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040B1 -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40B1
KR101963040B1 KR1020170127883A KR20170127883A KR101963040B1 KR 101963040 B1 KR101963040 B1 KR 101963040B1 KR 1020170127883 A KR1020170127883 A KR 1020170127883A KR 20170127883 A KR20170127883 A KR 20170127883A KR 101963040 B1 KR101963040 B1 KR 10196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il gap
pair
roundness
hol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호
김태민
권인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29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liquid cushion, e.g. oil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오일갭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오일갭 조정 장치는,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더부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더미 축 부와; 상기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 및, 상기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부; 및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APPARATUS FOR ADJUSTING BEARING OIL GAP AND METHOD FOR ADJUSTING BEARING OIL G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의 진원도, 동심도 및 비틀림 등의 손상을 원상으로 복구시켜 베어링 내 오일이 원활하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왕복동형식 Air Comp.의 미끄럼 베어링 중 메탈 두께가 얇은 (10mm 이하) 미끄럼베어링의 경우 제작과정중이나 제작 후 보관중에 형상 변형등으로 (ex:Egg Shape)내경 변형이나 비틀림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용 전에 변형량 점검 및 교정을 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시운전중 고장이 발생하거나 정비 후 1~2개월 내 베어링이 손상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동일한 제작사 압축기 임에도 20년 이상 운전, 정비를 반복함에 따라 이과정에서 각 유니트 마다 Shaft Journal O.D가 달라져서 규격화된 베어링으로는 허용 공차를 만족 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제작사 공급 베어링을 각각의 기기에 맞도록 현장에서 가공 절차를 거쳐 조립한다.
따라서, 제작사에서 제작, 공급한 베어링으로는 변경된 Shaft O.D에 알맞는 Oil Gap으로 설치할 수 없고, 각 유니트 Shaft O.D 에 맞게 베어링 접촉면 Oil Gap을 현장에서 수가공 한 후 조립하였으나 정확할 수 없는 수가공의 한계로 인하여 운전 중 국부적 접촉, Oil Gap 불균형 등의 문제로 베어링 손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탈 두께가 얇은 베어링의 특성상 변형으로 인해 동심도가 틀어지거나 비틀림 등의 영향으로 베어링유막 파괴, 윤활유 유입, 배출 불량 등 문제를 야기시켜 시운전 중에도 베어링의 손상이 계속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베어링의 손상으로 인해 주요 부품까지도 파손되는 중대설비 사고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292758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의 진원도, 동심도 및 비틀림 등의 손상을 원상으로 복구시켜 베어링 내 오일이 원활하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어링 오일갭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오일갭 조정 장치는,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더부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더미 축 부와; 상기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 및, 상기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부; 및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홀더부는, 서로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장착 영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을 갖고, 상기 결합면에는 설정된 수준의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결합 볼트들에 의해 조여져 결합력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력은 상기 결합 볼트들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주를 그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양단은, 테이퍼 핀이 삽입됨에 따라 설정된 기준 결합 위치도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영역에는, 기설정된 표면 거칠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탈거홀들이 더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결합력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털거홀들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 탈거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축 부는,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축을 구비하되,
상기 중앙축의 외경은,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은, 상기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은, 설정된 갭을 이루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주에는, 탄성 재질의 심 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축 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와의 오차값을 측정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오차값을 통해,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에 이르도록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갭 가공부는, 교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갭 영역을 선삭 가공하여, 상기 오일 갭을 설정된 상기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어링 홀더부의 내부에 베어링을 장착하여, 상기 베어링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딩 단계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더미 축 부를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하는 더미 축 부 장착 단계와; 교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 및, 상기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 단계; 및 오일 갭 가공부를 사용하여,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베어링 홀더부는, 서로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장착 영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을 갖고, 상기 결합면에 설정된 수준의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볼트들을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를 조여 결합력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 볼트들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력을 가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의 외주를 그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양단에, 테이퍼 핀이 삽입하여 설정된 기준 결합 위치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 영역에, 기설정된 표면 거칠기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둘레 다수 위치에, 탈거홀들이 더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결합력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털거홀들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 탈거 부재를 통해 상기 베어링을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로부터 탈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축 부는,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축을 구비하되,
상기 중앙축의 외경은,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은, 상기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은, 설정된 갭을 이루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주에, 탄성 재질의 심 플레이트를 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 축 부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와의 오차값을 측정하고,
