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937B1 -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937B1
KR101962937B1 KR1020180106858A KR20180106858A KR101962937B1 KR 101962937 B1 KR101962937 B1 KR 101962937B1 KR 1020180106858 A KR1020180106858 A KR 1020180106858A KR 20180106858 A KR20180106858 A KR 20180106858A KR 101962937 B1 KR101962937 B1 KR 10196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ase material
felt
carbon
carb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철
양기은
Original Assignee
(주)프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젠 filed Critical (주)프로젠
Priority to KR102018010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37B1/ko
Priority to CN201980002876.0A priority patent/CN111165070A/zh
Priority to JP2019563092A priority patent/JP2020536344A/ja
Priority to PCT/KR2019/011360 priority patent/WO20200506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7/00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 H05B7/02Details
    • H05B7/06Electrodes
    • H05B7/08Electrodes non-consumable
    • H05B7/085Electrodes non-consumable mainly consisting of carb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4Heater using resistive elements made of short fibbers of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기재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기재;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제1기재와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기재 및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되, 제1기재의 내면과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제1기재, 제2기재 및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기재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 발열장치는 아크방전에 의한 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장치로써, 탄소의 양단에 전류를 흐르게 함에 따라 탄소 간의 아크방전과 접촉저항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탄소는 세라믹 중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성질로 인해 발열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렇듯 탄소를 이용한 발열체는 다수 개의 탄소를 배열하고, 탄소의 양측에 배치된 전원선과 탄소가 접촉되도록 연결됨으로써, 탄소가 발열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탄소의 형태 중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불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및 탄화하여 만들어 통전시 발열을 일으키게 되는 것으로 예컨대, 각종 무기 광물질이 포함된 탄소가루를 페이스트화하여 멀티필라멘트 섬유사에 도포하여 제조하거나, 탄소와 텅스텐, 망간 및 스테인리스 등을 고온 용융한 상태에서 실로 뽑거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탄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탄소섬유의 재질 특성상 단단하고 휘어지는 성질이 없기 때문에 탄소섬유 자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탄소섬유가 단단하고 휘어지는 성질이 없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적합한 형상으로 제작하기도 쉽지 않아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5825호, 2018.06.0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한 쌍의 기재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기재;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되,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소재 펠트는, 탄소를 2,0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가 부착됨으로써, 전원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기재와,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제2기재를 배치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한 후,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가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의 제조방법 또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한 쌍의 기재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탄소소재 펠트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3은 접착제없이 제조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가 부착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재(100)와,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200)를 포함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경우 제1기재(110)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프레스(510) 및 제2기재(120)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가 탄소소재 펠트(200) 방향으로 열과 압력을 가했을 때, 상측에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제1요철(P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1요철(P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탄소소재 펠트(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상의 굴곡진 제2요철(P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요철 형상의 입체적인 무늬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마찬가지로 제1기재(110), 제1기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120),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200)를 포함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의 경우, 도 1과는 달리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된 제1기재(110) 및 상부에 위치된 제2기재(120)에 열과 압력을 가했을 때, 탄소소재 펠트(200) 상부에만 요철 형상의 제1요철(P1)이 형성됨으로써,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부에만 입체적인 요철무늬가 형성되는 특이점이 있다.
