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93B1 - 곤충사육장 - Google Patents

곤충사육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93B1
KR101965193B1 KR1020170025933A KR20170025933A KR101965193B1 KR 101965193 B1 KR101965193 B1 KR 101965193B1 KR 1020170025933 A KR1020170025933 A KR 1020170025933A KR 20170025933 A KR20170025933 A KR 20170025933A KR 101965193 B1 KR101965193 B1 KR 10196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insect
open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981A (ko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어냉동건설
Priority to KR102017002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적합한 실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사육장은, 외벽의 내측에, 천장 단열재가 연장 설치되는 내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공간에 지지빔을 설치하여 외벽과 내벽이 일체화되는 벽체를 구현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에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바닥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바닥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사육장의 실내 공기가 상기의 벽체 개구부, 공간, 이격공간 및 바닥 개구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곤충사육장 실내로 배기 되도록 하는 곤충사육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곤충사육장{Insect farm}
본 발명은 곤충을 사육할 수 있는 적합한 실내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에 대한 것이다.
최근 유엔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 위기를 경고하는 보고서가 나왔는데 기후 변화로 인하여 농업의 생산성은 급격히 떨어지고, 인구의 증가로 인해 식량 자원 부족이 심각해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며, 특히 지금의 추세대로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에 2050년경에는 세계 인구는 90억 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식량 자원의 확보가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식량농업기구(FAO)는 ‘식용 곤충-식량 안보의 미래 전망’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서 곤충을 미래 식량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곤충은 풍부한 아미노산과 높은 단백질 함량, 포화지방보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크며, 쇠고기에 비교해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질의 함량도 훨씬 풍부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먹을 수 있는 곤충은 1900종(種)이 넘으며, 이 중 수백 종은 이미 아프리카·남미·아시아에 사는 20억 명이 오래전부터 먹고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누에고치에서 실을 켜고 나올 때 생기는 마지막 부산물로 곤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먹거리로 섭취하였으며, 여름철 메뚜기를 잡아서 조리를 해먹는 지역도 상당히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몸통 부분의 구조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고, 다리가 3쌍, 날개가 2쌍인 동물을 지칭하는데,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동물 중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동물로서 종류 100만 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상 어느 곳에서든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곤충은 세계식량농업기구의 보고서와 같이 식용뿐만 아니라, 의료용, 사료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며, 곤충을 대량 사육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대표적 식량 자원인 소와 같은 가축 사육과 비교할 때, 사료와 물 사용량이 월등히 적기 때문에 우수한 경제성과 더불어 대량 사육에 다른 환경오염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세계식량농업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지금의 추세대로 물소비가 이루어지면, 2025년에는 지구 전체 인구의 2/3가 물부족/스트레스에 시달리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담수의 70%는 농업에 쓰이는데, 축산업은 사료까지 고려한다면 곡물의 100배가 넘는 물을 필요로 하는데, 쇠고기와 동일한 양의 곤충을 사용하는 경우에 곤충의 사육에 필요한 물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식수원의 심각한 감소에 따른 고통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곤충을 전문적으로 사육하는 곤충사육장이 점차 늘어났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곤충사육장은 유리형태로 이루어지는 보온성 사육시설, 망체형태로 이루어지는 가건물식 사육시설, 조립식 건물로 이루어지는 사육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안에서 사육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곤충사육장은 특히 벽체의 단열성이 낮아 외부의 온도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이로 인해 곤충에게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곤충사육"을 키워드로 하여 최근에 공개된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발전상태 및 그 배경기술을 더욱더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공개/등록번호: 1016915840000, 1020150072198, 1020160131452, 1020160079414.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벽체의 단열성을 우수하게 하여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사육공간을 형성하려는 데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벽의 내측에, 천장 단열재가 연장 설치되는 내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공간에 지지빔을 설치하여 외벽과 내벽이 일체화되는 벽체를 구현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에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바닥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바닥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사육장의 실내 공기가 상기의 벽체 개구부, 공간, 이격공간 및 바닥 개구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곤충사육장 실내로 배기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수단에 따르면, 외벽과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기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을 내부와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방법은 별도의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에 따른 비용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사육장의 벽체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을 평면에서 본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빔(A)의 외면에 외벽(10)을 설치하고, 지지빔(A)의 내면에 내벽(20)을 설치하며, 내벽(20)과 외벽(10) 사이에 공간(30)을 형성한 벽체를 포함하는 곤충사육장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외벽(10)은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벽(20)은 샌드위치판넬, 우레탄판넬, 합판, 합성수지보드, 석고보드, 금속판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0)에 의한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공기층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를 완전하게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을 내부와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방법은 별도의 내장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열에 따른 