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51B1 -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51B1
KR101963651B1 KR1020160141942A KR20160141942A KR101963651B1 KR 101963651 B1 KR101963651 B1 KR 101963651B1 KR 1020160141942 A KR1020160141942 A KR 1020160141942A KR 20160141942 A KR20160141942 A KR 20160141942A KR 101963651 B1 KR101963651 B1 KR 10196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fficient
image
reference region
correction
correc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597A (ko
Inventor
김태환
최유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8Specific post-processing afte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voxelisation, metal artifact cor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Abstract

본 발명은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은 CT 영상에서 추출된 기준 영역을 기초로 산출된 보정식을 적용하여 CT 계수를 보정함으로써, CT 계수의 오차를 줄이고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CT 영상을 통한 시술계획 수립이나 질병 진단의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METHOD FOR CALIBRATING CT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CT(Computed Tomography)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T 영상의 CT 계수(CT Number)를 조정하는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MDCT(Multi-detector CT)와 비교할 때, CBCT(Cone-beam CT)는 상대적으로 낮은 방사선량으로 진단 시 요구되는 수준의 정밀한 악안면 영역 골격 영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를 비롯하여 구강악안면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임플란트 시술 시에는 충분한 골밀도(Bone density)를 가지는 위치에 식립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CT 영상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결정한다. 골밀도는 CT 계수를 기초로 파악할 수 있는데, CT 계수란, CT 장치에서 각 화소(Pixel)의 방사선 감약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은 0 HU(Hounsfield Unit), 공기는 -1000 HU 값을 가지며, 뼈는 장비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밀도 골은 1000 HU 이상의 값을 갖는다.
일반 CT 장비는 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서 CT 성능 평가용 팬텀(Phantom)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영상 특성의 품질을 관리하기 때문에 장비별로 CT 계수의 일관성과 재현성을 유지한다. 이에 반하여, CBCT 장비에 대해서는 CT 계수가 미리 알려진 팬텀을 촬영하여 장비 자체를 보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일관적인 품질 관리 기준이 정립이 되어 있지 않고, 금속 등에 의한 아티팩트(Artifact)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CT 계수를 조정하는 것으로 인하여 동일 회사의 동일 모델 장비라 하더라도 설정값에 따라 CT 계수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골밀도 평가를 위한 분류의 예시로서, Misch는 골질이 가장 치밀한 D1은 1250 HU 이상, D2는 850~1250 HU, D3는 350~850HU, D4는 150~350 HU, D5는 150 HU 이하로 분류하고 있으며, 임플란트 식립은 D2나 D3의 골밀도를 가지는 부근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류는 일반 CT 장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CT 계수의 오차가 큰 CBCT 장비의 CT 계수를 그대로 이용하여 위 분류 기준을 적용하면 골밀도를 잘못 파악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 성공률이 현저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골밀도 평가뿐 아니라 구강암 진단 등 CBCT의 활용범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CBCT에서 나타나는 CT 계수의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CBCT 영상을 비롯한 CT 영상에서 나타나는 CT 계수의 오차로 인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는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각 단계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되는 CT 영상 보정 방법은,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CT 계수와 상기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상기 CT 계수를 상기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준 영역은 기도 및 치아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는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 영역 추출부;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와 상기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상기 CT 계수를 상기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하는 보정식 산출부; 및 상기 보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가 기설정된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리스케일하는 CT 계수 리스케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식 산출부는 상기 리스케일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기초로 상기 보정식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CT 영상을 CT 계수의 레벨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CT 장비별로 상기 보정식을 저장하는 보정식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T 영상에서 나타나는 CT 계수의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치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CT 영상을 통한 골밀도 평가나 각종 질병 진단의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팬텀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의 흐름도; 및
도 3은 CT 계수의 레벨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한 화면의 일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CT 영상은 CBCT 영상, 및 MDCT 영상을 포함하며, 나선형 CT(Spiral CT 또는 Helical CT) 등을 포함하여, 특정 스캔 방식이나 장비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CT 영상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CT 계수 리스케일부(20), 기준 영역 추출부(30), 보정식 산출부(40), 영상 보정부(50), 및 보정식 저장부(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으로, 마우스, 키보드, 버튼,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입력 메뉴와 처리 결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입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입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로딩(Loading)된 CT 영상에 나타난 복셀(Voxel)의 CT 계수에 대하여 리스케일을 수행한다.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CT 영상의 볼륨(Volume)을 탐색하여 볼륨을 구성하는 복셀의 CT 계수의 분포를 파악하고, 전체 복셀의 CT 계수가 기설정된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CT 계수를 리스케일한다. 여기서 리스케일은 CT 계수가 분포된 범위가 확장/축소되도록 CT 계수를 비례적으로 조정하는 것뿐 아니라 CT 계수의 범위가 단순히 시프트(Shift)되도록 CT 계수를 조정하는 처리도 포함한다.
