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15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157B1
KR101963157B1 KR1020170025682A KR20170025682A KR101963157B1 KR 101963157 B1 KR101963157 B1 KR 101963157B1 KR 1020170025682 A KR1020170025682 A KR 1020170025682A KR 20170025682 A KR20170025682 A KR 20170025682A KR 101963157 B1 KR101963157 B1 KR 10196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sensor
grill
snowfal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427A (ko
Inventor
정종환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적설 감지장치가 그릴과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릴에 쌓인 눈의 양을 비 접촉 방식으로 감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적설의 감지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지며, 일체형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스에 구성되고,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로는 실내기가 직립으로 설치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에 걸어서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근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2)와 복수의 실내기(3)가 시리즈로 연결된 멀티형 공기조화기(1)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의 내부에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기팬(6), 압축기 등이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상면은 개구되어 실외기팬(6)의 구동시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며, 그릴(5)이 구비되어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2)는 실외의 노출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날씨와 실외 온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실외기(2)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눈이 내리게 되면, 상기 실외기(2) 위에 눈이 쌓이게 되고 결빙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를 막거나 공기 토출 효율을 나쁘게하며, 이는 공기조화기(1)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외기에 적설을 감지할 수 있는 적설감지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90515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적설 감지부는 직접적인 눈의 접촉에 의한 감지로 해당 위치에 눈이 쌓이지 않는 경우 적절한 운전을 실시할 수 없게 되며, 또한 적설 감지부의 노출로 인하여 상기 적설 감지부가 손상될 수 있거나 안정적인 설치 및 고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설 감지장치가 그릴과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릴에 쌓인 눈의 양을 비 접촉 방식으로 감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적설의 감지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설 감지장치가 그릴과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설 감지장치의 이상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대응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기와 실외기팬 및 실외기팬의 구동을 위한 팬모터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의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 구조로 형성되는 그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며, 그릴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릴에 쌓이는 적설량을 감지하는 적설센서가 포함되는 적설감지장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적설센서 및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팬 모터를 구동시키되, 상기 적설센서의 출력 전압 비교를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적설센서의 정상 동작시 상기 온도 센서 및 적설 센서의 적설 감지에 따라 운전되고, 상기 적설센서의 이상 동작시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설정 주기로 팬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의 전선홀과 연통되며, 상기 그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감지장치 본체; 상기 감지장치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에 고정되는 본체 체결부; 상기 적설센서가 장착되는 피시비; 상기 본체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내측 상면에 상기 적설 센서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가 상기 수용부의 하면과 이격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는 감지장치 커버; 상기 적설 센서와 대응하는 수용부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적설 센서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 상기 전선홀에서 상기 수용부 바닥면의 전선 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선홀을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하도록 함몰되는 전선 안내부; 상기 본체 체결부 상방의 상기 전선 안내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그릴에 압입되어 상기 적설 감지장치를 더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본체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통해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그릴에 쌓인 눈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적설량을 감지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설 센서는, 상기 그릴과의 사이로 내리는 눈의 이동을 감지하여 적설 및 적설량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그릴 표면의 온도 변화를 비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여 적설 및 적설량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장치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시비가 고정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시비는 상기 감지장치 커버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그릴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 안내부는 상기 그릴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투과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설 운전의 온/오프가 설정을 조작하는 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적설 센서의 상태 또는 운전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설 센서의 고장시 상기 팬 모터의 동작 주기를 상기 적설 센서의 정상 동작시 보다 더 길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설 센서의 이상시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가 적설 가능한 설정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가 될때까지 상기 팬모터를 주기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그릴의 상방에서 상기 그릴에 쌓이는 눈의 양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접적인 접촉 방식에 비해 적설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접촉없이 효과적인 적설의 감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뢰성 있는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내장 센서는 외형을 형성하는 감지장치 본체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감지장치 본체는 실외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감지장치 또는 센서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설의 감지가 용이한 위치에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이상 상태를 파악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적설 감지장치에 의한 적설 방지를 위한 운전을 실시하며, 이상 상태에서는 주기적인 실외기팬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적설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 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상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적설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외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7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상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적설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실내기와 실외기(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는 케이스(11)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그리고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팬의 회전을 위한 팬모터(12)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는 공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기팬은 상기 토출구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12)의 구동시 상기 실외기팬이 회전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구에는 그릴(1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100)은 상기 토출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다수의 와이어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그릴(100)은 상기 토출구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릴(100)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수평부(110)와 상기 다수의 수평부(110)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부(110)와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수직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110)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최상방의 수평부(110)에서는 동일 높이에서 복수개가 점차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120)는 