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098B1 -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 Google Patents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098B1
KR101964098B1 KR1020180132065A KR20180132065A KR101964098B1 KR 101964098 B1 KR101964098 B1 KR 101964098B1 KR 1020180132065 A KR1020180132065 A KR 1020180132065A KR 20180132065 A KR20180132065 A KR 20180132065A KR 101964098 B1 KR101964098 B1 KR 101964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exhaust gas
diameter
discharge passage
flow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하
곽경운
정두환
양영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13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13Means for exhaust gas disposal, e.g. exhaust deflectors, gas evacu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와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A discharge port that is bent in the three directions for supersonic jet}
제안기술은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와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초음속 제트 배출시스템을 통한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 및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하부 공간으로 굴절없는 1방향 배출구를 적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배출된 가스를 상방으로 굴절시키는 2방향 굴절 배출구를 적용하여 초음속 제트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1방향 배출구의 경우, 지하에 위치하는 배출구의 특성상 바닥면의 후방을 개방구조로 만드는데 문제가 있었으며, 2방향 배출구의 경우, 배출된 제트가 상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장품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JP1997-1055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와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에 있어서,
초음속 제트 엔진으로부터 배출되어 배출유로로 유입된 배출가스는 각각의 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세 번의 유동방향 전환 후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는,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유입구로 유입된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편향부;
제1편향부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바닥면;
바닥면을 유동하던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편향부;
제2편향부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3편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편향부, 제2편향부 및 제3편향부에 의한 배출가스의 유동방향 전환 시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이전의 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의 전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1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의 후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의 지붕면과 돌출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3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편향부의 경사면은 제2편향부의 경사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구로 유입된 배출가스는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 유동하던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제1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배출가스는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던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제2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으로 유동하던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제3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편향부에 의해 굴절된 배출가스는 유입구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구가 형성되며,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면에는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유입구의 후단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면의 후단에는 덮개면과 수직하여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면이 형성되고, 돌출면의 상단에는 바닥면과 평행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지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 내부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편향부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3.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편향부가 형성된 배출유로의 전면으로부터 제2편향부가 형성된 배출유로의 후면까지의 거리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8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편향부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편향부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면과 후면 사이의 간격은 유입구의 직경 대비 2.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면과 지붕면 사이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6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구의 직경인 후면의 상단으로부터 지붕면 사이의 간격은 유입구의 직경 대비 2.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로의 전면으로부터 단차부 사이의 길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부 이전의 덮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3.4배~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부 이후의 덮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부 이전의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은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차부 이후의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은 유입구의 직경 대비 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와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장 장비를 안전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면과 지붕면 사이의 높이를 유입구의 직경 대비 최소 6배에서 그 이상으로 자유롭게 연장하여 설계함으로써 초음속 제트 배출시스템이 설치되는 바닥면을 다양한 깊이로 지하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1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2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외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측단면 형상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상단면 형상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제2실시예.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속 제트의 배출 시 배출가스의 역류와 비산파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에 관한 발명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외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초음속 제트 엔진의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ㄷ'형상으로,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가 형성되는 덮개면(16)과, 상기 덮개면(16)의 전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전면(12)과, 상기 전면(1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후면(14)과, 상기 덮개면(16)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덮개면(16)과 수직하여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면(18)과, 상기 돌출면(18)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10)의 후단측으로 상기 바닥면(10)과 평행하여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붕면(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붕면(20)의 후단과 상기 후면(14)은 상기 배출유로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붕면(20)의 후단과 상기 후면(14)의 상단 사이는 개방되어 상기 배출가스의 배출구(24)가 된다.
상기 배출유로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2)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편향부(4)와, 상기 제1편향부(4)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상기 바닥면(10)과, 상기 바닥면(10)을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편향부(6)와, 상기 제2편향부(6)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3편향부(8)가 형성된다.