이는 상부프레스(520)의 내면에만 연질(soft)의 실리콘패드(522)를 부착하고, 하부프레스(510)의 내면에는 실리콘패드(522)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소소재 펠트(200)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열과 압력을 서로 달리 인가함으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의 경우도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처럼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특징은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2기재(120)를 배치하는 제1단계(S1)와,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후, 열융착 방식으로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가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2단계(S2)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단계는 제1기재(110) 및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2기재(12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S1)
즉 제1단계는 제1기재(110)와, 제1기재(110)의 상부에 제1기재(110)와 대응되게 나란한 방향으로 제2기재(120)를 배치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된 열이 탄소소재 펠트(200)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적용한 이유는, 추후 제2단계에서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에 일정한 온도 및 압력을 가하여 열융착시키는 과정을 거칠 때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호 접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일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시 탄소소재 펠트(200)로 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은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성질이 있으므로 내구성을 요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하부에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의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는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경우에는, 추후 제2단계에서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면 제1기재(110) 하부에 배치된 하부프레스(510) 및 제2기재(120) 상부에 배치된 상부프레스(520)가 탄소소재 펠트(200) 방향으로 열과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소소재 펠트(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요철(P1) 및 제2요철(P2)의 입체적인 무늬 형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처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상하부에 하부프레스(510)와 상부프레스(520)로 이루어진 열프레스(500)의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는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2는 도 1과는 다른 방식으로, 하부프레스(510) 및 상부프레스(520)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연질(soft)의 실리콘패드(522)가 부착되고(본 발명의 도 2에서는 상부프레스(520)의 내면에 실리콘패드(522) 부착), 하부프레스(510)의 내면에는 실리콘패드(522)가 부착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부프레스(520) 내면에 부착되어 연질의 실리콘패드(522)로 인해 요철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제2단계에서 열융착 과정이 진행되면 제2기재(120)만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상측 면을 따라 제1요철(P1)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후, 열융착 방식으로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가 상호 접착되면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S2)
말하자면, 제2단계는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위치된 탄소소재 펠트(20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면서 이탈을 방지하고, 탄소소재 펠트(200)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둘러싼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로 인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사이의 탄소소재 펠트(200)는 열융착만으로 강성을 지닌 성질을 지님으로써, 일정 두께를 유지하여 물성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가 탄소소재 펠트(200)를 둘러싸 탄소소재 펠트(200)가 고립된 상태로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짐으로써 히터(heater)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열융착은 제1기재(110)의 표면과 제2기재(120)의 표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일련의 공정으로써, 130~170℃ 조건 하에서 5~20초 동안 30~70㎏/㎠의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30℃ 미만이거나 5초 미만이거나 30㎏/㎠ 미만일 때는 제1기재(11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 계면과, 제1기재(11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에 대응되도록 제2기재(120)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 계면의 상호 접착을 견고하게 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호 접착시켜줄 힘이 부족하여 접착 저하가 초래됨으로 인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의 사이에 삽입된 탄소소재 펠트(200)에 함유된 탄소소재 입자의 외부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170℃를 초과하는 조건이나 20초를 초과하거나 70㎏/㎠를 초과하는 조건 하에서 열융착을 하게 되면 너무 높은 온도와 너무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접착층(300)을 이루는 접착제가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면서 기재들의 표면이 끈적끈적해져 제품성이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을 효율적으로 달성되도록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탄소소재 펠트(200)는 탄소를 2,0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파이트의 경우 열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인체친화적이어서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상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 본 발명에서 탄소소재 펠트(200)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은,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 형성된 접착층(300)를 통하여 열융착으로 상호 접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기재(110)의 내면 및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3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상호간 이격되는 공간이 생기지 않고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추후 도 3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하겠다.
특히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경우 인쇄타입으로 제조되어 발열장치를 입체적인 형태로 만들 수 없었던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열융착에 의해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아래와 같이 입체적인 여러 형태로 만듦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수요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제2기재(120)는 사각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상측면을 따라 굴곡진 제1요철(P1)을 이루고, 제1기재(110)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하측면을 따라 제1요철(P1)에 대응되게 굴곡진 제2요철(P2)을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는 다수 개의 탄소소재 펠트(200) 하면에 그대로 접착되고 제2기재(120)는 탄소소재 펠트(200)의 상측면을 따라 굴곡진 제1요철(P1)을 이룸에 따라 입체적인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300)이 형성됨으로써 제1기재(110), 제2기재(120) 및 탄소소재 펠트(200)가 상호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단 접착제는 필름 형태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를 상호 접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3은 접착제없이 제조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기재(100')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200')를 삽입한 후, 도 1 및 도 2와는 달리 제1기재(110')의 내면 및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융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를 열융착하게 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간에는 접착이 이루어지긴 하나, 탄소소재 펠트(200')가 인접하게 위치한 곳에는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붕 뜬 공간(S)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함에 따라 탄소소재 펠트(200')의 열전도율 또한 현저히 저하되기 마련이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기재(110)의 내면과 제2기재(120)의 내면에 접착층(300)을 형성한 후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400)가 부착된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기재(110)와 제2기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가 부착된 형상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본 발명의 도 4에서는 제1기재(110)의 표면에 단열재(400)를 부착하였다).