예컨대, CT 영상의 CT 계수가 -2000 HU부터 2000 HU까지 분포되어 있을 때, 공기의 CT 계수가 대략 -1000 HU, 고밀도의 골은 +1000 HU 임을 고려하여 CT 계수가 -1000 HU부터 1000 HU 근방까지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CT 계수를 축소하여 전체적으로 리스케일할 수 있다. 한편, CT 계수가 -1500 HU부터 500 HU까지 분포되어 있을 때, -1000 HU부터 1000 HU에 포함되도록 CT 계수를 시프트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복셀의 CT 계수의 산포도(Dispersion)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연산하고, 위 지표를 기초로 복셀의 CT 계수를 전체적으로 리스케일할 수 있다. 예컨대,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CT 계수의 분포를 나타낸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하고, 히스토그램이 기설정된 범위 안에서 정의되도록 히스토그램을 확장, 축소 또는 이동함으로써 CT 계수를 리스케일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 외에도 표준편차 값을 이용하거나, CT 계수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 등 다양한 지표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T 계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하는 경우, CT 영상의 볼륨 탐색을 통해 최소값과 최대값을 검출하고, 최소값과 최대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 안에 들어가도록 CT 영상의 CT 계수를 리스케일한다.
기준 영역 산출부(30)는 CT 영상에 나타난 볼륨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추출한다. 기준 영역의 추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내장하여 해당 기준 영역을 자동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기준 영역은 공기, 물을 포함하는 영역과 같이 CT 계수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영역으로서, 피측자에 따라 통상적으로 거의 일정한 CT 계수를 가지는 영역이 설정된다. 기준 영역으로서, 예컨대, 공기가 존재하는 기도(Airway) 부위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 치아 영역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성별, 연령 등에 따른 통계정보를 활용하여 피측자에 따라 거의 일정한 CT 계수를 가지는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영역은 특정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혈액이나 지방이 존재하는 영역, 각종 조직 및 부위가 될 수 있다.
보정식 산출부(40)는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계수와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CT 계수를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보정식 산출부(40)는 각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때, 표준값은 피측자와 무관하게 해당 영역이 거의 일정하게 가지는 CT 계수로서, 공기를 포함하는 기도는 대략적으로 -1000 HU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통계적으로 해당 기준 영역이 가지는 CT 계수값이 표준값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정식 산출부(40)는 추출된 기준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하나 이상의 CT 계수와 해당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CT 계수를 표준값으로 변환 또는 맵핑(Mapping)하여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기 위한 함수식을 산출한다. 보정식의 차수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획득된 CT 계수와 표준값의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때, CT 계수 리스케일부(20)를 통해 1차적으로 CT 영상의 CT 계수가 리스케일이 완료된 경우에는 보정식 산출부(40)는 리스케일된 CT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식을 산출하게 될 것이다.