상기 제1편향부(4)는 상기 배출유로의 내측에서 상기 전면(12)과 상기 바닥면(10)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편향부(4)의 상단은 상기 덮개면(16)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면(16)에는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유입구(2)의 후단에 단차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편향부(6)는 상기 배출유로의 내측에서 상기 전면(12)과 마주보는 위치의 후면(14)과 상기 바닥면(10)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편향부(6)의 상단은 상기 후면(1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편향부(8)는 상기 배출유로의 내측에서 상기 지붕면(20)과 상기 돌출면(18)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편향부(8)의 경사면은 상기 제2편향부(6)의 경사면과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3편향부(8)의 하단은 상기 돌출면(18)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편향부(8)의 상단은 상기 지붕면(20)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측단면 형상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3방향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의 상단면 형상비가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배출유로의 형상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1편향부(4)가 형성된 상기 배출유로의 전면(12)으로부터 상기 제2편향부(6)가 형성된 상기 배출유로의 후면(14)까지의 거리, 즉 상기 바닥면(10)의 가로길이(30)는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8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배출유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의 압력을 충분히 저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전면(12)의 높이인 상기 단차부(22) 이전의 상기 덮개면(16)과 상기 바닥면(10) 사이의 높이(50)는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3.4~4배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2) 이후의 상기 덮개면(16)과 상기 바닥면(10) 사이의 높이(52)는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3배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전면(12)으로부터 상기 단차부(22) 사이의 길이(48)는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3배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10)과 상기 지붕면(20) 사이의 높이(46)는 초음속 제트 배출시스템의 지하화 깊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최소 6배 이상으로 자유롭게 연장되어 설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10)과 상기 지붕면(20) 사이의 높이(46)가 변경되어도 상기 배출구(24)의 직경(28)은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후면(14)의 높이는 상기 바닥면(10)과 상기 지붕면(20) 사이의 높이 변경에 따라 비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2) 이전의 상기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54)은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3배로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2) 이후의 상기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56)은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4배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단차부(22)를 기준으로 하여 확장되도록 하는 이유는 확대된 단면적을 통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압력을 떨어뜨리기 위함이다.
상기 돌출면(18)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2편향부(6) 보다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지붕면(20)은 상기 후면(14)이 형성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돌출면(18)으로부터 상기 후면(14)까지의 간격은(44)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2.6배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18)의 연장길이이며, 상기 후면(1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붕면(20) 사이의 높이인 상기 배출구(24)의 직경(28)은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2.6배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2)의 전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1편향부(4)의 높이(32)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26) 대비 3.2배로 형성되며, 상기 제1편향부(4)의 가로길이(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길이)(34)는 상기 유입구(2)의 직경(26) 대비 1.84배로 형성된다.
상기 제2편향부(6)의 높이(36)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26) 대비 1.8배로 형성되며, 상기 제2편향(6)의 가로길이(38)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26) 대비 1.8배로 형성된다.
상기 제3편향부(8)의 높이(40)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26) 대비 1.2배로 형성되며, 상기 제3편향부(8)의 가로길이(42)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26) 대비 1.2배로 형성된다.
상기의 수치들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의 수치들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통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2)를 통하여 상기 배출유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바닥면(10)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바닥면(10)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제1편향부(4)의 경사면에 충돌하면서 굴절되어 유동방향이 하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제1편향부(4)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바닥면(10)을 따라 상기 후면(14)을 향하여 유동하다가 상기 제2편향부(6)의 경사면에 충돌하면서 굴절되어 유동방향이 수평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제2편향부(6)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향으로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제3편향부(8)의 경사면에 충돌하면서 굴절되어 유동방향이 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제3편향부(8)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지붕면(20)의 단부를 향하여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유입구(2)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배출구(24)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된다.