비용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한 외벽(10)이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즉,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구비하는 조건을 갖출 경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외벽(10)은 지지빔(A)의 외면에 외벽(10)을 설치한 다음, 그 외벽(10)의 내면을 방수처리한 후, 내벽(20)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방수처리는 외벽(10)에 내면에 방수액을 도포하거나,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간(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내벽(20)이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지지빔(A)의 내면에 내벽(20)을 설치한 다음, 그 내벽(20)의 내면을 방수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내부의 공기가 공간(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내벽(20)의 내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40)를 설치한 다음, 그 단열재(40)의 내면에 마감판재(50)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단열재(40)는 스티로폼, 합성수지폼, 섬유질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감판재(50)는 상술한 내벽(20)과 마찬가지로 샌드위치판넬, 합판, 합성수지보드, 석고보드, 금속판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내외의 공기 유입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차단함은 물론 공기층을 갖는 공간(30)과 더불어 내외의 온도전달을 차단하기 때문에 단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단열재(40)는 우레탄발포액을 발포기구로 도포하여서 우레탄발포벽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단열재(40)의 벽체두께를 현저하게 얇게 하면서도 그와 동등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고, 내벽(20)이 틈새는 갖는 샌드위치판넬로 이루어질 경우 그 판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벽체뿐 아니라 실내의 천장에도 단열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전체적 단열성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는 실내로부터 공간(30)이 연통되도록 개구부(6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될 경우, 그 난방장치의 송풍방향을 감안하여 벽체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의 개구부(60)를 통해 하부의 개구부(60)로 난방장치의 온기 또는 냉기가 순환되도록 입구와 출구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장치가 스탠드형으로 되어 바닥에 설치되고, 그 난방장치의 송풍방향이 벽체의 중간을 향할 경우, 벽체의 중간과 상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중간의 개구부(60)를 통해 상부와 하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구와 출구의 개구부(60)는 난방장치의 위치와 송풍방향을 감안하여 온기 또는 냉기가 공간(30)을 통해 순환하도록 형성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공간(30)으로 온기 또는 냉기가 유입되어 공간(30) 안에 온기 또는 냉기가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진 온기 또는 냉기가 연속적으로 공간(30)을 통해 순환하기 때문에 공간(30)의 온도가 따뜻하거나 차가워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온기 또는 냉기에 의한 단열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내면을 일정간격 절개하는 방식을 채용하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완전하게 개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0)의 상부에 개구부(60)가 형성될 경우, 그 개구부(60)는 마감판재(50)의 상단을 중심으로 개구부(60)를 형성하면 되며, 이렇게 하면 개구부(60)를 형성하기 위해 마감판재(50)를 별도로 절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열재(40)를 우레탄발포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몰드를 개구부(60)에 위치시킨 상태로 우레탄발포액을 도포한 후, 우레탄발포벽체가 형성된 다음, 그 몰드를 때어내는 방식으로 개구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우레탄발포액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개구부(60)의 시공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60)는 벽체의 공간(30)으로부터 바닥의 이격공간(90)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의 이격공간(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상면에 지지대(7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지지대(70)의 상면에 바닥판재(80)를 얹어 바닥과 바닥판재(80) 사이에 이격공간(9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의 이격공간(90)과 벽체의 공간(30)을 이어지게 하는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의 천장에 설치될 경우, 그 벽체의 내측 상부에 공간(30)으로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고, 벽체의 내측 하단에 바닥의 이격공간(90)으로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바닥의 이격공간(90)과 벽체의 공간(30)을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바닥판재(80)의 어느 한 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와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여서 난방장치로 통해 벽체의 내측 상부로 유입되는 온기 또는 냉기가 바닥의 중간을 통해 실내로 배기되도록 하여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벽체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공간(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공간(30)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공간(30)에 온기 또는 냉기를 순환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온기 또는 냉기에 의한 단열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의 이격공간(90)은, 바닥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대(70)를 지지대(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상 일정간격을 두고 횡으로 배치하고, 그 횡으로 배치된 지지대(70)를 다시 일정간격을 두고 종으로 배치하며, 횡으로 배치된 지지대(70)와 지지대(70) 사이와 종으로 배치된 지지대(70)와 지지대(70) 사이로 벽체의 공간(30)이 바닥의 이격공간(90)과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닥의 개구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중앙 양측에 해당하는 바닥판재(80)에 개구부(60)를 형성하여 벽체의 개구부(60)를 통해 유입되는 온기 또는 냉기가 바닥의 개구부(60)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벽체뿐만 아니라 실내의 전체가 온기 또는 냉기로 휩싸이게 되고, 이로 인해 온도의 유지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에 박스형태로 배치된 곤충사육공간의 하부로부터 온기 또는 냉기를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곤충사육에 필요한 온기 또는 냉기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구부(60)는 공간(30)으로부터 입구 측이 넓어지는 확산덕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확산덕트(61)는 입구 측의 개구부(6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난방장치에서 뿜어내는 바람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간(30)으로 온기 또는 냉기를 더욱더 많이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30)의 온도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유지 및 변화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의 응용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행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하게 수정,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A1: 각목
A2: 판목
10: 받침다리
11: 보강부
12: 커버
13: 걸림돌기
20: 종 방향 연결판재
30: 횡 방향 연결판재
40: 마감판재(50)