이러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재(110) 및 제2기재(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가 부착됨으로써, 전원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필요시, 제1기재(110)와 제2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400)를 부착함으로써, 열의 전달방향을 한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재
110: 제1기재
120: 제2기재
200: 탄소소재 펠트
300: 접착층
400: 단열재
500: 열프레스
510: 하부프레스
520: 상부프레스
522: 실리콘패드
S: 공간
P1: 제1요철
P2: 제2요철

Claims (6)

  1. 제1기재;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기재;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탄소소재 펠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되,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는,
    탄소를 2,000℃ 이상에서 탄화시켜 형성된 그라파이트(Graphite) 형태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재가 부착됨으로써, 전원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 및 상기 제2기재는,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6. 제1기재와, 상기 제1기재의 상부에 제2기재를 배치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의 사이에 탄소소재 펠트를 삽입한 후,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제1기재와 상기 제2기재가 상호 접착되면서 상기 탄소소재 펠트에 포함된 탄소소재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재의 내면과 상기 제2기재의 내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재, 상기 제2기재 및 상기 탄소소재 펠트가 열융착 방식으로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80106858A 2018-09-07 2018-09-07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58A KR101962937B1 (ko) 2018-09-07 2018-09-07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980002876.0A CN111165070A (zh) 2018-09-07 2019-09-04 碳材料毛毡发热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9563092A JP2020536344A (ja) 2018-09-07 2019-09-04 炭素素材フェルト発熱装置及びこの製造方法
PCT/KR2019/011360 WO2020050603A1 (ko) 2018-09-07 2019-09-04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58A KR101962937B1 (ko) 2018-09-07 2018-09-07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937B1 true KR101962937B1 (ko) 2019-03-27

Family

ID=659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58A KR101962937B1 (ko) 2018-09-07 2018-09-07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536344A (ko)
KR (1) KR101962937B1 (ko)
CN (1) CN111165070A (ko)
WO (1) WO20200506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92B1 (ko) * 2019-04-16 2020-01-09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25A (ja) * 1998-10-26 2000-05-12 Nekken:Kk フレキシブル発熱体
JP2003197353A (ja) * 2001-09-27 2003-07-11 Bai Wei Wu 柔軟なグラファイトフェルト発熱体及び赤外線放射方法
KR101865825B1 (ko) 2017-09-27 2018-06-0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295A (ja) * 1996-07-19 1998-02-13 Silver Kk 暖房器
CN1181705C (zh) * 2001-04-25 2004-12-22 张汝昆 一种活性碳纤维电热毡板及其制造方法
JP2005135643A (ja) * 2003-10-28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78631A1 (en) * 2005-06-10 2006-12-14 Challenge Carbon Technology Co., Ltd. Of Taiwan Laminate fabric heater and method of making
JP2007122951A (ja) * 2005-10-26 2007-05-17 Toho Tenax Co Ltd 発熱体用炭素繊維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425A (ja) * 1998-10-26 2000-05-12 Nekken:Kk フレキシブル発熱体
JP2003197353A (ja) * 2001-09-27 2003-07-11 Bai Wei Wu 柔軟なグラファイトフェルト発熱体及び赤外線放射方法
KR101865825B1 (ko) 2017-09-27 2018-06-08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92B1 (ko) * 2019-04-16 2020-01-09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탄소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603A1 (ko) 2020-03-12
CN111165070A (zh) 2020-05-15
JP2020536344A (ja)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7494B2 (ja) 半導体真空処理装置用のコンポーネント・アセンブリ、アセンブリを結合する方法、及び、半導体基板を処理する方法
US11798919B2 (en) Transfer carri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transferring light-emitting diode chip
US6270603B1 (en) Repair method for uniformly heating composite structure
JP2013535842A5 (ko)
JP2009087703A (ja) 誘導加熱装置用発熱体および分割発熱体用パッケージ
KR101962937B1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34514A (ko)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JP5696189B2 (ja) 電気毛布またはカーペット用の加熱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システム
KR101593833B1 (ko) 기판 히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WO2018183334A1 (en) Heating jacket and method of making heating jacket
JP2007010304A (ja) 床暖房装置
KR102023440B1 (ko) 쿼츠 히터
KR20200085149A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이용한 발열매트
KR101964455B1 (ko) 기판 지지대
KR20190086318A (ko) 다수의 평면 구역에 적합한 평판형 히터 장치
KR20180112911A (ko) 기판 지지대
KR102096076B1 (ko) 탄소소재 펠트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발열 신발
US9312547B2 (en) Applying a seal to a fuel cell component
JP2005188677A (ja) 配管用ヒーター
KR102090999B1 (ko) 쿼츠 히터
GB0129658D0 (en) Fast heating cathode
GB2583976A (en) Drinking mug image transfer heater mat and method of using one
JP2008244155A (ja) 真空内基板の加熱冷却方法および加熱冷却装置
JPWO2008065930A1 (ja) シート状ヒータ
KR20160123459A (ko) 막-전극 조립체 생산 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