지부, 139: 이송 롤러, 140: 측면지지부, 141: 전면부, 142: 후면부, 143: 외측부, 144: 내측부, 151: 제1 플레이트, 152: 제2 플레이트, 154: 제4 플레이트, 161: 제1 롤러부, 163: 제2 롤러부, 165: 제3 롤러부, 165a: 제1 롤러, 165b: 지지부재, 167: 제4 롤러부, 170: 지지부, 171: 제1 체결구, 172: 제2 체결구, 191: 하부 스프로킷, 192: 상부 스프로킷, 195: 체인, 196: 제1 구동부, 197: 회전축, 200: 고정 프레임, 210: 제2 벨트부, 211: 벨트, 212: 스프로킷, 213: 구동부, 214: 연결축, 215: 외곽 프레임, 217: 가이드부재, 218: 롤러, 219: 홈, 220: 받침부, 221: 접촉부, 223: 고정부, 224: 경사면, 240: 이동 제한부, 241: 지지판, 243: 유압기구, 245: 스토퍼, 246: 로드, 247: 근접센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 side fram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each other, A conveying roller 140, a side supporting portion 141, a front portion 142, a rear portion 143, an outer portion 144, a medial portion 151, a first plate 152, a second plate 154, a fourth plate 161,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are provided i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respectively, and the first roller, the second roller, The spr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rocket and a second sprocket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procket. 215: outer frame, 217: guide member, 218: roller,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bag by using a proximity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laims (5)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이동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적재부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며 중량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가 고정되며 좌우로 이동가능한 베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중량물이 적재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한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을 지지하고, 적재 프레임과 분리되어 있어 상기 적재 프레임과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적재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이 안착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이동 제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 프레임이 상기 두 개의 이동 제한부에 접촉하는 순간까지 상기 한 쌍의 제1 벨트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A pair of vertical post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vertical posts and formed laterally connecting a pair of vertical posts;
A moving unit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post, or at least part of which moves back and forth toward the loading unit, and in which a heavy object is loaded and unloaded; And
And a base member to which the pair of vertical posts are fixed and which can be moved laterally,
The mobile unit includes:
A loading frame on which the heavy object is loaded and movable back and forth;
A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stacking fram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stacking frame and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stacking frame; And
And a pair of first belt portions on which the stacking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re seat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the base member,
And two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pair of first belt portions are driven until an instant when the stacking frame contacts the two movement restricting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판;
일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며, 신축가능한 로드(rod)를 구비하는 유압기구; 및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전후 이동에 의해 회전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 hydraulic mechanis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retractable rod; And
And a stopper fixed at one en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d and rotatable by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for sensing an approach of the loading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L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pper is L-sha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tacking fram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guide member, and a roller protruding toward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in the groove. Warehousing warehouse.

KR1020170129219A 2017-10-10 2017-10-10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1965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219A KR101965209B1 (en) 2017-10-10 2017-10-10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219A KR101965209B1 (en) 2017-10-10 2017-10-10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209B1 true KR101965209B1 (en) 2019-04-03

Family

ID=6616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219A KR101965209B1 (en) 2017-10-10 2017-10-10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20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0A (en) * 2019-06-20 2020-12-30 심명순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2274957B1 (en) * 2020-03-20 2021-07-08 태양산업 주식회사 telescopic typic loader
CN113148533A (en) * 2021-02-01 2021-07-23 日照职业技术学院 Industrial intelligent cargo handling robo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14A (en) * 2000-05-10 2001-11-13 Okamura Corp Load delivery device in rotary rack
KR20040108210A (en) * 2003-06-17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pallet feeding device
JP2007045544A (en) * 2005-08-08 2007-02-22 Okamura Corp Falling prevention device for cargo in automated warehouse
KR20080077121A (en) * 2005-11-18 2008-08-21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Stocker
KR101001364B1 (en) * 2010-07-01 2010-12-15 강우성 Auto rack apparatus for pall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914A (en) * 2000-05-10 2001-11-13 Okamura Corp Load delivery device in rotary rack
KR20040108210A (en) * 2003-06-17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pallet feeding device
JP2007045544A (en) * 2005-08-08 2007-02-22 Okamura Corp Falling prevention device for cargo in automated warehouse
KR20080077121A (en) * 2005-11-18 2008-08-21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Stocker
KR101363836B1 (en) * 2005-11-18 2014-02-1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Stocker
KR101001364B1 (en) * 2010-07-01 2010-12-15 강우성 Auto rack apparatus for pall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990A (en) * 2019-06-20 2020-12-30 심명순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2212047B1 (en) * 2019-06-20 2021-02-03 심명순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2274957B1 (en) * 2020-03-20 2021-07-08 태양산업 주식회사 telescopic typic loader
CN113148533A (en) * 2021-02-01 2021-07-23 日照职业技术学院 Industrial intelligent cargo handling robot device
CN113148533B (en) * 2021-02-01 2022-03-29 日照职业技术学院 Industrial intelligent cargo handling robo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en) Logistics Automation Warehouse
KR101965209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1754945B1 (en) Automatic Transferring System of Loaded Wood Pallet
JP2006528120A (en) Non-palletized cargo storage system loading / unloading platform
JP6183714B2 (en)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2692414B2 (en)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trays
KR101992015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KR101912916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JPH06246468A (en) Laser beam processing system
KR101946907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JP4102002B2 (en) Crane container suspension
KR102212047B1 (en) 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CN219525070U (en) Combined tray device for primary and secondary trays
JP3603986B2 (en) Automatic warehouse goods transfer system
JP3807255B2 (en) Shelf equipment
JP3812345B2 (en) Delivery device
JP3799972B2 (en) Loading device for transported objects
JP5427467B2 (en) Luggage storage system
JP2002347925A (en) Alignment conveyor and conveyance system using it
KR200332142Y1 (en) Conveyor apparatus for box loading and unloading
JPH0560019B2 (en)
JPH0647410B2 (en) Transport equipment including vertical transport
JP2005001750A (en) Retainer for forklift box
JPS6374813A (en) Two-stage lifting and lowering station for carrying in and out article
JP2011126704A (en) Article removal method and convey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