영상 보정부(50)는 보정식 산출부(40)를 통해 산출된 보정식을 적용하여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한다. CT 계수의 보정은 CT 영상 볼륨의 각 복셀의 CT 계수를 보정식에 의하여 도출되는 CT 계수 값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리스케일 계수 등과 같이 CT 계수 리스케일부(20)를 통해 리스케일된 정보와 보정식 등의 보정정보는 다이콤 태그(DICOM Tag) 등에 저장하고 활용함으로써 필요 시마다 보정된 CT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원본 영상과 별도로 보정된 영상 자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영상 보정부(50)를 통해 CT 계수가 보정된 CT 영상을 CT 계수의 크기 레벨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를 통해, 치과에서는 사용자가 골밀도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임플란트 시술위치를 결정하는 등 이를 기초로 임플란트 시술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의료분야에서도 각종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방향을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가 보정된 결과를 확인하고, 보정결과의 채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CT 계수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특정 영역의 CT 계수를 조절하면, 영상 보정부(50)는 각 복셀의 CT 계수 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체 볼륨의 CT 계수를 보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100)는 보정식 저장부(60)를 더 포함하여 장비 제조사, 장비 종류 등에 따른 CT 촬영 장비별로 보정식 산출부(50)를 통해 산출된 보정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장비가 동일하면 CT 계수의 양상이 유사하게 나타나 보정식이 거의 유사하게 산출되는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CT 영상 보정 장치(100)의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CT 영상이 로딩되면,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CT 영상의 복셀별 CT 계수를 탐색하여 CT 계수가 기설정된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CT 계수를 리스케일한다(S10). CT 계수의 리스케일은 CT 계수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하거나 시프트하여 이루어진다.
기준 영역 추출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나,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CT 영상에서 기준 영역을 추출한다(S20). 기준 영역은 피측자에 따라 통상적으로 거의 일정한 CT 계수를 가지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도부위는 피측자마다 공통적으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인 공기를 포함하므로 동일 장비로 촬영했을 때 거의 일정한 HU 값을 가지게 되므로 기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치아는 경조직으로서, 금속과 같은 물질이 없는 한 치아의 CT 계수는 다른 조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을 갖기 때문에 치아를 기준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성별, 연령 등에 따른 통계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영역은 1 영역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영역이 추출되면, 보정식 산출부(40)는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를 획득한다(S30).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획득은, 기준 영역이 단일 복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복셀의 CT 계수를 적용하면 되고, 기준 영역이 복수의 복셀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복수의 복셀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등 복수의 복셀의 CT 계수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CT 계수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은 기준 영역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영역이 기도인 경우에는 복수의 복셀의 CT 계수 중 최소값을 적용할 수 있으며, 기준 영역이 치아인 경우에는 최대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획득된 CT 계수와 해당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CT 계수를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한다(S40). 표준값은 X선 흡수율이 가장 낮은 공기를 -1000 HU, 물 0 HU을 기준으로 골밀도 평가 등을 위하여 적용하는 분류 기준, 조직 간 상대적 관계, 통계 정보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표준값에 정확히 일치시키도록 보정식이 산출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오차 범위 안에서 획득된 CT 계수가 표준값에 근사하게 변환되도록 보정식이 산출될 수도 있다.
영상 보정부(50)는 산출된 보정식을 CT 영상에 적용하여 각 복셀의 CT 계수를 보정한다(S50). 보정된 결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CT 계수 레벨에 따라 색상이나 기호 등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은 CT 계수의 레벨에 따라 시각적으로 표시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3에서는 Misch 분류(301)에 의한 D1부터 D5까지 5개 레벨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골밀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임플란트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단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정하거나 추가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처음에 특정 장비에 대하여 보정식이 한번 산출되면, 보정식 저장부(60)에 장비별로 보정식을 저장함으로써, 다이콤 헤더(Header)의 태그 값에서 촬영 장비를 파악하고, 저장된 보정식 중 해당 장비에 대응하는 보정식이 존재하면 보정식 산출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저장된 보정식을 이용하여 CT 영상을 보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CT 계수를 리스케일하는 CT 계수 리스케일부(20)는 사용자 입력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구현함으로써 CT 계수를 리스케일하는 과정 S10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기준 영역을 추출하는 S20 단계가 바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의 순서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Optical reader),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T 영상 보정 장치(100) 및 방법에 따르면, 촬영 장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CT 계수를 보정함으로써, 치과를 비롯한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CT 영상을 통한 골밀도 평가나 각종 질병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팬텀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CT 계수 리스케일부
30: 기준 영역 추출부 40: 보정식 산출부
50: 영상 보정부 60: 보정식 저장부

Claims (7)

  1. 각 단계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되는 CT 영상 보정 방법에 있어서,
    CT 영상의 CT 계수가 분포된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하거나 상기 범위를 이동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가 기설정된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리스케일하는 단계;