상기 교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오차값을 통해,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에 이르도록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갭 가공 단계에서, 교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갭 영역을 선삭 가공하여, 상기 오일 갭을 설정된 상기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변형된 베어링의 진원도, 동심도 및 비틀림 등을 원상복구 시켜 운전 중 베어링 내 윤활유 유입,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베어링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각 Unit 별 Crank Shaft O.D.에 맞도록 Oil Gap을 조정, 가공하여 품질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가공시 발생되는 부분적 접촉 불균형 및 진원도 불량등에 의한 베어링 손상 원인을 완전히 배제시켜 베어링 피로파괴 문제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베어링 홀더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베어링 홀더를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a은 도 2의 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에 홀딩되는 베어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더미 축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준비되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 및 더미 축 부가 준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측정부에 의해 진원도 측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홀더부에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홀더부에 더미 축 부가 장착되어 교정부에 의해 진원도 교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베어링 홀더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베어링 홀더를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선 B-B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에 홀딩되는 베어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더미 축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 장치는 내부에 베어링(10)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10)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더부(100)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200)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10)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더미 축 부(300)와, 상기 더미 축 부(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 및, 상기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부(400)와, 상기 베어링(10)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100)는 서로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베어링(10)이 장착되는 장착 영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 홀더(110, 120)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111, 121)을 갖고, 상기 결합면(111, 121)에는 설정된 수준의 표면 거칠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는, 결합 볼트들(B)에 의해 조여져 결합력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력은 상기 결합 볼트들(B)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10)의 외주를 그립할 수 있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양단은, 테이퍼 핀(130)이 삽입됨에 따라 설정된 기준 결합 위치도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영역에는, 기설정된 표면 거칠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탈거홀들(140)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10)은,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결합력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털거홀들(140)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 탈거 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더미 축 부(300)는, 중앙축(310)과, 상기 중앙축(310)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축(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축(310)의 외경은,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축(310)은, 상기 베어링(10)의 내주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경은, 설정된 갭을 이루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주에는, 탄성 재질의 심 플레이트(3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축 부(3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200)는, 측정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와의 오차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교정부(400)는, 상기 오차값을 통해, 측정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에 이르도록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110, 120)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결합 볼트들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그립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오일 갭 가공부는, 교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부(10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어링(10)에 형성되는 오일갭 영역을 선삭 가공하여, 상기 오일 갭을 설정된 상기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선반 장치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인,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준비되는 베어링 홀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홀더부 및 더미 축 부가 준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는 측정부에 의해 진원도 측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홀더부에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에서 베어링 홀더부에 더미 축 부가 장착되어 교정부에 의해 진원도 교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 방법은, 베어링 홀더부(100)의 내부에 베어링(10)을 장착하여, 상기 베어링(10)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딩 단계와,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측정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더미 축 부(300)를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10)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하는 더미 축 부 장착 단계와, 교정부(400)를 사용하여 상기 더미 축 부(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 및, 상기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 단계와, 오일 갭 가공부를 사용하여, 상기 베어링(10)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베어링(10)이 장착되는 장착 영역이 형성되는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111, 121)을 갖고, 상기 결합면(111, 121)에 설정된 수준의 표면 거칠기를 형성한다.
여기서, 결합 볼트들(B)을 사용하여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를 조여 결합력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 볼트들(B)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결합력을 가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10)의 외주를 그립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양단에, 테이퍼 핀(130)이 삽입하여 설정된 기준 결합 위치로 안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장착 영역에, 기설정된 표면 거칠기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둘레 다수 위치에, 탈거홀들(140)이 더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2베어링 홀더(110, 120)의 결합력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털거홀들(140)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 탈거 부재를 통해 상기 베어링(B)을 가압하여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어링 홀더부(100)를 준비한다.
상기 베어링 홀더부(100)에 베어링(10)을 장착한다.
그리고, 더미 축 부(300)를 준비한다.
상기 더미 축 부(300)을 중앙축(310)과, 상기 중앙축(310)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축(320)으로 구성한다.
상기 중앙축(310)의 외경은,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310)은, 상기 베어링(10)의 내주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경은, 설정된 갭을 이루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축(320)의 외주에, 탄성 재질의 심 플레이트(330)를 탈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축 부(300)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측정부(200)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와의 오차값을 측정한다.
즉, 베어링 홀더부(100)에 베어링(10) 장착 후 교정 전 / 후 진원도 측정, 점검한다.
그리고, 베어링 홀더와 더미 축 부(Dummy Shaft)를 조합하여 베어링의 진원도 및 뒤틀림을 교정부를 사용하 교정한다.
즉, 상기 교정부(400)를 사용하여, 상기 오차값을 통해, 측정된 상기 베어링(10)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에 이르도록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110, 120)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는, 손상된 베어링의 교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측정 및 교정 과정을 반복한다.