Claims (3)

  1. 외벽(10)의 내측에, 천장 단열재(40)가 연장 설치되는 내벽(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외벽(10)과 내벽(20) 사이에 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공간(30)에 지지빔(A)을 설치하여 외벽(10)과 내벽(20)이 일체화되는 벽체를 구현하고, 상기 벽체의 상부에 상기 공간(30)과 연통되는 개구부(60)를 형성하며, 상기 벽체를 지지하는 바닥에는 상기 공간(30)과 연통되는 이격공간(90)을 형성하여 상기 바닥 상면에 형성되는 바닥 개구부(60)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사육장의 실내 공기가 상기의 벽체 개구부(60), 공간(30), 이격공간(90) 및 바닥 개구부(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곤충사육장 실내로 배기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
  2. 삭제
  3. 삭제
KR1020170025933A 2017-02-28 2017-02-28 곤충사육장 KR10196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ko) 2017-02-28 2017-02-28 곤충사육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ko) 2017-02-28 2017-02-28 곤충사육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81A KR20180099981A (ko) 2018-09-06
KR101965193B1 true KR101965193B1 (ko) 2019-04-23

Family

ID=6359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933A KR101965193B1 (ko) 2017-02-28 2017-02-28 곤충사육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747B2 (ja) * 1991-09-20 2000-09-1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製紙用添加剤の製造法
JP2008214984A (ja) 2007-03-06 2008-09-18 Ig Kogyo Kk 通気壁構造
JP2013136877A (ja) 2011-12-28 2013-07-11 Ito Masayoshi 建物の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963A (ko) * 1999-07-14 2001-02-05 이영근 연속식 지렁이 사육상
KR20010078627A (ko) * 2000-02-09 2001-08-21 박석일 건축물의 시공방법
JP3089747U (ja) * 2002-05-02 2002-11-08 勲 大川 建 物
KR101691584B1 (ko) 2016-03-25 2017-01-09 최춘흠 곤충 사육용 물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747B2 (ja) * 1991-09-20 2000-09-18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製紙用添加剤の製造法
JP2008214984A (ja) 2007-03-06 2008-09-18 Ig Kogyo Kk 通気壁構造
JP2013136877A (ja) 2011-12-28 2013-07-11 Ito Masayoshi 建物の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81A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202B1 (ko) 곤충 대량 사육 장치 및 시설
Richards et al. Thermal ecophysiology of seven carrion‐feeding blowflies in Southern Africa
Mitchell Ratios of colony mass to thermal conductance of tree and man-made nest enclosures of Apis mellifera: implications for survival, clustering, humidity regulation and Varroa destructor
Colbourne Incubation behaviour and egg physiology of kiwi (Apteryx spp.) in natural habitats
WO202122545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rmal control of beehive pests
KR101965193B1 (ko) 곤충사육장
Stephen The design and function of field domiciles and incubators for leafcutting bee management,(Megachile rotundata (Fabricius))
CN105453842A (zh) 快速散热的牧草储藏室
KR20150018673A (ko) 가축 새끼 우리용 온열기
Arcidiacono Engineered solutions for animal heat stress abatement in livestock buildings.
US4254737A (en) Slotted floor section with built-in means adapted for heating weaned pigs in nursery
Strateanu et al. Analysis of the Microclimate Conditions and Parameters in the Shelters for Dairy Cows and their Influence on the Animals Welfare
Okelo et al. Effectiveness of a novel method to reduce heat stress in broilers: A cool roost system
KR101958743B1 (ko) 대량 곤충 사육 시스템
Berman Inter-animal radiation as potential heat stressor in lying animals
RU175445U1 (ru) Клеточка для пчелиной матки
KR102352266B1 (ko) 아파트형 파충류 사육장
CN207885415U (zh) 水貂窝箱
RU2517835C2 (ru) Кормушка ульевая
KR20190096186A (ko) 곤충 대량사육장치와 설비
RU2188541C1 (ru) Инкубатор бытовой
CN214903075U (zh) 生态鸡养殖育雏保温装置
CN207911700U (zh) 水貂用箱舍
RU2074611C1 (ru) Брудер для молодняка
Ivanov et al. Features of microclimate in buildings of light type for growing lactating s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