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15B1 - 캐노피 구조물 - Google Patents

캐노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15B1
KR101965115B1 KR1020180137142A KR20180137142A KR101965115B1 KR 101965115 B1 KR101965115 B1 KR 101965115B1 KR 1020180137142 A KR1020180137142 A KR 1020180137142A KR 20180137142 A KR20180137142 A KR 20180137142A KR 101965115 B1 KR101965115 B1 KR 101965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fter
section
cross
colum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록
Original Assignee
한태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록 filed Critical 한태록
Priority to KR102018013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8Connecting; Fastening by forcing together the marginal portions of adjacent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8Devices for sealing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보와 아치형 서까래의 접합 부분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구조를 가지는 캐노피 구조물로서, 캐노피 구조의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차양 패널이 고정되는 복수의 서까래 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복수의 상기 기둥 상측을 연결하며 상기 서까래 프레임를 지지하는 기둥보 및 상기 기둥보와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노피 구조물{ASSEMBLY TYPE CANOPY STRUCTURE}
본 발명은 캐노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둥보와 아치형 서까래의 접합 부분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결합 브라켓을 제공하는 캐노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의 상부를 가리거나, 건축물의 옥상 또는 빈 공간에 설치되어 하늘을 가리는데 사용되는 캐노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아치형 서까래바, 넓은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바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붕판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붕판의 단부 상측에 올려지도록 배치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바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몰딩바 및 아치형 서까래 바를 지지하는 기둥보를 포함함한다.
아치형 서까래는 통상적으로 사각형 단면의 스테인레스 관을 굽혀 형성하는데 용이한 휨 작업을 위해 사각현 단면 가운데 굽혀지는 면을 움푹 눌러 변형한다.
따라서 기둥보와 아치형 서까래는 맞닿는 부분이 점 접촉하는 형태(점 용접)가 되므로 접합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편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조립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캐노피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7466호 공고일자 2018년07월11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0461호 공고일자 2007년11월29일
본 발명은 기둥보와 아치형 서까래의 접합 부분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결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노피 구조물은, 캐노피 구조의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차양 패널이 고정되는 복수의 서까래 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및 복수의 상기 기둥 상측을 연결하며 상기 서까래 프레임를 지지하는 기둥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까래 프레임은, 상기 차양 패널이 볼록한 형태로 고정되도록 완곡한 아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아치 형태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을 완곡하게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절곡은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하측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누름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보와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보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이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ㄷ 단면을 가지되, 단면의 폭이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폭에 대응되고, 단면의 바닥면이 상기 기둥보의 상측면에 용접 내지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에 상기 서까래 프레임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보강 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ㄷ 단면을 이루는 양 측면부가, 상기 서까래 프레임과 상기 기둥보의 결합 각도에 맞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ㄷ 단면을 이루는 양 측면부는, 삽입된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상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구조물에 의하면, 보강 브라켓이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를 결합하므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아치형 캐노피의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서까래 프레임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서까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직선형 강재 프레임의 실물 사진이다.
도 5는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접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실물사진이다.
도 6은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점 접촉하는 것을 설명하는 실물 사진이다.
도 7은 도 2에서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보강 브라켓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 프레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 프레임에 차양패널 및 몰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딩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서까래 프레임의 실물 사진이고, 도 4는 도3에 도시된 서까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직선형 강재 프레임의 실물 사진이고, 도 5는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접하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실물사진이고, 도 6은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점 접촉하는 것을 설명하는 실물 사진이고, 도 7은 도 2에서 서까래 프레임과 기둥보가 접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보강 브라켓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 구조물(1000)은 서까래 프레임(100), 기둥(200), 기둥보(300), 보강 브라켓(400), 마무리 프레임(500) 및 몰딩 부재(600)를 포함한다.