하단이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수평부(1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수평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20)는 상기 수평부(110)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그릴(100)의 일측에는 상기 그릴(100)에 쌓이게 되는 눈의 양을 감지하게 되는 적설 감지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적설 감지장치(200)는 상기 그릴의 외측에 장착되며, 하단은 상기 케이스(11)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그릴(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설 감지장치(200)는 상기 그릴(100)의 상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그릴(100)의 상방에서 상기 그릴(100)에 쌓인 눈의 양을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적설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실외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적설 감지장치(200)는 상기 그릴(100)에 고정되며 적설 센서(232)가 상기 그릴(1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장치 본체(210)와, 상기 적설 센서(232)가 장착된 피시비(230)를 수용하도록 상기 감지장치 본체(210)와 결합되는 감지장치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감지장치 본체(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1)와 상기 연장부(2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시비(2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11)는 상기 그릴(10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그릴(100)에 쌓이는 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11)에는 상기 피시비(230)와 제어부(300)를 연결하는 전선(231)이 통과되는 전선 안내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안내부(212)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전선(231)이 수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 안내부(212)는 상기 그릴(100) 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안내부(212)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11) 상면에 형성되는 전선 홀(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전선 안내부(212)를 통과한 전선(231)은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23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선 안내부(212)에는 상기 전선 안내부(212)를 차폐하는 별도의 커버 또는 상기 전선(231)을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수용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11)의 하단에는 본체 체결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체결부(213)는 상기 연장부(211)를 상기 케이스(11) 상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S)가 관통될 수 있는 스크류 홀(214)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S)를 상기 본체 체결부(213) 상방에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S)는 상기 본체 체결부(213)와 상기 케이스(11)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211)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11)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장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그릴(100)의 일측과 결합되는 고정부(2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15)는 상기 그릴(100)의 일부가 압입되어 상기 연장부(211)가 상기 그릴(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그릴(100)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홈(216)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15)는 복수개가 상하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100)의 수평부(110)가 상기 고정부(215)의 홈에 압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11)는 상기 그릴(100)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부(215)에 의해 상기 그릴(10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설 감지장치(200)는 상기 본체 체결부(213)에 의해 상기 케이스(11)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부(215)에 의해 그릴(100)에 고정되는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217)는 상기 연장부(211)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211)와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됨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7)는 바닥면을 따라 테두리가 형성되어 내측에 소정을 공간을 가지게 되며, 상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7)의 바닥면에는 전선 통과 홀(218)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 통과 홀(218)은 상기 연장부(211)에 형성되는 전선 안내부(212)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230)의 전선(231)은 상기 전선 통과 홀(218)을 지나서 상기 전선 안내부(212)를 따라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217)에는 개구부(219)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9)는 상기 수용부(217)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적설 센서(232)의 센싱을 위한 것으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과 같은 광선이나 초음파 등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217)에는 별도의 투과창(24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투과창(240)은 상기 수용부(217)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투과성 소재 또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부(217)의 상방에는 감지장치 커버(2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는 상기 수용부(217)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7)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7)와의 결합시 내부에 상기 피시비(2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는 하면이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피시비(23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시비(230)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23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230)는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와 상기 수용부(217)의 결합시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결로 등에 의해 고인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230)는 적설량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적설 센서(232)가 실장되며, 전선(231)과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10)에 장착되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적설 센서(232)는 상기 개구부(219)를 통해 상기 그릴(100)을 향하여 적외선 또는 초음파의 조사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에는 상기 수용부(217)의 전단과 걸림 구속될 수 있는 걸림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22)와 대향되는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의 일측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223)가 체결되어 상기 감지장치 커버(220)는 상기 수용부(217)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10)의 일측에는 외기온도의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2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온도 센서(250)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실외기(1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적설 감지장치(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 센서(250)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외기의 온도가 적설 가능한 온도인지 판단하게 되며, 상기 온도 센서(250)에 의한 외기 온도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적설 센서(232)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적설 센서(232)의 감지 값에 의한 운전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는 습도 센서 또는 기압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조 감지장치에 의해 적설이 가능한 환경을 먼저 확인한 후에 상기 적설 센서(232)에 의해 적설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릴(100)에 쌓인 눈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적설 센서(232)로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을 측정하여 쌓인 눈의 표면과 상기 적설 센서(232)의 거리를 계산하여 적설을 판단하는 거리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설 센서(232)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피알아이(PRI) 센서와 같은 동작 센서가 사용되어, 그릴과 적설 센서(232)의 사이에서 일정 량 이상의 눈이 쌓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적설을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적설 센서(232)는 상기 그릴(100)에 눈이 쌓인 경우 눈이 쌓인 그릴(100)의 표면의 온도 변화를 열화상 또는 적외선으로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적설된 것으로 판단하는 비접촉식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어 실내 공간을 냉,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실내 공간의 냉,난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고 오프 또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실내의 냉, 난방이 필요하게 되면 다시 구동된다.