이어, 오일 갭 가공 단계에서, 교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갭 영역을 선삭 가공하여, 상기 오일 갭을 설정된 상기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베어링 Oil Gap 맞춤 가공 함에 있어서, 교정이 완성된 베어링을 베어링 홀더에 조립된 상태로 선반 장치인, 공작기계에 설치하여 베어링 Oil Gap을 맞추기 위한 가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변형된 베어링의 진원도, 동심도 및 비틀림 등을 원상복구 시켜 운전 중 베어링 내 윤활유 유입,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베어링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 Unit 별 Crank Shaft O.D.에 맞도록 Oil Gap을 조정, 가공하여 품질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가공시 발생되는 부분적 접촉 불균형 및 진원도 불량등에 의한 베어링 손상 원인을 완전히 배제시켜 베어링 피로파괴 문제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 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어링
100 : 베어링 홀더부
110 : 제 1베어링 홀더
120 : 제 2베어링 홀더
200 : 측정부
300 : 더미 축 부
310 : 중심축
320 : 연장축
400 : 교정부

Claims (22)

  1.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베어링의 둘레를 그립하는 베어링 홀더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장착된 상기 베어링의 회전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더미 축 부;
    상기 더미 축 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홀더부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 및, 뒤틀림을 교정하는 교정부; 및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 갭을 설정된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가변적으로 가공하는 오일 갭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홀더부는,
    서로 결합되며, 내주에 상기 베어링이 장착되는 장착 영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양단은,
    테이퍼 핀이 삽입됨에 따라 설정된 기준 결합 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둘레 다수 위치에는,
    탈거홀들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결합력이 해제되는 상태에서, 상기 탈거홀들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 탈거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베어링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더미 축 부는,
    중앙축과, 상기 중앙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축을 구비하되,
    상기 중앙축의 외경은,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축은, 상기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경은, 설정된 갭을 이루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결합면을 갖고,
    상기 결합면에는 설정된 수준의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는,
    결합 볼트들에 의해 조여져 결합력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력은 상기 결합 볼트들의 조임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주를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영역에는,
    기설정된 표면 거칠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축의 외주에는,
    탄성 재질의 심 플레이트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축 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와의 오차값을 측정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오차값을 통해, 측정된 상기 베어링의 진원도가 기설정된 기준 진원도에 이르도록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의 그립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갭 가공부는,
    교정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한 쌍의 베어링 홀더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어링에 형성되는 오일갭 영역을 선삭 가공하여, 상기 오일 갭을 설정된 상기 기준 오일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0127883A 2017-09-29 2017-09-29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KR101963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83A KR101963040B1 (ko) 2017-09-29 2017-09-29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83A KR101963040B1 (ko) 2017-09-29 2017-09-29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40B1 true KR101963040B1 (ko) 2019-07-31

Family

ID=6747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83A KR101963040B1 (ko) 2017-09-29 2017-09-29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36A (ko) * 2008-09-29 2010-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외경 가변형 더미 샤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36A (ko) * 2008-09-29 2010-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외경 가변형 더미 샤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164B2 (en) Dynamic balancing ring for cutter holder
US6563074B2 (en) Method of machining the turbine rotor shaft of a supercharger
CN103201064B (zh) 切削航空器涡轮轴发动机机壳的方法和实施所述方法所用的刮刀
KR102206413B1 (ko) 타임피스 밸런스 스프링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 보조 툴링
JP3946988B2 (ja) 測定用プローブ用の急速交換システム
US20140130561A1 (en) Method for the roller-straightening of crankshafts
KR101963040B1 (ko) 베어링 오일갭 조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베어링 오일갭 조정방법
FI10077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yörösahanterän oikomiseksi
KR100589534B1 (ko) 자동선반용 봉재 지지장치
CN110509115A (zh) 一种细长轴的高精度磨削工艺及应用
JP5843866B2 (ja) 位置決め部材の組付方法、決定方法、径決定方法、測定装置及び決定装置
CN105403363B (zh) 带外锥面的动平衡机标准校对转子
US20060245713A1 (en) Optical fiber twist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JPS63210437A (ja) 円筒回転体のアンバランス修正用治具および円筒回転体のアンバランス修正方法
WO2016129325A1 (ja) タイヤ試験用リム
JP2009279734A (ja) マスセンタリング加工装置
KR102418747B1 (ko) 재가열기 정지 밸브용 래핑 장치
CN110369971A (zh) 一种磨床用带外螺纹锥柄的磨杆加工工艺
US11181143B2 (en) Device for receiving a rotatable workpiece
CN104308110B (zh) 对中台对中触点机构精度微调装置及方法
JPH109342A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アンバランス修正装置
KR101288204B1 (ko) 동심도 측정기구
CN207104720U (zh) 一种多点支撑内腔式筒状件定位装置
CN111390507B (zh) 一种中央传动杆控制壁厚差及动不平衡量制造方法
JP2002168228A (ja) クランクシャフト及びクランクシャフトのアンバランス修正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