즉, 초음속 제트 엔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제1편향부(4), 상기 제2편향부(6) 및 상기 제3편향부(8) 각각에 의해 굴절되어 세 번의 유동방향 전환 후 상기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 전환 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이전의 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 전환 시 유동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로 내부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곡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 제1편향부
6 : 제2편향부
8 : 제3편향부
10 : 바닥면
12 : 전면
14 : 후면
16 : 덮개면
18 : 돌출면
20 : 지붕면
22 : 단차부
24 : 배출구
26 : 유입구의 직경
28 : 배출구의 직경
30 : 바닥면의 가로길이
32 : 제1편향부의 높이
34 : 제1편향부의 가로길이
36 : 제2편향부의 높이
38 : 제2편향부의 가로길이
40 : 제3편향부의 높이
42 : 제3편향부의 가로길이
44 : 돌출면과 후면 사이의 간격
46 : 바닥면과 지붕면 사이의 높이
48 : 전면과 단차부 사이의 길이
50 : 단차부 이전의 덮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52 : 단차부 이후의 덮개면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
54 : 단차부 이전의 배출유로 양측면 사이의 간격
56 : 단차부 이후의 배출유로 양측면 사이의 간격

Claims (31)

  1. 초음속 제트 엔진의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에 있어서,
    초음속 제트 엔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는 각각의 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세 번의 유동방향 전환 후 상기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편향부;
    상기 제1편향부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을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편향부;
    상기 제2편향부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3편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유로의 전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부, 상기 제2편향부 및 상기 제3편향부에 의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 전환 시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이전의 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후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지붕면과 돌출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3편향부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늘어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향부의 경사면은 상기 제2편향부의 경사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상기 제1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상기 제2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으로 유동하던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은 상기 제3편향부에 의해 굴절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향부에 의해 굴절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유입구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면에는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유입구의 후단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면의 후단에는 상기 덮개면과 수직하여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상기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기 지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 내부의 모서리 부분은 모두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부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3.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부가 형성된 상기 배출유로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2편향부가 형성된 상기 배출유로의 후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8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향부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1.8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향부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편향부의 가로길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과 상기 배출유로의 후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2.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지붕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6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직경인 상기 배출유로 후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붕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2.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단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이전의 상기 덮개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3.4배~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이후의 상기 덮개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이전의 상기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3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 이후의 상기 배출유로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유입구의 직경 대비 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KR1020180132065A 2018-10-31 2018-10-31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KR10196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65A KR101964098B1 (ko) 2018-10-31 2018-10-31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065A KR101964098B1 (ko) 2018-10-31 2018-10-31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098B1 true KR101964098B1 (ko) 2019-04-01

Family

ID=6610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065A KR101964098B1 (ko) 2018-10-31 2018-10-31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0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0449A (en) * 1955-04-12 1957-10-22 North American Aviation Inc Sound abatement device for jet engines
US2925013A (en) * 1956-05-01 1960-02-16 North American Aviation Inc Rocket engine assembly testing and launching apparatus
JPH09105597A (ja) 1995-10-09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飛翔体の発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0449A (en) * 1955-04-12 1957-10-22 North American Aviation Inc Sound abatement device for jet engines
US2925013A (en) * 1956-05-01 1960-02-16 North American Aviation Inc Rocket engine assembly testing and launching apparatus
JPH09105597A (ja) 1995-10-09 1997-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飛翔体の発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424B2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US20210223117A1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having a stepped portion to preven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measurement flow channel
US20200032946A1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US11047718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including a passage flow channel having an inner surface with a height narrowing surface
WO2018190068A1 (ja) 物理量計測装置
US9759591B2 (en) Undershot gate flow control system with flow diverter
JP4844981B2 (ja) 液滴分離器システム
RU2353550C1 (ru) Воздухозаборник с изменяемой геометрией для сверхзвуков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варианты)
KR101964098B1 (ko) 3방향 굴절 초음속 제트 배출유로
US10337183B2 (en) Flush toilet
US20210341584A1 (en) Lidar base, lidar device and autonomous vehicle
JP4566852B2 (ja) 横軸ポンプ、ポンプゲート設備、排水機場
KR20050043749A (ko) 공기흡기매니폴드 및 그 안에 삽입된 공기측정센서를 가진장치
CN112827991A (zh) 具有补风结构的通风柜
JP5169971B2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KR100559420B1 (ko) 에어 프리 클리너
US20060236662A1 (en) Deflection chamber for eliminating water in a fresh air supply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05180396A (zh) 导风罩及安装导风罩的出风装置和客车
RU2617592C1 (ru) Гаситель энергии водного потока
JP6859923B2 (ja) 通気ダクト
JPH0322481B2 (ko)
CN111002920B (zh) 基于气流防阻塞的汽车挡风玻璃排水槽
SE501869C2 (sv) Avskiljningsanordning
JP4594014B2 (ja) マンホール及びそのマンホールにて使用する遮水板
JPH1157357A (ja) 液滴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