한편, 겨울에는 상기 실외기(10)에 눈이 쌓일 수 있으며, 설정량 이상의 눈이 상기 그릴(100)에 쌓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팬모터(12)를 구동시켜 그릴에 쌓인 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설 운전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설 운전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제설 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설 운전을 위한 스위치(310)를 조작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때, 제설 운전이 전혀 불필요한 겨울을 제외한 다른 계절에는 상기 스위치(310)를 오프 상태로 두어 제설 운전 모드로의 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S100]
상기 스위치(310)가 제설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우선 상기 적설 센서(232)가 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적설 센서(232)는 센서의 출력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적설 센서(232)가 탈락된 상태에서는 0V가 되며, 쇼트가 된 경우에는 5V이상의 값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상기 적설 센서(232)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기준으로 설정값(0V ~ 5V) 이내인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설정값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적설 센서(232)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S200]
상기 적설 센서(232)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설 센서(232)를 이용한 적설 센서 모드 로직[S300]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디스플레이(320)로 적설 센서 모드로 운전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310]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250)에서는 실외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3℃)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의 설정온도는 강설가능 온도로서,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눈이 내릴 수 없는 조건이므로 제설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S320]
그리고,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눈이 내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적설 센서(232)의 감지값을 확인하게 된다. 물론, 보다 정확한 강설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온도 센서(250)를 비롯하여 기압, 습도를 감지하는 추가의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조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강설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강설 가능 조건에서 상기 적설 센서(232)는 상기 그릴(100)에 눈이 쌓였는지 또는 상기 그릴(100)에 설정량 이상의 눈이 쌓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설 센서(232)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상기 그릴의 상방에서 상기 그릴(100)을 향하여 감지를 위한 빛 또는 음파 등을 송수신하여 적설의 여부 또는 적설량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적설 센서(232)에 의해 상기 그릴(100)에 눈이 쌓이지 않거나 설정량 이상으로 쌓이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영향이 없을 것이므로 제설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S330]
그리고, 적설 센서(232)에 의해 상기 그릴(100)에 눈이 쌓이거나 설정량 이상으로 쌓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팬이 설정시간 동안 회전하여 상기 그릴(100)에 쌓인 눈을 날려서 상기 그릴(100)의 눈을 제거하게 된다.[S340]
그리고, 상기 실외기팬이 설정시간 동안 회전된 다음 타이머(330)에 의한 설정시간(예를 들어 15분)이 경과된 후에는 다시 적설 센서에 의한 적설을 감지하게 되고, 이때, 적설이 감지되면 재차 상기 팬모터(12)를 구동시켜 상기 실외기팬을 회전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적설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S350]
한편, 상기 적설 센서(232)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설 센서 모드로직에 의한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보조 제설 모드[S400] 로직에 따라 운전하게 된다.