서까래 프레임(100)은 캐노피 구조물의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차양 패널(P)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차양 패널(P)은 투명성 확보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계열의 판형 합성수지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 재질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서까래 프레임(100)은 실지자에 따라 캐노피 구조물의 상면(즉, 지붕)이 삼각 지붕 형태를 가질 경우 직선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나, 미관상의 이유로 도시된 예와 같이 곡선형(아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기둥(200)은 캐노피 구조물이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진다. 즉, 기둥(200)은 서까래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지붕 구조를 지지하는 기둥이다. 기둥(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구조물(1000)이 독립형태로 실시되는 경우 최소 4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캐노피 구조물(1000)의 배치 형태 또는 길이에 따라 사용되는 기둥의 수는 조절 될 수 있다.
기둥보(300)는 복수의 기둥(200) 상측을 연결하며, 복수의 서까래 프레임(100)을 지지한다. 즉, 기둥보(300)는 서까래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보 역할을 한다.
보강 브라켓(400)은 기둥보(300)과 서까래 프레임(100)의 결합 부분을 보강한다. 보강 브라켓(400)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마무리 프레임(500)은 서까래 프레임(100)의 끝단에 결합하는 프레임이다. 마무리 프레임(500)은 이웃하는 서까래 프레임(100)들을 연결하여 캐노피 구조물(1000)이 단단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실시자에 따라 마무리 프레임(500)에 빗물 받이를 더 구비하거나 마무리 프레임(500) 자체가 빗물 받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몰딩 부재(600)는 서까래 프레임(100) 상에 구비되는 차양 패널(P)의 단부를 덮는다. 생산되는 차양 패널(P)의 크기 및 열팽창/수축에 따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차양 패널(P)은 여러 개로 분리되어 어느 한 서까래 프레임과 이웃하는 서까래 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몰딩 부재(600)는 서까래 프레임(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차양패널(P1) 및 우측에 배치되는 차양패널(P2)의 마주하는 부분을 몰딩하여 연결 지점의 미관상의 문제 및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강 브라켓(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까래 프레임(100)은 차양 패널(P)가 볼록한 형태로 고정되도록 완곡한 아치 형태를 가진다. 즉, 캐노피 구조물(1000)의 지붕 형태가 아치형이 되도록 서까래 프레임(100)이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서까래 프레임(100)은 도 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을 완곡하게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때, 용이한 절곡을 위해 직사각형 단면의 하측 부분을 직사각형 단면의 내측 방향으로 누름과 함께 절곡을 수행한다.
도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누름 가공(U)에 의해 아치 형태의 내측 원호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직선형 강재 프레임의 완곡한 절곡이 가능하다.
한편, 서까래 프레임(100)은 아치 형태로 인하여 도 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은 형태로 기둥보(300)와 맞닿는다. 서까래 프레임(100)은 기둥보(30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데 누름 가공(U)에 의해 서까래 프레임(100)이 기둥보(300)와 접하는 부분은 움푹 들어간 형태가 되었으므로 도 6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점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서까래 프레임(100)과 기둥보(300)를 용접 결할할 때 점 접촉된 부분에서 점용접만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용접면 감소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 브라켓(400)이 서까래 프레임(100)과 기둥보(300) 사이에 배치된다.
기둥보(30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이다. 보강 브라켓(400)은 기둥보(300)의 상측면에 고정되고, 보강 브라켓(400)이 서까래 프레임(100)을 맞잡는 형태로 고정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강 브라켓(400) ㄷ 단면을 가지되, 단면의 폭이 서까래 프레임(100)의 폭에 대응되고, 바닥면(410)이 기둥보(300)의 상측면에 용접 내지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된다.
서까래 프레임(100)은 보강 브라켓(40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한다. 즉, 보강 브라켓(400)의 ㄷ 단면을 이루는 양 측면부(420L, 420R) 사이에 서까래 프레임(100)이 삽입된다.