    상기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기준 영역이 단일 복셀로 구성된 때에는 상기 단일 복셀의 CT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 영역이 복수의 복셀을 포함하는 때에는 상기 복수의 복셀의 CT 계수들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와 상기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상기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식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케일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기초로 상기 보정식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영상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준 영역은 기도 및 치아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영상 보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CT 영상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 CT 영상의 CT 계수가 분포된 범위를 확장 또는 축소하거나 상기 범위를 이동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가 기설정된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리스케일하는 CT 계수 리스케일부;
    상기 CT 영상에서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기준 영역을 추출하는 기준 영역 추출부;
    추출된 상기 기준 영역이 단일 복셀로 구성된 때에는 상기 단일 복셀의 CT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 영역이 복수의 복셀을 포함하는 때에는 상기 복수의 복셀의 CT 계수들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와 상기 기준 영역에 대한 CT 계수의 표준값을 기초로 획득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상기 표준값에 대응시키기 위한 보정식을 산출하는 보정식 산출부; 및
    상기 보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CT 영상의 CT 계수를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식 산출부는 상기 리스케일된 상기 기준 영역의 CT 계수를 기초로 상기 보정식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영상 보정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CT 영상을 CT 계수의 레벨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영상 보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CT 장비별로 상기 보정식을 저장하는 보정식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영상 보정 장치.
KR1020160141942A 2016-10-28 2016-10-28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96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42A KR101963651B1 (ko) 2016-10-28 2016-10-28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42A KR101963651B1 (ko) 2016-10-28 2016-10-28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97A KR20180046597A (ko) 2018-05-09
KR101963651B1 true KR101963651B1 (ko) 2019-04-01

Family

ID=6220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42A KR101963651B1 (ko) 2016-10-28 2016-10-28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17B1 (ko) 2021-09-27 2023-09-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드릴의 사양 결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108A (ja) * 2007-08-31 2009-03-19 Toshiba Corp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82247B1 (ko) * 2013-08-01 2015-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717B2 (ja) * 1992-06-22 1996-09-11 アロカ株式会社 骨塩量測定装置
JP4142482B2 (ja) * 2003-04-04 2008-09-03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X線ct装置
JP4214480B2 (ja) * 2004-04-21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654824B1 (ko) * 2014-07-25 2016-09-06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 영상의 위치 매칭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6108A (ja) * 2007-08-31 2009-03-19 Toshiba Corp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482247B1 (ko) * 2013-08-01 2015-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도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97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4143B2 (ja) 肝臓腫瘍例のレビューを容易に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Loubele et al. Radiation dose vs. image quality for low-dose CT protocols of the head for maxillofacial surgery and oral implant planning
US8150110B2 (en) ROI-based rendering for diagnostic image consistency
US9332907B2 (en) Extracting application dependent extra modal information from an anatomical imaging modality for use in reconstruction of functional imaging data
US8588485B2 (en) Rendering for improved diagnostic image consistency
JP6835813B2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視覚化調整
US20050244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mproving the usability of a medical picture
KR101510726B1 (ko) 화상처리장치, 방사선 촬영 시스템, 화상처리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EP348581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x-ray imaging device, x-ray imag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electronically readable storage medium
JP4938427B2 (ja) 脳出血部位体積計算装置
CN111757701B (zh) 用于检测解剖区域的系统和方法
US644939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17410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mproving the usability of a medical picture
WO2011050454A1 (en) Bone imagery seg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63651B1 (ko) Ct 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40134903A (ko) 의료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US10089728B2 (en) Radiation-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rica et al. A plain segmentation algorithm utilizing region growing technique for automatic partitioning of computed tomography liver images
JP2006263055A (ja) X線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x線画像処理方法
US8116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s of bone density
US9014440B2 (en) Dental cysts detector
JP2018102358A (ja) 医用画像生成方法、医用画像生成装置、及び医用画像生成プログラム
EP3893206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ugmented image of an object
CN113869443A (zh) 基于深度学习的颌骨密度分类方法、系统及介质
CN116262041A (zh) 被辐射剂量管理装置、被辐射剂量管理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