보조 제설 모드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보조 제설 모드로 운전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상기 적설 센서(232)가 정상 작동되고 있지 않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410]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250)에서는 실외온도가 설정온도(예를 들어 3℃)보다 낮은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의 설정온도는 강설가능 온도로서,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눈이 내릴 수 없는 조건이므로 제설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S420]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적설량의 확인과 관계없이 타이머(330)에 의한 설정시간(예를 들어 30분) 경과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릴(100)에 쌓인 눈을 날려서 상기 그릴의 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보조 제설 모드에서의 설정시간은 상기 적설 센서 모드의 설정 시간 보다 더 길게 하여 더 긴 주기로 눈을 제거하도록 한다.[S430]
이와 같은 실외기팬의 회전은 설정시간마다 반복되며, 실외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의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강설의 가능성이 없으므로 적설 운전을 종료하게 된다.[S440]

Claims (14)

  1. 실외열교환기와 실외기팬 및 실외기팬의 구동을 위한 팬모터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개구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의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 구조로 형성되는 그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며, 그릴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릴에 쌓이는 적설량을 감지하는 적설센서가 포함되는 적설감지장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적설센서 및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팬 모터를 구동시키되, 상기 적설센서의 출력 전압 비교를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적설센서의 정상 동작시 상기 온도 센서 및 적설 센서의 적설 감지에 따라 운전되고, 상기 적설센서의 이상 동작시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설정 주기로 팬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의 전선홀과 연통되며, 상기 그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감지장치 본체;
    상기 감지장치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케이스 상면에 고정되는 본체 체결부;
    상기 적설센서가 장착되는 피시비;
    상기 본체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내측 상면에 상기 적설 센서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가 상기 수용부의 하면과 이격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는 감지장치 커버;
    상기 적설 센서와 대응하는 수용부의 일측에 개구되며, 상기 적설 센서의 송수신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
    상기 전선홀에서 상기 수용부 바닥면의 전선 통과홀과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선홀을 통과하여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하도록 함몰되는 전선 안내부;
    상기 본체 체결부 상방의 상기 전선 안내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그릴에 압입되어 상기 적설 감지장치를 더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본체 체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통해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그릴에 쌓인 눈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적설량을 감지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센서는,
    상기 그릴과의 사이로 내리는 눈의 이동을 감지하여 적설 및 적설량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감지장치는,
    상기 그릴 표면의 온도 변화를 비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여 적설 및 적설량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시비가 고정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는 상기 감지장치 커버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릴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안내부는 상기 그릴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투과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설 운전의 온/오프가 설정을 조작하는 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적설 센서의 상태 또는 운전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설 센서의 고장시 상기 팬 모터의 동작 주기를 상기 적설 센서의 정상 동작시 보다 더 길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설 센서의 이상시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가 적설 가능한 설정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가 될때까지 상기 팬모터를 주기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025682A 2017-02-27 2017-02-27 공기조화기 KR10196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682A KR101963157B1 (ko) 2017-02-27 2017-02-2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682A KR101963157B1 (ko) 2017-02-27 2017-02-27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67A Division KR20150131591A (ko) 2014-05-15 2014-05-15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427A KR20170026427A (ko) 2017-03-08
KR101963157B1 true KR101963157B1 (ko) 2019-03-28

Family

ID=5840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682A KR101963157B1 (ko) 2017-02-27 2017-02-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529A (ja) 2010-10-26 2012-05-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Science & Disaster Provention 融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014B2 (ja) * 1995-06-12 2004-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空調機の制御装置
KR101735611B1 (ko) * 2012-03-05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2529A (ja) 2010-10-26 2012-05-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Science & Disaster Provention 融雪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427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159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978449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937032B2 (ja) 冷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US20110262285A1 (en) Condensate Pump
KR10172791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36284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기 제상작업용 적상감지센서
US9574999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6036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20110107781A1 (en) Startup control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US200801101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ce Storage Bin Control Sensor and Housing
JP2008101877A (ja) 空気調和機
JP2015064119A (ja) 空調システム
KR1017356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63157B1 (ko) 공기조화기
US20240142126A1 (en) Overflow Sensor Assembly In Temperature Control Systems
KR20040068871A (ko) 공조(空調) 기기
JP2008101893A (ja) 人の位置推定方法及び該方法を採用した空気調和機
CN110567049A (zh) 一种空调内机的排水装置、空调内机及排水方法
KR20080060857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1085691B1 (ko) 서리 착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4715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6300447A (ja) 空気調和機
KR102005043B1 (ko) 절전 모드를 구비하는 팬 코일 유닛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276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53042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