이때, 양 측면부(420L, 420R)는 서까래 프레임(100)과 기둥보(300)의 결합 각도에 맞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측면부(420L, 420R)의 한쪽 변의 길이(L1)과 다른 변의 길이(L2)의 차이가 서까래 프레임(100)과 기둥보(300)의 결합 각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 측면부(420L, 420R) 서까래 프레임(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손(421L, 421R)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 프레임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까래 프레임에 차양패널 및 몰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까래 프레임(100')은, 상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 슬릿(S)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개 슬릿(S)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각각 차양 패널(P1, P2)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몰딩 부재(600)가 절개 슬릿(S)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절개 슬릿(S)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지지된 차양 패널(P1, P2)을 누름 팔(610)각각 누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몰딩 부재(600)는 서까래 프레임(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9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개 슬릿(S)은 서까래 프레임(100')의 내측면으로 ㄷ형태로 말려 들어간 한 쌍의 절곡부(110, 120)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절개 슬릿(S)에 대응되는 형태의 몰딩 부재(600)는 절곡부(110, 120)에 끼움 삽입되어 몰딩 부재(600)가 서까래 프레임(100')에 밀착되도록 하는 ㅗ자형 걸림부재(620)를 하측에 구비할 수 있다.
ㅗ자형 걸림부재(620)의 하측 돌기(622)가 절개 슬릿(S)에 억지 끼움된 후 절곡부(110, 120)를 이루는 마감 절곡(113, 123)에 걸리는 형태로 몰딩 부재(60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누름 팔(610)이 차양 패널(P1, P2)을 눌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딩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우천시 누름 팔(610)과 차양 패널(P1, P2)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스며들어 서까래 프레임(1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우천시 누름 팔(610)과 차양 패널(P1, P2)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기 위해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누름 팔(610)과 차양 패널(P1, P2)이 닿는 부분에 주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충진재가 외부로 드러나며 또한, 충진재의 주사 작업은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몰딩 부재(600)와 차양 패널(P1, P2) 사이에 배치되어 몰딩 부재(600)와 차양 패널(P1, P2)을 본딩하는 본딩 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딩 부재(700)는 밀봉체(720) 및 발열체(710)를 포함한다.
본딩 부재(700)는 몰딩 부재(600)의 누름 팔(6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누름 팔(610) 내측에 구비되는 컵 형태의 수용부(611)에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딩 부재(700)는 몰딩 부재(6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체(720)는 고온에 의해 융용되는 합성수지로서 융용에 의해 누름팔(610)과 차양 패널(P1, P2) 결합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밀봉한다.
발열체(710)는 전류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것으로서, 발열체(710)는 니크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710)는 밀봉체(720)의 심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발열체(710)를 밀봉체(720)의 심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전류 인가시 누전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딩 부재(700)가 수용부(611)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몰딩 부재(600)를 절개 슬릿(S)에 끼워 넣은 것 만으로 본딩 부재(700)의 배치 또한 완료된다.
이후, 발열체(710)의 양 단에 (+)전극 및 (-)전극을 연결하여 전류를 인가한다. 전류 인가에 따라 발열체(710)의 저항 열이 발생하여 밀봉체(720)가 용융되어,
누름팔(610)과 차양 패널(P1, P2) 결합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밀봉하게 된다.
이때,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밀봉체(720)의 직경(R)은 수용부(611)와 차양 패널(P1, P2) 간의 간격(D)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조립식 캐노피
100 : 서까래 프레임 200 : 기둥
300 : 기둥보 400 : 보강 브라켓
500 : 마무리 프레임 600 : 몰딩 부재
700 : 본딩 부재

Claims (8)

  1. 캐노피 구조의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차양 패널이 고정되는 복수의 서까래 프레임;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및
    복수의 상기 기둥 상측을 연결하며 상기 서까래 프레임를 지지하는 기둥보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 패널이 볼록한 형태로 고정되도록 완곡한 아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아치 형태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을 완곡하게 절곡하여 형성하되, 상기 절곡은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하측 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누름과 함께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보와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보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직선형 강재 프레임이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ㄷ 단면을 가지되, 단면의 폭이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폭에 대응되고, 단면의 바닥면이 상기 기둥보의 상측면에 용접 내지는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고정되고, 상기 보강 브라켓에 상기 서까래 프레임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보강 브라켓과 결합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ㄷ 단면을 이루는 양 측면부가,
    상기 서까래 프레임과 상기 기둥보의 결합 각도에 맞도록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고,
    상기 ㄷ 단면을 이루는 양 측면부는, 삽입된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상측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손을 구비하고,
    상기 서까래 프레임은,
    상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 슬릿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각각 차양 패널이 지지되고,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 슬릿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지지된 차양 패널을 누름 고정하는 몰딩 부재를 더 포함고,
    상기 절개 슬릿은,
    상기 서까래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ㄷ형태로 말려 들어간 절곡부가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몰딩 부재는,
    상기 절곡부에 끼움 삽입되어 상기 몰딩 부재가 상기 서까래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하는 ㅗ자형 걸림부재를 하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보를 포함하는 캐노피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37142A 2018-11-09 2018-11-09 캐노피 구조물 KR101965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42A KR101965115B1 (ko) 2018-11-09 2018-11-09 캐노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42A KR101965115B1 (ko) 2018-11-09 2018-11-09 캐노피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15B1 true KR101965115B1 (ko) 2019-04-02

Family

ID=6616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142A KR101965115B1 (ko) 2018-11-09 2018-11-09 캐노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49B1 (ko) 2020-01-20 2020-07-20 주식회사 원탑 개량형 캐노피 구조물
KR102223366B1 (ko)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KR102413352B1 (ko) * 2022-03-17 2022-06-24 제희광 벽면 지지용 비가림 차양의 서까래 받침대와 기둥의 조립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964A (ja) * 1995-02-01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レージ
JP2000110291A (ja) * 1998-10-08 2000-04-18 Binifureemu Kogyo Kk カーポートのアーチ形屋根の構築工法
KR100780461B1 (ko) 2006-06-28 2007-11-29 배상진 아치형 캐노피
KR101817906B1 (ko) * 2017-08-24 2018-01-11 제희광 비가림 차양 조립시스템
KR101877466B1 (ko) 2017-10-14 2018-07-11 김종웅 캐노피용 고정몰딩바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964A (ja) * 1995-02-01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レージ
JP2000110291A (ja) * 1998-10-08 2000-04-18 Binifureemu Kogyo Kk カーポートのアーチ形屋根の構築工法
KR100780461B1 (ko) 2006-06-28 2007-11-29 배상진 아치형 캐노피
KR101817906B1 (ko) * 2017-08-24 2018-01-11 제희광 비가림 차양 조립시스템
KR101877466B1 (ko) 2017-10-14 2018-07-11 김종웅 캐노피용 고정몰딩바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49B1 (ko) 2020-01-20 2020-07-20 주식회사 원탑 개량형 캐노피 구조물
KR102223366B1 (ko)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KR102413352B1 (ko) * 2022-03-17 2022-06-24 제희광 벽면 지지용 비가림 차양의 서까래 받침대와 기둥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115B1 (ko) 캐노피 구조물
US8448393B2 (en) Large-area skylight system
US6966157B1 (en) Standing seam skylight
US4139974A (en) Standing T-rib roof system
KR101758723B1 (ko) 조립식 차양 구조물
KR102135549B1 (ko) 개량형 캐노피 구조물
CN105414790B (zh) 薄底板钢结构件焊接工艺
RU2162127C2 (ru) Деталь покрытия из листового металла для конструкций рам слуховых окон или подобных проникающих внутрь крыши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рама, покрытая листовым металлом, содержащая подобную деталь
US5423157A (en) Longitudinally assembled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948882A1 (en) A panel assembly
HU213065B (en) Roof structure, cask-making machine for that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at cask-making machine
KR101662661B1 (ko) 내측 보강이 용이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CN218116062U (zh) 用于流体浇筑的装配式支撑模板
KR20230010328A (ko) 차양 장치
US11332198B2 (en) Structure of joined channel-shaped plates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1734105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봉함재 설치 공법 및 그 구조
KR100625861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JP3283453B2 (ja) 屋上緑化用仕切構造
FR2934286A1 (fr) Structure de toit metallique a construction legere et a modules photovoltaiques integres
CN220014261U (zh) 防水卷材辅助伴热处理设备
KR100762857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CN216690107U (zh) 铝合金结构一体化的屋面体系
JP2526362Y2 (ja) 金属外装体に於ける入隅部の納め構造
CN208792520U (zh) 预制伸缩式密封板及采用该密封板所组装的伸缩式密封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